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요산역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원선이 지나는 역이다. 1975년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6년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과 함께 보통역으로 승격되어 신축 역사가 완공되었다. 2023년 12월 동두천-연천 연장 구간 개통으로 고가역으로 변경되었다. 소요산역은 2면 2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인근에 소요산, 동두천소방서 소요119안전센터, 소요산국민관광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두천시의 전철역 - 동두천역
동두천역은 1912년 개업하여 일제강점기부터 운영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의 전철역으로, 한때 경원선 남한 구간의 종착역이었으며, 현재는 섬식 승강장 3면 6선의 지상역으로 소요산역, 연천역과 함께 DMZ-train의 발착역으로 이용되었고, 주변에는 동양대학교 북서울캠퍼스, 주한미군 2사단, 동두천일반산업단지 등이 위치한다. - 동두천시의 전철역 - 보산역
보산역은 경기도 동두천시 보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철도역으로, 2006년 개통된 고가역이며 경원선 완행 열차가 정차하고 인근에 교육 및 행정시설과 관광특구가 있다. - 1975년 개업한 철도역 - 동백산역
동백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과 태백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분기점 역할을 하며 솔안터널을 통과하는 지상역이다. - 1975년 개업한 철도역 - 스호드넨스카야역
스호드넨스카야역은 1975년에 개장하여 하루 평균 78,750명이 이용하는 모스크바 지하철 타간스코-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선의 역이다. - 경기도의 철도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 경기도의 철도역 - 지평역
지평역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경의·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한국 전쟁 이후 재건 및 현대화를 거쳐 2017년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경의·중앙선 전철, 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호 등이 정차한다.
소요산역 | |
---|---|
역 정보 | |
역 이름 | 소요산역 |
로마자 표기 | Soyosannyeok |
한자 표기 | 逍遙山驛 |
역 번호 | 100 |
주소 |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925 (상봉암동 126-3)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1975년 12월 23일 (지상역) 2023년 12월 16일 (고가역) |
폐지일 | 2023년 12월 15일 (지상역) |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노선 | 경원선 |
기타 | 버스 환승 가능 |
![]() | |
노선 정보 |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이전 역 | 청산 |
다음 역 | 동두천 |
역간 거리 (이전) | 4.1 km |
역간 거리 (다음) | 2.4 km |
통계 정보 | |
한국철도공사 승객 수 (2012년) | 148명 |
1호선 승객 수 (2012년) | 8,730명 |
승차 인원 (2023년) | 2,858명 |
추가 정보 | |
역 등급 | 3급 |
전보 약호 | 한국철도공사 역 코드: 411 수도권 전철 AFC: 1916 |
기점 | 용산역 (경원선) 연천 (수도권 전철 1호선) |
노선 거리 (기점부터) | 55.5 km (용산) 17.8 km (연천) |
링크 | 한국관광공사여행정보사이트 - 소요산 Mt. Soyosan (Jajaeam Retreat) "전철 1호선의 진격...경원선 동두천-연천까지 달린다" |
2. 역사
1964년 4월 28일부터 용산 기점 56 km 지점에 열차를 임시 정차시켜 여객을 취급하였고, 이는 같은 해 5월 30일까지 계속되었다.[11][9] 1975년 12월 23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고,[6] 1982년 9월 21일에는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7]
2006년 5월 7일 기존 역사가 철거되고 임시역사에서 영업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 개통되면서 보통역으로 승격되고 새로운 역사가 신축되었다.[12][7] 이후 2011년 7월 28일 2011년 7월 한국 중부 집중호우로 인한 선로 유실로 통근열차 영업이 일시 중지되기도 하였으나, 2012년 3월 21일 초성철교 완공으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7년 7월 1일부터는 평화열차(DMZ train)가 정차하기 시작했다.[6] 2019년 4월 1일부터는 경원선 동두천~연천 전철화 공사로 인해 운행이 일시 중단되고 대체 버스가 운행되었으며, 2023년 12월 16일 동두천역 - 연천역 연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소요산역은 중간역으로 전환되었다.
2. 1. 연혁
- 1964년 4월 28일: 용산 기점 56 km 지점에 열차를 임시 정차시켜 여객 취급 (기간은 동년 5월 30일까지)[11][9]
- 1975년 12월 23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
- 1976년 1월 11일: 무배치 간이역으로 개업.[6]
- 1982년 9월 21일: 역사(驛舍) 신축 준공[7]
- 2006년 5월 7일: 기존 역사 철거, 임시역사 영업 개시[7]
-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승격, 역사 신축[12][7]
- 2011년 7월 28일: 2011년 7월 한국 중부 집중호우로 인한 선로 유실로 통근열차 영업 일시 중지
- 2012년 3월 21일: 초성철교 완공으로 통근열차 운행 재개, 편도 기준 1일 6편 감편
- 2012년 7월 1일: 통근열차 운행 편수 증편
- 2014년 10월 3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복선 전철 착공
- 2017년 3월 1일: 승차권 발매업무 중지
- 2017년 7월 1일: 평화열차(DMZ train) 정차[6]
- 2018년 7월 2일: 경원선 연천 ~ 백마고지 구간 선로 개량 공사로 통근열차·평화열차 연천역까지 운행.
- 2019년 4월 1일: 경원선 동두천 ~ 연천 전철화 공사로 인한 운행 일시 중단. 일 46회 대체버스 운행.
- 2023년 12월 16일: 동두천역 - 연천역 연장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 전환.
2. 2.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과 지역 발전
과거에는 이 역을 경계로 남쪽은 직류 전철화, 북쪽은 비전철화 방식이었으나, 2023년 12월 16일에 북쪽의 전철화 구간이 연천역까지 연장되었다.3. 역 구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연천 연장에 따라 신 역사가 착공되었다. 새 역사의 승강장은 고가에 위치하며, 통근열차 승강장은 폐지되었다. 현재 연천 구간 전철화 공사로 인해 선로가 이전되고 임시 승강장이 새로 지어졌다. 과거 통근열차 및 전철 승강장은 임시 승강장 선로 건너편에 있었으며, 소요산역 고가화로 인해 철거된 후 그 자리에 고상홈 승강장이 들어설 예정이었으나, 복선 선로 운영이 불가능하여 고가화되었다. 승강장 이전과 함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3. 1. 현재 역 구조 (2023년 12월 이후)
2023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천역까지 연장된 후에도 반대편 승강장이 완공되지 않아, 완공될 때까지 연천 방향 전동차와 인천 방향 전동차를 1개의 승강장에서 취급하는 섬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3. 2. 과거 역 구조 (2023년 12월 이전)
임시 승강장으로 이전하기 전에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었다. 역사가 있는 쪽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는 고상홈, 반대쪽은 통근열차가 운행하는 저상홈이었다. 회차 방식은 승강장에 도착 후 그 자리에서 인천방면으로 출발하며, 개찰구는 분리되었다.[1]과거 소요산역은 섬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상역이었으며, 1호선은 동쪽의 단식 승강장 1면 1선(고상 승강장)을, 경원선 일반 열차는 서쪽의 단식 승강장 1면 1선(저상 승강장)을 사용했다. 역사는 승강장 서쪽에 있었고, 1호선 승강장에 인접해 있었다. 개찰구는 일반 열차용과 1호선용으로 구분되어 있었다.[1]
3. 3. 배선도
경원선 청산, 백마고지역 방면 선로와 수도권 전철 1호선 보산역, 청량리역 방면 선로 사이에 소요산역이 있다. 소요산역과 동두천역 사이에는 봉동로와 강변로794번길이 지난다.4. 승강장
소요산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현재 연천 구간 전철화 공사로 인해 선로가 이전되고 임시 승강장이 새로 설치되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통근열차 승강장과 전철 승강장은 임시 승강장 선로 건너편에 있었으나, 소요산역 고가화로 인해 철거되었다. 고가화 과정에서 선로를 복선으로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고가화가 결정되었다. 승강장이 고가로 이전되면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번호 | 노선 | 열차 | 방향 |
---|---|---|---|
1 | 경원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 동두천, 의정부, 청량리, 인천 방면 |
5. 역 주변
번호 | 방향 | 버스 노선 |
---|---|---|
1 | 소요산 / 소요지소 / 소요산유원지 / 재능스포츠센터 | 36, 36-5, 37, 39, 39-1, 39-4, 39-5, 50-5, 53, 53-1, 53-2, 53-3, 53-5, 53-6, 53-7, 53-8, 53-9, 54 |
6. 이용객 변동
통근 열차한국어만 운행하던 시절 주말 오후에는 등산객으로 매우 혼잡했지만, 1호선 (경원선) 개통으로 혼잡이 완화되었다. 또한 이용객 수가 5배 이상 증가했다. 200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6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평균이다.[14]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1호선 | 승차 | 2,226 | 2,830 | 3,079 | 3,219 | 3,756 | 4,190 | 4,684 | 4,931 | 5,006 | 4,788 | 4,818 | 4,779 | 4,449 | 4,290 |
하차 | 2,573 | 2,899 | 3,077 | 3,043 | 3,554 | 3,803 | 4,047 | 4,029 | 4,115 | 3,951 | 4,020 | 4,003 | 3,732 | 3,598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1호선 | 승차 | 2,922 | 2,999 | 3,601 | 2,858 | ||||||||||
하차 | 2,485 | 2,601 | 2,676 | 2,524 |
7. 사진
8. 인접한 역
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