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달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달아과는 족제비과에 속하는 아과로, 전 세계 물가나 해상에 서식하는 수생 포유류를 포함한다. 이들은 길고 날씬한 몸, 물갈퀴가 있는 발, 촘촘한 털을 가지고 있으며, 육식성으로 어류, 갑각류 등을 섭취한다. 수달아과는 지능이 높고 장난기가 많으며, 사회적 구조는 종에 따라 다르다. 2008년 분자 계통 연구에 따르면 수달아과는 단계통군으로 확인되었지만, 아과 내 계통 관계와 분류 체계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인간과의 관계에서 수달은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생태계 지표종, 민속 설화의 소재로,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털을 얻기 위한 사냥, 공격성, 환경 오염에 취약하다는 점이 있다. 한국에서는 유라시아수달이 서식하며, 멸종된 일본수달에 대한 기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달아과 - 해달
    해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로, 뛰어난 수영 실력과 두꺼운 모피를 지녔으며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핵심종이지만, 현재는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질병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 수달아과 - 바다수달
    바다수달은 남아메리카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등을 사냥하며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긴수염고래
    긴수염고래는 전 세계에 3종이 존재하며 머리에 경결이 있고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13~16m 크기에 60~80톤의 무게를 가지며, 고래잡이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현재 보호받고 있다.
  • 남아메리카의 포유류 - 더스키돌고래
    더스키돌고래는 남반구 해안에 서식하는 몸길이 1.6~2.2m의 작은 돌고래로, 어두운 회색 몸통과 밝은 배를 가지며, 포경, 혼획,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남아메리카의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수달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아과수달아과(Lutrinae)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족제비과
형태 및 특징
유라시아 수달
유라시아수달(Lutra lutra)
분포전 세계 (일부 지역 제외)
서식지강, 호수, 해안 등 다양한 수생 환경
식성육식 (주로 물고기, 갑각류, 양서류 등)
특징날씬한 몸
짧은 다리
물갈퀴가 있는 발
빽빽한 털
기름샘
뛰어난 수영 능력
보존 상태
워싱턴 협약부속서 II
하위 분류
아오닉스속(Aonyx)
엔히드라속(Enhydra)
히드릭티스속(Hydrictis)
론트라속(Lontra)
수달속(Lutra)
루트 로갈레속(Lutrogale)
프테로누라속(Pteronura)
엔히드리온속(Enhydriodon)
알가롤루트라속(Algarolutra)
키르나오닉스속(Cyrnaonyx)
메갈렌히드리스속(Megalenhydris)
사르돌루트라속(Sardolutra)
시아모갈레속(Siamogale)
테루엘릭티스속(Teruelictis)
사테리움속(Satherium)
엔히드리테리움속(Enhydritherium)

2. 어원

'수달'이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 단어 오토르/otorang 또는 오테르/oterang에서 유래되었다.[3][4] 이 단어와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관련 단어들은 궁극적으로 인도유럽조어의 어근 워드르/*wódr̥ine-pro에서 파생되었으며, 이 어근은 영어 단어 "water"의 기원이기도 하다.[3][4] 한국어 '수달'은 '물'을 뜻하는 고유어 '물'과 '달'이라는 단어가 결합된 '물달'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강'을 뜻하는 '가람'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

3. 형태 및 생태

3. 1. 형태

수달은 길고 날씬한 몸과 비교적 짧은 사지를 가지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해부학적 특징은 수영에 사용되는 강력한 물갈퀴 발과 물 속에서 숨을 참는 능력이다.[52] 대부분 발에 날카로운 발톱이 있으며, 해달을 제외한 모든 종은 길고 근육질의 꼬리를 가지고 있다. 몸은 촘촘한 솜털과 단단하고 긴 억센 털로 덮여 있으며, 이 털들이 물을 튕겨내어 물속에서 체온이 빼앗기는 것을 막아준다.[54] 머리 윗부분은 납작하며, 귀, 눈, 코가 동일선상에 놓여 있어, 물에 잠긴 채로 이 감각 기관들을 수면 위로 동시에 내어 주변을 살필 수 있다. 또한, 물속에서는 귓구멍과 콧구멍을 닫을 수 있다.

3. 2. 생태

수달은 육식성이며, 가재, 개구리, 물고기 등을 헤엄치면서 손으로 잡아서 먹는다.[75] 작은 어금니와 턱 근육이 잘 발달하여 갑각류는 껍질째 먹을 수 있으며, 입으로 매달릴 수도 있다.[75] 작은 먹이는 잡아서 즉시 포식하지만, 큰 먹이는 일단 육지로 끌어올려 포식한다. 특히 잡은 물고기를 강가에 늘어놓는 습성을 가진 종이 있다.[76] 대부분의 수달에게 물고기는 주식이다. 이는 종종 개구리, 가재로 보충된다.[11] 일부 수달은 조개류를 여는 데 전문가이며, 다른 수달은 이용 가능한 작은 포유류나 조류를 먹는다. 먹이에 대한 의존성은 수달을 먹이 고갈에 매우 취약하게 만든다.

수달은 활발한 사냥꾼으로, 물속에서 먹이를 쫓거나 강, 호수, 또는 바다 바닥을 수색한다. 대부분의 종은 물가에 살지만, 강수달은 일반적으로 사냥하거나 이동하기 위해서만 물에 들어가며, 그렇지 않으면 털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육지에서 보낸다. 해달은 훨씬 더 수생적이며, 생애 대부분을 바다에서 산다.

지능이 높고 손재주가 있으며 힘도 세기 때문에 돌로 조개를 깨는 것뿐만 아니라 물건을 옮겨 발판을 만들거나 문을 여는 것도 가능하다.[75] 해달은 조개, 성게 및 기타 껍질이 있는 생물을 사냥한다. 그들은 배 위에서 돌을 사용하여 조개류를 깨는 능력으로 유명하다.[12]

수달은 장난기 많은 동물이며, 물미끄럼틀을 만들고 그 위에서 물 속으로 미끄러지는 것과 같은 순수한 즐거움을 위해 다양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작은 돌을 찾아 가지고 놀기도 한다. 서로 다른 종들은 사회 구조가 다양하며, 일부는 주로 고독하게 지내는 반면, 다른 종들은 무리 지어 산다. 사회 구조는 종에 따라 다르며 단독으로 생활하는 종과 가족군을 형성하여 생활하는 종이 있다.[52]

수달의 임신 기간은 약 60~86일이다. 새로 태어난 새끼는 암컷, 수컷, 그리고 더 나이 많은 새끼들이 돌본다. 암컷 수달은 약 2세, 수컷은 약 3세에 성적 성숙에 도달한다. 한 달이 지나면 새끼는 보금자리를 떠날 수 있고, 두 달이 지나면 수영할 수 있게 된다. 새끼는 약 1년 동안 가족과 함께 산다. 수달은 최대 16년까지 살 수 있으며, 본래 장난기가 많아 새끼들과 함께 물에서 뛰어논다.

4. 분류

2008년에 발표된 족제비과의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의 최대 절약법・최우도법・베이즈법에 의한 분자 계통 추정에서도 본 아과의 단계통군임이 지지되고 있다[55]。한편 아과 내의 계통 관계에서 불분명한 점도 있어 최대 절약법에서는 점박이목도리수달이 해달과 자매군이라는 해석 결과가 얻어졌지만, 최우도법에서는 구세계의 수달류+해달 중에서 점박이목도리수달이 가장 초기에 분기했다는 해석 결과가 얻어졌다[55]。이 해석에서는 본 아과는 족제비속과 밍크(아메리카밍크)가 분류되는 밍크속 ''네오비손/Neovisonla''으로 이루어진 협의의 족제비아과의 자매군이라는 해석 결과가 얻어졌다[55]。2022년에 발표된 본 아과의 최우도법에 의한 비교 유전자체 해석에서는 해달이 구세계의 수달류의 자매군이 되고, 점박이목도리수달이 구세계의 수달류에서 가장 초기에 분기했다는 해석 결과가 얻어졌다[56]。여러 해석에서 작은발톱수달을 포함하는 발톱없는수달속은 매끈털수달에 대한 측계통군이 되는 결과가 얻어졌으며, 이 때문에 발톱없는수달속을 세분화하여 작은발톱수달속을 부활시키는 (매끈털수달속은 동물이명으로 될 수 있다) 설이 있지만[57], 한편 속 간의 분기 연대가 새로운 점에서 점박이목도리수달속을 제외한 구세계의 수달류(수달속・발톱없는수달속・작은발톱수달속・매끈털수달속)를 수달속의 동물이명으로 하는 설도 제창되고 있다[56]

이하의 분류・영명은 MSW3 (Wozencraft, 2005)에, 일명은 Duplaix・今泉 역 (1986)・斉藤 등 (1991)・Morris & Beer・鈴木 역 (2013)・川田 등 (2018)에 따른다[51][52][53][54][58]


  • 발톱없는수달속 ''아오닉스/Aonyxla''
  • *''아오닉스 카펜시스/Aonyx capensisla'' 발톱없는수달 African clawless otter (발톱없는수달(''A. 카펜시스/A. capensisla'')과 콩고발톱없는수달(''A. 콘기쿠스/A. congicusla'')의 2종으로 분할하는 설도 있다[59]
  • * ''아오닉스 키네레아/Aonyx cinereala'' 작은발톱수달 Oriental small-clawed otter (작은발톱수달속''암블로닉스/Amblonyxla''[58]로 분할하는 설도 있다)
  • 해달속 ''엔히드라/Enhydrala''
  • * ''엔히드라 루트리스/Enhydra lutrisla'' 해달 Sea otter
  • 점박이목도리수달속 ''히드릭티스/Hydrictisla'' (수달속에 포함시키는 설도 있다[58]
  • *''히드릭티스 마쿨리콜리스/Hydrictis maculicollisla'' 점박이목도리수달 Spotted-necked otter
  • 캐나다수달속 ''론트라/Lontrala''
  • * ''론트라 카나덴시스/Lontra canadensisla'' 캐나다수달 North American river otter
  • * ''론트라 펠리나/Lontra felinala'' 남방수달 Marine otter
  • * ''론트라 론기카우디스/Lontra longicaudisla'' 긴꼬리수달 Neotropical otter
  • * ''론트라 프로복스/Lontra provocaxla'' 칠레수달 Southern river otter
  • 수달속 ''루트라/Lutrala''
  • * ''루트라 루트라/Lutra lutrala'' 유라시아수달 European otter
  • * †''루트라 닛폰/Lutra nipponla'' 일본수달 Japanese otter (멸종종)
  • * ''루트라 수마트라나/Lutra sumatranala'' 수마트라수달 Hairy-nosed otter
  • 매끈털수달속 ''루트로갈레/Lutrogalela''
  • * ''루트로갈레 페르스피킬라타/Lutrogale perspicillatala'' 매끈털수달 Smooth-coated otter
  • 큰수달속 ''프테로누라/Pteronurala''
  • *''프테로누라 브라실리엔시스/Pteronura brasiliensisla'' 큰수달 Giant otter

4. 1. 하위 분류

전 세계적으로 13종의 수달이 알려져 있다.[51][52][53][54][58]

2008년에 발표된 분자 계통 추정에 따르면 수달아과는 단계통군으로 지지받고 있다.[55] 그러나 아과 내 계통 관계는 불분명한 점이 있으며, 점박이목수달의 계통적 위치에 대한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55] 또한, 작은발톱수달을 포함하는 발톱없는수달속이 매끈털수달에 대한 측계통군이라는 결과가 있어, 분류 체계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56][57]

남극,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를 제외한 전 세계의 물가나 해상에서 서식한다.

4. 2. 계통 분류

수달아과는 족제비과 내에서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가진다.[102]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03]

그림
175px
Lutra
175px
Hydrictis
175px
Lutrogale
175px
Lontra
175px
Pteronura
175px
Aonyx
175px
Enhydra



2008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수달아과는 단계통군으로 확인되었다.[55] 그러나 아과 내 계통 관계는 불분명한 점이 있다. 최대 절약법에서는 점박이목수달이 해달과 자매군이라는 결과가 나왔지만, 최우도법에서는 구세계 수달류와 해달 중에서 점박이목수달이 가장 먼저 분기했다는 결과가 나왔다.[55] 2022년 연구에서는 해달이 구세계 수달류의 자매군이며, 점박이목수달이 구세계 수달류에서 가장 먼저 분기했다는 결과가 나왔다.[56]

여러 연구에서 작은발톱수달을 포함하는 민발톱수달속(''Aonyx'')은 매끈털수달속(''Lutrogale'')에 대한 측계통군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 때문에 민발톱수달속을 세분화하여 작은발톱수달속(''Amblonyx'')을 부활시키고, 매끈털수달속을 동물이명으로 처리하자는 제안이 있다.[57] 한편, 속 간 분기 연대가 새로운 점을 고려하여 점박이목수달속을 제외한 구세계 수달류(수달속, 민발톱수달속, 작은발톱수달속, 매끈털수달속)를 수달속(''Lutra'')의 동물이명으로 하자는 제안도 있다.[56]

5. 인간과의 관계

아우터헤브리디스의 벤베큘라에서 운전자에게 도로의 수달을 주의하라고 경고하는 표지판


사육하기는 어렵지만[75], 방글라데시아시아에서는 수달로 물고기를 그물로 몰아넣는 가마우지 사냥과 같은 전통 어법이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 계승자가 줄어들면서 소멸의 위기에 놓여 있다[77] . 또한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에 걸쳐 유럽의 귀족들 사이에서 가마우지 사냥이 스포츠로 유행했으며, 1618년에는 제임스 1세가 기르는 "가마우지"나 "물수리"와 함께 수달을 어업용으로 사육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수족관에서 사육하는 개체에게 재주를 가르치는 데에도 성공했다[78] . 최근에는 수달을 애완동물로 키우는 붐이 일어나고 있지만[79] 인기가 높아짐과 동시에 밀수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80] .

환경 오염에 취약하며, 산성비나 먹이가 섭취한 농약 등의 화학 물질에 의한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58] .

5. 1. 긍정적 측면

수달은 하천 생태계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종으로 여겨진다.[58] 또한, 여러 문화권에서 민속 설화 및 전승의 소재로 등장한다. 노르드 신화에서는 드워프 오트르가 수달의 형상을 취한다는 이야기가 있으며,[35] 아일랜드 신화에서는 인물 리 반의 애완견이 수달의 모습을 취하여 함께 했다는 전승이 있다.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서는 수달을 토템 동물로 여기기도 한다.[36]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수달을 깨끗한 동물로 여겨 죽이는 것을 금기시했다.[37] 한국 민간 설화에는 수달을 보면 평생 비구름을 몰고 다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38] 불교의 자타카 이야기에도 수달이 등장한다.[39] 동아시아에서는 여우너구리처럼 사람을 홀리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 한자 '獺'은 잡은 물고기를 늘어놓는 수달의 습성이 제사와 비슷하다고 여겨진 데서 유래했으며,[82] '달제어'라는 말은 여기서 유래하여 많은 책을 참고하는 모습을 가리키게 되었다.[81]

토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에 묘사된 수달


방글라데시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수달을 길러 물고기를 그물로 몰아넣는 어법이 존재한다.[30][31] 17세기 초 유럽에서는 제임스 1세가 수달을 어업용으로 사육했다는 기록이 있다.[78]

수달의 귀여운 외모와 행동은 생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수달을 애완동물로 기르는 경우도 있지만,[79] 밀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80]

5. 2. 부정적 측면

수달은 1700년대부터 털을 얻기 위해 사냥되어 왔으며, 초기에는 다트, 화살, 그물, 덫을 사용하다가 나중에는 덫과 총기를 사용했다.[26] 중국에서는 왕족과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이 수달 털로 만든 옷을 입었으며, 꼬리는 모자와 벨트 등 남성용 물건으로, 장갑은 어린이용으로 만들어졌다.[26] 수달개(otterhound)를 이용한 사냥도 이루어졌으며,[27] 1958년부터 1963년까지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1,065마리의 수달이 사냥되었다.[28] 사냥꾼들은 수달의 음경골(baculum)을 넥타이핀(tie-pin)으로 사용했다.[28] 트래픽(Traffic)은 동남아시아에서 수달이 가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사냥으로 인해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고 보고했다.[29]

2011년 IUCN/SSC 수달 전문가 그룹의 검토에 따르면, 1875년부터 2010년까지 보고된 수달의 공격은 대부분 플로리다에서 발생했으며, 북아메리카 수달과 관련된 경우가 많았다.[32] 공격한 수달의 36%는 광견병에 걸려있었다는 보고가 있다.[32] 2021년 11월에는 싱가포르 식물원에서 약 20마리의 수달이 60대 영국 남자를 공격한 사건이 발생했다.[34]

방글라데시아시아에서는 수달을 이용해 물고기를 그물로 몰아넣는 전통 어법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 계승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놓였다.[77]

환경 오염에 취약하여 산성비나 농약 등의 화학 물질에 의한 영향이 우려된다.[58]

5. 3. 보존 노력

수달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의해 국제 거래가 규제된다.[58]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330호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수달 서식지 복원 사업과 함께 시민들의 인식 개선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6. 한국의 수달

일본 수달은 한때 홋카이도에서 규슈까지 일본 전역에 널리 서식했지만, 남획과 개발로 인한 서식 환경 변화로 급격히 감소했다.[69] 1974년 7월 고치현스사키시에서 포획된 개체가 마지막 사례였고, 1975년 4월 에히메현우와지마시구시마에서 보호된 것이 마지막 사례였다. 같은 해 3월 5일, 고치현 하타군사가정 (현재의 구로시오정)의 국도 56호선에서 로드킬된 사체가 수습되었다. 그리고 인간에게 목격된 마지막 사례는 1979년(쇼와 54년) 6월 스사키시에서였다. 2012년 8월, 환경성의 레드 리스트 개정으로 공식적으로 멸종이 선언되었다.[70] 에히메현은 2014년 10월에 업데이트한 "에히메현 레드 데이터 북 2014"에서 멸종되지 않았다는 전제하에 "멸종 위기종"으로 계속 지정하고 있다.[71]

2017년 2월, 수달의 모습이 쓰시마섬에 설치된 류큐 대학의 카메라에 포착되어 같은 해 8월에 발표되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38년 만의 일이었다.[72] 환경성의 조사 결과, 분변에서 검출된 DNA로 볼 때 쓰시마섬에 서식하는 수달은 대한민국과 사할린의 유라시아 수달과 근연 관계인 것으로 발표되었다.[73]

과거 한국에서도 일본 수달이 서식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한반도에 서식하는 수달은 모두 유라시아수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6. 1. 민속 및 전승

한국 민간 설화에서 수달은 둔갑하여 사람을 홀리거나 해를 끼치는 요물로 여겨지기도 했다.[38][40][41][42] 수달을 보면 평생 비구름을 몰고 다닌다는 속설도 전해진다.[38]

일본에서는 수달을 "카와우소"()라고 부르며, 여우(키츠네)나 너구리(바케다누키)처럼 인간을 속이는 존재로 여겼다.[40][41]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에서는 바둑판 무늬 옷을 입은 아름다운 여성이나 아이로 둔갑한다는 이야기가 있으며,[83][84] 가가국(현재의 이시카와현)에서는 성의 해자에 사는 수달이 여성으로 둔갑하여 남성을 유혹해 잡아먹는다는 어두운 이야기도 전해진다.[85] 에도 시대의 괴담집, 에세이, 전설 등에도 수달이 아름다운 여성으로 둔갑하여 남성을 죽이는 등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96][84]

히로시마현 아사군 누마타치(현재의 히로시마시 아사미나미구)에서는 "토모노 카와우소"()와 "아토노 카와우소"()라는 수달이 승려로 둔갑하여 행인 앞에 나타나, 행인이 올려다보면 점점 커져 거대한 승려가 된다고 한다.[86] 아오모리현 쓰가루 지방에서는 수달에게 씌이면 기력을 잃는다고 하며,[87] 잘린 머리로 둔갑하여 낚시 그물에 걸린다고도 한다.[87] 이시카와현 카시마군과 하쿠이군에서는 "카부소" 또는 "카와소"라는 요괴로 여겨져 밤길을 걷는 사람들의 등불을 끄거나, 사람을 속이는 장난을 친다고 한다.[84] 이시카와현과 고치현 등에서는 갓파의 일종으로 여겨지며, 수달과 씨름을 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84] 무로마치 시대의 사전인 가가쿠슈에는 늙은 수달이 갓파가 된다는 기록이 있다.[90]

아이누 민담에는 홋카이도 아바시리시 우라시베츠에 괴물 수달이 인간으로 둔갑하여 소녀를 죽이고 아내로 삼으려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94]

중국에서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수달이 아름다운 여성으로 둔갑한다는 이야기가 수신기와 "전이지"() 등의 옛 책에 기록되어 있다.[96]

한반도에는 수달과 인간의 이류혼담 설화가 전해진다. 이좌수라는 토호의 딸이 미혼으로 임신하자, 딸에게 비단 실 뭉치를 주어 밤에 드나드는 동물의 발에 묶게 했다. 다음 날 실을 따라가 보니 연못에 사는 수달의 발에 묶여 있었고, 수달을 죽였다. 딸이 낳은 아이는 무용과 수영에 뛰어났으며, 그의 막내아이가 후의 후금의 태조 누르하치라고 한다.

베트남에도 딘 왕조의 딘보린(Đinh Bộ Lĩnh)이 수달과 인간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이류혼담 설화가 전해진다.[97]

노르드 신화에서는 드워프 오트르가 수달의 형상을 취한다고 하며, "수달의 배상금" 신화는 볼숭가 사가의 시작점이다.[35] 아일랜드 신화에서 리 반의 애완견은 수달의 모습을 취해 그녀와 함께 긴 수명을 누렸다.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서 수달은 토템 동물로 여겨지며,[36] 조로아스터교에서는 깨끗한 동물로 여겨져 죽이는 것이 금기시된다.[37]

참조

[1] 논문 Enhydriodon dikikae, sp. nov. (Carnivora: Mammalia), a gigantic otter from the Pliocene of Dikika, Lower Awash, Ethiopia
[2] 간행물 The Bear Otter https://www.wired.co[...] 2017-10-06
[3] 웹사이트 Otter http://www.merriam-w[...] 2009-09-16
[4] 문서 OEtymD
[5] 서적 Otters: ecology, behaviour and conservation Oxford Biology
[6] 웹사이트 Species: Otter https://www.mammal.o[...] The Mammal Society 2022-06-27
[7] 문서 'M & P Briggs, ''The Natural History of British Isles'', pp. 334–35#REDIRECT #REDIRECT'
[8] 웹사이트 Facts about otters http://www.otter-wor[...] Otter World 2016-01-01
[9] 웹사이트 Spraint Analysis https://archive.toda[...] 2017-09-28
[10] 서적 What Shat That?: A Pocket Guide to Poop Identity Ten Speed Press
[11] 서적 Otters: ecology, behavior and conservation Oxford Biology
[12] 웹사이트 Tool use in otters https://web.archive.[...] OneKind 2016-01-01
[13] 논문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14] 논문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http://www.molekular[...]
[15] 논문 Cyrnolutra castiglionis, une nouvelle forme de loutre (Mustelidae, Lutrinae), dans un dépôt du Pléistocène moyen " Castiglione 3CG "(Oletta, Haute-Corse) 2000
[16] 논문 Quaternary biogeography of the Mustelidae family on the Mediterranean islands 1995
[17] 논문 Rediscovering ''Lutra lutra'' from Grotta Romanelli (southern Italy) in the framework of the puzzling evolutionary history of Eurasian otter 2021
[18] 논문 ''Enhydriodon dikikae'', sp. nov. (Carnivora: Mammalia), a gigantic otter from the Pliocene of Dikika, Lower Awash, Ethiopia
[19] 논문 A new sea otter (Carnivora: Mustelidae) from the late Miocene and early Pliocene (Hemphillian) of North America
[20] 논문 A new otter from the Early Pleistocene of Pantalla (Italy), with remarks on the evolutionary history of Mediterranean Quaternary Lutrinae (Carnivora, Mustelidae) 2016
[21] 논문 Evolution of the carnivoran (Carnivora, Mammalia) guild structure across the Middle/Upper Miocene boundary in Germany 2020
[22] 논문 ''Megalenhydris'' and its relationship to ''Lutra'' reconsidered http://www.hellenjge[...]
[23] 논문 A new otter of giant size, ''Siamogale melilutra'' sp. nov. (Lutrinae: Mustelidae: Carnivora), from the latest Miocene Shuitangba site in north-eastern Yunnan, south-western China, and a total-evidence phylogeny of lutrines http://www.escholars[...] 2022-03-13
[24] 논문 A non-aquatic otter from the Late Miocene
[25] 논문 New early Late Miocene species of ''Vishnuonyx'' (Carnivora, Lutrinae) from the hominid locality of Hammerschmeide, Bavaria, Germany 2021
[26] 웹사이트 Otter hunting https://web.archive.[...] Otter-World.com 2013-09-19
[27] 웹사이트 Otter Hunting AKA Otter Hunting Begins – British Pathé http://www.britishpa[...] 2017-09-28
[28] 웹사이트 Otterhunting http://www.acigawis.[...] Animal Cruelty Investigation Group/Animal Welfare Information Service 2013-09-19
[29] 웹사이트 Otters feel the heat in Southeast Asia http://www.traffic.o[...] Traffic (conservation programme) 2014-01-17
[30] 논문 Fisherman's friend
[31] 논문 Fishing with Otters: a Traditional Conservation Practice in Bangladesh http://www.otterspec[...] 2012-06-20
[32] 논문 A review of violent or fatal otter attacks https://www.iucnosgb[...] 2011
[33] 논문 Bite Wounds and Infection https://doi.org/10.1[...] 2022-06-08
[34] 뉴스 British man recounts attack by otters in Singapore gardens https://www.reuters.[...] 2022-06-08
[35] 웹사이트 The Otter's Ransom http://faculty.mcla.[...] 2007-07-05
[36]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Indian Otter Legends, Meaning and Symbolism from the Myths of Many Tribes http://www.native-la[...] 2015-05-06
[37] 서적 Symbolic and Mythological Animals Aquarian Press
[38] 웹사이트 Otter Symbolism (6 Meanings) - As Spirit Animals & in Dreams https://symbolismand[...] 2020-12-12
[39] 웹사이트 Jataka Tales: The Otters and The Wolf https://mocomi.com/j[...] 2020-09-30
[40] 서적 妖怪談義 講談社
[41]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42] 서적 妖怪大図鑑 講談社
[43] 서적 柴田宵曲文集 小沢書店
[44] 서적 安芸の伝説 第一法規出版
[45] 서적 津軽口碑集 歴史図書社
[46]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新紀元社
[47] 서적 DISCOVER 妖怪 日本妖怪大百科 講談社
[48] 서적 怪 (ムック) 角川書店
[49] 서적 アイヌ民譚集 岩波書店
[50]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www.cites.or[...] 2018-08-01
[51] 간행물 Mammal Species of the World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52] 간행물 動物大百科 1 食肉類 平凡社 1986年
[53] 간행물 哺乳類科学 日本哺乳類学会 2018年
[54] 간행물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2(食肉目) 東京動物園協会 1991年
[55] 논문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2008
[56] 논문 Phylogenomics of the world’s otters 2022
[57] 뉴스 Phylogeography of the smooth-coated otter (''Lutrogale perspicillata''): distinct evolutionary lineages and hybridization with the Asian small-clawed otter (''Aonyx cinereus'') https://doi.org/10.1[...] 2017
[58] 서적 イタチ科 朝倉書店 2013年
[59] 웹사이트 Aonyx congicus http://www.iucnredli[...] IUCN 2015
[60] 문서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http://www.{{ #if: [...]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1] 웹사이트 ADW: Lutra nippon: CLASSIFICATION - Animal Diversity Web https://animaldivers[...] the University of Michigan 2022-05-08
[62] 서적 原色ワイド図鑑 動物 学研アソシエ
[63] 서적 新 世界絶滅危機動物図鑑 哺乳類I ネコ・クジラ・ウマなど 学研ホールディングス
[64] 서적 レッドデータブック2014 -日本の絶滅のおそれのある野生生物- 1 哺乳類 https://ikilog.biodi[...] ぎょうせい
[65] 서적 レッドデータブック2014 -日本の絶滅のおそれのある野生生物- 1 哺乳類 https://ikilog.biodi[...] ぎょうせい
[66] 논문 Lutra lutra(Carnivora: Mustelidae) Oxford University Press (OUP) 2016-12-30
[67] 웹사이트 Lutra lutra whiteleyi https://www.itis.gov[...] 2022-05-09
[68] 웹사이트 Lutra lutra: Roos, A., Loy, A., de Silva, P., Hajkova, P. & Zemanová, B. IUCN 2014-06-20
[69] 서적 動物大百科1 食肉類 平凡社
[70] 뉴스 第4次レッドリストの公表について(お知らせ) https://www.env.go.j[...] 環境省 2012-08-28
[71] 웹사이트 カワウソ http://www.pref.ehim[...] 愛媛県 2017-12-06
[72] 간행물 長崎県対馬において、カワウソを発見! http://www.u-ryukyu.[...] 琉球大学 2017-08-17
[73] 간행물 対馬におけるカワウソ痕跡調査の結果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2017-10-12
[74] 논문 日本産哺乳類の最近の分類体系 ―阿部(2005)とWilson and Reeder(2005)の比較― 日本哺乳類学会 2006
[75] 웹사이트 "カワウソを飼いたい!"その前に。知ってもらいたい"カワウソのホント"を、大人気カワウソの飼い主さん... https://www.tv-tokyo[...] テレ東プラス
[76] 웹사이트 カワウソと獺祭(だっさい) {{!}} 海遊館日記 https://www.kaiyukan[...] 2021-01-29
[77] 뉴스 バングラデシュ伝統のカワウソ漁、消滅の危機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4-03-24
[78] 웹사이트 5月25日は「世界カワウソの日」 水族館の人気者も絶滅の危機に https://kahoku.news/[...] 2022-05-25
[79] 웹사이트 カワウソの飼い方を現実目線で解説!かわいいけどお金も時間もかかる子? https://magazine.cai[...] 2022-07-11
[80] 웹사이트 "カワウソを飼いたい!"その前に。知ってもらいたい"カワウソのホント"を、大人気カワウソの飼い主さん... https://www.tv-tokyo[...] テレ東プラス 2022-07-11
[81] 웹사이트 獺祭魚と李商隠(山口県医師会報 第1878号) http://www.yamaguchi[...] 山口県医師会 2021-01-12
[82] 서적 カワウソ 平凡社
[83] 서적 妖怪談義 講談社
[84]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85] 서적 妖怪大図鑑 講談社
[86] 서적 安芸の伝説 第一法規出版
[87] 서적 津軽口碑集 歴史図書社
[88]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新紀元社
[89] 서적 DISCOVER妖怪 日本妖怪大百科 講談社
[90] 서적 怪 角川書店
[91] 서적 思い出トランプ 新潮社
[92] 웹사이트 カワウソ http://www.ainu-muse[...] アイヌと自然デジタル図鑑
[93] 웹사이트 カワウソ http://www.ainu-muse[...] アイヌ民族博物館
[94] 서적 アイヌ民譚集 岩波書店
[95] 웹사이트 ラッコ http://www.ainu-muse[...] アイヌ民族博物館
[96] 서적 柴田宵曲文集 小沢書店
[97] 서적 物語ヴェトナムの歴史 一億人国家のダイナミズム
[98] 서적 Tlingit myths and texts, recorded by John R. Swanton https://archive.org/[...] Washington, Govt. print. off 1909
[99] 문서 ビーバーとカワウソが出会ったら
[100] 문서 かわうそキーオネクは釣り名人
[101] 논문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www.biomedcen[...] 2008-02
[102] 논문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103] 논문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