맨위로가기

소가노 이나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가노 이나메는 소가노 고마의 아들로, 6세기 일본의 대신이었다. 그는 소가 씨의 외척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딸들을 천황에게 시집보냈으며, 536년에 대신이 되어 흉작에 대비하고 둔전을 설치하는 등 경제 정책을 펼쳤다. 552년 백제 성왕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자는 제안을 받고 이를 지지했으나, 모노노베노 오코시 등과의 반대로 갈등을 겪었다. 그의 딸들은 천황의 비가 되어 여러 천황을 낳았으며, 그의 묘는 이시부타이 고분 근처의 도즈카 고분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70년 사망 - 길다스 사피엔스
    길다스 사피엔스는 5~6세기 브리튼의 역사 기록인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를 저술한 인물이며, 앵글로색슨족 침입과 브리튼족 쇠퇴를 기록하고 아서 왕 전설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 570년 사망 - 진백종
    진백종은 중국 남북조 시대 진나라의 제3대 황제로, 문제 진천의 장남으로 13세에 즉위했으나 숙부 진욱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폐위되어 임해왕으로 강등된 후 의문스러운 죽음을 맞이했다.
  • 긴메이 천황 - 소가노 키타시히메
    소가노 키타시히메는 소가노 이나메의 딸이자 긴메이 천황의 비로, 요메이 천황과 스이코 천황을 낳아 왕실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소가 씨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 인물이다.
  • 긴메이 천황 - 이시히메노히메미코
    센카 천황의 딸이자 긴메이 천황의 황후인 이시히메노히메미코는 야타노타마카츠노오오에노미코, 비다쓰 천황, 카사누이노히메미코를 낳았고, 비다쓰 천황 즉위 후 황태후로 책봉되었으며, 능묘는 오사카부 미나미카와치군 다이시정에 위치한 이소나가하라 능이다.
  • 소가씨 - 소가노 이루카
    소가노 이루카는 아스카 시대의 정치가로, 소가 씨의 권력을 강화하고 국정을 주도하며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였으나 을사의 변으로 암살당했다.
  • 소가씨 - 아스카데라
    아스카데라는 6세기 말 소가 씨가 백제의 지원을 받아 창건한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불교 사찰로, 아스카 시대 불교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수도 이전 후 나라시로 옮겨간 간고지의 원래 절터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소가노 이나메
기본 정보
씨족소아씨
부모아버지: 소가노 코마
배우자미녀원, 오아타시
자녀견염원, 마자, 소자매군, 석촌명, 사카이베노 마리세, 소가노 오오소미
시대고분 시대
생년부레쓰 천황 8년 ()
사망긴메이 천황 32년 3월 1일 (570년 3월 22일)
주군센카 천황긴메이 천황
경력

2. 생애

소가노 고마(蘇我高麗)의 아들로 태어나 소가노 우마코(蘇我馬子) 등 4남 3녀를 두었다. 그의 세 딸은 모두 천황에게 출가하여 소가 씨의 외척 권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센카 천황 원년(536년)에 대신이 되었다. 539년 긴메이 천황 즉위 후에도 대신으로 임명되어 모노노베노 오코시(物部尾輿)와 함께 조정을 이끌었다. 긴메이 천황 13년(552년) 백제 성왕이 불교를 전파하자, 불교 수용을 두고 모노노베노 오코시와 대립하였다.

그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아버지소가노 고마(蘇我高麗)
어머니불명
부인
자녀


2. 1. 불교 수용과 모노노베 씨와의 대립

538년, 백제 성왕이 보낸 금동석가상을 자신의 저택에 모시고, 자택을 코우겐지(向原寺)로 삼았다.[8] 긴메이 천황은 불교 수용에 대해 신하들의 의견을 물었고, 이나메는 "서번 제국은 모두 이를 예배하고 있는데, 일본만이 어찌 이를 거스르겠습니까."라고 하며 적극적인 수용을 주장했다.[6] 반면, 오무라지 모노노베노 오코시와 무라지 나카토미노 카마코는 "우리나라의 왕은 천지 180신을 제사지냅니다. 번신을 예배하면 국신의 노여움을 살 것입니다."라며 반대했다.[6] 천황은 이나메에게 불상을 주어 시험 삼아 예배하게 했고, 이나메는 오아다에 불상을 안치하여 예배했다.

그 후, 역병이 발생하여 백성들이 많이 죽자, 오코시와 카마코는 번신 예배 때문이라 주장하며 불상 폐기를 주장했고, 천황은 이를 허락했다. 불상은 나니와의 호리에에 버려졌고, 가람에는 불이 질러졌다.[6] 이 버려진 불상이 젠코지 연기에서 말하는 젠코지의 본존인 일광 삼존 아미타 여래라고 한다.[6]

이 사건 이후에도 불교는 완전히 배제되지 않았으며, 이듬해인 553년 긴메이 천황은 불상 2체를 만들게 했다.

불교 수용 문제는 권력 투쟁과 겹쳐 소가씨모노노베씨 간의 격렬한 다툼으로 이어졌다. 이 대립은 결착되지 않은 채 아들 소가노 우마코와 모노노베노 모리야 대까지 이어졌다.

2. 2. 경제 정책과 둔창 설치

소가노 이나메는 재정에 뛰어난 수완을 발휘하여 왕진이를 보내 선부세(船賦稅)를 세어 기록하게 했다.[7] 또한 천황의 명에 따라 여러 나라에 둔창을 설치하여 국가 재정을 튼튼하게 하고, 초기 율령제의 기반을 다졌다.[7] 이나메가 설치를 주도한 백저둔창·아지마둔창에서는 "전부(田部)의 명적(名籍)"이 작성되었는데, 이는 율령제 국가의 선구적인 지배 방식으로 평가받는다.[7]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소가노 고마(蘇我高麗)
어머니불명
부인미메노히메(美女媛)
부인아가코노 이라쓰메(吾田子)
부인불명



소가노 이나메는 소가노 고마(蘇我高麗)의 아들이며, 세 명의 부인을 두었다. 그의 세 딸은 모두 천황에게 출가하였다.[8]

3. 1. 자녀

4. 평가

『상궁성덕법왕제설』에서는 긴메이부터 스이코까지 5명의 대왕과 이나메 이후의 소가씨와의 혼인 관계를 들고, 『천수국수장』 명문에서는 긴메이에서 시작하는 왕통과 이나메에서 시작하는 소가씨에 대한 쇼토쿠 태자의 양쪽 속성을 강조하고 있어, 긴메이와 이나메가 다이카 이전 시대에 하나의 획기적인 사건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7]

율령 체제 국가의 기본적인 성격을 공지공민을 기초로 한 개별 인신 지배로 규정한다면, 그 선구적인 지배 방식이 소가씨의 주도로 설치된 둔창의 경영 방식에서 나타난다.[7] 이나메가 설치를 주도한 백저둔창·아지마둔창에서는 "전부의 명적"이 작성되었으며, 이는 현실에 존재했던 단위 집단을 그대로 "호"로 하여 전부의 정(丁)의 이름을 나열한 것으로 보인다.[7]

5. 무덤

소가노 우마코의 묘로 추정되는 이시부타이 고분 근처의 도즈카 고분(금계총 고분)은 원래 한 변이 28미터의 방분 또는 지름 30미터의 원분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14년 아스카촌 교육위원회와 간사이 대학 조사팀은 이 고분이 한 변이 40미터로, 돌을 쌓아 만든 계단 모양의 거대한 방분임을 확인했다. 이는 당시 대왕에 필적하는 규모의 고분이므로, 이나메의 묘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

6. 관련 사항

소가노 이나메는 불교 전래와 관련된 인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蘇我稲目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コトバンク」
[2] 서적 日本書紀
[3] 서적 新撰姓氏録
[4] 인용
[5] 서적
[6] 웹사이트 善光寺ホームページ 善光寺の逸話 https://www.zenkoji.[...]
[7] 서적 蘇我氏 古代豪族の興亡 中央公論新社 2015
[8] 서적 일본 여성(성과 사랑, 삶의 역사) 시그마북스 2008
[9] 서적 일본 천황은 한국인이다 효형출판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