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카디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요툰이자 사냥, 스키, 겨울과 관련된 여신이다. 고대 노르드어로 "피해"를 뜻하는 단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고 에다》, 《신 에다》, 《헤임스크링글라》 등에서 묘사된다. 스카디는 뇨르드의 아내이자 오딘의 배우자로 등장하며, 로키와 관련된 일화도 존재한다. 그녀는 스림헤임에 살며 스키를 타고 활을 쏘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토성의 위성과 금성의 산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냥의 여신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사냥의 여신 - 아나트
아나트는 고대 근동, 특히 우가리트 신화에 등장하는 호전적인 성격의 전사 여신으로, 바알의 자매이자 연인으로 숭배받았으며, 이슈타르, 아스타르테, 아테나 등과 동일시되기도 하고 이집트에서도 숭배되었다. - 아쉬냐 - 이둔
이둔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젊음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젊음을 유지하는 사과를 관리하며, 로키에게 납치당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아쉬냐 - 요르드
요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대지의 여신으로 신격화되었으며 토르의 어머니이자 오딘의 아내 중 하나로, 흐로딘, 피요르귄 등으로도 불리는 "땅, 대지"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 요툰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요툰 - 로키
로키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릭스터, 변신자 등의 별칭으로 불리며 신들에게 골칫거리와 도움을 동시에 주는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고, 발드르 살해, 라그나로크에서의 활약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스카디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스카티 (Skathi) 스카데 (Skade) |
성별 | 여성 |
문화 | 노르드 신화 |
역할 | 사냥 스키 겨울 정의 복수 |
배우자 | 뇨르드 (일부) |
가족 | 아버지: 시아치 남편: 울르 (일부) |
거주지 | 스카디의 집 (Þrymheimr) |
이름 | |
고대 노르드어 | 스카디 (Skaði) |
의미 | '손상' |
대체 철자 | Skade, Skadi |
별칭 | |
별칭 (고대 노르드어) | Öndurguð (스키의 신) Öndurdís (스키의 여인) |
신화적 관계 | |
아버지 | 시아치 |
남편 | 뇨르드 (일부), 울르 (일부) |
거주지 | 스카디의 집 (Þrymheimr) |
어원 | |
어원 | 일부 학자들은 스칸디나비아 (Scandinavia) 지명의 어원이 스카디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측한다. |
추가 정보 | |
특징 | 스카디는 활, 화살, 스키를 사용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
2. 어원
고대 노르드어 "스카디"(''Skaði'')는 고트어 ''skadus'', 고대 영어 ''sceadu'', 고대 색슨어 ''scado'', 고대 고지독일어 ''scato'' ("그림자"라는 뜻)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학자 존 매킨넬은 이러한 어원으로 보아 스카디가 한때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의인화였거나 저승과 관련이 있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언급한다.[53][1]
스카디는 《고 에다》, 《산문 에다》, 《헤임스크링글라》에 언급된다.[31] 스캬치의 딸이자 알바르디의 손녀이며, 뇨르드와 결혼했으나 후에 헤어졌다. 일부 전승에서는 프레이의 어머니라고도 한다.[31] 오딘과 결혼하여 많은 아들을 낳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조르주 뒤메질은 '여신 스카디의 섬'이라는 어원론적 의미로서의 ''Scadin-avia''에 동의하지 않는다. 뒤메질은 첫 번째 요소인 ''Scadin''이 "어둠"과 관련이 있거나 한때 그랬을 것이며, "그 외의 다른 것은 확신할 수 없다"고 언급한다. 뒤메질은 오히려 ''Skaði''라는 이름이 당시에는 더 이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던 지리적 지역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뒤메질은 아일랜드를 의인화한 여신인 에리우가 일부 아일랜드 텍스트에 등장하는데, 에리우의 이름이 그 반대가 아니라 ''아일랜드''에서 유래했다고 말한다.[54][2]
''Skaði''는 고대 노르드어 명사 ''skaði''('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55][3] 아이슬란드어 및 페로어 ''skaði''('해, 피해')의 어원이고 영어 단어 ''scathe''('unscathed', 'scathing')와 어원적 관계가 있다.[56][4]
스카디(skadi)는 독일어 등에서의 명칭이며, 고대 노르드어나 아이슬란드어에서는 '''스카디'''(Skaðiis)라고 한다. 그 이름은 "상처를 입히는 자"[32], "손해, 해, 죽음"[33]을 의미한다. 또한 고트어의 "skadus"("그림자"의 뜻), 고대 영어의 "sceadu"("그림자, 어둠"의 뜻)와 관련된 이름이라고 한다.[34] 또한, 스칸디나비아의 어원이기도 하다.[35]
3. 문헌상의 출전
스카디(skadi)는 독일어 등에서의 명칭이며, 고대 노르드어나 아이슬란드어에서는 스카디(Skaðiis)라고 한다. 그 이름은 "상처를 입히는 자"[32], "손해, 해, 죽음"[33]을 의미한다. 고트어의 "skadus"("그림자"의 뜻), 고대 영어의 "sceadu"("그림자, 어둠"의 뜻)와 관련이 있으며,[34] 스칸디나비아의 어원이기도 하다.[35]
본래 산의 여신으로 여겨지며, 북유럽 각지에 스카디에서 유래한 지명이 많이 남아있다.[36] 활과 화살을 잘 다루는 사냥의 여신이기도 하며, "스키의 여신"을 의미하는 "온두르 디스"[37] 또는 "안드르디스"[38](Öndurdísnon)라고도 불린다. 《고 에다》의 『그림니르의 말』 제11절에서는 "신들의 아름다운 신부"라고 칭송된다.[39]
3. 1. 고 에다
《고 에다》 중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주신 오딘(‘그림니르’라는 가명을 사용)이 아그나르 게일로드손에게 열두 장소의 존재를 밝힌다. 오딘은 11절에서 여섯 번째 장소로 스림헤임(Þrymheimr)을 언급하는데, 한때 요툰 샤치가 거기 살았으며, 이제는 그 딸 스카디가 살고 있다고 묘사한다. 오딘은 스림헤임을 “오래된 궁전”이며 스카디는 “신들의 빛나는 신부”라고 한다.[57]
〈스키르니르가 말하기를〉 서두 산문에서는 프레이가 요툰헤임에서 요툰 소녀 게르드를 보고 앓아눕게 된다. 시가의 첫 번째 시구에서 프레이의 아버지 뇨르드는 프레이의 하인 스키르니르에게 프레이에게 말을 걸어 보라고 하고, 스카디 또한 스키르니르에게 프레이가 왜 그렇게 속앓이를 하는지 물어보라고 한다.[58]
〈로키의 말다툼〉에서 스카디는 뇨르드의 아내로서 에기르의 연회에 참석한다.[59] 로키가 헤임달과 대화를 끝낸 후 스카디가 끼어든다. 스카디는 로키가 경박하다면서 꼬리치며 노는 짓을 그만두지 않으면 신들이 로키 아들의 얼음처럼 식은 창자를 가지고 로키를 날카로운 바위에 묶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자 로키는 과거 샤치를 죽였을 때 자신이 첫째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고 대답한다. 스카디는 만약 그렇다면 언제나 자신의 들판과 우물에서 로키에 대한 저주가 쏟아질 것이라고 한다. 로키는 스카디가 침대 안에 있을 때는 이것보다 상냥하게 말한다고 대꾸하며, 스카디뿐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여신들이 자신과 잠자리를 같이했다고 폭로한다. 로키와 스카디의 대화가 끝나자 시프가 나서서 로키에게 맥주를 따라 준다.[60]
〈로키의 말다툼〉 결말 산문에서 신들은 로키를 붙잡아 로키의 아들 나리(Nari)의 창자로 포박한다. 스카디는 로키의 얼굴 위에 독사를 매달아 놓는다. 뱀의 아가리에서 독이 방울져 떨어지고, 로키의 아내 시귄이 앉아 뱀 아래 양푼을 받쳐들고 독을 받아낸다. 그릇이 다 차면 시귄은 그릇을 비우러 자리를 뜨는데, 이때 로키의 얼굴에 사독이 떨어져 로키는 극도의 분노와 고통으로 온몸을 비튼다. 이 로키의 몸부림이 바로 지진의 원인이라고 한다.[61]
〈휜들라의 음률시〉에서 여자 요툰 휜들라가 프레이야에게 신화상의 여러 족보를 설명해 준다. 그 중 샤치에 대한 언급이 나오며, 스카디는 그의 딸이라고 한다.[62]
시 "그리프니르의 노래"에서 신 오딘은 (''그림니르''로 변장하여) 젊은 아그나르에게 12개 장소의 존재를 밝힌다. 오딘은 여섯 번째 장소로 트림헤임을 언급하며, 이 연에서 거인 트야지가 한때 그곳에 살았고 현재는 그의 딸 스카디가 살고 있다고 자세히 설명한다. 오딘은 트림헤임을 "고대 궁정"으로 묘사하고 스카디를 "신의 빛나는 신부"라고 부른다.[5] 시 "스키르니르의 노래" 산문 서문에서 신 프레이는 요툰헤임에서 발견한 아름다운 소녀 (거인 게르드) 때문에 상심하게 된다. 신 뇨르드는 프레이의 하인 스키르니르에게 프레이와 대화해 달라고 부탁하고, 시의 첫 번째 연에서 스카디는 스키르니르에게 프레이가 왜 그렇게 화가 났는지 물어보라고 한다. 스키르니르는 그들의 아들 프레이로부터 혹독한 말을 들을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답한다.[6]
시 "로키의 말다툼" 산문 서문에서 스카디는 뇨르드의 아내로 언급되며, 에기르의 잔치에 참석한 여신 중 하나로 언급된다.[7] 로키가 신 헤임달과 대화를 나눈 후, 스카디가 끼어든다. 스카디는 로키에게 그가 "가볍다"고 말하며, 곧 신들이 로키를 날카로운 바위에 묶고 아들의 얼음처럼 차가운 내장으로 묶을 것이기 때문에 로키가 더 이상 "꼬리를 흔들며 [...] 자유롭게 놀지" 못할 것이라고 한다. 로키는 설령 그렇다 해도 자신이 "무엇보다도" 트야지를 죽이는 데 "가장 먼저" 있었다고 대답한다. 스카디는 만약 그렇다면 그녀의 "성소와 평원"에서 "해로운 조언"이 항상 흘러나올 것이라고 대답한다. 로키는 스카디가 그의 침대에 있을 때 더 친절한 말투를 사용했다는 주장을 펼치는데, 이것은 시에 나오는 대부분의 여신들에게 하는 주장이며 다른 곳에서는 증명되지 않는다. 로키의 플라이팅은 이후 여신 시프에게로 향한다.[8]
"로키의 말다툼" 마지막 산문 부분에서 신들은 로키를 붙잡아 아들 나리의 내장으로 묶는 한편, 그의 아들 발리를 늑대로 만든다. 스카디는 로키의 얼굴 위에 독 뱀을 놓는다. 뱀에서 독이 떨어지고 로키의 아내 시귄은 뱀 아래에 그릇을 들고 앉아 독을 받는다. 그릇이 가득 차면 시귄은 그릇을 비워야 하고, 그 동안 뱀의 독이 로키의 얼굴에 떨어져 로키는 엄청난 분노에 몸부림치며 모든 지진이 로키의 몸부림에서 비롯된다.[9]
시 "힌들라의 노래"에서 여성 거인 힌들라는 여신 프레이야에게 다양한 신화적 계보를 말한다. 한 연에서 힌들라는 트야지가 "사격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언급하며 스카디가 그의 딸이라고 말한다.[10]
3. 2. 신 에다
〈길피의 속임수〉 제23장에서 옥좌에 앉은 높으신 분은 뇨르드의 아내가 스카디이며, 스카디는 요툰 샤치의 딸이라고 이야기한다. 높으신 분은 스카디는 자기 아버지(신들에 의해 고인이 된)가 소유했던 땅인 스림헤임에 살고 싶어했고, 뇨르드는 바다 근처에 살고 싶어했다고 회상한다. 결국 둘은 스림헤임에서 9일을 지내고 그 뒤 3일은 뇨르드의 바닷가 저택인 노아툰에서 지내기로 합의를 보았다(또는 《코덱스 레기우스》에 따르면 스림헤임에서 9번의 겨울을 지내고(즉 9년을 지내고) 노아툰에서 그 다음 9년을 지냈다고도 한다[63]). 그러나 뇨르드가 스림헤임의 산맥에서 바닷가의 노아툰으로 돌아오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아 지긋지긋한 산맥이여,
:겨우 9일 밤을 지샜을 뿐이지만,
:그곳을 다시 바라지 않으리.
:늑대들의 울부짖는 소리
:백조의 노래와 비교하면
:그저 추하게만 들릴 뿐이라오”[64]
그러자 스카디는 이렇게 답한다.
:“나는 바다를 베고는
:꽥꽥거리는 새소리 때문에
:잠들 수가 없어라.
:저 넓은 바다에서
:아침이 다가오면
:갈매기 새끼가 나를 깨우네.”[65]
이 대화의 출처는 《신 에다》 어디에도 밝혀져 있지 않다. 이어 높으신 분은 결국 스카디는 산맥으로 돌아가 스림헤임에 살았으며, 그곳에서 스키와 궁술을 즐기고 산짐승들을 사냥하며 잘 살았다고 한다. 높으신 분은 스카디의 다른 이름으로 "스키의 신"이라는 뜻의 '''온두르구드'''(''Öndurgud''), "스키의 숙녀"라는 뜻의 '''온두르디스'''(''Öndurdís'')가 있다고 말한다. 지금까지의 내용은 《고 에다》의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을 인용하고 있다.[63] 그 다음 장(제24장)에서 높으신 분은 "이 일이 있은 후" 뇨르드가 두 명의 자식을 보았으며, 그것이 프레이와 프레이야라고 한다. 남매의 어머니가 누구인지는 이야기하지 않는다.[66]
〈길피의 속임수〉 제51장 말미에서 높으신 분은 신들이 로키를 포박했던 이야기를 한다. 스카디가 독사를 잡아와서 포박당한 로키의 위에 매달아 두었다고 하는데, 이로 인해 독액이 로키의 얼굴에 떨어지게 되었다. 로키의 아내 시귄은 사발을 받처 독액을 받아내지만, 사발이 다 차서 시귄이 사발을 비우러 간 사이 로키는 독액을 맞고 고통에 몸을 뒤튼다. 그 발악이 얼마나 셌는지 땅까지 흔들리게 되는데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지진이라고 부르는 현상이라고 한다.[67]
〈시어법〉 제56장에서 브라기는 에기르에게 신들이 샤치를 죽였던 이야기를 들려준다. 샤치의 딸 스카디가 투구를 쓰고, 쇄자갑을 걸치고, "전쟁에 쓰이는 무기는 모두" 들고서 아스가르드로 향했다. 스카디가 도착하자 신들은 그녀의 부친상을 사과하면서 보상을 해주겠다고 제안한다. 스카디는 자신이 원하는 합의사항을 전달하고, 신들은 스카디가 자신들 중에서 남편감을 골라도 좋다고 동의한다. 대신, 스카디는 남신들의 발만 보고 골라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 스카디는 어느 한 쌍의 발을 보고 그 발이 매력적이라고 느껴서, 발의 주인이 발드르일 것이라고 생각해 그 발을 골랐다. 하지만 발의 주인은 뇨르드였다.[68]
스카디의 합의조건에는 남편을 줄 것 뿐 아니라 자신을 웃겨 보라는 것도 있었다. 스카디를 웃기기 위해 로키는 염소의 수염에 끈을 묶고 끈의 반대쪽 끝은 자신의 불알에 묶었다. 염소와 로키가 줄다리기를 시작하자 둘 모두 요란하게 비명을 질러댔다. 로키는 스카디의 무릎에 쓰러졌고 스카디는 웃음을 터뜨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딘이 샤치의 두 눈을 뽑아 하늘에 매달아 별로 만들어 줌으로써 스카디와의 합의가 모두 끝났다.[68]
〈시어법〉 뒷부분에서 토르드 샤레크손이 지슨 스칼드 시가가 인용된다. 이 시에서 스카디는 "현명한 여신"(the wise god-bride)이라고 칭해지며 "반을 사랑할 수 없었다"고 한다. 시 아래에 딸린 산문 해설에서 이것이 스카디가 뇨르드를 떠나는 것을 가리킨다고 명시하고 있다.[69] 제16장에서 로키의 이명(異名)들이 나열되는데 그 중에는 "헤임달과 스카디의 원수"라는 것도 있다.[70] 제22장에서 10세기의 시 〈기나긴 가을〉이 나오는데, 여기서 흐비니르의 쇼돌프는 수소를 “활시위 바르(스카디)의 고래”라고 한다.[71] 제23장에서 브라기 보다손은 샤치를 “스키의 디스의 아버지”라고 한다.[72] 제32장에서 스카디는 에시르의 연회에 참석한 6명의 여신들 중 하나로 이름이 올라와 있다.[73] 제75장에서 아쉬뉴르 27여신의 명단에도 스카디가 올라와 있다.[74]
《스노리의 에다》 제2부 『시어법』에서는 로키를 쫓아 아스가르드에 침입한 아버지 샤치가 신들에게 살해되자 스카디는 원수를 갚기 위해 아스가르드로 쳐들어갔다는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다. 아스 신족은 그녀에게 화해를 청했고, 아스 신족과의 결혼을 권했다. 스카디는 신들 중 가장 미남인 발드르를 선택하고 싶었지만, 신들이 제시한 조건에 따라 천으로 덮인 남신들의 다리만 보고 판단해야 했고, 결국 빗나가 뇨르드와 결혼하게 되었다.
스카디는 화해 조건으로 "스스로를 웃게 해보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스카디를 웃게 하기 위해 로키가 자신의 음낭과 암염소의 수염을 끈으로 묶어 줄다리기를 하는 여흥을 하여 분노를 달랬다. 게다가 오딘은 샤치의 양쪽 눈을 하늘로 던져 두 개의 별로 만들었고, 그녀는 이것을 기뻐했다.[40][41]
그 후, 스카디와 뇨르드는 동거를 시작했지만, 본래 그녀는 산의 수호신으로서의 색채가 짙고, 바다의 수호신으로 숭배받는 뇨르드와의 결혼이 잘 될 리가 없었다. 처음에는 각각 통치하는 산과 해변을 번갈아 오갔지만, 그녀에게 해변의 집은 갈매기의 울음소리가 불쾌했고, 또한 뇨르드에게도 밤에 들리는 늑대의 울부짖음은 고통스러웠다. 그 때문에, 자연스럽게 둘은 헤어지고, 스카디는 산에 있는 아버지의 유산인 스류메임에서 살게 되었다.[40]
3. 3. 헤임스크링글라
《잉글링가 사가》 제8장에는 에우헤메리즘적으로 해석된 스카디가 나타난다. 여기서 스카디는 한때 뇨르드와 결혼했지만, 그와의 섹스를 거부했고 결국 이혼해서 나중엔 오딘과 결혼했다고 한다. 스카디와 오딘은 "많은 아들들"을 낳았다. 그 아들들 중 이름이 밝혀지는 것은 세밍그 한 명뿐인데, 그는 노르웨이의 왕이 되었다. 에위빈드 스칼다스필리르의 스칼드 시 중 2개 절이 인용되어 있다. 첫 번째 절에서 스카디는 요툰이며 또한 "어여쁜 아가씨"라고 한다. 두 번째 절은 일부분이 소실되었는데, 다음과 같다.[75]
:. . .
:바다의 뼈대,
:그리고 스키의 여신은
:오딘과의 사이에서
:많은 아들을 낳았다[75]
리 홀랜더는 "바다의 뼈"란 "암석"을 가리키는 케닝이라고 해석하면서, 이것은 산맥과 스키의 여신인 스카디를 "암석의 거주자"라고 칭한 것이라고 주장한다.[75]
4. 신화 해석
《뵐숭 그 일족의 사가》 제1장에 보면 스카디라는 이름의 다른 존재가 등장한다. 이 스카디는 남자인데, 브레디라는 이름의 하인을 갖고 있었다. 오딘의 아들인 시기가 어느 겨울 하인을 대동해 사냥을 나갔는데, 브레디가 더 많은 짐승을 잡은 것을 본 시기는 브레디를 죽인 뒤 그 시체를 눈더미 속에 파묻어서 유기했다.[66] 스카디는 시기의 설명에 납득하지 못하고 시기가 브레디를 죽였다고 의심하여 사람들을 시켜 브레디를 찾게 했고, 눈더미 속에서 브레디의 시체를 발견했다. 스카디는 앞으로 눈더미를 "브레디의 더미"라고 부를 것이라고 선언하고, 시기는 추방당했다.[66]
제시 바이오크(Jesse Byock)는 여신 스카디 역시 겨울과 사냥을 맡고 있는 신이라는 것을 지적하면서, 《뵐숭 그 일족의 사가》에 등장하는 남자 스카디, 시기, 브레디의 이야기가 지금은 실전된 신화에서 파생된 이야기가 아닌지 추측한다.[76]
존 린도우는 〈길피의 속임수〉에서 로키가 염소와 자기 불알을 사용해 저지른 괴상한 짓으로 미루어 보아 여신을 웃게 만들기 위한 의식에서 거세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린도우는 〈로키의 말다툼〉과 〈길피의 속임수〉에서 모두 스카디가 로키의 머리 위에 독사를 매달았던 것을 한 예시로 들면서 로키와 스카디가 특별한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는 점도 지적한다.[77]
울르 역시 스키의 신이고, 또 스웨덴에 울르와 스카디의 이름에서 유래한 지명이 많이 남아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일부 신화학자들은 울르와 스카디 사이에도 어떤 연관이 있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다.[77] 또 한편 스카디가 원래는 남신이었을 것이라는 이론을 제기하는 학자도 있다.[78]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스카디를 숭배하는 종교가 노르웨이 최북단 할로갈란 일대에서 번창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데이비드슨은 그 근거로 “그녀는 스키와 활사냥 등 사미인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녀가 뇨르드와 이혼한 것은 스칸디나비아인들과 사미인들이 밀접하게 접촉했던 이 지역에서 스카디교와 바니르교가 분리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말한다.[79]
5. 현대의 영향
스카디를 묘사한 현대 미술 작품으로는 K. 에렌베르크의 ''Skadi und Niurd'' (삽화, 1883)와 에밀 돕플러 주니어의 ''Skadi'' (1901)가 있다.[27] 아담 외렌슐레거의 시 ''Skades Giftermaal''(1819)에도 스카디가 등장한다.[27]
아르 데코 양식으로 신 울 (1928)과 스카디 (1929)를 묘사한 그림이 스웨덴 스키 연감 ''På Skidor''의 표지에 등장하는데, 둘 다 스키를 타고 활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E. 존 B. 앨런은 이 신들이 "1893년에 출판을 시작한 스웨덴의 가장 중요한 스키 저널에 역사적 권위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묘사되었다고 언급한다.[28]
토성의 위성 (스카티)과 금성의 산 (스카디 몬스)은 스카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9]
참조
[1]
서적
McKinnell
2005
[2]
서적
Dumézil
1973
[3]
서적
Davidson
1993
[4]
웹사이트
scath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4-02-25
[5]
서적
Larrington
1999
[6]
서적
Larrington
1999
[7]
서적
Larrington
1999
[8]
서적
Larrington
1999
[9]
서적
Larrington
1999
[10]
서적
Larrington
1999
[11]
서적
Byock
2006
[12]
서적
Byock
2006
[13]
서적
Byock
2006
[14]
서적
Byock
2006
[15]
서적
Faulkes
1995
[16]
서적
Faulkes
1995
[17]
서적
Faulkes
1995
[18]
서적
Faulkes
1995
[19]
서적
Faulkes
1995
[20]
서적
Faulkes
1995
[21]
서적
Faulkes
1995
[22]
서적
Hollander
2007
[23]
서적
Byock
1990
[24]
서적
Lindow
2001
[25]
서적
Davidson
1993
[26]
서적
Davidson
1993
[27]
서적
Simek
2007
[28]
서적
Allen
2007
[29]
웹사이트
Skadi Mons
http://planetaryname[...]
2016-03-21
[30]
기타
バーバラ・ウォーカーによればスカアハは北欧神話の女神スカジと同一の神格である
[31]
기타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67頁での説明による。ただし、『エッダ/グレティルのサガ』(松谷健二訳、筑摩書房、)32頁の説明では、ニョルズの妻ではあるがフレイの母ではないとされている。
[32]
기타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58頁。
[33]
기타
『生と死の北欧神話』176頁。
[34]
기타
『生と死の北欧神話』146頁。
[35]
기타
レジス・ボワイエ『ヴァイキングの暮らしと文化』227頁。および同個所の注39(321頁)。高平鳴海他『女神』(新紀元社、1998年)90-91頁。 다만, 북유럽의 백과사전의 설명에 따르면,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가 1세기에 『박물지』에 기록한 라틴어의 「스카디나비아」의 유래인, 스칸디나비아 반도 남단의 지명 「스호네」(Skaane)가, 「스칸디아」(Scandia)가 되었다고 한다 (백세굉・웅야총・촌정성인『북구사』산천출판사, 1998년, 3-4쪽). 학술적으로는 이쪽이 주류.
[36]
서적
生と死の北欧神話
[37]
서적
生と死の北欧神話
[3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0]
서적
『「詩語法」訳注』
[41]
서적
北欧のロマン ゲルマン神話
大修館書店
1997
[42]
서적
北欧神話
[43]
서적
デュメジル・コレクション 4
[44]
서적
デンマーク人の事績
学校法人東海大学出版会
1993
[4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7]
서적
世界神話伝説大系 30 北欧の神話伝説(II)
名著普及会
1980
[48]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一)
[49]
서적
オージンのいる風景
[50]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一)
[51]
서적
オージンのいる風景
[52]
서적
オージンのいる風景
[53]
서적
2005
[54]
서적
1973
[55]
서적
1993
[56]
웹인용
scath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4-02-25
[57]
서적
1999
[58]
서적
1999
[59]
서적
1999
[60]
서적
1999
[61]
서적
1999
[62]
서적
1999
[63]
서적
2006
[64]
서적
2006
[65]
서적
2006
[66]
서적
2006
[67]
서적
2006
[68]
서적
1995
[69]
서적
1995
[70]
서적
1995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