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현재가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현재가치(NPV)는 미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하여 투자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NPV는 할인율, 현금 흐름, 프로젝트 기간 등을 고려하여 계산되며, NPV가 0보다 크면 투자가 가치를 더하고 0보다 작으면 가치를 감소시킨다. NPV는 자본 효율성 비율을 통해 투자된 달러당 기여도를 측정하고, 투자 의사 결정에 활용된다. 장점으로는 화폐의 시간 가치를 반영하고 다양한 투자 옵션을 쉽게 비교할 수 있다는 점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입력 변수의 예측 정확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고 비재무적 지표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치평가 (금융) - 유니콘 기업
유니콘 기업은 설립 10년 이내, 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기술 기업을 지칭하는 용어로, 벤처 기업의 희소성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기업 가치에 따라 데카콘, 헥토콘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가치평가 (금융) - 액면 금액
액면 금액은 채권의 최초 발행 또는 만기 시 상환 가치이거나, 주식의 최초 발행 시 명목 가치를 의미하며, 통화에서는 동일 가치로 교환되거나 금 함량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 관리회계 - 고정비
고정비는 생산량 변동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비용으로, 경제학에서는 자본 관련 비용, 회계학에서는 매출원가 외 비용을 의미하며, 약정 고정비와 재량적 고정비로 구분되고, 자동화 및 인건비 고정비화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 관리회계 - 손익분기점
손익분기점은 총수입과 총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으로, 이 지점을 기준으로 이익과 손실이 나뉘며 기업의 경영 상태를 파악하고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수리금융학 - 이자율
이자율은 자금의 시간 가치를 반영하는 금리로서, 대출 또는 차입 시 지불되는 이자의 비율이며, 통화정책, 기준금리, 만기, 신용도, 시장 수요 공급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 수리금융학 - 72의 법칙
72의 법칙은 복리 계산 시 투자 원금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수익률로 나누어 어림수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투자 결정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며, 이자율 조건에 따라 다른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순현재가치 | |
---|---|
개요 | |
유형 | 재무 지표 |
분야 | 기업 금융 |
정의 및 계산 | |
정의 | 미래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에서 초기 투자 비용을 뺀 값 |
수식 | NPV = ∑ (Ct / (1 + r)^t) - C0 |
Ct | t 시점의 순 현금 유입 |
C0 | 총 투자 비용 |
r | 할인율 |
t | 기간 |
활용 | |
사용 목적 | 투자 또는 프로젝트의 수익성 평가 |
의사 결정 규칙 | NPV > 0 이면 투자 가치가 있다고 판단 |
장단점 | |
장점 | 화폐의 시간 가치를 고려, 모든 현금 흐름 반영 |
단점 | 할인율 결정의 어려움, 프로젝트 규모에 따른 비교 어려움 |
관련 지표 | |
관련 지표 | 내부 수익률 (IRR) 회수 기간 수익성 지수 (PI) |
2. 공식
- : 현금 흐름의 기간
- : 사업의 전체 기간
- : 할인율
- : 시간 ''t''에서의 순현금흐름 (초기 투자를 강조하기 위해 를 명시하기도 한다.)
- : 투하자본(투자액)
각 현금 유입/유출은 현재 가치(PV)로 할인되어 합산된다. 따라서 NPV는 모든 항의 합이다.[4]
:
- 는 현금 흐름의 시간이다.
- 는 할인율, 즉 수익률로, 유사한 위험을 가진 투자에 대해 시간 단위당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이다.
- 는 순 현금 흐름, 즉 시간 ''t''에서의 현금 유입 – 현금 유출이다.
NPV는 각 기간별 순현금흐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5]
:
일정 현금 흐름 R의 경우, NPV는 유한 등비 수열이며 다음과 같이 계산 가능하다.
:
3. 할인율
할인율은 미래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회사의 가중 평균 자본 비용(세후)이 사용되지만, 프로젝트의 위험, 기회 비용 등 다른 요소를 고려하여 더 높은 할인율을 적용할 수도 있다.[9]
장기 투자의 경우, 수익률 곡선 프리미엄을 반영하여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할인율을 적용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9]
일부 전문 투자자는 특정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도록 투자 자금이 할당되므로, 해당 수익률을 NPV 계산의 할인율로 선택하여 프로젝트의 수익성과 원하는 수익률을 직접 비교하기도 한다.
할인율 선택은 프로젝트가 회사에 가치를 더할 것인지(회사의 가중 평균 자본 비용) 또는 대체 투자를 결정(기업 재투자율)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1. 할인율 결정 요소
할인 현재 가치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수익률을 할인율이라고 한다. 화폐 가치가 불변이라고 가정하면 금리가 할인율이 되며, 위의 수치 예는 이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할인율에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4. 자본 효율성
순현재가치(NPV) 방법은 투자된 달러당 프로젝트가 투자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계산하기 위해 약간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자본 효율성 비율이라고 한다. 달러 투자당 순현재가치(NPVI)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는 t 시점의 순 현금 흐름, 즉 현금 유입 - 현금 유출이다.
- 는 t 시점의 순 현금 유출이다.
5. 의사 결정에서의 활용
NPV는 투자 결정의 핵심 지표이다. NPV가 양수이면 투자가 기업 가치를 증대시키고, 음수이면 가치를 감소시킨다. NPV = 0인 경우, 해당 투자는 기업 가치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전략적 판단 등 다른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한다.[6]
만약... | 그것은... | 그러면... |
---|---|---|
NPV > 0 | 투자가 기업에 가치를 더한다면 | 해당 프로젝트는 수용될 수 있다. |
NPV < 0 | 투자가 기업의 가치를 깎아내린다면 | 해당 프로젝트는 거부될 수 있다. |
NPV = 0 | 투자가 기업에 가치를 더하거나 잃지 않는다면 | 해당 프로젝트를 수용할지 거부할지에 대한 결정에 무관심해야 한다. 이 프로젝트는 금전적 가치를 더하지 않는다. 결정은 전략적 포지셔닝 또는 계산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은 기타 요인과 같은 다른 기준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
재무 이론에서 두 가지 상호 배타적인 대안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 경우, 더 높은 NPV를 산출하는 대안을 선택해야 한다. 긍정적인 순현재가치는 프로젝트나 투자가 창출하는 예상 수익(현재 가치)이 예상 비용(역시 현재 가치)을 초과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개념은 순현재가치 규칙의 기반이 되며, 순현재가치가 긍정적인 투자만 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NPV는 투자나 프로젝트가 기업에 얼마나 많은 가치를 더하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가 신제품 라인을 도입할지 결정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회사는 t=0 시점에 10만달러의 즉각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회사는 제품이 t=1부터 시작하여 12년 동안 매년 1만달러의 동일한 이익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간 유효 할인율은 10%라고 가정하면, 현재 가치(t=0 시점의 가치)는 매년 계산할 수 있다.
년도 | 현금 흐름 | 현재 가치 |
---|---|---|
T = 0 | -100,000 | |
T = 1 | 9,090.91 | |
T = 2 | 8,264.46 | |
T = 3 | 7,513.15 | |
T = 4 | 6,830.13 | |
T = 5 | 6,209.21 | |
T = 6 | 5,644.74 | |
T = 7 | 5,131.58 | |
T = 8 | 4,665.07 | |
T = 9 | 4,240.98 | |
T = 10 | 3,855.43 | |
T = 11 | 3,504.94 | |
T = 12 | 3,186.31 |
유입 현금 흐름의 총 현재 가치는 68,136.91이고, 유출 현금 흐름의 총 현재 가치는 t=0 시점에 10만달러이다. 따라서 NPV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이 경우 NPV는 -31,863.09로, 이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은 t=0 시점에 31,863.09의 손실과 동일하므로 이 프로젝트를 무시해야 함을 나타낸다. 돈의 시간 가치 개념은 서로 다른 기간의 현금 흐름을 동일한 기간 (t=0)에 대한 가치를 반영하도록 조정하지 않으면 정확하게 비교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2]
6. NPV의 장단점
순현재가치(NPV)는 프로젝트 투자를 위한 지표로, 의사 결정에 있어 여러 장점과 단점을 가진다.
NPV는 화폐의 시간 가치를 고려하여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시점의 현금 흐름을 포함하므로, 주주에게 최고의 부를 창출한다는 부의 극대화 목표와 일치한다. NPV 공식은 각 프로젝트의 현금 흐름 시점과 규모 차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투자 옵션을 명확한 금액으로 비교할 수 있게 한다.[10][11]
NPV는 할인율과 미래 현금 흐름이 알려져 있다는 가정 하에 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하여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여러 프로젝트에 투자를 고려할 때 NPV는 가산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기업은 가용 자본을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젝트의 NPV를 합산하여 최고 부의 창출을 계산할 수 있다.[12]
6. 1. 장점
순현재가치는 화폐의 시간 가치를 고려하여 투자의 수익성을 정확하게 평가한다. 이는 현금 흐름의 규모와 시점을 모두 반영하여, 다양한 투자안을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10][11]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시점에 현금 흐름이 발생하는 두 투자안이 있을 때, 순현재가치를 이용하면 어떤 투자안이 더 유리한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또한, 여러 프로젝트의 순현재가치(NPV)를 합산하여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12] 기업이 여러 프로젝트에 투자를 고려할 때, 각 프로젝트의 순현재가치를 합산하여 전체 투자 가치를 극대화하는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
6. 2. 단점
순현재가치(NPV)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입력 변수의 예측 의존성: NPV는 미래 현금 흐름, 할인율 등 입력 변수에 크게 의존한다. 이러한 예측이 부정확하면 NPV 결과 또한 신뢰할 수 없게 된다.[14] 민감도 분석을 통해 입력 변수 변화에 따른 NPV 변동성을 파악하여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14]
- 숨겨진 비용 및 규모 미고려: NPV는 숨겨진 비용이나 프로젝트 규모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 투자 결정을 왜곡할 수 있다.[13]
- 할인율 선택의 어려움: 할인율 선택에 따라 NPV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할인율을 반영하기 어렵다.[15] 예를 들어, 자본 비용이 변동하면 할인율도 변동할 수 있다.[16][10]
- 비재무적 요소 미고려: NPV는 재무적 요소만을 고려하며,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재무적 요소는 고려하지 않는다.[18]
- 위험 조정의 어려움: 할인율에 위험 프리미엄을 더하는 방식으로 위험을 조정하는 것은 NPV의 정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위험을 명확하게 식별하고 평가하여 손실 조달 비용을 계산하는 것이 더 엄격한 접근 방식이다.
- 복합 위험 프리미엄 문제: 무위험률과 위험 프리미엄을 합산하여 할인율을 계산하면 미래 현금 흐름이 이중으로 할인되어 NPV가 과소평가될 수 있다. 확실성 등가 모델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전체적인 이득/손실 파악의 어려움: NPV는 프로젝트 실행으로 인한 이득 또는 손실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제공하지 않는다. 내부수익률 등 다른 효율성 지표를 함께 사용하여 투자 대비 이득을 백분율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이자 차감 후 현금 흐름 사용의 오류: 이자를 뺀 현금 흐름을 사용하면 돈의 시간 가치를 이중으로 계산하게 되므로, 자유 현금 흐름을 사용해야 한다.
7. 상호 배타적 프로젝트 비교의 어려움
서로 다른 투자 기간으로 상호 배타적인 프로젝트를 비교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서로 다른 프로젝트는 모두 동일한 투자 기간을 갖는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순현재가치 접근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기간에 대한 순현재가치를 비교할 수 있다.[19]
8. 다른 투자 분석 방법
- '''조정된 순현재가치(APV)''': 자기자본만으로 자금을 조달했을 때의 프로젝트 순현재가치에 자금 조달의 모든 이점을 현재가치로 더한 값이다.
- '''회계적 이익률(ARR)''': 내부수익률(IRR) 및 수정 내부수익률(MIRR)과 유사한 비율이다.
- '''비용-편익 분석''': 시간 절약 등 현금 외적인 문제도 포함한다.
- '''내부수익률(IRR)''': 획득할 절대 금액을 무시하고 프로젝트의 수익률을 계산한다.
- '''수정 내부수익률(MIRR)''': IRR과 유사하지만, 현금 흐름의 재투자에 대한 명시적인 가정을 한다. 때로는 성장률이라고도 한다.
- '''회수 기간''': 초기 지출과 동일한 현금 유입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며, 수익이 아닌 위험을 측정한다.
- '''실물 옵션''': 순현재가치에서 가정하는 관리 유연성의 가치를 평가한다.
- '''등가 연간 비용(EAC)''': 수명이 다른 둘 이상의 프로젝트를 비교하는 데 유용한 자본 예산 책정 기법이다.
참조
[1]
서적
CIM justification and optimisation
Taylor & Francis
[2]
문서
Berk, [[Peter DeMarzo|DeMarzo]], and Stangeland
[3]
문서
erk, DeMarzo, and Stangeland
[4]
서적
Theory & Problems in Financial Management
McGraw Hill Higher Education
[5]
웹사이트
Net present value (NPV) method - explanation, example, assumptions, advantages, disadvantages
https://www.accounti[...]
2023-04-21
[6]
간행물
Proposed Modifications to the Cost-Benefit Analysis Decision Criteria for Road Project Evaluation to Improve Decisionmaking
https://scholarlypub[...]
2012-10-01
[7]
웹사이트
Mid Period Definition, Calculation, Applications
https://www.fe.train[...]
2023-04-21
[8]
웹사이트
NPV Method - NPV and Risk Modelling for Projects
http://www.projectnp[...]
2023-04-21
[9]
웹사이트
Perils of the Internal Rate of Return
http://sambaker.com/[...]
2007-01-12
[10]
서적
Cognitive Biases in the Capital Investment Context
Cabler Verlag
[11]
웹사이트
Net Present Value (NPV): What It Means and Steps to Calculate It
https://www.investop[...]
2023-04-21
[12]
웹사이트
Some Alternative Investment Rules
https://webpage.pace[...]
2023-04-21
[13]
서적
Public Sector Property Asset Management
Wiley-Blackwell
[14]
웹사이트
Sensitivity Analysis Definition
https://www.investop[...]
2023-04-21
[15]
웹사이트
Disadvantages of Net Present Value (NPV) for Investments
https://www.investop[...]
2022-04-30
[16]
웹사이트
Cash Flow and Discount Rates
https://pages.stern.[...]
2023-04-21
[17]
간행물
Economic multi-objective approach to design off-grid microgrids: A support for business decision making (comparison of different economic criteria)
https://www.research[...]
2020-06-01
[18]
웹사이트
Pros and Cons of Using Net Present Value (NPV)
https://forisk.com/b[...]
2023-04-21
[19]
서적
Introduction to Cost-Benefit Analysis: Looking for Reasonable Shortcuts. Second edition, 2021
Edward Elgar
[20]
간행물
LaPlace Transforms as Present Value Rules: A Note
1986-03
[21]
간행물
On The Application of the Laplace Transform to Certain Economic Problems
1967-03
[22]
문서
Karl Marx, [[Capital, Volume III|''Capital,'' Volume 3]]
1909
[23]
citation
Systemic Fear, Modern Finance and the Future of Capitalism
http://bnarchives.yo[...]
bnarchives.net
2010-07
[24]
citation
Capital as Power. A Study of Order and Creorder.
Routledge
[25]
문서
現在価値測定の歴史的考察
紙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