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천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천만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만으로, 갯벌, 염생습지, 갈대밭 등 자연 지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약 5.4km²에 달하는 넓은 갈대 군락은 철새들의 은신처가 되어 흑두루미, 저어새 등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이며, 수달, 삵 등도 서식한다. 순천만은 람사르 습지,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 순천갯벌의 세계유산 등재 등을 통해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시 (전라남도)의 지리 - 모후산
    모후산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산으로, 전라남도의 주요 산, 시/군별 산 목록, 문화 및 역사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지리 - 순천만국가정원
    순천만국가정원은 순천시에 위치한 대한민국 대표 정원으로, 국제정원박람회 개최지이자 세계 각국의 정원과 테마 정원, 습지로 구성되어 순천시 관광 산업 발전과 생태 도시 위상 강화에 기여하지만, 환경 파괴 논란과 예산 낭비 비판도 있다.
  • 대한민국의 만 - 마산만
    마산만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만으로, 봉암갯벌이 위치하며 수질 및 생태 환경 개선을 통해 도시와 자연의 공존 가능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대한민국의 만 - 경기만
    경기만은 강화만, 남양만 등을 포함하며 강화도, 영종도 등의 섬들이 속해 역사적, 산업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만이다.
  • 대한민국의 람사르 등록 습지 - 밤섬
    밤섬은 한강 하류의 무인도로, 과거 주민이 거주했으나 여의도 개발로 폭파된 후 현재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생태적 가치가 높은 조류와 식물의 서식지로 보전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람사르 등록 습지 - 우포늪
    우포늪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의 자연 늪으로,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습지이자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생태학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멸종 위기종을 포함한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철새 도래지 역할과 더불어 홍수 조절, 수질 정화, 식량 공급 등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순천만
기본 정보
순천만 전경
순천만 전경
위치순천시, 전라남도
좌표34°48′N 127°24′E
면적3.5 km²
지정람사르 습지 (2006년 1월 20일)
람사르 등록 번호1594
지리
해안선 길이약 66 km
해안남해
생태
생물 지리구구북구
생물군계개펄
조류저어새, 황새, 민물도요 외 140종 이상

2. 지형

순천만은 원형에 가까운 만으로 그 크기는 남북 직경 약 30km, 동서 22km이다. 주요 지형은 갯벌, 염생습지, 구하도, 자연제방, 하천지형(범람원, 배후습지) 등을 들 수 있다. 순천만의 안과 입구에는 많은 작은 섬들이 있으며 동천 하구의 동쪽 해안 지역은 해식애를 이루고 있고, 서쪽 해안 일대는 뻘질 간석지로 나타나는데 현재는 방조제를 만들어 간척하였다. 순천만의 토양은 표토는 암회갈색의 사양토가 기층에는 뻘질의 점토 성분이 많아 배수가 불량한 편이라 홍수 등 재해 대책에 어려움이 있다.[3]

순천만

3. 생태

순천만의 갈대


순천만의 넓은 갯벌, 갈대밭, 염습지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염습지는 수질 오염 방지 및 정화 기능을 수행하여 순천만을 깨끗하게 유지한다. 강 하구의 얕은 갯벌은 적절한 염분, 풍부한 생물, 건강한 수질을 갖추고 있어 물고기, 게, 조개류 등의 산란장이 된다.

3. 1. 서식 동식물

순천만에는 갈대가 고밀도로 단일 군락을 이루고 있다. 바다와 인접한 갯벌 주변에 약 5.4km2에 달하는 갈대밭이 있는데 한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이루는 동시에 잘 보전된 갈대 군락이다. 잘 보전된 갈대 군락은 새들에게 은신처와 먹이를 제공하여 철새들이 많이 찾아온다. 국제보호종인 흑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와 같은 조류 외에도 저어새, 황새, 혹부리오리, 민물도요 등이 서식하고 있다.[4][5]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는 논병아리, 해오라기, 황로, 노랑부리백로, 쇠백로, 중백로, 왜가리, 쇠기러기, 큰기러기,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고방오리, 흰죽지, 댕기흰죽지, 캐나다두루미시베리아~중국~한국을 경유하는 종 140종이 넘는 조류가 관찰되었다.[4][5]

'''가상 서식 동물'''

'''조류'''

'''식물'''

  • 갈대
  • ''Aster tripolium''
  • ''Plantago major for. yezomaritima''

3. 2. 특징

순천만에는 갈대가 고밀도로 단일 군락을 이루고 있다. 바다와 인접한 갯벌 주변에 약 5.4km2에 달하는 갈대밭이 있는데, 한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이루는 동시에 잘 보전된 갈대 군락이다. 잘 보전된 갈대 군락은 새들에게 은신처와 먹이를 제공하여 철새들이 많이 찾아온다. 국제보호종인 흑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와 같은 조류 외에도 저어새, 황새, 혹부리오리, 민물도요 등이 서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는 논병아리, 해오라기, 황로, 노랑부리백로, 쇠백로, 중백로, 왜가리, 쇠기러기, 큰기러기,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고방오리, 흰죽지, 댕기흰죽지, 캐나다두루미시베리아~중국~한국을 경유하는 140종이 넘는 조류가 관찰되었다.[4][5]

순천만의 넓은 갯벌, 갈대밭, 염습지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염습지는 수질 오염 방지 및 정화 기능을 수행하여 순천만을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강 하구의 얕은 갯벌은 적절한 염분, 풍부한 생물, 건강한 수질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순천만은 물고기, 게, 조개류 등의 산란장이 된다.

4. 환경 문제와 보전 노력

순천만은 여러 환경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를 보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위 섹션 "산업화와 오염" 참조)

4. 1. 산업화와 오염

순천만 주변 하천의 직강화로 인해 유속이 빨라져 퇴적물들이 빨리 퇴적하여 갯벌이 확장되고 있다. 또한 갯벌로 갈대의 군락이 확대되고 있다. 복잡한 해안선은 약 58.7km에 이르며 간석지가 발달하고 흩어져 있는 섬들 주변은 어업 발전에 좋은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연안에는 조기, 멸치, 갈치, 장어, 문어, 전어 등의 어업이 성하며, , 꼬막, 양식도 활발하다. 하지만 순천만의 구하도 주변에 축사가 들어서고 오폐수의 유입으로 부영양화 현상을 보이고 있고, 구하도의 물이 항상 고여 있어 오염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구하도가 자연적으로 퇴적되어 하천의 깊이가 얕아지게 되면서 매립되어 농경지와 도로로 변하면서 사라지고 있다.

5. 문화적 가치

순천만의 S자형 수로는 대한민국 사진작가가 선정한 10대 낙조 중 하나이다. 또한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일몰과 철새가 떼 지어 날아오르는 광경이 장관을 이루어 2006년에는 한국관광공사 최우수 경관 감상형지로 선정되었고, 2008년 6월에는 명승 제41호로 지정되는 등 경관적 가치가 뛰어나다.

참조

[1] 웹사이트 Suncheon Bay https://rsis.ramsar.[...] 2018-04-25
[2] 웹사이트 순천만 정보 http://www.cha.go.kr[...]
[3] 논문 순천만의 하구 지형 경관 변화 2004
[4] 뉴스 세상 흑두루미 절반이 여기에…'탐조 성지' 전남 순천만 https://www.yna.co.k[...] 2024-11-25
[5] 웹인용 순천만, 겨울 철새의 성지로 떠오르다 https://www.newscj.c[...] 2024-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