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수덕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수덕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한국 선불교의 중흥지이자 조계종 제7교구 본사이다. 고려 시대에는 대웅전 건립 기록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불교 탄압으로 폐사될 뻔했으나, 1865년 송만공 선사의 중흥으로 선종 수행의 중심지가 되었다. 국보 제49호인 예산 수덕사 대웅전을 비롯하여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덕숭총림의 중심 사찰로서 많은 승려들이 수행하고 있다. 또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관광객들에게도 개방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덕사 - 덕산도립공원
    험준한 산악 지형과 다양한 동식물, 풍부한 수자원을 가진 덕산도립공원은 등산 및 탐험에 적합한 한국의 도립공원이다.
  • 수덕사 - 예산 수덕사 대웅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고려 시대에 건립된 주심포 양식의 맞배지붕 건물로, 백제 건축 양식을 계승한 한국 목조건축사의 중요한 자료로서 국보 제49호로 지정되었다.
  • 예산군의 관광지 - 예당저수지
    예당저수지는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있는 저수지로,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낚시터와 수상 스포츠 시설, 예당호 출렁다리 등의 관광 명소이다.
  • 예산군의 관광지 - 덕산도립공원
    험준한 산악 지형과 다양한 동식물, 풍부한 수자원을 가진 덕산도립공원은 등산 및 탐험에 적합한 한국의 도립공원이다.
  • 충청남도의 절 - 부여 정림사지
    부여 정림사지는 백제 시대의 가람 배치와 고려 시대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백제의 중심 사찰 유적으로, 오층석탑과 석조여래좌상이 남아있고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 충청남도의 절 - 마곡사
    마곡사는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사찰로,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여러 시대에 걸쳐 변화를 겪었고, 김구가 은신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지정 문화재를 보유하고 풍수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다.
수덕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수덕사
로마자 표기Sudeoksa
한자 표기修德寺
위치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
해발고도151m
종교불교
소속 종단대한불교 조계종
기타 명칭덕숭산 수덕사
덕숭총림
제7교구본사
문화재 정보
주요 문화재대웅전 (국보 제49호)
건축 정보
건축 양식대웅전: 다포계 주심포 양식
역사
창건 시기384년 (백제 침류왕 원년) 추정
창건자마라난타 (추정)
중창 시기1308년 (추정)
기타 정보
웹사이트수덕사 공식 웹사이트
관련 축제미확인

2. 역사

수덕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창건 시기나 창건자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다. 백제 위덕왕 때 지명 법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백제 말기에 성제 법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지만, 두 주장 모두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다. 다만, 601년에 혜현이 수덕사에서 불교를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흥륜사, 왕흥사 등 문헌에 기록된 백제 사찰 12개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사찰이 수덕사이며, 경내에서 다수의 백제 기와가 발견되어 백제 시대 창건 가능성이 높다.[15]

고려 시대 수덕사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지만, 1308년에 주불전(대웅전)이 건립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고려 말까지 주요 사찰로서의 위상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4세기 후반에는 나옹 혜근 선사가 중수했다고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는 1528년에 주불전이 중수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태종 7년(1407년)의 불교탄압 당시 존속을 허락받은 88개 사찰에 수덕사라는 이름이 없어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세종 6년(1424년)의 불교탄압 때에도 존속을 허락받은 36개 사찰에 이름이 없어 계속해서 폐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구한말에는 경허 선사가 수덕사에 머물며 선불교를 중흥시켰다. 경허 선사는 1880년대 이후 단절되었던 선불교의 수행 전통과 계보를 재건하고, 수월, 혜월, 만공, 한암 등 제자들을 교육하고 출가시켰다. 특히 만공은 수덕사에 머물며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여 선불교가 전국으로 퍼져나가는 데 크게 기여했다.

1865년에 송만공 선사가 중창하여 선종의 수행장이 되었다. 1970년대에는 일주문, 종루, 금강문 등이 건립되었다.[7][8][9]

현재 수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이며, 덕숭총림의 중심 사찰이다.

2. 1. 창건 설화

수덕사에는 두 가지 창건 설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수덕도령과 덕숭낭자 이야기옛날 수덕이라는 도령이 사냥을 갔다가 덕숭낭자를 보고 한눈에 반해 상사병에 걸렸다. 여러 번 청혼했지만 번번이 거절당하던 중, 끈질긴 청혼에 덕숭낭자는 자기 집 근처에 절을 지어달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수덕도령은 욕심을 품고 절을 지었으나 완공 직전에 불이 나서 소실되었다. 다시 절을 지었지만 같은 일이 반복되었다. 세 번째에는 탐욕을 버리고 부처님만 생각하며 절을 완공하였다.

약속대로 결혼을 하게 되었으나, 낭자는 도령의 손길을 거부하였다. 도령이 낭자를 강제로 끌어안는 순간 뇌성벽력이 치면서 낭자는 사라지고 버선 한쪽만 남았다. 그 자리는 바위로 변하고 옆에는 하얀 버선꽃이 피어났다. 낭자는 관세음보살의 화신이었던 것이다. 그 후 수덕사는 도령의 이름을 따고, 덕숭산은 낭자의 이름을 따서 덕숭산 수덕사라 하였다는 전설이다.[12]
대중창불사 관련 이야기백제 시대에 창건된 수덕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이르러 대대적인 보수공사가 필요할 정도로 낡았다. 당시 스님들로서는 불사금 조달이 어려웠는데, 묘령의 여인이 공양주를 자청하여 절에 찾아왔다. 뛰어난 미모 덕분에 많은 사람이 절을 찾았고, 대부호의 아들인 정혜라는 청년이 청혼하기에 이르렀다. 불사가 완성되면 청혼에 응하겠다는 말에 청년은 가산을 보태어 불사 기간을 앞당겼다.

낙성식 후 하산을 재촉하자 여인은 잠시 시간을 달라며 방을 나가려 했고, 청년이 그녀를 잡는 순간 옆에 있던 바위가 갈라지며 여인은 버선 한 짝만 남기고 사라졌다. 그로부터 봄이 되면 버선꽃이 피어났고, 관세음보살의 현신이었던 그 여인의 이름을 따서 수덕사라 하였다고 한다.[13]

조계종은 절의 창건을 384년(백제 침류왕 원년)으로 보고 있다.[4] 정사 『삼국사기』에 따르면,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래한 것이 384년 9월이다. 그러나 『삼국사기[5]와 『삼국유사[6]에는 수덕사에 관한 기록이 전혀 없으며, 384년 창건의 근거는 불명확하다. 또한 백제의 지명이라는 승려가 599년(혜왕 원년·법왕 원년)에 창건했다는 설도 있다.

2. 2. 창건 역사와 발전

수덕사는 오랜 역사를 가진 절이지만, 전해지는 기록이 많지 않아[14] 그 연혁을 자세히 알기 어렵다. 어떤 기록에서는 559년 백제 위덕왕 때 지명법사가 창건했다고 하고, 또 다른 기록에서는 백제 말 숭제법사가 창건했다고 하지만, 두 기록 모두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16] 다만, 백제 무왕 2년(601년) 혜현 스님이 수덕사에서 법화경을 강론했다는[16]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이미 절이 창건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문헌에 언급된 백제 사찰은 흥륜사, 왕흥사, 칠악사, 수덕사, 사자사, 미륵사, 제석정사 등 12개이지만,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수덕사뿐이다.[15] 또한, 수덕사 경내에서 백제 시대의 와당과 와편 등이 발견되어[15] 백제 시대부터 절이 존속해 왔음을 알 수 있다.

고려 시대에는 수덕사에 대한 특별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대웅전 수리 과정에서 발견된 묵서명에 따르면, 대웅전이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에 지어진 것으로 밝혀졌다.[17] 이를 통해 고려 말까지 수덕사가 큰 사찰로서의 위상을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 14세기 중후반에는 나옹 혜근 선사가 절을 중수했다는 기록이 전해지며,[16] 조선 시대에는 1528년(중종 23년)과 영조, 순조 때 대웅전을 중수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2. 3. 한국 선불교의 중심지

구한말 경허 스님이 이곳에 머물면서 선풍을 크게 진작시켰다.[16][17] 경허 스님은 1880년대 끊어진 선불교의 수행 체계와 법통을 다시 수립하고 이은 스님으로 수덕사와 인근의 천장암, 부석사, 개심사 등지에서 주로 보림하며 수월, 혜월, 만공, 한암 스님 등의 제자를 길러냈다. 이 가운데 수월 스님은 만주로 건너가 숨은 도인으로 살다 열반에 들었고, 혜월 스님은 부산으로 내려가 운봉성수, 향곡혜림, 진제법원 스님으로 이어지는 법맥을 이루었다.

한암중원 스님은 월정사로 가서 탄허택성, 보경희태, 만화희찬 스님으로 이어지는 오대산 법맥을 만들었다. 1898년(광무 2) 경허의 제자 만공이 중창한 뒤 수덕사에 머물면서 보월성인, 용음법천, 벽초경선, 혜암현문, 고봉경욱 스님 등 기라성 같은 제자를 길러 스승이 뿌린 선불교의 씨앗이 곳곳으로 퍼져 나가 넓게 뿌리내리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16]

현재 수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5대 총림 가운데 하나인 덕숭총림으로 많은 스님들이 강학과 참선 정진하는 종합 교육 도량이다. 또한 충청남도 내포 일대의 36개 말사를 관장하는 제7교구 본사이기도 하다.

3. 주요 문화재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국보 제49호로,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에 지어진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 중 하나이다. 1937년 해체 수리 시 발견된 붓글씨를 통해 건립 연대가 확인되었다.[17] 안정감 있는 모습과 화려하지 않지만 단정하고 은은한 멋이 느껴지는 건축미를 자랑하며, 옆면 공포와 벽이 이루는 면 분할은 추상화 같다는 평가를 받는다.

수덕사는 대웅전 외에도 보물 5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5점, 문화재자료 및 등록문화재 4점 등 총 15점의 지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종류명칭비고
보물수덕사노사나불괘불탱보물 제1263호
보물예산 수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381호
보물묘법연화경 권1~2보물 제1147-2호
보물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보물 제1543호
보물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보물 제1572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수덕사삼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개심사명청동은입사향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향천사범종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1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삼길암목조관음보살좌상및복장유물일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2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문수사지장시왕탱화및복장유물일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3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수덕사칠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1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수덕사유물(거문고)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수덕사소장소조불상좌상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4호
등록문화재예산 수덕사 만공탑등록문화재 제473호



또한, 말사인 예산 화암사에 있던 김정희의 친필 편액과 고려 공민왕의 거문고도 남아있다. 덕숭산 정상부에는 선방인 정혜사와 여러 토굴들이 있으며, 금선대에는 경허, 만공, 혜월스님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덕숭산 꼭대기의 전월사는 만공스님이 말년을 보낸 곳이며, 그 근처에 만공스님 부도탑(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473호)이 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의 중 혜현이 이곳에서 삼론을 공부했다고 전해지며, 담징이 그린 대웅전 벽화가 유명하다.

3. 1. 가람 배치

수덕사는 덕숭산 일대를 차지하며, 산중에는 여러 자원과 암자가 있고, 그 앞에는 문전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기둥에 여의주를 문 용두를 새긴 ‘덕숭산수덕사’라고 쓰여진 일주문을 들어서면, 고려시대에 조영된 돌계단이 나타난다. 경내에는 ‘조인정사’, 루, 1973년에 낙성한 종루, 고려시대 건물이라는 3층 석탑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 안쪽에 ‘대웅전’을 배치한 정원이 있으며, 승려의 수행 장소인 ‘청련당’과 더불어 7층 석탑, ‘백련당’ 등의 시설물이 있다.[7][10]

4. 템플스테이

수덕사는 내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3]

참조

[1] 웹사이트 Sudŏk-sa,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http://www.geonames.[...] 2011-08-10
[2] 뉴스 Temple stay: 48 hours at Sudeoksa Temple http://travel.cnn.co[...] 2013-02-26
[3] 웹사이트 Sudeoksa Temple stay program http://templestay.co[...]
[4] 웹사이트 大韓仏教曹渓宗の25教区本寺の紹介 修徳寺 http://jp.koreanbudd[...]
[5] 웹사이트 近仇首王之元子 母曰阿爾夫人 継父即位 秋七月 遣使入晋朝貢 九月 胡僧摩羅難陁自晋至 王迎之致宮内 禮敬焉 佛法始於此 二年 春二月 創佛寺於漢山 度僧十人 冬十一月 王薨 http://zh.wikisource[...]
[6] 웹사이트 卞韓 百濟(亦云 南扶餘。即泗沘城也) http://www.buddhist-[...]
[7] 서적 韓国古寺巡礼〈百済編〉 NHK
[8] 웹사이트 国際教育振興院>忠清南道 http://www.studyinko[...] 国際教育振興院
[9] 웹사이트 修徳寺 http://www.independe[...] 大韓民国独立記念館
[10] 서적 韓国古寺紀行―日本仏教の源流を訪ねて
[11] 서적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창작과비평사 1993
[12] 웹사이트 수덕사의 역사, 창건설화 덕산향토지 http://www.sudeoksa.[...] 2021-12-04
[13] 웹사이트 수덕사의 역사, 창건설화 백련당 뒤편 http://www.sudeoksa.[...] 2022-01-27
[14] 백과사전 수덕사 [修德寺] 두산백과
[15] 웹사이트 수덕사의 역사, 중창설화 http://www.sudeoksa.[...] 2022-01-27
[16] 백과사전 수덕사 [修德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7] 서적 수덕사 한국문화유산답사회 20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