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연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학연보는 1874년 '디 애널리스트'로 창간되어 미국에서 발행된 수학 학술지이다. 1884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솔로몬 렙셰츠의 편집 시기(1928-1958)에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1933년부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공동으로 편집, 발행하고 있으며, 1998년부터 전자 저널도 제공한다. 2019년 7월 현재 찰스 페퍼먼 등 6명의 편집진이 활동하고 있으며, '수학' 분야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진 학술지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4년 창간 - 요미우리 신문
요미우리 신문은 1874년 창간된 일본의 유력 신문으로, 중도우파, 친미, 보수 성향을 보이며, 쇼리키 마쓰타로의 경영 인수 이후 발전하여 전국적으로 발행된다. - 1874년 창간 - 아키타 사키가케 신보
아키타 사키가케 신보는 1873년 창간되어 도호쿠 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신문 중 하나이며 아키타현을 대표하는 언론사로서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다양한 미디어 및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수학 학술지 - 수학 리뷰
수학 리뷰는 오토 E. 노이게바우어가 나치 검열을 피하고자 1940년에 설립한 수학 학술지 및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전 세계 수학 연구 출판물에 대한 리뷰를 제공하며 MathSciNet을 통해 1940년 이후의 자료와 수학 인용 지수를 제공하지만 평가 주관성 및 지수 방식의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수학 학술지 - 첸트랄블라트 마트
첸트랄블라트 마트는 수학, 응용 수학 및 관련 분야의 논문, 회의 논문, 서적 등에 대한 리뷰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1931년 창간되어 zbMATH라는 이름의 온라인 서비스로 제공되다가 2021년부터 zbMATH Open이라는 이름으로 무료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한다. - 격월간 학술지 - 미국 사회학 저널
미국 사회학 분야의 학술지인 《미국 사회학 저널》은 1895년 창간되어 사회이론과 사회심리학 연구를 중심으로 미국 사회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매년 우수 논문에 로저 V. 골드 상을 수여한다. - 격월간 학술지 - 포린 어페어스
포린 어페어스는 미국외교협회가 1922년 창간한 미국의 유력 국제 문제 전문지이며, 외교관, 금융인, 학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기고하고, 조지 F. 케넌의 봉쇄 정책 발표 등 중요한 논의를 이끌어왔다.
수학연보 | |
---|---|
수학 연보 | |
![]() | |
일반 정보 | |
언어 | 영어 |
분야 | 수학 |
약칭 | Ann. Math. |
이전 명칭 | The Analyst (디 애널리스트) |
출판사 | 프린스턴 대학교 및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국가 | 미국 |
발행 빈도 | 격월간 |
창간 연도 | 1874년 |
온라인 접근 | 지연된 오픈 액세스 (5년 후) |
영향력 지수 | 5.24 (2019년) |
웹사이트 | 수학 연보 공식 웹사이트 |
JSTOR | 0003486X |
OCLC | 01481391 |
LCCN | 49006640 |
CODEN | ANMAAH |
ISSN | 0003-486X |
편집 정보 | |
편집장 | 헬무트 호퍼 닉 카츠 세르지우 클라이너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 아사프 노르 피터 사르낙 졸탄 자보 |
2. 역사
1874년 헨드릭스가 ''디 애널리스트''(The Analyst)라는 이름으로 창간하였으나,[1] 1883년에 헨드릭스의 건강 악화로 폐간되었다.[4] 1884년 버지니아 대학교의 오르몬드 스톤이 현재의 이름으로 재창간하였고,[5][6] 1899년 하버드 대학교를 거쳐 1911년 프린스턴 대학교로 발행처가 옮겨졌다.
1928년부터 1958년까지 솔로몬 렙셰츠가 편집장으로 재직하면서, 수학연보는 급속히 명성을 얻으며 미국 수학자들을 자극하였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이 수학 최강국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했다.[7]
1933년 고등연구소가 개소하면서 프린스턴 대학교와 공동으로 편집 및 발행을 시작했다.[1] 1998년부터는 전자 저널도 함께 출판하고 있으며, 그 이전 논문들은 [http://www.jstor.org JSTOR.ORG]에서 유료로 서비스되고 있다.
2. 1. 창간과 초기 역사 (1874년 ~ 1911년)
1874년 ''디 애널리스트''(The Analyst)라는 이름으로 출판되기 시작한 것이 시초였으며[1], 초대 편집장은 조엘 E. 헨드릭스였다. 이 학술지는 "순수 및 응용 수학의 모든 질문을 제시하고 분석하는 매개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특히 이론 및 실용 천문학, 기계 철학 및 공학 분야의 새롭고 흥미로운 모든 발견을 포함한다."[2] 아이오와주 데모인에서 출판되었으며,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출판된 최초의 미국 수학 저널이었다.[3] 1883년, 헨드릭스의 건강 악화를 이유로 10년 만에 출판이 중단되었으나,[4] 새로운 경영진에게 인계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고,[5] 1884년 3월부터 ''수학연보''로 계속 출판되었다.[6] 버지니아 대학교의 오몬드 스톤이 이 학술지의 새로운 판을 편집했다. 1899년 하버드 대학교로 옮겨졌고, 1911년 현재의 위치인 프린스턴 대학교로 이전했다.2. 2. 솔로몬 렙셰츠와 전성기 (1928년 ~ 1958년)
1928년부터 1958년까지 솔로몬 렙셰츠가 편집자로 재직하면서 ''수학연보''는 중요한 시기를 맞이했다.[7] 이 시기 동안, 수학연보는 급속하게 명성을 얻으며, 많은 미국 수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노먼 스틴로드는 렙셰츠의 편집자로서의 영향력에 대해 "미국 수학자에게 일류 학술지의 중요성은 그들이 목표로 삼을 높은 기준을 제시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다소 간접적인 방식으로 렙셰츠는 미국의 수학 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라고 평가했다.[7] 당시 수학의 중심지는 미국이 아닌 유럽(독일, 프랑스, 영국)이었지만, 렙셰츠의 편집 아래 수학연보는 미국의 수학 발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이 수학 최강국 중 하나로 부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2. 3. 프린스턴 대학교와 고등연구소 (1933년 ~ 현재)
1933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는 《수학연보》를 단독으로 출판하였으나, 이 해에 고등연구소가 개소하면서 두 기관이 공동으로 편집 및 발행을 하고 있다.[1] 1998년부터는 종이판과 더불어 전자 저널도 함께 출판하고 있다. 1998년 이전의 《수학연보》 논문들은 [http://www.jstor.org JSTOR.ORG]에서 스캔하여 유료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 서비스를 구독하는 기관, 학교, 단체들은 전자 저널 형태로 볼 수 있다.3. 편집진
2019년 7월 이전에 헬무트 호퍼(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닉 카츠, 세르지우 클라이네르만, 페르난두 코르다 마르케스, 아사프 노르, 피터 사르낙, 졸탄 사보 (모두 프린스턴 대학교)가 편집자로 활동했다.[20]
3. 1. 현재 편집진 (2019년 ~ 현재)
2019년 7월 기준 수학연보의 편집진은 다음과 같다.- 찰스 페퍼먼, 프린스턴 대학교
- 데이비드 가바이, 프린스턴 대학교
- 니콜라스 카츠, 프린스턴 대학교
- 세르규 클라이너만, 프린스턴 대학교
- 페르난도 마르케스, 프린스턴 대학교
- 피터 사낙, 프린스턴 고등연구소[20]
3. 2. 역대 주요 편집자
2019년 7월 현재 《수학연보》의 편집자는 다음과 같다.- 찰스 페퍼먼 (프린스턴 대학교)
- 데이비드 가바이 (프린스턴 대학교)
- 니콜라스 카츠 (프린스턴 대학교)
- 세르규 클라이너만 (프린스턴 대학교)
- 페르난도 마르케스 (프린스턴 대학교)
- 피터 사낙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이 학술지는 1874년 《The Analyst》로 창간되었으며, 초대 편집장은 조엘 E. 헨드릭스였다.[1] 1884년 3월부터는 《수학연보》라는 이름으로 오몬드 스톤이 편집을 맡았다.[6]
솔로몬 레프셰츠는 1928년부터 1958년까지 편집자로 활동하며 학술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7] 노먼 스틴로드는 레프셰츠의 영향력에 대해 "미국 수학자에게 일류 학술지의 중요성은 그들이 목표로 삼을 높은 기준을 제시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다소 간접적인 방식으로 레프셰츠는 미국의 수학 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라고 설명했다.[7]
4. 영향력과 평가
이 학술지는 과학 인용 색인, 현대 내용/물리, 화학 및 지구 과학[8], 스코퍼스에 수록 및 색인되어 있다.[9] ''학술지 인용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영향력 지수는 5.246으로 "수학" 분야 330개 학술지 중 3위를 차지했다.[10] 2009년 영향력 지수는 4.174로, 수학 분야 255개 학술지 중 최상위에 올랐다.[21]
참조
[1]
서적
Mathematical journals: an annotated guid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992
[2]
논문
Introductory remarks
[3]
논문
Mathematical progress in America
https://www.ams.org/[...]
[4]
논문
Announcement
[5]
논문
Announcement
[6]
논문
The Analyst, 1874-1883
[7]
웹사이트
Solomon Lefschetz.
http://www-history.m[...]
2010-02-02
[8]
웹사이트
Master Journal List
http://ip-science.th[...]
Thomson Reuters
2014-04-29
[9]
웹사이트
Scopus title list
http://cdn.elsevier.[...]
Elsevier
2014-04-29
[10]
서적
2020 Journal Citation Reports
Clarivate
[11]
간행물
Ann. Math.
Zentralblatt MATH
2011-08-09
[12]
간행물
Ann. of Math.
Mathematical Reviews
2011-08-09
[13]
서적
Mathematical journals: an annotated guid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992
[14]
논문
Introductory remarks
[15]
논문
Mathematical progress in America
http://www.ams.org/b[...]
[16]
논문
Announcement
[17]
논문
Announcement
[18]
논문
The Analyst, 1874-1883
[19]
웹사이트
Solomon Lefschetz.
http://www-history.m[...]
2010-02-02
[20]
웹사이트
Editorial Board.
http://annals.math.p[...]
[21]
웹사이트
Web of Science
http://isiwebofknowl[...]
2011-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