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염고래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염고래과는 입 아래에서 배꼽까지 이어지는 세로 주름이 특징이며, 수염판을 사용하여 크릴, 어류 등을 걸러 먹는 고래류이다. 전 세계에 분포하며, 런지 피딩, 기포 그물 먹이사냥과 같은 다양한 섭식 방식을 보인다. 임신 기간은 11~12개월이며, 일부 종은 소규모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과거 포경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였으나,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염고래과 - 혹등고래
    혹등고래는 긴수염고래과의 수염고래로, 큰 가슴지느러미와 등에 있는 혹으로 구별되며,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회유하는 동물로, 과거 포경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현재는 회복 중이지만, 일부 개체군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위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수염고래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큰고래, 흰긴수염고래
흰긴수염고래, Balaenoptera musculus
학명Balaenopteridae
나그네고래
학자Gray, 1864
Balaenoptera
속 학자Lacépède, 1804
화석 범위마이오세 – 현재
프랑스어rorqual
노르웨이어røyrkval
고대 노르드어reyðr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경우제목
아목경하마형아목
하목고래하목
소목수염고래소목
하위 분류
현존하는 속대왕고래속
Megaptera
이명

2. 특징

수염고래과는 입 아래에서 배꼽까지 이어지는 세로 주름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 주름 덕분에 먹이를 먹을 때 입을 크게 벌릴 수 있다.[5] 몸은 가늘고 유선형이며, 대부분 좁고 길쭉한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등지느러미는 몸길이의 약 2/3 지점에 위치한다. 대부분의 수염고래류는 물을 꿀꺽 삼킨 다음 혀로 수염판을 통해 밀어내는 방식으로 먹이를 먹는다. 이들은 크릴과 같은 갑각류청어, 정어리 같은 어류를 먹는다.[6]

임신 기간은 11~12개월이며,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젖을 떼는 기간은 종에 따라 6~12개월이다.[6] 일부 종은 2~5마리의 소규모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예를 들어, 혹등고래는 무리에서 함께 행동하거나 혼자 지내기도 하는 유동적인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대 종은 흰긴수염고래로 최대 몸길이 33.6m이며, 수염고래과는 물론 고래목, 포유강에서도 가장 큰 종이다. 최소 종은 밍크고래로 최대 몸길이 10.7m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체형은 가늘고 길다. 아래턱은 약간 위쪽으로 굽어 있으며, 위턱 끝보다 아래턱 끝이 앞쪽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턱에서 배에 이르기까지 홈이 있다.

바다에 서식한다.

식성은 육식이며, 갑각류, 어류 등을 먹는다. 무리를 지어 있는 먹이를 입을 크게 벌려 바닷물과 함께 삼킨 후, 수염으로 먹이만 걸러 먹는다.[27] 먹이를 섭취할 때 돌진하며 먹이를 삼키는 것을 런지 피딩이라고 하며, 때로는 수면까지 먹이를 쫓아 상반신이 바닷물에서 튀어나오기도 한다.[27] 혹등고래는 기포를 발생시켜 먹이를 몰아넣는 기포 그물 먹이사냥을 하기도 한다.[27]

번식 방법은 태생이다. 겨울에 교미하고, 임신 기간은 11~12개월이다.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수유 기간은 약 6~12개월이다.

3. 분포 및 서식지

수염고래과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대왕고래(흰긴수염고래), 참고래, 혹등고래, 밍크고래는 모든 주요 대양에서 발견된다.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는 대서양, 태평양, 인도양에서 서식하며, 북극과 남극의 찬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7] 대부분의 수염고래류는 겨울에 열대 해역에서 번식하고, 여름에는 극지방으로 이동하여 먹이를 섭취한다.

4. 섭식 습성

수염고래과 동물들은 입 아래에서 배꼽까지 이어지는 주름이 있어 먹이를 먹을 때 입을 크게 벌릴 수 있다. 이들은 주로 크릴과 같은 갑각류청어, 정어리와 같은 어류를 먹는다.[6]

알래스카 연안에서 밍크고래가 어린 명태를 먹고 있는 모습


수염고래류는 덮치는 먹이 섭취(lunge-feeding) 방식으로 먹이를 얻는다.[10] 이는 고래가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입을 크게 벌려 엄청난 양의 물과 먹이를 함께 삼키는 방식이다.[10] 이러한 행동을 위해 수염고래류는 좌우로 분리된 하악(mandible), 크게 확장 가능한 턱주름, 삼키는 행위를 돕는 감각 기관 등 특별한 신체 구조를 가지고 있다.[11]

혹등고래는 기포를 발생시켜 먹이를 몰아넣는 기포 그물 먹이사냥(bubble-net feeding)을 하기도 한다.[27]

5. 분류

현존하는 수염고래과는 긴수염고래속(''Balaenoptera'')과 혹등고래(''Megaptera'')속으로 나뉘며, 9~10종이 속해 있다. 이전에는 수염고래아과와 혹등고래아과의 두 아과로 분류되었으나, 계통 발생 연구 결과에 따라 2005년에 아과 분류는 폐기되었다.[14]

2003년 11월에는 긴수염고래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은 옴우라고래(''Balaenoptera omurai'')가 인도-태평양 해역에서 발견되었고,[17] 2021년에는 브라이드고래와는 별개인 라이스크지(''Balaenoptera ricei'')가 멕시코만 북동부에서 발견되었다.[17]

멸종된 속으로는 ††아르카에발레노프테라(Archaebalaenoptera), ††세토테리오파네스(Cetotheriophanes), ††디우나탄스(Diunatans), ††플레시오발레노프테라(Plesiobalaenoptera) 등이 있다.

베를린 자연사박물관에 있는 멸종된 *플레시오발레노프테라 후바치*의 골격


인카쿠지라 아닐리오데푸에고(''Incakujira anilliodefuego'') 파라타입

5. 1. 하위 종


  • 대왕고래속(''Balaenoptera'')
  • * 큰고래 (''Balaenoptera physalus'')
  • * 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 * 브라이드고래 (''Balaenoptera edeni'')
  • ** ''Balaenoptera edeni brydei''
  • ** ''Balaenoptera edeni edeni''
  • * 대왕고래 (''Balaenoptera musculus'')
  • * 쇠정어리고래 또는 북방쇠정어리고래 (''Balaenoptera acutorostrata'')
  • ** ''Balaenoptera acutorostrata acutorostrata''
  • ** ''Balaenoptera acutorostrata scammoni''
  • * 남방쇠정어리고래 (''Balaenoptera bonaerensis'')
  • * 오무라고래 (''Balaenoptera omurai'') - 2003년 11월에 발견되었다.
  • * 라이스고래 ((''Balaenoptera ricei'') - 2022 10월에 발견되었다.
  • 혹등고래속 (''Megaptera'')
  • * 혹등고래 (''Megaptera novaeangliae'')

5. 2. 계통 분류

거테시 등(Gatesy et al.)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고래는 크게 수염고래이빨고래로 나뉜다.[30] 수염고래는 다시 여러 과로 나뉘는데, 그 중 긴수염고래과에는 꼬마긴수염고래, 귀신고래, 수염고래과 등이 포함된다.

2019년 분자계통 분석에 따르면, 귀신고래는 긴수염고래과(긴수염고래속)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5] 또한 혹등고래도 긴수염고래속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현존하는 수염고래과의 종 목록이다.

학명한국어 명칭영어 명칭
긴수염고래속Balaenoptera acutorostrata밍크고래Common minke whale
Balaenoptera bonaerensis남극밍크고래Antarctic minke whale
Balaenoptera borealis귀신고래Sei whale
Balaenoptera brydei브라이드고래Brydes whale
Balaenoptera edeni에덴고래Edens whale
Balaenoptera musculus흰긴수염고래Blue whale
Balaenoptera omurai옴우라고래Omuras whale
Balaenoptera physalus긴수염고래Fin whale
Balaenoptera ricei라이스크지[24]Rices whale
혹등고래속Megaptera novaeangliae혹등고래Humpback whale



흰긴수염고래 골격


밍크고래

6. 인간과의 관계

과거 포경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다.[1] 그러나 개체 수 변화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관측 사례가 없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이 불분명한 종도 있다.[1]

참조

[1] MSW3
[2] 웹사이트 Family Balaenopteridae Gray 1864 (rorqual) https://paleobiodb.o[...] 2018-04-09
[3] OED
[4] 서적 The Century Dictionary https://books.google[...]
[5] 서적 The World's Whales: The Complete Illustrated Guide The Smithsonian Institution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7] 웹사이트 All About Baleen Whales SeaWorld Parks & Entertainment https://seaworld.org[...] 2021-01-23
[8] 논문 A new species of baleen whale (Balaenoptera) from the Gulf of Mexico, with a review of its geographic distribution https://repository.l[...]
[9] 웹사이트 Bryde's Whale https://wwhandbook.i[...] 2021-01-22
[10] 서적 National Audubon Society Guide to Marine Mammal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Chanticleer Press
[11] 논문 Discovery of a sensory organ that coordinates lunge feeding in rorqual whales Nature Publishing Group
[12] 웹사이트 Gigantic Whales Eat Thanks To 'Bungee-Cord' Nerves https://time.com/384[...] 2015-05-05
[13] 논문 Passive versus active engulfment: verdict from trajectory simulations of lunge-feeding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14] 논문 The taxonomic and evolutionary history of fossil and modern balaenopteroid mysticetes
[15] 논문 Whole-genome sequencing of the blue whale and other rorquals finds signatures for introgressive gene flow
[16] 논문 Phylogenomic Resolution of the Cetacean Tree of Life Using Target Sequence Capture 2019-10-21
[17] 웹사이트 Gulf of Mexico Bryde's Whale NOAA Fisheries https://www.fisherie[...] 2021-01-19
[18] 웹사이트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https://marinemammal[...] 2021
[19] 논문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20] 서적 Order Cetace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1]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2] 웹사이트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https://marinemammal[...]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2024-01-22
[23] 서적 海棲哺乳類 種名表 緑書房
[24] 서적 ライスクジラ 日経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
[25] 논문 Phylogenomic Resolution of the Cetacean Tree of Life Using Target Sequence Capture 2019-10-21
[26] 논문 Tread-water feeding of Bryde’s whales https://doi.org/10.1[...] Elsevier
[27] 서적 ヒゲクジラ類の採餌方法 緑書房
[28] MSW3
[29] 웹인용 Cetacea Statistics http://www.marinespe[...] www.marinespecies.org 2012-07-30
[30] 논문 A phylogenetic blueprint for a modern whale https://www.montcla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