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방본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방본부는 대한민국에서 중앙과 지방으로 구분되며, 지방 소방본부는 광역자치단체별로 설치되어 소방서와 함께 소방 업무를 수행한다. 중앙 소방본부인 대한민국 소방청은 차관급 조직으로 중앙119구조본부를 두고 있다. 소방본부의 명칭은 소방본부, 소방재난본부, 소방안전본부 등으로 사용된다. 지방자치단체는 소방 업무를 다른 시정촌에 위탁할 수 있으며, 소방공무원은 소방서장의 임명 하에 소방 업무에 종사한다. 소방의 광역화는 시정촌의 소방 체제를 정비하고 확립하기 위해 추진되며, 둘 이상의 시정촌이 소방 업무를 공동으로 처리하거나, 다른 시정촌에 위탁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방본부 - 비길레스
    비길레스는 고대 로마의 공공 소방대이자 야경꾼으로서 화재 진압, 치안 유지, 도망 노예 체포 등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창설되어 7개의 코호르트로 로마 시를 순찰하며 활동했다.
  • 소방본부 - 의용소방대
    의용소방대는 화재 발생 시 소방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조직된 민간 자원 봉사 단체로서, 화재 진압, 구조 활동, 예방 및 교육 활동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지역 주민으로 구성되어 초기 진화와 소방서의 소방력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 소방 - 화재
    화재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연소 현상으로, 원인과 연소 물질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인명 및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 소방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소방본부
소방 조직 개요
소방대 엠블럼
소방대 엠블럼
유형공공 서비스
관할 구역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
목표화재 진압, 인명 구조, 응급 의료 지원, 위험 물질 사고 대응
방법소방차, 소방 장비, 훈련된 인력
역할 및 기능
주요 활동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
추가 활동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위험 물질 누출 사고 대응
화재 예방 교육 및 홍보
자연 재해 시 구조 및 지원 활동
조직 및 운영
조직 구조중앙 소방 본부 (국가 수준)
지방 소방 본부 (지역 수준)
소방서 (기초 단위)
인력 구성소방 공무원
의용 소방대원
지원 인력
장비소방차 (펌프차, 물탱크차, 사다리차 등)
구조 장비 (유압 장비, 절단 장비 등)
개인 보호 장비 (방화복, 헬멧, 산소 호흡기 등)
역사
기원고대 로마 시대의 소방 조직
발전 과정중세 시대의 도시 방화 조직
근대 소방 조직의 등장 (19세기)
현대 소방 조직의 발전 (20세기 이후)
각 국가별 소방
미국미국 소방서 (Fire Department)
일본일본 소방서 (消防本部, Shōbōhonbu)
대한민국대한민국 소방서 (消防本部, Sobangbonbu)
관련 법규
대한민국소방기본법
참고 자료
관련 웹사이트대한민국 소방청
미국 화재 예방 협회 (NFPA)
관련 서적소방학개론
화재역학
소방관계법규

2. 대한민국의 소방본부

대한민국에는 중앙정부 소속 소방본부와 광역자치단체별로 설치된 지방소방본부가 있다. 지방소방본부는 관할 구역 내에 소방서를 두며, 그 명칭은 소방기본법 제10조 제1항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20] 이에 따라 '''소방본부''', '''소방재난본부''', '''소방안전본부''' 등 다양한 명칭이 사용된다.

2. 1. 중앙정부의 소방본부

2. 2. 지방소방본부

(내용 없음)

2. 2. 1. 특별시/광역시 소방본부

2. 2. 2. 도/특별자치도 소방본부

지방 소방본부는 광역자치단체별로 설치되어 있으며, 관할 구역마다 소방서를 두고 있다. 이들 기관은 '''소방본부''', '''소방재난본부''', '''소방안전본부'''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한다.

2. 2. 3. 기타 지역 소방본부

3. 외국의 소방본부

대부분의 국가는 지방 정부나 중앙 정부가 세금으로 운영하는 공공 소방 기관을 통해 소방 업무를 수행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자원봉사 소방대가 활동하며 정부 지원을 받기도 한다.

소방 조직의 운영 방식은 국가별로 다양하여, 단위로 조직되거나 국가 차원에서 통합 운영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캐나다, 독일 등은 시 단위 조직이 일반적이며, 프랑스, 영국, 호주 등은 주 단위 운영이 많고, 폴란드, 체코, 이스라엘, 이탈리아, 뉴질랜드, 필리핀 등 일부 국가는 국가 통합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3. 1. 미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소방서 소속 소방서 중 하나인 1호 소방서. 로스앤젤레스 소방서에는 100개가 넘는 소방서가 있다.


미국에서는 소방 활동이 일반적으로 단위로 조직된다. 뉴욕 소방국과 같은 대도시 소방 조직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일부 시는 샌 라몬 밸리 소방 보호구(San Ramon Valley Fire Protection District)처럼 여러 지역을 묶어 관리하는 "소방 보호구"에 속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지역 소방서는 지방 정부나 중앙 정부가 설립하고 세금으로 운영하는 공공 기관이다. 자원봉사 소방대도 있으며, 이들은 정부 지원금을 일부 받기도 한다.

3. 2. 일본

일본의 국가 소방 조직으로는 총무성 산하의 일본 소방청이 있다. 수도인 도쿄에는 별도의 도쿄 소방청이 설치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소방에 관한 책임(소방조직법 제6조)은 해당 시정촌에 있다. 시정촌은 단독으로 소방본부를 설치하거나, 여러 시정촌이 연합하여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일부사무조합 또는 광역연합을 설치하여 소방본부를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연합체를 소방조합이라고도 부른다.

  • 소방 업무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해 일부사무조합(지방자치법 제284조 제2항)으로서 소방본부를 설치한다.
  • 소방 업무를 광역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광역연합(지방자치법 제284조 제3항)으로서 소방본부를 설치한다.


상시 운영되는 소방기관인 소방본부 및 소방서를 설치하는 것을 소방의 상비화(消防の常備化)라고 한다. 시정촌 단독 또는 일부사무조합에 의한 소방본부 설치가 진행되어, 소방의 상비화는 1970년대에 대부분 완료되었다.

2013년 4월 1일 기준으로 상비화된 시정촌은 1,684곳이며, 상비화되지 않은 읍면(町村)은 36곳이다. 상비화된 시정촌의 비율(상비화율)은 97.9%이며, 시(市)는 100%, 읍면(町村)은 96.1%이다. 산간 지역이나 도서 지역의 일부 읍면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국적으로 상비화되어 있으며, 인구의 99.9%가 상비 소방 서비스의 보호를 받고 있다.

상비화된 시정촌 중 일부사무조합 또는 광역연합을 통해 소방 업무를 처리하는 소방본부는 304개 본부(이 중 광역연합은 21개 본부)이다. 이들 조합에 속한 시정촌 수는 1,088곳(시 351개, 정 599개, 촌 138개)으로, 전체 상비화된 시정촌의 64.6%에 해당한다.

또한, 다른 시정촌에 소방 업무를 위탁하고 있는 시정촌 수는 130곳(시 32개, 정 78개, 촌 20개)이며, 이는 전체 상비화된 시정촌의 7.7%에 해당한다.[22]

3. 3. 기타 국가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지방 또는 중앙 정부가 설립하고 세금으로 운영하는 공공 부문 소방서가 소방 업무를 담당한다. 자원봉사 소방대 또한 정부 지원금을 일부 받는 경우가 있다.

소방서의 규모와 조직 방식은 국가에 따라 다양하다.

  • 시 단위 조직: 미국에서는 소방 활동이 일반적으로 시 단위로 조직된다. 일부 시는 샌 라몬 밸리 소방 보호구처럼 여러 시가 하나의 소방서 관할 구역인 "소방 보호구"에 속하기도 한다. 오스트리아, 독일, 캐나다 역시 시 단위로 소방 서비스를 조직한다.
  • 주 단위 조직: 프랑스에서는 소방 서비스가 대부분 하나의 주를 관할한다. 영국에서는 대부분의 소방 서비스가 하나 이상의 를 관할하며, 스코틀랜드북아일랜드는 각각 단일 소방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 호주에서는 주 정부가 소방 서비스를 운영하지만, 3개 주는 대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에 대해 별도의 기관을 두고 있다.
  • 국가 단위 조직: 폴란드, 체코, 이스라엘, 이탈리아, 뉴질랜드, 필리핀 등은 국가 차원의 소방 및 구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4. 소방본부의 조직 및 역할

대한민국의 소방본부는 중앙 정부 조직인 소방청 산하의 중앙소방본부와 각 광역자치단체별로 설치되는 지방소방본부로 나뉜다. 지방소방본부는 관할 구역 내에 여러 소방서를 두고 지역 소방 업무를 총괄한다.

지방소방본부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따라 '''소방본부''', '''소방재난본부''', '''소방안전본부'''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한다.[20]

4. 1. 일반적인 조직 구성

독일 소방대의 공개 행사 사진


소방 조직은 일반적으로 행정, 서비스, 훈련, 운영 체계로 구성된다.

  • 행정: 감독, 예산, 정책 및 인적 자원 관리를 담당한다.
  • 서비스: 대중에게 보호, 안전 및 교육을 제공한다.
  • 훈련: 소방대원들이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교육한다.
  • 운영: 사람, 재산 및 환경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현장 활동을 수행한다.


소방서는 일반적으로 소방서, 소방차 및 기타 관련 장비를 관할 지역 전체에 전략적으로 배치하여, 지휘센터가 사고 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소방서의 소방차, 소방트럭 또는 구급차를 출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규모가 큰 소방서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원봉사자, 지원, 연구 부서 등 내부 부서를 두기도 한다.

  • 자원봉사자: 비상 상황 발생 시 소방 활동에 추가적인 인력을 지원한다.
  • 지원: 소방서 내외부의 자원을 조직하고 관리한다.
  • 연구: 소방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 및 도입을 목표로 한다.


대한민국의 소방 조직은 다음과 같은 체계를 갖춘다.

  • '''소방본부'''
  • 소방본부의 설치, 위치 및 명칭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소방기본법 제10조 제1항)[20]
  • 소방본부의 구체적인 조직 구성은 규칙으로 정한다. (소방기본법 제10조 제2항)
  • '''소방서'''
  • 인구 규모 등을 고려하여 소방본부 산하에 설치된다.
  • 화재의 예방, 경계, 진압뿐만 아니라 구급, 구조, 재난 방제 등 소방방재 활동의 최일선을 담당한다.
  • 소방서의 설치, 위치, 명칭 및 관할 구역은 조례로 정한다. (소방기본법 제10조 제1항)[20]
  • 소방서의 내부 조직은 해당 지역 시장(군수, 구청장)의 승인을 받아 소방서장이 정한다. (소방기본법 제10조 제2항)
  • '''119안전센터·구조대·소방정대 등'''
  • 소방서의 하위 조직으로, 관할 구역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119안전센터, 구조대, 소방정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소방서의 업무를 보조하고 특정 지역이나 임무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4. 2. 주요 역할



소방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체계를 통해 운영된다.

  • 행정: 감독, 예산, 정책 및 인적 자원 관리를 담당한다.
  • 서비스: 대중에게 보호, 안전 및 교육을 제공한다.
  • 훈련: 소방대원들이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한다.
  • 운영: 인명, 재산 및 환경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현장 활동을 수행한다.


소방서는 소방서, 소방차 및 기타 관련 장비를 관할 구역 내에 전략적으로 배치하여 운영한다. 이를 통해 지휘센터는 사고 발생 시 가장 가까운 소방서에서 소방차, 소방트럭 또는 구급차를 신속하게 출동시킬 수 있다. 대규모 소방서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자원봉사자 관리, 지원, 연구 등의 부서를 두기도 한다.

  • 자원봉사자: 비상 상황 발생 시 소방 활동을 지원하는 인력이다.
  • 지원: 소방서 내외부의 자원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 연구: 소방 활동에 필요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보건(Vaughan)에서 훈련 중인 소방대원들


소방서는 기본적인 화재 진압 외에도 다양한 전문적인 응급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항공기 구조 및 소화, 위험물(Dangerous goods영어) 대응, 특수 구조, 수색 및 구조, 산불 진화(Wildfire suppression영어) 등이 포함된다.

미국, 독일, 일본, 홍콩, 마카오 등 일부 국가 또는 지역에서는 소방서가 응급 의료 서비스(emergency medical services|EMS영어)를 함께 제공하기도 한다. EMS 인력은 소방관으로서의 훈련을 받거나, 응급구조사(Emergency medical technician영어) 및 응급 구급대원(Paramedic영어)으로 구성된 별도의 부서일 수 있다. 일부 소방서는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환자를 안정시키는 '최초 대응자' 역할만 수행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직접 구급차 서비스를 운영하며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의 경우, 소방서는 화재의 예방, 경계, 진압뿐만 아니라 구급, 구조, 재난 방제 등 소방방재 활동의 최일선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20]

5. 소방공무원

(내용 없음)

5. 1. 소방吏員(소방리원)

소방공무원은 각 지역의 소방본부 및 소방서에서 소방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이다. 소방서장(소방본부의 장)이 소방공무원을 임명한다. 다만, 소방서장은 해당 지역의 시장 또는 군수가 임명하며, 소방서장 이외의 소방공무원은 시장 또는 군수의 승인을 받아 소방서장이 임명한다(소방기본법 제15조 제1항).

소방공무원의 배치, 업무 수행, 신분 등에 관한 사항은 소방기본법 등 관련 법령에 규정되어 있다.

  • 소방본부 및 소방서에 소방공무원을 둔다(소방기본법 제11조 제1항).
  • 소방공무원은 상사의 지휘·감독을 받아 소방 업무에 종사한다(소방기본법 제14조).
  • 소방공무원의 임용, 급여, 징계, 복무 등 신분 처리에 관해서는 소방기본법에 특별히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지방공무원법의 규정을 따른다(소방기본법 제16조 제1항).
  • 소방공무원의 계급, 훈련, 의식, 제복에 관한 사항은 소방청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소방기본법 제16조 제2항).


소방공무원은 계급을 가지며, 소방법,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등에 규정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한편, 소방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규모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소방 업무의 광역화가 추진되고 있다. 행정안전부 소방청은 2006년 7월 '''「시군구 소방의 광역화에 관한 기본 지침」'''[26]을 마련하여, 각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소방 업무를 통합하고 협력 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 지침에는 광역화 추진의 기본 방향, 추진 기간, 세부 계획 수립 기준(시군구 소방 현황 및 전망, 광역화 대상 조합, 필요 조치 등), 광역화 이후의 원활한 운영 확보 방안, 방재 관련 기관 간의 연계 확보 방안 등이 포함되어 있다.

5. 2. 기타 직원

소방본부에는 소방공무원 외에도 사무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이나, 정비사, 무선기사와 같은 기술직원이 근무하는 경우도 있다.

6. 소방의 광역화

소방 업무는 기본적으로 시정촌 단위로 수행되지만,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기초자치단체가 협력하거나 상위 광역자치단체가 통합하여 운영하는 '광역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는 소방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일본에서는 2000년대 헤이세이 대합병을 계기로 시정촌 통합이 진행되면서 소방 조직의 광역화 논의가 활발해졌다. 여러 시정촌이 공동으로 소방조합을 결성하거나, 인접 시정촌에 소방 업무를 사무위탁하는 방식, 또는 합병된 새로운 시정촌이 단일 소방본부를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광역화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행정구역과 소방 관할 구역이 일치하지 않거나 조직 통합을 둘러싼 지자체 간 갈등이 발생하는 등 여러 과제가 나타나기도 했다.

한국의 경우, 서울특별시가 자치구의 소방 업무를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에서 통합 관할하는 것이 대표적인 광역 소방 행정 체계이다.[21] 이는 인구 밀집 지역인 대도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행정의 일체성과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다(지방자치법 제281조의2). 다른 지역에서도 지방자치법 제252조의 14에 근거하여 시정촌 간 소방 업무를 위탁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소방에 관한 기본적인 책임(소방기본법 제6조)은 해당 시정촌에 있다.

6. 1. 추진 배경

소방본부의 명칭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도록 되어 있다(소방기본법 제10조 제1항).[20] 한국의 경우, 서울특별시자치구(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는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21] 이는 인구가 밀집된 대도시 지역에서 행정의 일체성과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지방자치법 제281조의2), 각 자치구는 소방 업무를 서울특별시에 사무위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시정촌에 소방 업무를 위탁하는 경우(지방자치법 제252조의 14)에도 소방 책임은 원칙적으로 해당 시정촌에 있다(소방기구법 제6조).

일본의 경우, 소방본부의 명칭과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 도쿄도의 특별구 지역은 도쿄도가 직접 도쿄소방청을 설치하여 운영한다.[21]
  • 대부분의 시정촌은 '○○소방본부'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여러 행정구역이 공동으로 관리 기구를 설립하여 '○○행정구역 공동 관리 기구(소방조합) 소방본부' 또는 '○○광역행정구역 공동 관리 기구(소방조합) 소방본부' 등을 운영하기도 한다.
  • 광역연합 형태로 '○○광역연합(소방조합) 소방본부'를 두는 경우도 있다.
  • 일부 시에서는 다른 행정 부서(시민국, 건설국 등)와 맞춰 '○○소방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과거에는 방재 부문을 통합하여 '소방방재국'으로 명칭을 변경했던 사례(시즈오카시, 야이즈시)나, 안전관리 부서와 통합하여 '안전관리국'으로 변경했던 사례(요코하마시)도 있었으나, 이후 다시 소방국이나 소방본부로 명칭을 되돌린 경우가 많다.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는 소위 헤이세이 대합병이라 불리는 대규모 시정촌 합병이 진행되면서 소방 관할 구역과 실제 행정구역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하는 문제가 나타났다.

  • 시정촌 합병 후에도 기존 소방본부가 그대로 남아 하나의 시정촌 내에 여러 소방본부가 존재하는 경우.
  • 합병 전부터 운영되던 일부 사무 조합의 관할 구역이 합병 후 새로 생긴 시정촌의 행정구역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 이 두 가지 문제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이러한 불일치 사례는 시가현 히가시오미시(후에 해소), 군마현 다카사키시,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후에 해소)·하츠카이치시,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주난시 등 여러 지역에서 발생했다. 예를 들어 다카사키시의 경우, 시 대부분은 다카사키시·안주시 소방조합이 관할하지만, 구 요시이정 지역은 다카사키시에 편입된 후에도 여전히 타노후지오카 광역시정촌권진흥정비조합 소속으로 남아있는 복잡한 상황이다.

물론 사이타마현 쿠마가야시처럼 기존 소방조합을 해산하고 시 소방본부로 순조롭게 조직을 개편한 사례도 있다.

하지만 합병 과정에서 소방 조직 통합을 둘러싼 갈등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 시마네현에서는 합병 논의에서 이탈한 히카와정에 대해, 새로 합병한 이즈모시가 소방 업무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통보하여 주민 안전을 담보로 삼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소방청을 비롯한 전국 소방 관계자들의 반발을 샀으며, 결국 2011년 10월 1일 히카와정은 이즈모시에 합병되었다.
  • 오사카부에서는 사카이시정령지정도시 이행 후 타카이시시와의 소방조합 해산을 추진하자, 재정이 어려운 타카이시시가 반발했다. 결국 사카이시가 사무 위탁 방식으로 타카이시시의 소방 업무를 계속 담당하는 조건으로 2008년 조합이 해산되고 사카이시 소방국이 출범했다.
  • 기후현 북부 히다 지방에서는 기존의 히다 소방조합이 히다시 출범과 다카야마시 합병 과정에서 해산되고, 각각 히다시 소방본부와 다카야마시 소방본부로 분리되었다. 이 과정에서 소방 사무 위탁 관계가 복잡하게 조정되었다.
  • 나가사키현에서는 토키쓰정, 나가요정, 고토미정 3개 정의 합병(고토노우미시 신설)이 소방 문제로 인해 무산되기도 했다. 3개 정은 기존에 소방 사무를 위탁했던 나가사키시에 합병 후에도 당분간 위탁을 계속하기를 원했지만, 나가사키시가 합병 시점까지 자체 소방 조직 발족을 요구하면서 합병 협의가 결렬되었다.
  • 가고시마현에서는 광역 합병으로 출범했던 남사쓰 광역 소방 조합이 통신 지령실 정비 계획에 대한 의견 차이로 다시 해산되어, 미나미사쓰마시 소방본부, 마키사키시 소방본부, 시부키미나미큐슈 소방 조합 등으로 재편되는 일도 있었다.

6. 2. 추진 현황

소방본부의 명칭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도록 되어 있다(소방기본법 제10조 제1항).[20]

일본의 경우, 도쿄도의 특별구 지역에서는 도쿄도가 직접 소방본부를 설치하며, 조례에 따라 그 명칭을 '''도쿄소방청'''(東京消防庁|도쿄 쇼보초일본어)으로 정하고 있다.[21] 대부분의 시정촌은 해당 지역의 이름을 따서 '○○소방본부'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일부 행정구역 공동 관리 기구나 광역연합에서는 '○○행정구역 공동 관리 기구 소방본부', '○○광역행정구역 공동 관리 기구 소방본부', '○○광역연합 소방본부' 등의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일부 시에서는 다른 행정 부서(시민국, 건설국 등)와 유사하게 '○○소방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이 특이한 명칭 변경 사례가 있었다.

도시변경 전 명칭변경 후 명칭변경 시점 (1차)변경 후 명칭 (복귀)변경 시점 (2차)비고
시즈오카시시즈오카시 소방국시즈오카시 소방방재국(静岡市消防防災局|시즈오카시 쇼보보사이쿄쿠일본어)2005년 4월 1일시즈오카시 소방국2010년 4월 1일정령지정도시 지정에 따라 방재 부문을 통합했으나, 이후 조직 개편으로 명칭 복귀
요코하마시요코하마시 소방국요코하마시 안전관리국(横浜市安全管理局|요코하마시 안젠칸리쿄쿠일본어)2006년 4월 1일요코하마시 소방국2010년 4월 1일소방·총무·시민 3국을 통합했으나, 이후 조직 개편으로 명칭 복귀
야이즈시야이즈시 소방본부야이즈시 소방방재국(焼津市消防防災局|야이즈시 쇼보보사이쿄쿠일본어)2008년 4월 1일야이즈시 소방본부2012년 4월 1일명칭 복귀 후, 2013년 3월 31일 시타 광역행정구역 공동 관리 기구 시타 소방본부로 이관



대한민국의 경우, 서울특별시는 25개 자치구 전체를 관할하는 소방본부로서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21] 지방자치법 제281조의2에 따라, 서울특별시와 같은 대도시 지역에서는 인구가 고도로 집중되어 행정의 일체성과 통일성 확보가 중요하므로, 자치구를 포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인 서울특별시가 소방 사무를 일괄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정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울특별시 내 대부분의 자치구(인천광역시 및 도서 지역 자치구 제외)는 소방 업무를 서울특별시에 사무위탁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가 해당 업무를 관할한다. 다른 시정촌에 소방 업무를 위탁하여 처리하는 경우(지방자치법 제252조의 14)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소방에 관한 최종 책임(소방기본법 제6조)은 원래 해당 시정촌에 있다.

일본에서는 2000년대 들어 소위 헤이세이 대합병이라 불리는 대규모 시정촌 합병이 진행되면서, 소방본부의 관할 구역과 실제 행정구역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겼다. 예를 들어, 시정촌이 합병되었음에도 기존의 소방본부들이 그대로 남아 하나의 시정촌 내에 여러 소방본부가 존재하는 경우, 또는 기존에 운영되던 일부 사무 조합 형태의 소방본부 관할 구역이 합병 후 새로 생긴 시정촌의 구역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등이 발생했다.


  • 복수 소방본부 존재 사례: 시가현 히가시오미시(후에 해소), 군마현 다카사키시,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후에 해소)·하츠카이치시,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주난시 등이 있다. 다카사키시의 경우, 시 본청과 안나카시 전역은 다카사키시·안나카시 소방조합(高崎市・安中市消防組合|타카사키시・안나카시 쇼보쿠미아이일본어, 다카사키 지역 광역 소방국)이 관할하지만, 구 요시이정 지역은 다카사키시에 편입된 후에도 여전히 타노후지오카 광역시정촌권진흥정비조합(多野藤岡広域市町村圏振興整備組合|타노후지오카 코이키시초손켄신코세이비쿠미아이일본어)에 속해 있다. 반면, 구 신마치 지역은 다카사키시에 편입되면서 타노후지오카 조합에서 다카사키시·안나카시 소방조합으로 이관되었다.
  • 조합 해산 및 조직 변경 사례: 사이타마현 쿠마가야시에서는 기존의 '쿠마가야 지역 소방조합'(熊谷地域消防組合|쿠마가야치이키 쇼보쿠미아이일본어)이 해산되고 '쿠마가야 지역 소방본부'가 '쿠마가야시 소방본부'로 순조롭게 개편되었다.
  • 합병 관련 갈등 사례: 시마네현에서는 이즈모시가 합병 협의에서 이탈한 히카와정에 대해 상비 소방 업무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통보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는 주민 안전을 담보로 한 결정이라는 비판을 소방청을 비롯한 전국 소방 관계자들로부터 받았다(이후 2011년 10월 1일에 두 지역은 합병했다).
  • 조합 해산 및 사무 위탁 사례: 오사카부사카이시와 타카이시시는 '사카이시 타카이시시 소방조합'(堺市高石市消防組合|사카이시 타카이시시 쇼보쿠미아이일본어)을 운영했으나, 2006년 사카이시가 정령지정도시로 승격하면서 조합 해산 및 단독 소방 조직 설치를 추진했다. 재정 상황이 좋지 않았던 타카이시시는 이에 반대했으나, 결국 조합 해산 후 사카이시가 타카이시시의 소방 사무를 위탁받아 처리하는 것으로 합의되어, 2008년 10월 사카이시 소방국(堺市消防局|사카이시 쇼보쿄쿠일본어)이 발족했다.
  • 조합 분열 사례: 기후현 북부 히다 지방의 다카야마시히다시의 소방본부는 원래 '히다 소방조합 소방본부'(飛騨消防組合消防本部|히다 쇼보쿠미아이 쇼보혼부일본어)라는 단일 조직이었으나, 2004년 히다시 발족 과정에서 일부 정촌이 조합을 탈퇴하고 히다시 소방본부를 설립하면서 분리되었다. 이후 남은 지역들도 2005년 다카야마시로 합병되면서 기존 조합은 해산되었다.
  • 합병 결렬 사례: 나가사키현의 토키쓰정, 나가요정, 고토미정 3개 정은 '고토노우미시'로 합병할 예정이었으나, 소방 사무를 위탁하고 있던 나가사키시(나가사키시 소방국)와의 협의 과정에서 합병 후 소방 조직 발족 시점에 대한 이견으로 합병이 무산되었다.
  • 광역 합병 후 재해산 사례: 가고시마현에서는 마키사키 지역과 가세다 지역 소방 조합이 합병하여 남사쓰 광역 소방 조합을 발족했으나, 통신 지령실 신설 계획에 대한 의견 차이 등으로 인해 다시 해산되었다. 이후 구 가세다 지역은 미나미사쓰마시 소방본부로, 마키사키시는 마키사키시 소방본부로 각각 단독 소방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6. 3. 과제

시정촌의 소방 업무를 다른 시정촌에 위탁하여 처리하는 경우도 있다(지방자치법 제252조의 14). 이 경우에도 소방에 관한 책임(소방기본법 제6조)은 해당 시정촌에 그대로 남는다.

2000년대 이후, 이른바 헤이세이 대합병이라 불리는 시정촌 합병이 진행되면서 일부 시정촌에서는 소방본부의 관할 구역과 행정 구역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 시정촌이 합병되었음에도 기존 시정촌의 소방본부가 그대로 남아, 새로운 시정촌 내에 여러 소방본부가 관할하는 구역이 공존하는 경우
  • 이전부터 일부사무조합에 의한 소방본부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시정촌 합병으로 인해 새로운 시정촌의 구역과 일부사무조합의 구역이 일치하지 않게 된 경우
  • 위 두 가지 상황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새로운 시정촌 내에 여러 소방본부 구역이 존재하는 사례로는 시가현 히가시오미시(후에 해소됨), 군마현 다카사키시,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후에 해소됨)·하츠카이치시,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주난시 등의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다카사키시는 안나카시 전역과 함께 다카사키시·안나카시 소방조합(다카사키시 등 광역소방국)의 관할이지만, 구 요시이정 지역만은 다카사키시에 편입된 후에도 계속 타노후지오카 광역시정촌권진흥정비조합에 가입하고 있다. 반면, 구 신마치 지역은 점유지였으나 다카사키시에 편입되면서 타노후지오카 광역시정촌권진흥정비조합에서 다카사키시·안나카시 소방조합으로 이관되었다.

일부사무조합의 구역이 새로운 시정촌의 구역과 일치하게 된 사례로는 사이타마현 쿠마가야시가 있다. 쿠마가야시에서는 "쿠마가야 지역 소방조합"의 해산과 "쿠마가야 지역 소방본부"에서 "쿠마가야시 소방본부"로의 조직 변경이 원활하게 실시되었다.

시마네현에서는 합병 협의에서 이탈한 히카와정에 대해, 새롭게 합병한 이즈모시가 상비 소방 업무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통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소방 조합 설치까지 거부하는 것으로, 히카와정이 재정 상태와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소방 조직을 갖춰야 한다는 의미였다. 주민의 안전을 담보로 하는 소방 문제를 이용한 이즈모시의 이러한 태도에 대해 소방청을 비롯한 전국의 소방 관계자들로부터 비난이 쏟아지는 사태가 되었다(이후 2011년 10월 1일에 두 지역은 합병했다).

오사카부에서는 사카이시와 타카이시시가 "사카이시 타카이시시 소방조합"을 운영했지만, 2006년 4월 1일 정령지정도시로 이행한 사카이시가 조합을 해산하고 단독 소방 조직 설치를 검토했다. 재정 상황이 좋지 않았던 타카이시시는 독자적인 상비 소방 설치나 시내 석유 콤비나트 화재 대응 차량 구입이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조합의 해산에 반대했다. 최종적으로는 조합 해산 후에도 사카이시가 사무위탁 방식으로 타카이시시 내의 소방 사무를 담당하기로 합의했고, 2008년 6월 양 시 의회에서 조합의 해산이 제안·가결되어 같은 해 10월 사카이시 소방국이 발족했다.

소방 조합이 해산하여 두 개의 소방본부로 분리된 사례도 있다. 기후현 북부 히다 지방의 다카야마시히다시의 소방본부는 현재 양 시가 단독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원래는 히다 소방조합 소방본부라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2004년 히다시 발족에 따라 가입하고 있던 요시키군 구 3정촌이 동 조합에서 탈퇴했다. 히다시의 합병에 참가한 구 가미오카정의 소방본부를 통합하여 히다시 소방본부를 설립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가미오카정에 소방 사무를 위탁하고 있던 요시키군 가미타카라촌은 히다시 발족에 따라 가미오카정과의 사무 위탁 관계를 해소하고 동 조합에 가입했다. 남은 다카야마시, 오노군·요시키군(가미타카라촌 포함)의 일부도 2005년에 합병했다. 합병에 참가하지 않은 오노군 시라카와촌은 소방 사무를 다카야마시에 위탁하고, 동 조합은 해산했다.

소방 조합을 이유로 시정촌 합병이 결렬된 사례도 있다. 나가사키현 니시소노기군의 도키쓰정, 나가요정, 고토미정 3개 정은 고토노우미시로 합병할 예정이었지만, 나가사키시(나가사키시 소방국)에 위탁하고 있는 소방 사무를 고토노우미시에서 발족시킬 때, 3개 정은 합병 후의 발족 개시를 전제로 당분간 나가사키시에 대한 위탁 계속을 요구했지만, 나가사키시는 합병까지 발족시킬 것을 요구했기 때문에 3개 정의 합병이 어려워져 협의회도 해산했다.

일단 광역 합병한 소방 조합이 해산한 사례로는 가고시마현 남사쓰 광역 소방 조합의 사례가 있다. 마쿠라자키 지역 소방 조합과 가세다 지역 소방 조합이 합병하여 남사쓰 광역 소방 조합을 발족시켰지만, 현 등의 의도는 이부스키 지역 소방 조합을 포함한 광역 합병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러나 통신 지령실의 신규 정비 계획의 의견 차이로 조합 해산이 되어, 최종적으로 구 가세다 지역 소방 조합은 미나미사쓰마시 소방본부로서 단독 소방을 개시하고, 마쿠라자키시는 마쿠라자키시 소방본부로서 단독 소방을 개시했다. 마쿠라자키 지역 소방 조합에 가입하고 있던 미나미큐슈시의 구 가와베정과 구 치란정 지역은 같은 시의 에이정 지역이 이부스키 지역 소방 조합에 가입하고 있었던 것도 있어 동일 시정촌에서 소방이 두 개로 나뉘는 것은 행정적으로도 지장이 있다고 판단하여 이부스키시와 공동으로 이부스키미나미큐슈 소방 조합을 설립했다.

참조

[1] 뉴스 Kim Kardashian's Private Firefighters Expose America's Fault Lines https://www.theatlan[...] 2018-11-14
[2] 서적 Organizing for Fire And Rescue Service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3] 웹사이트 Fire-brigades in the Roman realm http://www.economypo[...] Economypoint.org
[4] 서적 Handbook of Urban Services: A Basic Guide for Local Governments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9-02
[5] 서적 Principles of fire protection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1988-12
[6] 웹사이트 From Fire Marks to James Braidwood, the Surveyor who set up the Fire Brigade http://www.1stassoci[...] Independent Surveyors Association
[7] 웹사이트 Early insurance brigades https://www.london-f[...] London Fire Brigade
[8] 서적 Crucible of Fire: Nineteenth-Century Urban Fires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Fire Service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9] 서적 Introduction to Fire Protection, 3rd Edition https://books.google[...] Thomson Delmar Learning
[10] 웹사이트 History - City of Boston http://www.cityofbos[...] 2016-02
[11] 웹사이트 Boston History Before 1859 https://bostonfirehi[...]
[12] 서적 Fire Service Orientation and Terminology https://books.google[...] Fire Protection Publications, University of Oklahoma
[13] 웹사이트 Museum shows off Canada's oldest fire department's history http://thechronicleh[...]
[14] 웹사이트 Petersburg, VA - Official Website - Fire Department History http://www.petersbur[...]
[15] 웹사이트 "Established in 1773, the Petersburg Department of Fire, Rescue, and Emergency Services is one of the oldest organized fire departments in the country" http://www.fireengin[...]
[16] 웹사이트 Petersburg, VA - Official Website - Fire, Rescue, and Emergency Services http://www.petersbur[...]
[17] 웹사이트 James Braidwood and the London Fire Engine Establishment (LFEE) http://www.london-fi[...] London Fire Brigade
[18] 웹사이트 NDFD, nation's oldest university fire department, turns 135 http://news.nd.edu/n[...]
[19] 웹사이트 KNOX AUTOMOBILE COMPANY http://www.arcadiapu[...]
[20] 법률 消防組織法及び消防団員等公務災害補償責任共済基金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昭和38年4月15日法律第89号)附則第3項 1963-04-15
[21] 법률 東京消防庁の設置等に関する条例(昭和38年7月25日条例第52号) http://www.reiki.met[...] 1963-07-25
[22] 간행물 平成25年度消防白書 http://www.fdma.go.j[...] 総務省消防庁
[23] 간행물 消防本部数と常備化率の推移 https://www.soumu.go[...] 総務省
[24] 웹사이트 消防広域化推進関係資料 http://www.fdma.go.j[...] 総務省消防庁
[25] 간행물 新しい常備消防体制の在り方について(平成14年12月) http://www.fdma.go.j[...] 総務省消防庁 2002-12
[26] 법률 市町村の消防の広域化に関する基本指針(平成18年7月12日消防庁告示第33号) http://www.fdma.go.j[...] 2006-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