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요산은 추가령에서 뻗어 나온 광주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경기도 포천시와 양주시에 걸쳐 있다. 원효대사가 자재암을 창건하고 수도했던 곳으로, 원효폭포, 원효대굴, 공주봉 등 그의 흔적이 남아있다. 소요산에는 자재암을 비롯하여 하백운대, 중백운대, 상백운대, 의상대, 공주봉으로 이어지는 등산 코스가 있으며, 1981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경원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역에서 하차하여 방문할 수 있으며,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두천시의 지리 - 신천 (양주시)
신천은 경기도 양주시를 흐르는 하천으로, 한강의 제2지류이자 중랑천의 지류이며, 2021년 정비 사업이 완료되었으나 하천 생태계를 고려하지 않아 환경 파괴 논란이 일고 있다. - 동두천시의 지리 - 추가령 구조곡
추가령 구조곡은 추가령 단층대를 따라 한반도 중앙부에 발달한 구조곡으로, 백악기부터 플라이스토세까지 화산 활동이 활발하여 철원-평강 용암대지와 같은 화산 지형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서울에서 원산에 이르는 대규모 단층들의 집합체인 추가령 단층대를 포함한다. - 대한민국의 산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산 - 황령산
황령산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산으로, 봉수 전망대, 감로사,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등의 명소와 문화재가 있으며, 다양한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부산, 울산, 경상남도, 경상북도 일부 지역, 일본 쓰시마시 일부 지역에서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1991년에는 황령산레포츠공원이 조성되었다. - 경기도의 산 - 불암산
불암산은 서울 노원구와 남양주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과거 필암산으로 불리다가 승려의 송낙을 닮은 바위 봉우리 때문에 불암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암벽 등반 연습장과 불암폭포, 사찰 등이 위치해 있고, 한국 전쟁 당시 유격대가 활동하기도 했다. - 경기도의 산 - 수락산
수락산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시 경계에 있는 높이 637m의 산으로, 화강암 암벽과 유서 깊은 사찰, 폭포, 정자 등의 명소가 있으며 맑은 물이 떨어지는 모습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소요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대한민국 |
좌표 | 37°56′31″N 127°05′20″E |
지리 | |
높이 | 587m |
산 정보 | |
산맥 | 광주산맥 |
위치 | 경기도 동두천시 |
이름 정보 | |
한글 | 소요산 |
한자 | 遙 |
로마자 표기 | Soyosan |
2. 지리
광주산맥의 동쪽에는 소요산(536m), 국사봉(754m), 왕방산(737m)이, 서쪽에는 마차산(588m)이, 남쪽에는 칠봉산(506m), 해룡산(661m)이 있으며, 각각 포천시, 양주시, 양주시·포천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4]
2. 1. 주변 산
광주산맥의 동쪽에 있는 소요산(536m), 국사봉(754m), 왕방산(737m)은 포천시와 경계를 이루고, 서쪽에 있는 마차산(588m)은 양주시와 경계를 이루며, 남쪽에 있는 칠봉산(506m), 해룡산(661m)은 양주시, 포천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4]3. 역사
소요산은 원효대사와 관련된 자재암을 비롯한 여러 유적이 있는 곳으로, 1981년 국민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3. 1. 원효대사와 자재암
소요산에는 자재암을 비롯하여 원효대굴, 공주봉 등 원효대사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소요산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800m쯤 올라가면 층암절벽 사이로 쏟아지는 원효폭포를 만나게 된다. 원효대사가 폭포 오른쪽 석등에 앉아 고행수도를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원효폭포 부근에는 향토유적 제8호이자 유서깊은 암자인 자재암이 자리하고 있다.[4]자재암은 신라 선덕여왕 14년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화재로 소실돼 조선 고종 9년에 3개 건물로 복원됐다. 봉선사의 말사(末寺)인 자재암의 이름은 원효대사가 수행 도중 관음보살과 친견하고 자재무애(自在無碍)의 수행을 쌓았다고 해서 유래됐다.[4]
3. 2. 주요 유적
소요산에는 자재암을 비롯하여 원효대굴, 공주봉 등 원효대사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소요산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800m쯤 올라가면 층암절벽 사이로 쏟아지는 원효폭포를 만나게 된다. 원효대사가 폭포 오른쪽 석등에 앉아 고행수도를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원효폭포 부근에는 향토유적 제8호이자 유서 깊은 암자인 자재암이 자리하고 있다.자재암은 신라 선덕여왕 14년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화재로 소실되어 조선 고종 9년에 3개 건물로 복원되었다. 봉선사의 말사(末寺)인 자재암의 이름은 원효대사가 수행 도중 관음보살과 친견하고 자재무애(自在無碍)의 수행을 쌓았다고 해서 유래되었다.[4]
소요산의 주봉은 의상대다. 등산 코스는 능선을 따라 하백운대~중백운대~상백운대~의상대~공주봉으로 이어진다. 능선을 종주하는 데 6시간 정도 걸린다. 자재암을 지나면 하백운대가 나온다. 하백운대에서 중백운대까지는 가파른 암릉이다. 중백운대에는 옥로봉, 관음봉, 이필봉 등 기묘한 봉우리들이 솟아 있다. 옥로봉 밑의 대암굴에는 약수터가 있다.[4]
4. 등산 코스
소요산 등산 코스는 원효대사의 흔적이 남아있는 자재암, 원효폭포 등을 지난다. 소요산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800m쯤 올라가면 층암절벽 사이로 쏟아지는 원효폭포가 나오며, 원효대사가 폭포 오른쪽 석등에서 고행수도를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원효폭포 부근에는 향토유적 제8호인 자재암이 있다.
자재암은 신라 선덕여왕 14년(645년)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4]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조선 고종 9년(1872년)에 복원되었다. 자재암이라는 이름은 원효대사가 수행 중 관음보살을 만나 자재무애(自在無碍)의 수행을 쌓았다는 데서 유래했다.[4]
4. 1. 주요 봉우리
소요산의 주봉은 의상대이다. 등산 코스는 능선을 따라 하백운대~중백운대~상백운대~의상대~공주봉으로 이어진다. 능선을 종주하는 데 6시간 정도 걸린다.[4] 자재암을 지나면 하백운대가 나온다. 하백운대에서 중백운대까지는 가파른 암릉이다. 중백운대에는 옥로봉, 관음봉, 이필봉 등 기묘한 봉우리들이 솟아 있다. 옥로봉 밑에는 약수터가 있는 대암굴이 있다.[4]5. 교통
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역[1]
6. 기타
소요산은 산림청에서 선정한 대한민국 100대 명산 중 하나이다.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참조
[1]
논문
소요산 (逍遙山)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26
[2]
문서
An 2004
[3]
웹사이트
Soyosan Mountain
http://english.visit[...]
Visit Korea
2014-08-27
[4]
뉴스
경기도 동두천 소요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8-03-24
[5]
서적
행복한 산행 p1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