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군사연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사 훈련은 군대의 전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되는 활동으로, 고대부터 시작되어 현대에 이르러 더욱 발전했다. 훈련은 단독, 합동, 연합 훈련 등 다양한 유형으로 진행되며, 지휘소 연습, 야외 기동 훈련, 시뮬레이션 훈련 등 훈련 환경과 목적에 따라 분류된다. 주요 군사 훈련으로는 레드 플래그, 림팩, 코브라 골드 등이 있으며, 한국은 팀 스피릿, 을지 프리덤 가디언 등의 훈련을 실시했다. 그러나 군사 훈련은 군사적 긴장 고조, 기만 전술 악용, 환경 문제, 비용 문제 등과 같은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연습 - 군사 시뮬레이션
    군사 시뮬레이션은 자금 부족이나 위험성 때문에 실제 훈련이 어려울 때 대안으로 사용되며 군사적 의사 결정, 전략 구상, 훈련 등에 활용되는, 수동적인 형태에서 컴퓨터 기술 발전에 따라 발전해 온 광범위한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이지만, 맹신, 편향, 인적 오류 등의 문제점과 한계도 존재한다.
군사연습

2. 역사

1909년 가을 독일 제국 남부에서 열린 독일의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군사 훈련 ''헤르브스트마네버''(Herbstmanöver) (빌헬름 2세 황제는 왼쪽에서 두 번째)


군사 훈련과 전쟁 게임의 사용은 19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여기에는 프로이센군 장교들이 현대적인 전술적 형태의 전쟁 게임을 만들었고, 이후 전 세계의 다른 군사 조직에서 더 널리 사용하고 발전시켰다.[7] 그러나 비전술적 형태의 전쟁 게임은 체스바둑과 같은 보드 게임 형태로 훨씬 더 오래 존재해 왔다.

현대적인 군사 훈련은 전쟁 연구와 학습 목적으로 옛 전투를 재현해야 할 군사적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캐비닛 전쟁''(Cabinet wars) 시대 동안, 1740년부터 1786년까지 프로이센 왕이었던 프리드리히 2세는 "군대를 로봇과 같은 전사들로 구성된 잘 정비된 시계 장치처럼 만들었다. 프리드리히의 병사들에게는 개인적인 주도권이 허용되지 않았으며, 그들의 유일한 역할은 동기화된 화력을 통해 투사체 벽을 만드는 데 협력하는 것이었다."[8] 이는 더 효과적인 군대를 추구하는 과정이었으며, 이러한 관행은 전쟁을 상향식 관점에서 바라보게 하는 데 기여했다. 훈련된 병사들은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대응해야 했으므로, 훈련은 기동과 지휘 및 통제에 국한될 수 있었다.

프로이센이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1870–71)에서 프랑스 제2제국을 상대로 거둔 승리는 때때로 1811년경에 발명되어 프로이센군 내 많은 장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은 전쟁 게임 ''크리그스슈필''(Kriegsspiel)을 통해 프로이센 장교들을 훈련시킨 덕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 최초의 전쟁 게임은 실제 전쟁 중 발생할 수 있는 덜 이상적인 상황(사기, 기상, 전쟁의 안개 등)을 나타내는 "마찰"을 나타내는 주사위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21세기 군대는 여전히 전쟁 게임을 사용하여 미래의 전쟁을 시뮬레이션하고 반응을 모델링한다. 마누엘 데 란다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휘, 통제 및 통신 (C3)은 군 참모에서 최초의 싱크탱크랜드 연구소로 이전되었다. 20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걸쳐, 기존의 전쟁 게임 방식을 대체하고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며 속도를 높이고 더 복잡한 시나리오를 더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컴퓨터 시뮬레이션 전쟁 게임이 제작되었다. 1958년, 해군 전쟁 대학은 전통적인 전쟁 게임 활동이 열리는 컴퓨터 전쟁 게임 시스템을 설치했다. 이 시스템은 해군 전자전 시스템이라고 불렸으며 설치 비용은 1000만달러가 넘었다.[9] 전통적인 전쟁 게임 방식에서 전자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식으로의 변화는 전쟁 게임 시뮬레이션의 가치와 정확성이 기술과 개인적인 경험에 덜 의존하고 정량적 데이터와 복잡한 분석 방법에 더 의존하게 되었음을 의미했다.[10]

존 폰 노이만은 랜드 연구소에 고용되었으며, 그의 게임 이론냉전 시대의 핵 억지력을 모델링하기 위해 전쟁 게임에 사용되었다. 미국의 핵 전략은 전쟁 게임을 사용하여 정의되었으며, "삼촌 쌤"은 미국을, "이반 뇌제"는 소련을 나타냈다.

2019년 미국 해병대 전쟁 대학에서 진행된 전쟁 게임


초기 게임 이론은 제로섬 게임만을 포함했는데, 이는 한 플레이어가 이기면 다른 플레이어는 자동적으로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자 서로를 배신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두 명의 죄수 상황을 모델링한 죄수의 딜레마는 다음 세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 어느 죄수도 다른 죄수를 배신하지 않고, 둘 다 단기 형을 선고받는다.
  • 한 죄수가 다른 죄수를 배신하고 풀려나는 반면, 다른 죄수는 장기 형을 받는다.
  • 두 죄수 모두 서로를 배신하고, 둘 다 중간 형을 받는다.


이 모델은 대량 보복 핵 독트린의 기초를 제공했다. 제로섬 오류와 협력 게임은 나중에 이론화되었으며, 핵 기술과 미사일의 발전으로 대량 보복 핵 전략은 구식이 되었다.[11]

군사 훈련에서 확인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프리드리히 2세의 명령에 따라 1740년경부터 실시된 것으로, 이것이 본격적인 군사 훈련의 전조가 되었다고 한다. 1870년-1871년 보불 전쟁에서 프로이센이 승리했는데, 이는 프로이센군이 1811년경부터 계속해온 군사 훈련의 성과가 나타난 것으로 인식되었다. 군사 훈련은 이 전쟁 이후 다른 국가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군사 훈련에서의 병사 반응이나 행동 등도 연구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군은 C4I 시스템 등의 연구를 랜드 연구소에 의뢰했다. 냉전 시대에 미군은 소련핵전쟁을 상정한 많은 전술 훈련을 실시했다. 현재는 테러를 상정한 군사 훈련이 많다.

현대의 군사 훈련은 여러 국가 간에 실시되는 경우도 많다. 다국 간에 군사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시스템이나 작전의 차이 등을 서로 확인하고, 실전 시에 더 잘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게 여겨진다. 다만 군대 조직은 전근이 잦기 때문에, 비교적 매년 실시하지 않으면 연계 확인이 어려워 전투력을 유지할 수 없다고 여겨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군사 훈련의 금전적인 낭비라고 하여 한국과의 연합 군사 훈련을 중단한 적이 있지만, 전투력을 유지할 수 없다는 군 고위 관계자들의 항의를 받았다.

기술된 군사 훈련의 본래 목적 외에, 군사적으로 긴장 관계에 있는 관계국에 대한 시위 행위로서 행해지는 요소도 많이 있다. 또한 군사 훈련을 명분으로 침략의 계기로 삼거나, 침략 준비 행동이 이루어진 (관동군 특수 연병) 역사가 있기 때문에, 심각한 대립국에서 보면 매우 불쾌하며 항의를 받기도 한다.

최근에는 증강 현실을 도입한 연구·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3. 유형

영국 육군 군인들이 코베난터 전차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군사 훈련 중인 모습, 1942년


군사 훈련은 훈련 환경 및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지휘소 연습 (CPX): 지휘관 및 참모들이 지휘소에서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의사 결정 능력을 훈련하는 것이다. 특정 통합전투사령부 또는 그 구성 요소의 전력 태세에 중점을 두며, 야외 기동 훈련 (FTX)과 병행하거나 사령부 참모만을 대상으로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5]
  • 야외 기동 훈련 (FTX): 실제 병력과 장비를 동원하여 야외에서 실시하는 훈련이다. 영국 연방 군대의 경우 "계획"이라고도 불렸으며, 미국 군대의 경우 FTX 또는 해군력의 경우 함대 훈련 (FLEETEX)으로 알려져 있다. 모의 전투의 두 진영은 "적대 세력"을 시뮬레이션하는 "레드"와 "아군"을 의미하는 "블루"로 불린다.[5]
  • 모의 훈련 (시뮬레이션): 컴퓨터 시뮬레이션, 지도, 천 모형 등을 활용하여 실제 전투 상황을 재현하는 훈련이다. 병력 없는 전술 훈련(TEWT)이라고도 하며, 지휘관은 군사 계획에서 가능한 시나리오를 통해 모형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은 전쟁 시뮬레이션, 또는 가상 전장이라고도 하며, 과거에는 "워게임"으로 묘사되었다.[5] 시뮬레이션 훈련에는 열악한 생활 환경, 수면 부족, 시간 제한, 정보 부족 또는 모호한 정보 등의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6] 탁상 훈련(TTX)은 시뮬레이션 훈련의 하위 집합이며, 위기, 비상사태, 일반적인 전쟁 상황에서 사용할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진행하는 고위 관계자로 제한된다.


훈련 내용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훈련 종류설명
공중전 훈련전투기 조종사들이 공중 전투 기술을 연마하는 훈련
해상전 훈련해군 함정들이 해상 전투, 해양 안보 임무 등을 수행하는 훈련
합동 전술 훈련육해공군이 함께 전술을 숙달하고, 지휘 통제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훈련군사 자원을 활용하여 재난 상황에 대응하고,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는 훈련


3. 1. 훈련 주체 및 규모에 따른 분류

孫子兵法중국어에서는 전쟁은 처음부터 끝까지 기만이라고 했다. 같은 국가의 여러 군대가 함께 훈련하는 것을 연합 훈련이라고 하며, 여러 국가의 군대가 참여하는 훈련은 연합 훈련 또는 다국적 훈련이라고 한다. 다국적 훈련은 두 국가 간의 안보 협정에 기반한 경우 양자 훈련, 여러 국가 간의 협정에 기반한 경우 다자 훈련으로 나뉜다.

2020년 인도 해군, 미국 해군, 해상자위대(일본) 및 호주 해군 간의 연합 해상 훈련


이름주최유형초청
참가자
집중최초
개최
빈도
아나톨리안 이글(Anatolian Eagle)튀르키예다자간공중전2001정해진 일정 없음
AMAN파키스탄다자간해양 안보2007격년
발리카탄필리핀양자간합동 전술1991연례
BALTOPSNATO다자간해상전1971연례
블루 플래그(Blue Flag)이스라엘양자간공중전2013정해진 일정 없음
브라이트 스타(Bright Star)이집트양자간합동 전술1980격년
CARAT미국양자간ASEAN 회원국해상전1995연례
코카서스 훈련러시아다자간합동 전술2006약 4년마다
센터 훈련러시아합동합동 전술20114년마다
코브라 골드태국다자간합동 전술, 군사 시뮬레이션,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1982연례
콜드 리스폰스NATO (노르웨이)다자간방위 태세2006격년
크루아 드 쉬드(Croix du Sud)프랑스다자간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2002격년
다이내믹 만타NATO다자간해상전2006연례
가루다 실드인도네시아다자간합동 전술, 지휘소,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2007연례
그린 대거미국다자간보병 전투2019연례
말라바르(Malabar)인도다자간해상전, 해양 안보1992연례
메이플 플래그캐나다다자간영국, 미국공중전1978연례
리얼 소우포르투갈다자간공중전2009연례
레드 플래그(Red Flag)미국다자간공중전19753년/격년
레드 플래그 – 알래스카미국다자간공중전20063년/4년
레졸루트 드래곤(Resolute Dragon)일본양자간방위 태세, 지휘 및 통제2021연례
RIMPAC미국다자간해상전1971격년
세이프 사레아(Saif Sareea)오만양자간영국합동 전술1986정해진 일정 없음
탤즈먼 세이버(Talisman Saber)오스트레일리아양자간영국, 미국합동 전술; 전투 준비 태세2005격년
바루나(Varuna)인도양자간해상전1993연례
보스토크 훈련(Vostok Exercises)러시아합동전투 준비 태세; 지휘 및 통제20104년마다
자파드(Zapad)러시아, 소련합동다양한 집중1981약 4년마다
이름주최유형초청
참가자
집중최초
개최
빈도



이름주최유형초청
참가자
중점개최빈도의의
함대 문제(Fleet problem)미국연합해상전1923–1941,
2014–2021
불규칙적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전간기 동안 미국 해군의 주요 훈련
캐롤라이나 기동(Carolina Maneuvers)미국연합전쟁 전략1941단독약 35만 명의 병력 투입
루이지애나 기동(Louisiana Maneuvers)미국연합전쟁 전략1941단독약 40만 명의 병력 투입,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두각을 나타낸 여러 장교 포함
리포저 훈련(Exercise Reforger)[NATO]](서독) || 다자간 || 서독, 영국, 미국 || || 전투 준비 태세 || 1969–1988,
1990–1993 || 연례 || NATO와 바르샤바 조약기구 간의 전쟁 발생시 대비 태세 과시
중국 북부 군사 훈련(North China Military Exercise)중국연합미상1981단독11만 4천 명 이상의 병력 투입; 당시까지 중국 최대 규모의 군사 훈련
에이블 아처 훈련(Exercise Able Archer)NATO다자간, 지휘소전투 준비 태세, 핵전쟁미상연례에이블 아처 83(Able Archer 83)은 소련에 의해 NATO의 실제 전쟁 준비로 오인됨
브라스택스 작전(Operation Brasstacks)인도연합합동 군사 훈련1986–1987단독약 50만 명의 병력 투입; 인도 아대륙 역사상 최대 규모의 군사 훈련
밀레니엄 챌린지 2002(Millennium Challenge 2002)미국모의 훈련전쟁 전략2002단독이란 또는 이라크를 대표하는 적군(Redforce)에 의해 청군(미국)이 빠르게 패배한 후, 적군의 능력을 제한하고 청군에 유리하게 새로운 규칙을 적용하여 재개되었으며, 청군이 승리하면서 논란 발생
코카서스 2009(Caucasus 2009)러시아연합전투 준비 태세2009단독러시아-조지아 전쟁 이후 조지아에 대한 무력 시위로 실시
연합 결의 2022(Union Resolve 2022)러시아양자간합동 군사 훈련, 전쟁 전략2022단독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러시아의 동원 기만
2022년 대만 주변 중국 군사 훈련(2022 Chinese military exercises around Taiwan)중국, 대만연합
(대만 불참)
해상전;
합동 군사 훈련
2022단독미국의 대만 영향력 억제를 위해 미국 하원의장 낸시 펠로시의 대만 방문 직후 실시된 미국의 무력 시위
이름주최유형초청
참가자
중점개최빈도의의


3. 2. 훈련 환경 및 목적에 따른 분류

'''지휘소 연습 (CPX)'''은 지휘관 및 참모들이 지휘소에서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의사 결정 능력을 훈련하는 것이다. 특정 통합전투사령부 또는 그 구성 요소의 전력 태세에 중점을 두며, 야외 기동 훈련 (FTX)과 병행하거나 사령부 참모만을 대상으로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5]

'''야외 기동 훈련 (FTX)'''은 실제 병력과 장비를 동원하여 야외에서 실시하는 훈련이다. 영국 연방 군대의 경우 "계획"이라고도 불렸으며, 미국 군대의 경우 야외 훈련 연습 (FTX) 또는 해군력의 경우 함대 훈련 (FLEETEX)으로 알려져 있다. 모의 전투의 두 진영은 "적대 세력"을 시뮬레이션하는 "레드"와 "아군"을 의미하는 "블루"로 불린다.[5]

'''모의 훈련 (시뮬레이션)'''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지도, 천 모형 등을 활용하여 실제 전투 상황을 재현하는 훈련이다. 병력 없는 전술 훈련(TEWT)이라고도 하며, 지휘관은 군사 계획에서 가능한 시나리오를 통해 모형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은 전쟁 시뮬레이션, 또는 가상 전장이라고도 하며, 과거에는 "워게임"으로 묘사되었다.[5] 현대 군사 워게임의 예로는 DARWARS가 있으며, 이는 DARPA가 2003년부터 BBN Technologies와 함께 개발한 진지한 게임이다. BBN Technologies는 패킷 스위칭 개발에 참여한 방위 산업체이며, ARPANET에 사용되었으며 1963년에 최초의 컴퓨터 모뎀을 개발했다.[5]

시뮬레이션 훈련에는 열악한 생활 환경, 수면 부족, 시간 제한, 정보 부족 또는 모호한 정보 등의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6] 탁상 훈련(TTX)은 시뮬레이션 훈련의 하위 집합이며, 위기, 비상사태, 일반적인 전쟁 상황에서 사용할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진행하는 고위 관계자로 제한된다.

3. 3. 훈련 내용에 따른 분류

훈련 종류설명
공중전 훈련전투기 조종사들이 공중 전투 기술을 연마하는 훈련이다. 튀르키예의 아나톨리안 이글, 이스라엘의 블루 플래그, 캐나다의 메이플 플래그, 포르투갈의 리얼 소우, 미국의 레드 플래그 및 레드 플래그 – 알래스카 등이 있다.
해상전 훈련해군 함정들이 해상 전투, 해양 안보 임무 등을 수행하는 훈련이다. NATO의 BALTOPS와 다이내믹 만타, 미국의 CARAT와 RIMPAC, 인도의 말라바르와 바루나, 파키스탄의 AMAN 등이 있다.
합동 전술 훈련육해공군이 함께 전술을 숙달하고, 지휘 통제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이다. 필리핀의 발리카탄, 이집트의 브라이트 스타, 러시아의 코카서스 훈련과 센터 훈련, 태국의 코브라 골드, 인도네시아의 가루다 실드, 오만의 세이프 사레아, 오스트레일리아의 탤즈먼 세이버 등이 있다.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훈련군사 자원을 활용하여 재난 상황에 대응하고,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는 훈련이다. 프랑스의 크루아 드 쉬드가 대표적이며, 태국의 코브라 골드, 인도네시아의 가루다 실드 훈련에서도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다.


4. 주요 군사 훈련

M113 장갑차독일 헤르브슈타인에서 리포저 83 훈련 동안 민간 교통을 지나가고 있다.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과 미국의 연합 군사 훈련으로 과거 팀 스피릿이 있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1] 을지 프리덤 가디언(UFG)은 대한민국 정부 주도로 실시되었던 범정부 차원의 위기 관리 훈련이었으나, 현재는 을지태극연습으로 변경되었다.[1] 키 리졸브/독수리 연습(KR/FE)은 한미 연합 방위 태세 점검 및 한반도 방위를 위해 실시되었다.[1]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주도로 실시되는 전구급 지휘소 연습으로는 태극연습이 있다.[1]

4. 2. 미국

미국은 자국 방위 군사 훈련 외에도 미국 통합군 등 미국의 해외 주둔 부대 및 우호국, 군사 동맹국 등과의 군사 훈련을 빈번하게 실시하고 있다. 특히 NATO 가맹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의 군사 동맹국, 인도, 필리핀 등 미국군의 해외 주둔 파견에 중요한 위치에 있는 국가와의 군사 훈련이 잦다. 최근에는 테러 대책과 관련된 군사 훈련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미군은 실제 병기를 파괴하는 등 더욱 현실적이고 대규모적인 군사 훈련을 많이 실시한다. 노후화 등으로 인해 폐기된 전차, 군함, 군용기 등을 신형 병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파괴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전투기를 개조한 무인 항공기를 원격 제어로 비행시키고, 파일럿이 격추하는 등의 훈련도 진행된다.

대규모적이고 정기적인 다국간 훈련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환태평양 훈련(림팩, RIMPAC): 하와이에서 격년으로 실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다국적 해상 훈련이다. 환태평양 국가들이 참가한다.
  • 코브라 골드: 태국에서 진행되는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한 국가들과의 합동 훈련이다.

4. 3. 기타 국가

군사 연습은 실제 군사 작전을 모방하여 훈련하는 활동이다. 손자병법에서는 전쟁을 처음부터 끝까지 기만이라고 묘사한다. 실제로 침략 전쟁을 준비하면서도 군사 연습이라고 속이는 경우가 있다. 평상시 군대는 완전 무장을 하지 않지만, 군사 훈련을 핑계로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추고 접근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침략전쟁은 국제형사재판소 등에서 처벌하지만, 침략 국가는 이를 자백하지 않고 자위권 행사라고 주장하며 기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월남전 패전 후 미국은 손자병법을 연구하여 전략 전술에 적용하고 있다.

5. 논란 및 비판

군사 훈련은 여러 가지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군사적 긴장 고조군사 훈련은 주변국에 대한 군사적 압박 수단으로 활용되어 긴장을 고조시키기도 한다. 특히 대규모 군사 훈련은 상대 국가에게 위협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군사적 긴장 관계에 있는 국가에 대한 시위 행위로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침략의 계기로 악용(관동군 특수 연병)되기도 하여 대립 관계에 있는 국가에게는 매우 불쾌한 행위로 간주되어 항의를 받기도 한다.
기만 전술 악용군사 훈련은 실제 침략의 준비 단계로 악용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군사 훈련을 명분으로 군대를 이동시킨 후 기습 공격을 감행한 사례가 존재한다. 손자병법에서는 전쟁은 처음부터 끝까지 기만이라고 하였다. 침략 전쟁을 위해 완전 무장한 군대를 배치하는 경우, 상대국이 항의하면 군사 연습이라고 기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침략 국가는 국제법상의 침략 범죄를 자백하지 않고, 자위권 행사를 주장하며 기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환경 문제대규모 군사 훈련은 환경 파괴, 소음 공해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비용 문제현대 군사 훈련은 여러 국가 간에 실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이나 작전의 차이를 확인하고 실전에서 더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군 조직은 잦은 전근으로 인해 매년 훈련을 실시하지 않으면 연계 확인이 어려워 전투력 유지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군사 훈련이 금전적 낭비라고 주장하며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을 중단하기도 했지만, 이는 전투력 유지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군 고위 관계자들의 반발을 샀다.[4]

5. 1. 군사적 긴장 고조

군사 훈련은 주변국에 대한 군사적 압박 수단으로 활용되어 긴장을 고조시키기도 한다. 특히 대규모 군사 훈련은 상대 국가에게 위협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022년 대만 주변 중국 군사 훈련은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반발하여 중국대만 주변에서 실시한 대규모 군사 훈련이었다. 이는 대만 해협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2022년 대만 주변 중국 군사 훈련
이름주최유형초청 참가자중점개최빈도의의
2022년 대만 주변 중국 군사 훈련중국, 대만연합 (대만 불참)해상전, 합동 군사 훈련2022단독미국의 대만 영향력 억제를 위해 미국 하원의장 낸시 펠로시의 대만 방문 직후 실시된 무력 시위



군사 훈련은 군사적 긴장 관계에 있는 국가에 대한 시위 행위로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군사 훈련을 명분으로 침략의 계기로 삼거나 침략 준비 행동이 이루어진 (관동군 특수 연병) 역사도 존재하기 때문에, 심각한 대립 관계에 있는 국가에게는 매우 불쾌한 행위로 간주되어 항의를 받기도 한다.

5. 2. 기만 전술 악용

군사 훈련은 실제 침략의 준비 단계로 악용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군사 훈련을 명분으로 군대를 이동시킨 후 기습 공격을 감행한 사례가 존재한다.

손자병법에서는 전쟁은 처음부터 끝까지 기만이라고 하였다. 침략 전쟁을 위해 완전 무장한 군대를 배치하는 경우, 상대국이 항의하면 군사 연습이라고 기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예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의 관동군 특수 연병은 만주 침략을 위한 준비 단계였다.
  • 예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와의 접경 지역에서 '연합 결의 2022' 훈련을 실시했으나, 이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위한 기만 전술이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침략 국가는 국제법상의 침략 범죄를 자백하지 않고, 자위권 행사를 주장하며 기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3. 환경 문제

대규모 군사 훈련은 환경 파괴, 소음 공해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5. 4. 비용 문제

현대 군사 훈련은 여러 국가 간에 실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이나 작전의 차이를 확인하고 실전에서 더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군 조직은 잦은 전근으로 인해 매년 훈련을 실시하지 않으면 연계 확인이 어려워 전투력 유지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군사 훈련이 금전적 낭비라고 주장하며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을 중단하기도 했지만, 이는 전투력 유지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군 고위 관계자들의 반발을 샀다.[4]

참조

[1] 논문 War Games, Analyses, and Exercises https://www.jstor.or[...] 1987
[2] 논문 The Epistemology of War Gaming https://www.jstor.or[...] 2006
[3] 뉴스 Why Russia and China's joint military exercises should worry the West https://www.economis[...] 2018-09-13
[4] 논문 Deterrence and Restraint: Do Joint Military Exercises Escalate Conflict? https://doi.org/10.1[...] 2021
[5] 웹사이트 United States Military Exercises https://fas.org/man/[...] 2015-11-15
[6] 논문 Battlefield ethics training: integrating ethical scenarios in high-intensity military field exercises 2014-08-01
[7] 논문 War, Games, and Military History https://www.jstor.or[...] 1983
[8] 서적 War in the Age of Intelligent Machines Swerve Editions 1991
[9] 논문 The Simulation Syndrome: From War Games to Game Wars https://www.jstor.or[...] 1990
[10] 논문 Simulating the Unthinkable: Gaming Future War in the 1950s and 1960s https://www.jstor.or[...] 2000
[11] 서적 War in the Age of Intelligent Machi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