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륙기동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륙기동단은 일본의 섬 지역 방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2018년 창설된 육상자위대 해병대 부대이다.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센카쿠 열도 분쟁을 배경으로 창설이 결정되었으며, 미국 해병대의 훈련 및 장비 도입을 통해 상륙 작전 능력을 강화했다. 약 3,300명 규모로, 3개의 수륙기동연대와 다양한 지원 부대로 편성되어 있다. AAV7 수륙양용차, 20식 소총 등 다양한 장비를 사용하며, 2024년 3월 제3수륙기동연대 창설로 완전한 편성을 갖추었다. 수륙기동단은 미 해병대와의 협력을 통해 상륙 작전 능력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중국과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특수부대 - 제1공정단
    제1공정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공수부대로, 나라시노 주둔지에 주둔하며 국내외 훈련, 재해 구호 활동, 유사시 전략적 요충지 배치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냉전 시대 국내 비상사태 대비 훈련에 집중하다 21세기 현대적인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 일본의 특수부대 - 특수작전군
    특수작전군은 1998년에 창설을 준비하여 2004년 정식 창설된 일본 육상자위대 소속 부대로, 대테러, 요인 경호, 부대 경비 임무를 수행하며, 높은 수준의 응급 처치 기술과 특수 장비를 사용한다.
  • 사세보시 - 제1수륙기동연대
    제1수륙기동연대는 2002년 창설된 일본 육상자위대 소속 부대로, 서부 지역 도서 방어 및 탈환을 임무로 하며, 수륙양용 작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 해병대와 연합 훈련을 실시한다.
  • 사세보시 - 사이카이 국립공원
    사이카이 국립공원은 일본 나가사키현에 위치하며, 구주쿠시마, 히라도섬, 고토 열도 등 400개 이상의 섬으로 구성되어 1955년 일본에서 18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수륙기동단
기본 정보
공식 수륙기동단 휘장.
부대 명칭수륙기동단
로마자 표기Suirikukidōdan
창설일2018년 3월 27일
첫 부대 활성화일2018년 4월 7일
부대 종류해병대
역할상륙전
규모2,100명 (창설 시점)
2,400명 (2020년)
최종적으로 3,000명 예상
지휘 구조육상총대
현재 지휘관소장 아오키 신이치
부대 통칭
통칭수기, 수기단
별칭일본판 해병대
주요 임무
임무도서 작전 부대
강습상륙
담당 지역일본 전국
기타
참고자료방위성・자위대|헤이세이 29년판 방위백서|칼럼|<해설>자위대 최초의 본격적인 수륙양용 작전부대「수륙기동단」의 신편
일본의 새로운 수륙기동단 출범의 의미
육상자위대(JGSDF) 역할
2014년도 이후 국가 방위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P13.
헤이세이 29년도 조달 예정 품목 (중앙 조달분)
일본판 「해병대」 공개=도서 탈환, 미군과 훈련 - 나가사키
도서 탈환 훈련을 공개… 「수륙기동단」에 부대기 수여
일본의 ARDB: 중국의 관심을 끄는 해병대 부대
3번째 신편 부대 놓고 3개 시가 이름 내걸어 수륙기동단: 아사히 신문 디지털
일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첫 상륙 부대 활성화
일본의 새로운 해병대 데뷔, 그러나 많은 준비 작업이 남아 있다
참고대일본제국 육군의 해상기동여단과 혼동하지 말 것.

2. 역사

2010년대 초,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동해함대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이 격화되면서, 일본은 섬 지역 방위 능력 강화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특히, 중국 해경의 센카쿠 열도 주변 순찰 강화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군사력 증강은 일본의 안보 우려를 심화시켰다.

이에 일본 정부는 2013년 방위계획 대강(25대강)에서 수륙기동단 창설을 명시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다.

수륙기동단은 창설 이전부터 미국 해병대와 "아이언 피스트", "돈 블리츠"와 같은 합동 훈련을 실시하며 상륙작전 능력을 배양했다.[11][41] 2014년 환태평양훈련에 처음 참가하여 다국적 훈련을 실시했으며,[12][42] 이후에도 미국,[44] 필리핀,[17] 오스트레일리아, 영국[19][20] 등과 연합 훈련을 진행하며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2018년 10월에는 150명의 수륙기동단 병사들이 미 해병대 및 필리핀 해병대와 함께 카만다그 작전에 참가하여 해외 훈련을 처음으로 실시했는데,[17]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장갑차가 외국 땅에 처음으로 배치된 것이다.[18] 2019년 7월에는 탈리스만 세이버 훈련에 300명의 병사를 파견하여 퀸즐랜드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제2왕립연대 병사들과 미 해병대 및 영국 해병대와 함께 상륙 작전 훈련을 실시했다.[19][20]

2018년 3월 27일,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아이노우라 주둔지에서 수륙기동단이 정식 창설되었다. 2024년 3월 21일에는 오무라시 다케마쓰 주둔지에서 제3수륙기동연대가 창설되어 전력이 강화되었다.

'''수륙기동단 신편 준비실'''


  • 2016년(헤이세이 28년) 3월: 수륙기동단 신편 준비실이 아소우 주둔지 업무대 내에 발족.

'''수륙기동준비대·수륙기동교육대'''

  • 2017년(헤이세이 29년) 3월 27일: 서부방면대 직할 부대로서 수륙기동준비대, 수륙기동교육대가 아소우 주둔지에서 신편.

'''수륙기동단'''

  • 2018년(헤이세이 30년) 3월 27일: 수륙기동단이 아소우 주둔지에서 신편.
  • 2019년(헤이세이 31년) 3월 26일: 증강 개편.[64]
  • 2019년 경: 통신중대 예하에 제2통신지원소대를 신편[65]·편성 완결.
  • 2023년 3월 16일: 제3수륙기동연대 준비실을 다케마쓰 주둔지에 설치.[66]
  • 2024년 3월 21일: 오무라시 다케마쓰 주둔지에서 제3수륙기동연대가 창설.[67][68]

2. 1. 창설 배경

2010년대 초,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동해함대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이 격화되면서, 일본은 섬 지역 방위 능력 강화의 필요성을 절감했다.[40] 특히, 중국 해경의 센카쿠 열도 주변 순찰 강화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군사력 증강은 일본의 안보 우려를 심화시켰다. 중국은 제1열도선에 따라 방위선을 설정하고, 원자력잠수함과 항공모함 등을 배치하고, 센카쿠 열도 주변에서 영해 침범을 반복했다.[40] 또한, 타이완에 대한 침공을 주목적으로 한 상륙 훈련에, 새로운 회수 목표로 일본의 센카쿠 열도를 추가하였다.[40]

이에 일본 정부는 2013년 방위계획 대강(25대강)에서 수륙기동단 창설을 명시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다. 우선 '''수륙양용준비대'''를 편성하여, 수륙양용차를 비롯한 각종 장비 검증과 적에게 점령된 섬 탈환을 위한 기술 획득을 추진했다.

이에 앞서, 미국 해병대와의 합동 군사연습 “아이언 피스트” 및 3자위대가 참가한 통합 연습 “돈 브리츠”에 대한 파병 훈련이 실시되고 있다.[41] 2014년 환태평양 합동연습에서는 일본 육상자위대가 처음 참가하여, 미국 해병대와 수륙양용 작전 훈련을 실시했다.[42] 군마현 소마바라 연습장 등에 미 해병대를 초청하여 공동 훈련을 하고, 육상자위대 대원들을 오키나와 미 해병대에 파견하여 훈련을 하고 있다.[43] 2020년 일미 공동 방면대 지휘소 연습 이후에도, 수륙기동단은 오키나와에서 미국 해병대와 공동 연습을 실시하였다.[44] 2021년에는 고토 열도 쓰타라 섬에서 센카쿠 열도 점거를 상정하여 오키나와현경 국경도서경비대와 제11관구 해상보안본부와의 공동 훈련을 실시했다.[45]

2016년 3월, 수륙기동단 신편 준비실이 아소우 주둔지 업무대 내에 발족했다. 2017년 3월 27일, 서부방면대 직할 부대로서 수륙기동준비대, 수륙기동교육대가 아소우 주둔지에서 신편되었다.

2. 2. 창설 과정

2013년 7월 21일, 방위청은 미국 해병대를 모델로 한 부대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84][85]

2014년 5월 22일, 이와사키 시게루 통합막료장이 참관하는 가운데 센카쿠 제도 점령 상황을 가정한 훈련이 공개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훈련은 센카쿠 제도 남서부 무인도에서 진행되었으며, 사세보 기지의 시모키타 수송선이 동원되었다. 이전까지 미국 해병대와 합동 군사 연습은 있었지만, 자위대 단독 훈련은 처음이었다.[86]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동해함대의 활동이 활발해지자, 방위성은 2014년 10월 26일 니혼케이자이 신문을 통해 수륙기동단 창설을 1년 앞당겨 2017년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87]

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긴장감과 중국 해경을 군사 통제하에 두기로 한 결정[7][8]을 고려하여 일본은 정예 해병대 부대 창설 절차에 착수했다. 이 부대는 상륙 작전을 수행하고 적에게 점령당한 일본 영토를 탈환하기 위해 설계되었다.[9][10]

2006년, 일본은 일본 방위 계획 및 예산에 명시된 대로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일본은 필요한 기술을 갖춘 상륙 부대를 준비하고, 이러한 전쟁에 필요한 상륙 장비 및 기타 차량을 확보했다. 그 이전에는 "아이언 피스트"와 같은 미 해병대와의 훈련과 일본 자위대가 참여한 통합 훈련 "돈 블리츠"가 실시되었다.[11]

2014년 환태평양훈련에서 일본 육상자위대는 미 해병대와의 수륙 양용전 훈련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다국적 훈련을 실시했다. 일본에서는 군마현 소마가하라 육상자위대 훈련장에 미 해병대를 초청하여 합동 훈련을 실시하고, 육상자위대 대원들을 오키나와현 미 해병대에 파견하여 훈련을 하고 있다.[12]

2016년에는 300명의 육상자위대원이 해병대 훈련을 받기 위해 캠프 펜들턴으로 파견되었다.[13] 그들은 또한 신속대응여단(ARDB) 설립을 준비하는 훈련을 받았다.[13]

2018년 3월 27일, 신속대응여단(ARDB) 창설을 위한 기반 작업이 완료되었고,[14]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아이노우라 주둔지에서 수륙기동단이 정식 창설되었다.

2018년 4월 7일,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초로 해병대 부대를 발족시켰다.[15] 사세보에 있는 육상자위대 아이노우라 훈련장에서 열린 여단 발족식에는 일본 육상자위대(JGSDF)의 수륙 양용 신속 배치 여단(ARDB) 해병대가 모였다.[16] 이 여단은 동중국해 연안에 있는 도쿄가 공격에 취약하다고 여기는 일본 영토를 점령하려는 침략자에 대응하도록 훈련받았다.[15]

2018년 10월, 150명의 신속대응여단(ARDB) 병사들이 미 해병대 및 필리핀 해병대와 함께 카만다그 작전에 참가하여 해외 훈련을 처음으로 실시했다.[17]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장갑차가 외국 땅에 처음으로 배치된 것이다.[18] 해병대 부대는 또한 2019년 7월 탈리스만 세이버 훈련에 300명의 병사를 파견하여 퀸즐랜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제2왕립연대 병사들과 미 해병대 및 영국 해병대와 함께 상륙 작전 훈련을 실시했다.[19][20] 2018년 10월 7일, 미군과 필리핀군과의 합동 훈련 중 차량 사고로 38세의 육상자위대 병장 마에하라 스구루가 사망하면서 신속대응여단(ARDB)은 첫 사상자를 기록했다. 그가 타고 있던 차량은 수빅 만에서 다른 차량과 충돌했다.[21]

2021년 3월 10일, 2명의 여성을 포함하여 55명의 신병이 신속대응여단(ARDB) 훈련 과정을 수료했다.[22] 여성 병장인 운노 아즈사와 히라타 미사키는 여단의 16차 훈련에 참가했다.[23]

2013년(헤이세이 25년)에 책정된 헤이세이 26년도 이후에 관한 방위계획의 대강에 대해(25대강)에 기초하여 2018년(헤이세이 30년) 3월 27일에 신편되었다. 21세기 초, 중화인민공화국(이하 중국)은 증대하는 경제력에 맞추어 군사력을 해외로 확장해 가는 상태였다. 중국은 제1열도선에 나타나듯이 그 방위선을 주변국에 설정하고, 이에 맞추어 중국인민해방군해군은 원자력잠수함과 항공모함 등을 비롯한 수상 전투함정의 배치를 추진하고, 중국 해상 치안 당국의 선박이 센카쿠 열도 주변에서 영해 침범을 반복하게 되었다. 또한 그때까지 타이완에 대한 침공을 주목적으로 한 상륙 훈련에, 새로운 회수 목표로 일본의 센카쿠 열도도 추가되었다.[40]

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새롭게 책정된 25대강에서 수륙기동단의 신편이 명시되고, 시작으로 '''수륙양용준비대'''를 편성하여, 수륙양용차를 비롯한 각종 기재의 검증을 통해 적국에 점령된 도서를 탈환하기 위해, 부대의 전력화에 필요한 기술 획득을 조기에 추진하게 되었다.

이에 앞서, 미국 해병대와의 합동 연습 “아이언 피스트” 및 3자위대가 참가한 통합 연습 “돈 브리츠”에 대한 파병 훈련이 실시되고 있다.[41]

2014년(헤이세이 26년)의 환태평양 합동연습에서는 육상자위대가 처음 참가하여, 다국간 연습과는 별도로 미국 해병대와 2국간으로 수륙양용 작전의 훈련을 실시했다.[42] 일본 국내에서도, 소마바라 연습장(군마현) 등에 미 해병대를 초청하여 공동 훈련이나, 육자 대원을 오키나와 미 해병대에 파견하여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43] 2020년(레이와 2년)의 일미 공동 방면대 지휘소 연습의 전후에도, 수륙기동단은 오키나와에서 미국 해병대와 공동 연습을 실시하여, “해병대원과 많이 배우고 있다”고 하고 있다.[44] 2021년(레이와 3년)에는, 고토 열도 쓰타라 섬에서 센카쿠 열도 점거를 상정하여 오키나와현경 국경도서경비대와 제11관구 해상보안본부와의 공동 훈련을 실시했다.[45]

'''수륙기동단 신편 준비실'''

  • 2016년(헤이세이 28년) 3월: 수륙기동단 신편 준비실이 아소우 주둔지 업무대 내에 발족.


'''수륙기동준비대·수륙기동교육대'''

  • 2017년(헤이세이 29년) 3월 27일: 서부방면대 직할 부대로서 수륙기동준비대, 수륙기동교육대가 아소우 주둔지에서 신편.


'''수륙기동단'''

  • 2018년(헤이세이 30년) 3월 27일: 수륙기동단이 아소우 주둔지에서 신편.
  • * 서부방면 보통과 연대를 제1수륙기동연대로 개편. 제2수륙기동연대를 아소우 주둔지에 신편.[62][63]
  • * 서부방면 특과대 제112특과대대, 제4전차대대 제2전차중대 등, 규슈에 주둔하는 부대 등을 가지고서 예하 부대의 특과대대를 유후인 주둔지에 편성.
  • * 사키베 분둔지 건설 지연으로 인해, 전투상륙대대의 주력을 아소우 주둔지에 잠정 배치. 제2전투상륙중대는 구주 주둔지에 편성.
  • * 후방지원대대, 시설중대, 정찰중대 및 통신중대를 아소우 주둔지에 편성.
  • * 수륙기동교육대(아소우 주둔지)를 수륙기동단 예하에 편입.
  • * 아소우 주둔지 사령관 직책을 서부방면 혼성단장에서 수륙기동단장으로 이관.
  • 2019년(헤이세이 31년) 3월 26일: 증강 개편.[64]
  • *특과대대(유후인 주둔지)에 제2사격중대를 신편.
  • *사키베 분둔지 개설에 따라, 전투상륙대대(제2전투상륙중대(구주 주둔지) 제외)가 아소우 주둔지에서 사키베 분둔지로 이주, 대대장이 분둔지 사령관에 직무 지정.
  • 2019년 경: 통신중대 예하에 제2통신지원소대를 신편[65]·편성 완결.
  • 2023년 3월 16일: 제3수륙기동연대 준비실을 다케마쓰 주둔지에 설치.[66]
  • 2024년 3월 21일: 오무라시 다케마쓰 주둔지에서 제3수륙기동연대가 창설되어 전력이 강화되었다. 제3수륙기동연대 신편에 관한 개편.
  • * 제3수륙기동연대, 전투상륙대대 제3전투상륙중대를 다케마쓰 주둔지에 신편.[67][68]
  • * 특과대대 제3사격중대를 유후인 주둔지에 신편.[69]

2. 3. 한미일 협력

수륙기동단은 창설 이전부터 미국 해병대와 "아이언 피스트", "돈 블리츠"와 같은 합동 훈련을 실시하며 상륙작전 능력을 배양했다.[11][41] 2014년 환태평양훈련에 처음 참가하여 다국적 훈련을 실시했으며,[12][42] 이후에도 미국,[44] 필리핀,[17] 오스트레일리아, 영국[19][20] 등과 연합 훈련을 진행하며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2018년 10월에는 150명의 수륙기동단 병사들이 미 해병대 및 필리핀 해병대와 함께 카만다그 작전에 참가하여 해외 훈련을 처음으로 실시했는데,[17]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장갑차가 외국 땅에 처음으로 배치된 것이다.[18] 2019년 7월에는 탈리스만 세이버 훈련에 300명의 병사를 파견하여 퀸즐랜드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제2왕립연대 병사들과 미 해병대 및 영국 해병대와 함께 상륙 작전 훈련을 실시했다.[19][20]

3. 편성

수륙기동단은 육상총대 직할 부대로,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89] 서부 방면의 구 서부방면보통과연대(WAiR)를 중심으로 3개 연대가 편성되어 약 3,000명 규모로 창설되었다.[88] 주력이 되는 제1연대는 서부방면보통과연대를 개편하여 아이노우라 주둔지에 배치되었고, 제2, 제3연대는 각각 700~900명 규모였다.[46] 2024년 3월 제3수륙기동연대가 다케마쓰 주둔지에 창설되면서 편성이 완료되었다.[39]

사세보 지방대 소속 제1수송대에서 상륙함을 지원한다.[89] 수륙기동단 활동을 위해 아이노우라 주둔지에 있던 서부방면혼성단은 구루메 주둔지로 이전했다.[48][49] 2017년 3월에는 수륙기동교육대가 아이노우라 주둔지에 창설되어 대원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50]

V-22 오스프리 도입이 결정되어 제1헬리콥터단 수송항공대가 2020년 3월에 창설되었으며,[59][60] 사가 공항 배치가 예정되어 있다.[60] 수륙기동단 대원들은 제1공정단과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부대장을 사용한다.[61]

3. 1. 부대 구성

수륙기동단은 약 3,300명 규모로, 수륙기동연대 3개를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다. 각 연대는 본부중대, AAV중대, 헬리본중대, 보트중대로 구성된다.[47]

; 편성

  • 수륙기동단 본부
  • 제1수륙기동연대
  • 제2수륙기동연대
  • 제3수륙기동연대
  • 수륙기동단 전투상륙대대
  • 특과대대
  • 후방지원대대
  • 시설중대
  • 정찰중대
  • 통신중대
  • 육상자위대 수륙기동교육대
  • 수륙기동단 본부부대


; 주둔지

주둔지부대
아이노우라 주둔지 (나가사키현 사세보시 오가타정)
아이노우라 주둔지 사키베 분둔지 (나가사키현 사세보시 사키베정)
다케마쓰 주둔지 (나가사키현 오무라시)
유후인 주둔지 (오이타현 유후시)
구주 주둔지 (오이타현 구주군 구주정)



'''수륙기동단 특과대대'''는 오이타현 유후시의 유후인 주둔지에 주둔하는 육상자위대 수륙기동단 예하의 야전 특과부대이다. 서부방면 특과대 제112특과대대를 모체로 발족하였다. 3개 사격중대와 화력유도중대를 기간으로 하며, 발족 당시에는 1개 사격중대 편성이었다. 제1공정단 특과대대와 마찬가지로 120mm 박격포 RT를 운용한다. 화력유도중대는 야전 특과화력, 함포사격, 항공폭격 등 육·해·공 자위대의 화력 유도를 임무로 하며, 야전 특과부대에 편성되는 정보중대와 마찬가지로 특과대대의 사격관측 임무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수륙기동연대에 “화력유도반”으로 동행한다.

; 부대편성


  • 특과대대본부
  • 특과대대본부중대
  • * 레이더반:대박레이더장치 JMPQ-P13
  • 제1사격중대:120mm 박격포 RT
  • 제2사격중대:120mm 박격포 RT
  • 제3사격중대:120mm 박격포 RT
  • 화력유도중대


'''수륙기동단 후방지원대대'''는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의 아이노우라 주둔지에 대대본부가 주둔하는 수륙기동단 예하의 후방지원부대이다. 여단 후방지원대에 준하는 편성을 취한다. 일부, 수륙기동연대 등의 전투 직종의 대원이 이수하는 수륙양용 기본훈련과정 등의 교육훈련을 수료한 대원이 소속되어 있다.

; 부대 편성

  • 후방지원대대 본부
  • 후방지원대대 본부부대
  • 제1정비중대:수륙기동단을 전반적으로 지원
  • 제2정비중대
  • * 제1수륙기동직접지원소대:제1수륙기동연대를 지원
  • * 제2수륙기동직접지원소대:제2수륙기동연대를 지원
  • * 제3수륙기동직접지원소대[70](다케마쓰 주둔지): 제3수륙기동연대를 지원
  • * 전투상륙직접지원소대(사키베 분둔지): 전투상륙대대를 지원
  • ** 제2전투상륙직접지원반(구주 주둔지): 전투상륙대대 제2전투상륙중대를 지원
  • ** 제3전투상륙직접지원반(다케마쓰 주둔지): 전투상륙대대 제3전투상륙중대를 지원
  • * 특과직접지원소대(유후인 주둔지): 특과대대를 지원
  • 보급중대
  • 위생대

3. 2. 지휘부

겸 아이노우라 주둔지 사령관육장보기타지마 하지메(北島一)2023년 12월 22일서부방면총감부막료부장부단장1등육좌후지무라 다이스케(藤村太助)2022년 12월 1일통합막료감부운용부운용제1과
특수작전실장고급막료1등육좌아베 토시후미(阿部俊文)2023년 12월 22일제5육조교육대장



역대 수륙기동단장
(육장보)
성명재직기간출신교·기수전직후직
1아오키 신이치(青木伸一)2018년 3월 27일 - 2019년 12월 19일방위대 32기서부방면총감부막료부장육상자위대 후지학교부교장
겸 제직종협동센터장
2히라타 타카노리(平田隆則)2019년 12월 20일 - 2021년 12월 21일간부후보생 71기[71]서부방면총감부막료부장퇴직
3나시키 신고(梨木信吾)2021년 12월 22일 - 2023년 12월 21일방위대 40기통합막료감부방위계획부계획과장육상총대사령부운용부장
4기타지마 하지메(北島一)2023년 12월 22일 -방위대 39기서부방면총감부막료부장


4. 장비

수륙기동단은 상륙작전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를 갖추고 있다. 미국 해병대가 사용하는 상륙돌격장갑차(AAV)-7A1을 도입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15년까지 AAV 6대를 시범 도입했으며,[86] 2014년 12월 AAVP7A1 RAM/RS를 채택, 2018년까지 52대를 도입할 계획이었다.[90][88] 최종적으로 수륙양용차(AAV7)는 인원수송형 46대, 지휘통신형 6대, 회수형 6대 등 총 58대가 조달되어 수륙기동단에 집중 배치되었다.

ARDB의 AAV7 장비


특과 화기로는 제1공수단 공수특과대대와 마찬가지로 120mm 박격포 RT를 장비한다. 이 외에도 수륙기동연대에는 일반 보병연대처럼 81mm 박격포가, 수륙기동연대·전투상륙대대에는 개인 조작이 가능한 60mm 박격포가 도입되었다.

오오스미형 수송함의 수륙양용전 기능 강화를 위한 대규모 개수가 진행 중이며, 이즈모형 헬리콥터 호위함의 사령부 기능도 강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최신예 강습상륙함 도입도 검토되고 있다.[77]

상포주둔지에는 불시착수한 헬리콥터에서 긴급탈출하기 위한 훈련시설과 수로잠입용 훈련시설 정비가 예정되어 있다.[78]

미 해병대 MV-22B 오스프리 항공기가 일본과 협력하여 지진 구호 물품을 전달하고 있다.


미국 해병대에서 파견된 그랜트 뉴샤엄 전 대령은 자위대가 이미 수륙양용전에 필요한 하드웨어의 8할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는 미국에서 제공된 5개 정도의 노하우를 발전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80] 또한 남서 제도 방위를 위해서는 해군력·공군력과의 연계, 강습상륙함이나 수직이착륙 전투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81]

초대 단장 아오키 신이치 육장보는 편성식에서 "현 시점에서는 능력이 완전하지 않고 더욱 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였다.[81]

4. 1. 개인 화기

수륙기동단은 다음과 같은 개인 화기를 장비하고 있다.[28]

4. 2. 기동 차량

상륙돌격장갑차일본어(AAV)-7A1 RAM/RS[32][86][90][88], 고마쓰 경기갑기동차일본어, 도요타 고기동차일본어, 73식 소형트럭일본어, 73식 중형트럭일본어, 73식 대형트럭일본어[28]을 운용한다.

수륙기동단 기동차량
차종제조사비고
AAV7A1 RAM/RS-[32]
고마쓰 경기갑기동차고마쓰 제작소일본어
73식 소형트럭미쓰비시 자동차일본어
73식 중형트럭도요타 자동차일본어
73식 대형트럭이스즈 자동차일본어
고기동차도요타 자동차일본어


4. 3. 기타 장비

4. 4. 항공 지원

사가 공항에 상당한 항공 전력을 구축할 계획으로, 2025년부터 규슈에 배치될 예정인 항공 부대는 V-22 항공기 17대와 블랙 호크 및 아파치 롱보우 헬리콥터 약 50대를 포함할 예정이다.[25]

5. 평가 및 전망

수륙기동단은 일본의 섬 지역 방위 능력을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수륙기동단의 전력 증강은 중국과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우려를 공유하며, 일본의 군사력 증강이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보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향후 수륙기동단은 미국 해병대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자체적인 상륙작전 능력을 발전시켜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상호운용성은 일본육상자위대(JGSDF)가 ARDB(아시아 지역 방위 기지) 기지인 아이노우라 캠프에서 60km 떨어진 사가 공항에 상당한 항공전력을 구축할 계획인 ARDB 운영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항공 부대는 2025년부터 규슈에 배치될 예정이며, V-22 항공기 17대와 블랙 호크 및 아파치 롱보우 헬리콥터 약 50대를 포함할 예정이다.[25]

참조

[1] 웹사이트 Japan's ARDB: The marine unit piquing China's interest https://www.defencec[...] 2019-07-08
[2] 웹사이트 3番目の新編部隊めぐり3市が名乗り 水陸機動団: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0-10-04
[3] 웹사이트 Japan Activates First Amphibious Unit Since World War II https://www.popularm[...] 2018-04-10
[4] 웹사이트 Japan's new marines make their debut, but much preparatory work remains to be done https://www.japantim[...] 2018-04-08
[5]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平成29年版防衛白書|コラム|<解説>自衛隊初の本格的な水陸両用作戦部隊「水陸機動団」の新編 https://www.mod.go.j[...] 2019-01-11
[6] 웹사이트 The Meaning of Japan's New Amphibious Rapid Deployment Brigade Launch https://thediplomat.[...]
[7] 웹사이트 Japan boosts its military option: The Amphibious Rapid Deployment Brigade | Modern Tokyo Times http://moderntokyoti[...] 2018-04-07
[8] 논문 U.S.-Japan Alliance Conference Meeting the Challenge of Amphibious Operations https://www.rand.org[...] RAND National Defense Research Institute 2018
[9] 웹사이트 Japan’s Elite Amphibious Assault Force Trains With US Marines https://thediplomat.[...] 2016-12-11
[10] 뉴스 Japan preparing amphibious force: it looks a lot like a Marine brigade https://www.stripes.[...] 2016-12-11
[11] 웹사이트 Defense Programs and Budget of Japan https://www.mod.go.j[...] 2018-08-22
[12] 뉴스 陸自「水陸機動団」準備着々/創設まであと1年・離党防衛強化へ米海兵隊と訓練 http://www.sankei.co[...] 産経新聞 2017-03-20
[13] 뉴스 U.S. Marines Teach Japanese Forces How to Fight From the Sea in Expanded Iron Fist Exercise https://news.usni.or[...] 2016-12-11
[14] 웹사이트 The Meaning of Japan's New Amphibious Rapid Deployment Brigade Launch https://thediplomat.[...]
[15] 뉴스 Japan activates first marines since WW2 to bolster defenses against China https://web.archive.[...] 2018-08-02
[16] 웹사이트 Japan's new marine unit in East China Sea upsets Beijing https://asiatimes.co[...] 2018-04-09
[17] 웹사이트 Amid rising tensions with China, Japan just sent armored vehicles to foreign soil for the first time since World War II https://www.business[...] 2018-10-06
[18] 뉴스 Japan enacts major changes to its self-defense laws http://www.stripes.c[...] 2015-09-18
[19] 웹사이트 Japan's new marine unit gets a workout during Talisman Sabre drills Down Under https://www.stripes.[...] 2019-07-25
[20] 웹사이트 Australian troops lead the way during Talisman Sabre amphibious-assault practice https://www.stripes.[...] 2019-07-25
[21] 웹사이트 SDF member taking part in joint drill with U.S., Philippine troops, dies after crash https://www.japantim[...] 2018-10-07
[22] 웹사이트 女性隊員初の訓練課程修了 長崎、陸自水陸機動団で https://www.sankei.c[...]
[23] 웹사이트 陸上自衛隊 水陸機動団の拠点 相浦駐屯地で修了式 初めての女性隊員2人も【長崎県佐世保市】 https://www.fnn.jp/a[...] 2021-04-06
[24] 뉴스 Japan Stands Up Amphibious Rapid Deployment Brigade, Electronic Warfare Unit for Defense of Southwest Islands https://news.usni.or[...] 2024-04-01
[25] 웹사이트 Japanese V-22 Lands On JMSDF Vessel For The First Time https://www.navalnew[...] 2023-09-11
[26]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防衛省ウェブサイトのHTTPSへの切り替えのお知らせ https://www.mod.go.j[...]
[27] 웹사이트 https://www.mod.go.j[...]
[28] 웹사이트 主要装備品の紹介 https://www.mod.go.j[...]
[29]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陸上自衛隊の水陸両用車の車種決定について http://www.mod.go.jp[...]
[30] 웹사이트 水陸両用車AAV7 https://rikuzi-chous[...]
[31] 웹사이트 FIRST LOOK: Japan's New Type 20 Rifle https://www.thefirea[...] The Firearm Blog 2020-05-18
[32] 웹사이트 Iron Fist 2018 Ramps Up Training as Japan Readies 1st Amphibious Unit https://news.usni.or[...] 2018-01-15
[33] 웹사이트 Home > Roles https://www.mod.go.j[...] 陸上自衛隊(JGSDF)
[34] 간행물 NATIONAL DEFENSE PROGRAM GUIDELINES for FY 2014 and beyond, P13. https://warp.ndl.go.[...] 防衛省
[35] 간행물 平成29年度調達予定品目(中央調達分) http://www.mod.go.jp[...] 防衛装備庁
[36] 뉴스 「日本版海兵隊」北海道に新設検討 水陸機動団、訓練環境整う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1-07-04
[37] 웹사이트 日本版「海兵隊」公開=離島奪還、米軍と訓練-長崎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18-04-07
[38] 뉴스 離島奪回訓練を公開…「水陸機動団」に隊旗授与 http://www.yomiuri.c[...] 2018-04-07
[39] 웹사이트 「日本版海兵隊」水陸機動団に三つ目の連隊 米海兵隊と連携強化へ: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3-21
[40] 뉴스 中国軍が尖閣奪取訓練、昨秋に実施…米海軍協会 http://www.yomiuri.c[...] 2014-02-20
[41] 간행물 我が国の防衛と予算 平成26年度概算要求の概要 (2) 島嶼部に対する攻撃への対応 http://www.mod.go.jp[...] 防衛省
[42] 뉴스 リムパックで陸自、米海兵隊と水陸両用訓練 6~8月、ハワイ沖 離島防衛、中国の前で連携示せ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4-02-06
[43] 뉴스 陸自「水陸機動団」準備着々/創設まであと1年・離島防衛強化へ米海兵隊と訓練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3-20
[44] 웹사이트 “LET’S GET AFTER IT” – BRIG. GEN. ELLISON TO THE 3D MEB AND ARDB STAFF OF YAMA SAKURA 79 https://www.3rdmeb.m[...] 2020-12-07
[45] 뉴스 共同訓練、沖縄・尖閣占拠を想定 自衛隊と海保、類似地形の島で https://web.archive.[...] 共同通信社 2021-12-26
[46] 뉴스 「尖閣有事」へ備え 水陸機動団、2千~3千人規模で佐世保に司令部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4-02-03
[47] 서적 輸送艦部隊と陸上水陸機動団 海の艦船 2014-04
[48] 뉴스 水陸機動団新設へ 陸自相浦駐屯地に中澤新司令が着任(長崎) http://www.sankei.co[...] 産経新聞 2017-03-24
[49] 간행물 防衛省人事発令(2018年3月27付:1佐人事)
[50] 뉴스 陸自、離島奪還拠点に新部隊 水陸機動団員を教育 http://www.sankei.co[...] 産経新聞 2017-03-27
[51] 뉴스 陸自、水陸機動団の部隊を玖珠、湯布院に配置へ https://www.oita-pre[...] 2016-09-24
[52] 간행물 防衛省・自衛隊|平成27年版防衛白書|2 基幹部隊の見直しなど http://www.clearing.[...] 防衛省
[53] 뉴스 陸自水陸機動団新編まで1年 創設以来の大改革 長崎新聞 2017-04-30
[54] 간행물 第193回国会 外交防衛委員会 第6号 https://kokkai.ndl.g[...]
[55] 웹사이트 陸上自衛隊水陸機動団 大村市へ配備決定 市は隊員数を600人と想定【長崎県】 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2022-02-04
[56] 웹사이트 陸自「水陸機動団」新たな3つ目の部隊は大村市に配置 https://www3.nhk.or.[...] NHK 2022-02-04
[57] 간행물 湯布院駐屯地開庁59周年記念式典式辞より。
[58] 간행물 駐屯地機関紙『湯布院』第29号 https://www.mod.go.j[...] 陸上自衛隊湯布院駐屯地
[59] 웹사이트 輸送航空隊の新編について https://www.city.kis[...] 木更津市 2020-03-18
[60] 트윗 3月26日、#第1ヘリコプター団 は新たに #ティルトローター機 #V22を装備する、#輸送航空隊 が新編されました。 2020-03-26
[61] 웹사이트 部隊章・シンボルマークの紹介 http://www.mod.go.jp[...] 陸上自衛隊 水陸機動団
[62] 웹사이트 新編陸上自衛隊、どう変わった? 創設以来最大規模、目指したものは更なる「速さ」 https://trafficnews.[...] 株式会社メディア・ヴァーグ 2018-05-28
[63] 웹사이트 陸自の「島しょ防衛体制」現状は? 訓練重ねる水陸機動連隊 「オスプレイ」部隊も新設 https://trafficnews.[...] 株式会社メディア・ヴァーグ 2020-04-03
[64] 간행물 防衛大臣臨時記者会見(2月23日) https://www.mod.go.j[...]
[65] 웹사이트 通信中隊 https://www.mod.go.j[...] 水陸機動団
[66] 간행물 たけまつふぁみりー(2023年10月号) https://www.mod.go.j[...] 陸上自衛隊竹松駐屯地
[67] 뉴스 「日本の平和を守ることが究極の任務」陸上自衛隊・第3水陸機動連隊が大村市竹松駐屯地に配備 https://www.ncctv.co[...] 2024-03-21
[68] 트윗 【第3戦闘上陸中隊新編行事】
[69] 트윗 令和6年3月21日(木)第3水陸機動連隊の新編に伴い、水陸機動団特科大隊に新たに第3射撃中隊が加わり完全編成となったグワ☆ 2024-04-05
[70] 웹사이트 竹松駐屯地の沿革 駐屯都の紹介 https://www.mod.go.j[...]
[71] 간행물 防衛年鑑2019年 (출판사 정보 없음)
[72]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陸上自衛隊の水陸両用車の車種決定について http://www.mod.go.jp[...] 2022-10-23
[73] 웹사이트 水陸両用車AAV7 https://rikuzi-chous[...] 2022-10-23
[74] 웹사이트 水陸機動団の装備 http://www.mod.go.jp[...] 陸上自衛隊 水陸機動団 2018-04-18
[75] 뉴스 米の水陸両用車が日本に到着 http://www3.nhk.or.j[...] NHK NEWS WEB 2014-02-20
[76]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陸上自衛隊の水陸両用車の車種決定について http://www.mod.go.jp[...]
[77] 뉴스 「尖閣」中国に自由にさせぬ、日本版「海兵隊」が島を守る…防衛相発言「強襲揚陸艦」が海上輸送力を担保する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4-07-15
[78] 뉴스 相浦駐屯地に上陸訓練設備 http://www.nagasaki-[...] 長崎新聞社 2014-01-10
[79] 뉴스 【外交安保取材】メイド・イン・チャイナで有事対応!? 笑えない陸自の「制服問題」とは…(2/4ページ)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80] 간행물 「統合および共同海洋作戦についての米国人の考察」グラント・ニューシャム http://www.jfss.gr.j[...] 日本戦略研究フォーラム
[81] 뉴스 「日本版海兵隊」が始動、自衛隊初の上陸作戦部隊 https://jp.reuters.c[...] ロイター通信
[82] 웹인용 平成29年度調達予定品目(中央調達分) http://www.mod.go.jp[...] 일본 방위장비청 2018-04-13
[83] 저널 NATIONAL DEFENSE PROGRAM GUIDELINES for FY 2014 and beyond http://www.mod.go.jp[...] 방위성 2015-02-16
[84] 뉴스 Defense Ministry preparing Japanese version of U.S. Marines 아사히 신문 2014-07-27
[85] 뉴스 14年度防衛費は離島強化へ2年連続増、水陸両用部隊などを整備 로이터 2014-07-26
[86] 뉴스 日육해공 자위대, 단독으로 섬 탈환훈련 실시 MBC 2014-07-27
[87] 뉴스 "일본, 낙도방위용 수륙기동단 1년 앞당겨 창설" YTN 2014-10-29
[88] 뉴스 "일본 '해병대역할' 수륙기동단 3천명 규모로 창설" 연합뉴스 2014-07-26
[89] 뉴스 「尖閣有事」へ備え 水陸機動団、2千~3千人規模で佐世保に司令部 https://web.archive.[...] 산케이 신문 2014-07-26
[90] 웹인용 陸上自衛隊の水陸両用車の車種決定について https://web.archive.[...] 防衛省 2019-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