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콴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콴토는 17세기 초 파투셋 부족 출신으로, 유럽인과의 접촉과 납치를 겪은 후 플리머스 식민지 개척자들에게 생존 기술을 가르치고 통역을 맡아 그들의 정착을 도왔다. 그는 여러 차례 유럽으로 건너가 영어를 익혔으며, 1620년 메이플라워호가 도착하기 전부터 유럽인들과의 교류를 경험했다. 스페인에서 노예 생활을 하기도 했지만, 잉글랜드로 돌아와 뉴잉글랜드 해안 탐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플리머스 식민지에서는 왐파노아그 족과의 평화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배신 혐의를 받기도 했으며, 1622년 열병으로 사망했다. 스콴토는 식민지 개척자들의 기록을 통해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현대 역사학자들은 그의 역할을 다양한 시각으로 분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사추세츠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필립왕 전쟁
    필립왕 전쟁은 1675년부터 1678년까지 뉴잉글랜드 식민지 정착민과 메타코메트(필립왕)가 이끄는 원주민 부족 간의 충돌로, 식민지 확장에 대한 저항이 식민지 민병대에 의해 진압되어 큰 피해와 원주민 사회 붕괴를 가져왔다.
  • 매사추세츠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매사추세츠족
    매사추세츠족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동부, 특히 매사추세츠 만 남쪽에 거주했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으로, "큰 언덕에서"라는 의미의 고유어에서 유래했으며, 유럽인 접촉 후 인구 감소와 사회 구조 붕괴를 겪었지만 현재에도 후손들이 공동체를 이루며 언어와 문화 복원 노력을 하고 있다.
  • 플리머스 (매사추세츠주) - 플리머스 식민지
    플리머스 식민지는 1620년 필그림들이 메이플라워 호를 타고 북아메리카에 건설한 식민지로, 종교적 자유를 찾아 자치적인 공동체를 이루고 원주민과의 관계로 생존하며 미국 독립 정신과 문화적 전통에 영향을 미쳤다.
  • 플리머스 (매사추세츠주) - 사모셋
    사모셋은 17세기 초 메인주 아베나키족의 사감으로, 플리머스 식민지 정착민들에게 영어를 사용해 처음 접촉한 인물이며, 스콴토와 함께 마사소이트 추장과의 만남을 주선하는 데 기여했다.
  • 미국의 원주민 - 시애틀 추장
    수쿼미시족 추장 시애틀은 뛰어난 전사였으나 포인트 엘리엇 조약 서명 후 미국 정착민과 협력하며 "백인들의 친구"로 불렸지만, 퍼짓 사운드 전쟁 등을 겪으며 원주민의 어려움을 겪었고, 그의 1854년 연설은 환경 보호와 원주민 권리에 대한 메시지로 남아 시애틀 도시 이름으로 기념되고 있다.
  • 미국의 원주민 - 알류트족
    알류트족은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 반도의 극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우낭안' 또는 '우낭아스'라고 불리는 원주민으로, 해양 사냥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나 외부 세력과의 접촉으로 고난을 겪었고 현재는 고유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스콴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티스콴툼(
티스콴툼("스콴토")이 플리머스 식민지 사람들에게 옥수수 심는 법을 가르치는 1911년 그림
출생년경
출생지패턱셋 (현재의 플리머스, 매사추세츠)
사망일1622년 11월 30일 (구 양력)
사망 장소마마모이크 (또는 모노모이트, 현재의 채텀, 매사추세츠)
국적패턱셋
알려진 이유메이플라워호 정착민들에게 지침, 조언 및 번역 서비스 제공

2. 이름

17세기 문서에서는 티스퀀텀의 이름 철자를 'Tisquantum', 'Tasquantum', 'Tusquantum'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했으며, 'Squanto', 'Squantum', 'Tantum', 'Tantam' 등으로 번갈아 불렀다.[3] 그와 가깝게 지냈던 메이플라워호 정착민 중 윌리엄 브래드퍼드는 그를 'Squanto'라는 별명으로 불렀고, 에드워드 윈슬로는 항상 'Tisquantum'으로 지칭했는데, 역사가들은 이것이 그의 본명일 것으로 보고 있다.

'Tisquantum'이라는 이름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알곤킨어족 언어에서 유래했다는 설명이 유력하다. 이는 "해안 원주민들의 종교적 믿음의 핵심에 있는, 세계를 관통하는 영적인 힘"인 '마니투(Manitou)의 분노'를 뜻하는 표현에서 파생되었다는 것이다. 마니투는 "사물의 영적인 능력" 또는 "현상"으로 여겨졌으며, "자연의 모든 것이 인간에게 반응하게 만드는" 힘으로 이해되었다. 다른 해석들도 제시되었으나, 대부분 식민지 개척자들이 악마나 악과 연관시킨 존재나 힘과의 관련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이름의 의미 때문에 'Tisquantum'이 본명이 아니라 나중에 얻거나 스스로 택한 이름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예를 들어, 이 이름은 그가 특별한 영적 또는 군사적 훈련을 받았음을 나타내거나, 1620년 정착민들과의 소통 역할을 위해 선택되었음을 암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명확한 역사적 증거는 없다.

3. 생애

스콴토의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역사가들은 대략 1585년 경(±10년)으로 추정한다. 그는 오늘날의 매사추세츠 플리머스 근처에 위치했던 파두셋 마을 출신이다.

1605년, 뉴잉글랜드 해안을 탐사하던 영국인 선장 조지 웨이머스에게 납치되어 다른 원주민 4명과 함께 잉글랜드로 끌려갔다. 그곳에서 플리머스 회사의 소유주였던 페르디난도 고지스 경의 후원 아래 영어를 배우고 통역사로 훈련받았다.[136]

1614년에는 존 스미스 선장의 탐험대에 합류하여 고향으로 돌아올 기회를 얻었으나, 파두셋으로 돌아가던 중 스미스의 부하였던 토마스 헌트에게 다시 납치당했다. 헌트는 스콴토를 포함한 여러 원주민을 스페인 말라가로 데려가 노예로 팔려 했으나[137], 현지 수도사들의 개입으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초기 생애 및 문화적 배경

티스퀀텀(스콴토)의 유럽인과의 첫 만남 이전 삶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며, 그의 정확한 출생 연도 역시 불분명하다. 다만 역사가 닐 솔즈베리(Neal Salisbury)는 그가 1614년 스페인으로 끌려갈 당시 20대 또는 30대였을 것으로 추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1585년경(±10년)에 태어났을 것으로 본다.[3]

17세기 문헌에는 그의 이름이 'Tisquantum', 'Tasquantum', 'Tusquantum' 등 다양하게 표기되었고, 'Squanto', 'Squantum', 'Tantum', 'Tantam' 등으로도 불렸다.[3] 그와 가까웠던 메이플라워 정착민인 윌리엄 브래드퍼드는 그를 'Squanto'라는 별명으로 불렀고, 에드워드 윈슬로는 항상 그를 'Tisquantum'으로 지칭했는데, 역사가들은 이것이 그의 본명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Tisquantum'이라는 이름은 알곤킨어족 표현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마니투(Manitou)의 분노"를 의미한다는 해석이 있다. 마니투는 알곤킨 원주민들의 종교적 믿음에서 세계를 관통하는 영적 힘, 즉 "사물의 영적 능력" 또는 "현상"을 뜻한다. 하지만 당시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은 이러한 토착 신앙의 힘을 악마나 악과 연관 지어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Tisquantum'이 태어날 때 받은 이름이라기보다는 나중에 얻거나 스스로 택한 이름일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이를 뒷받침할 명확한 역사적 증거는 없다. 일각에서는 이 이름이 그가 특별한 영적, 군사적 훈련을 받았으며 1620년 필그림들과의 접촉을 위해 선택된 인물임을 암시한다고 보기도 한다.

1605년 사무엘 드 샹플랭이 그린 플리머스 항구 지도(그는 이곳을 포르토 생 루이라고 불렀다); "F"는 위그웜과 경작지를 나타낸다.


스콴토는 파투셋족의 일원으로, 이 부족은 현재의 플리머스를 중심으로 케이프 코드 만 서쪽 해안 지역에 거주했다. 스콴토는 한 영국 상인에게 파투셋족의 인구가 한때 2,000명에 달했다고 말한 바 있다.[4] 파투셋족은 동부 알곤킨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했으며, 이 언어는 내러갠섯 만 서쪽 지역 부족들과도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할 만큼 유사성이 있었다. '파투셋'이라는 지명 자체는 "작은 폭포에서"라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 초, 스콴토가 속한 파투셋족을 포함한 남부 뉴잉글랜드 지역의 부족들은 스스로를 '닌니미시누옥'이라고 불렀다. 이는 나러갠셋어로 "사람들"을 의미하며, 공동체 의식과 유대감을 나타내는 말이다. 북쪽 메인이나 캐나다 지역의 부족들이 옥수수 재배에 충분한 생장 기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비교적 유목적인 생활을 했던 것과 달리, 남부 뉴잉글랜드의 닌니미시누옥은 정착하여 농사를 짓는 생활 방식을 유지했다. 그들은 겨울을 나고 북부 부족과 교역할 만큼, 그리고 훗날 식량이 부족했던 초기 필그림 정착민들을 도울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의 옥수수 등을 재배했다.[6]

샹플랭이 그린 남부 뉴잉글랜드 알곤킨족 그림은 그들의 평화로운 성격과 정착 및 농업 생활 방식을 강조한다.


닌니미시누옥 사회는 한 명 또는 두 명의 추장(Sachem)이 이끌었다. 추장은 경작지 분배,[7] 다른 부족과의 교역 관리,[8] 부족 내 질서 유지 및 사법권 행사(사형 포함),[9] 수확물과 사냥감으로 거둔 조공의 수집 및 저장,[10] 그리고 전쟁 시 부족을 이끄는 역할을 담당했다.[11] 추장은 '아타스코아오그(Attaskoaog)'라 불리는 부족 내 주요 인물들의 조언을 구하며 합의를 통해 부족을 다스렸는데, 이들은 식민지 개척자들이 흔히 "귀족"으로 묘사했던 이들이다. 새로운 추장을 선출하는 데에도 이 주요 인물들이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추장이 토지를 양도할 때도 한 명 이상의 주요 인물이 입회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포카노켓족(Pokanoket)과 같은 일부 부족에는 '프니에소크(Pniesoq)'라는 특별한 계급이 존재했다. 이들은 신 아보모초(Hobbomock, 유럽인들은 악마와 동일시함)와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여겨졌으며, 치유 능력을 위해 파우와우 의식에 소환되기도 했다. 사제 계급은 주로 이 프니에소크에서 나왔으며, 주술사들은 연설가 역할도 수행하여 부족 내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일부 학자들은 스콴토 역시 이 프니에소크 계급에 속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 외에 일반 부족민인 '사놉스(Sannops)'와 부족 공동체에 속하지만 권리가 제한적인 외부인들도 있었다.

닌니미시누옥은 1620년 메이플라워 호가 도착하기 거의 한 세기 전부터 유럽 탐험가 및 어부들과 간헐적으로 접촉해왔다. 브리스톨, 노르망디, 브르타뉴 등지의 어부들은 일찍이 1581년부터 매년 봄 뉴펀들랜드 어장에서 잡은 대구를 남부 유럽으로 실어 날랐다. 이러한 초기 접촉은 닌니미시누옥 사회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럽인들이 옮겨온 질병(장티푸스, 디프테리아, 인플루엔자, 홍역, 수두, 백일해, 결핵, 황열병, 성홍열, 임질, 천연두 등)에 면역력이 없던 원주민들은 큰 피해를 입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메이플라워 호가 도착했을 때, 필그림들은 사람이 살지 않는 폐허가 된 마을을 발견하기도 했다.[14] 또한 유럽 상인들과의 모피 교역은 부족 간의 경쟁과 적대감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3. 2. 유럽인과의 접촉 및 납치

스콴토의 정확한 출생일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오늘날의 매사추세츠 플리머스 근처에 위치했던 파두셋 마을 출신으로 추정된다. 1605년, 플리머스 회사의 소유주였던 페르디난도 고지스 경을 위해 뉴잉글랜드 해안을 탐사하던 조지 웨이머스 선장은 스콴토를 포함한 원주민 다섯 명을 포로로 잡아 잉글랜드로 데려갔다. 고지스는 웨이머스의 납치 행위를 "우리의 항해를 완전히 완수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자 "하나님의 수단"으로 여기며 환영했다.[15][17] 잉글랜드에서 고지스는 스콴토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통역사로 훈련시켰다.[136] 다만, 일부 역사가들은 웨이머스가 납치한 인물들이 메인 지역의 아베나키족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파두셋 출신의 스콴토가 동일 인물인지에 대해 의문을 표하기도 한다.[18]

조지 웨이머스 선장이 자석으로 자화시킨 칼로 페마퀴드, 메인의 원주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있다.


1614년, 스콴토는 존 스미스 선장이 이끄는 탐험대에 합류하여 뉴잉글랜드로 돌아올 기회를 얻었다. 스미스는 탐사를 마친 후 영국으로 돌아가면서 토마스 헌트에게 남은 배의 지휘를 맡겼다. 헌트는 말라가 (스페인)에서 생선을 팔 계획이었으나,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원주민들을 납치하여 함께 팔기로 결정했다.[137] 그는 교역을 명목으로 파두셋 마을에 접근하여 스콴토를 포함한 20명의 원주민을 배로 유인해 감금했으며, 이후 케이프 코드 만에서 노세트족 7명을 추가로 납치했다.[19]

존 스미스의 1614년 뉴잉글랜드 지도.


스미스와 고지스 모두 헌트의 이러한 인신매매 행위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스미스는 헌트가 "이 거친 행위로 인해 이후 그 지역에서 어떤 직무도 수행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기록했으며,[20] 고지스는 이 사건이 원주민과의 관계 악화 및 자신의 다른 계획에 차질을 빚을 것을 우려했다.

티스퀀텀이 노예로 팔려가기 40년 전인 1572년의 말라가.


헌트는 납치한 원주민들을 스페인 말라가로 데려가 노예로 팔려 했다. 고지스의 기록에 따르면, 헌트가 일부 원주민을 판매하려 할 때 "그 지역의 수도사들"이 이를 알아채고 남은 이들을 데려가 가톨릭 신앙을 가르쳤다고 한다.[21] 최근 스페인 말라가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된 문서에 따르면, 1614년 10월 22일 헌트는 총 25명의 아메리카 원주민을 후안 바우티스타 레알레스라는 인물에게 판매했으며, 이는 당시 불법이었던 아메리카 원주민 노예화를 위장한 거래였다. 이후 말라가의 행정관(코레히도르)이 20명의 포로를 되찾아 지역 유지들에게 맡겨 가톨릭 신앙과 지역 풍습을 가르치도록 명령했다는 기록도 발견되었다.[22]

스콴토가 스페인에서 얼마나 머물렀는지, 어떻게 생활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잉글랜드로 가게 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23] 다만, 그는 이후 잉글랜드로 건너갔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3. 스페인에서의 삶과 귀환

1614년, 존 스미스가 이끄는 탐험대의 일원으로 뉴잉글랜드로 돌아온 스콴토는 고향 파툭세트로 향하던 중 스미스의 부하 토마스 헌트에게 다시 납치되었다.[137] 헌트는 메인과 매사추세츠 만 해안에서 수집한 생선과 모피 외에, 인간을 추가하여 이익을 늘리려 했다. 그는 교역을 명목으로 플리머스 항구에서 스콴토를 포함한 파툭세트족 20명을 배로 유인해 감금했으며, 케이프 코드 만을 건너며 노세트족 7명을 추가로 납치했다.[19] 헌트는 이들을 스페인 말라가로 데려가 노예로 팔 계획이었다.[137] 스미스와 탐험대의 후원자였던 페르디난도 조지 경은 헌트의 인신매매 행위에 반대했으며, 특히 조지 경은 이 사건이 원주민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것을 우려했다.[20]

헌트는 지브롤터 해협을 통해 말라가에 도착하여 원주민들을 팔려 했으나, 현지 가톨릭 수도사들이 이 사실을 알고 개입하여 저지했다. 수도사들은 남은 원주민들을 데려가 보호하며 가톨릭 신앙을 가르쳤다.[138][21] 스페인 연구자 푸리피카시온 루이즈가 발견한 공증 기록에 따르면, 1614년 10월 22일 헌트는 총 25명의 아메리카 원주민을 후안 바우티스타 레알레스라는 인물에게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시 불법이었던 아메리카 원주민 노예화를 위장한 거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말라가의 행정관(코레히도르)이 20명의 포로를 되찾아 지역 유지들에게 분배하고 가톨릭 신앙과 지역 풍습을 가르치도록 명령했다는 기록도 발견되었다.[22]

스콴토는 수도사들에게 자신을 고향으로 돌려보내 달라고 끈질기게 설득했다. 그가 스페인에서 얼마나 머물렀는지, 어떻게 영국으로 건너갔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23] 이후 그는 런던으로 건너가 콘힐에서 조선업자이자 상인 모험가인 존 슬레이니와 함께 몇 년간 살면서 영어를 익혔다.[139][24] 슬레이니는 동인도 회사의 투자자이기도 했다.[24] 스콴토는 슬레이니를 따라 뉴펀들랜드의 쿠퍼 만 항해에 참여하기도 했다.[139] 고향 뉴잉글랜드로 돌아가기 위해 북미 동해안 탐사대에 합류하려 했으나 계획이 무산되자 1618년 다시 잉글랜드로 돌아왔다.

마침내 1619년, 스콴토는 뉴잉글랜드 해안 탐사대에 합류하여 꿈에 그리던 고향 땅을 밟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가 돌아온 파툭세트 마을은 비극적인 상태였다. 그가 떠나 있는 동안 천연두로 의심되는 전염병이 몇 년간 창궐하여 부족민 대부분이 목숨을 잃었던 것이다. (2010년 연구에서는 이 전염병이 렙토스피로시스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40]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이전에 유럽에서 유행했던 질병들에 노출된 경험이 없어 자연 면역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전염병에 매우 취약했다.

3. 4. 필그림과의 만남 및 역할

1621년 3월 16일, 아베나키 족의 사모셋이 홀로 플리머스 식민지를 방문하여 정착민들과 처음 접촉했다.[30][31] 그는 며칠 뒤인 3월 22일, 왐파노아그 족의 추장 마사소이트를 방문 중이던 스콴토를 데리고 다시 나타났다.[136] 이는 스콴토가 과거에 살았던 파터켓 마을 근처에 세워진 식민지였다. 스콴토는 곧 필그림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다.

1620-1622년 남부 뉴잉글랜드 지도. 주요 부족, 정착지, 탐험 장소가 표시되어 있다.


스콴토는 필그림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들을 가르쳤다. 특히 척박한 땅에서 옥수수를 재배하는 방법을 알려주었는데, 이는 물고기를 비료로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윌리엄 브래드퍼드는 스콴토가 "옥수수를 심는 방법과 관리하는 방법을 모두 보여주어 그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고 기록했다.[39] 그는 물고기를 잡아 옥수수 씨앗과 함께 심지 않으면 수확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설명하며, 4월 중순경이면 인근 개울에서 비료로 쓸 물고기를 충분히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알려주었다.[40] 에드워드 윈슬로 역시 이 방식의 효과를 인정하며, "''인디언''의 방식에 따라 청어 또는 섀드를 가지고 땅을 비옥하게 했다"고 기록했다.[41] 스콴토는 또한 엘 리버에서 발로 진흙 속 장어를 잡는 법을 가르쳐 주었으며,[38] 필그림들이 가진 소량의 물품으로 비버 가죽 등 모피를 얻는 방법도 알려주었다. 이는 식민지가 영국의 재정 후원자들에게 빚을 갚는 데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43] 브래드퍼드는 스콴토를 "그들의 기대 이상으로 그들을 위해 신이 보낸 특별한 도구"로 평가하며 깊이 의지했다.[37]

사모셋이 플리머스 정착지에 들어서는 모습 (1876년 목판화)


스콴토는 필그림과 원주민 사이의 중요한 외교적 연결고리 역할도 수행했다. 1621년 3월 22일, 사모셋과 함께 마사소이트 추장과 그의 부족민들을 필그림에게 데려왔다. 스콴토는 통역을 맡아 에드워드 윈슬로가 마사소이트에게 제임스 1세 국왕의 평화적인 의도를 전달하고 동맹을 제안하는 것을 도왔다.[33] 이 만남을 통해 플리머스 정착민과 포카노켓 부족 사이에 평화 및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되었다.[34] 조약 이후에도 스콴토는 플리머스에 남아 필그림들을 도왔다.[36]

1621년 7월 2일, 윌리엄 브래드퍼드 총독은 에드워드 윈슬로와 스티븐 홉킨스를 마사소이트에게 사절로 파견할 때 스콴토를 통역사이자 안내자로 동행시켰다.[45][46] 이들은 마사소이트에게 선물을 전달하고, 식량 부족 문제를 논의하며, 케이프 코드에서 가져간 옥수수에 대한 보상 의사를 전달했다. 스콴토의 도움으로 사절단은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돌아왔다.[48] 이후 어린 존 빌링턴이 실종되었을 때, 스콴토는 필그림들과 함께 노셋 부족에게 가서 아이를 찾아오는 임무에도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스콴토는 필그림과 케이프 코드 지역 부족들(노셋, 쿠마퀴드) 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54]

사이러스 E. 댈린 작, 마사소이트 추장 조각상 (1920년)


그러나 스콴토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위기도 찾아왔다. 마사소이트에게 복속되어 있던 코비탄트 추장은 필그림과의 평화에 반대하며 스콴토를 위협했다. 코비탄트는 스콴토가 "영국인들의 혀" 역할을 한다며 그를 제거하려 했다.[57] 1621년 8월, 코비탄트는 네마스켓 마을에서 스콴토와 또 다른 원주민인 호보목을 습격하여 스콴토를 붙잡았다. 호보목은 탈출하여 플리머스에 이 사실을 알렸고, 브래드퍼드 총독은 즉시 마일스 스탠디시가 이끄는 무장 병력을 8월 14일에 파견했다.[61][62][65] 스탠디시 일행은 네마스켓을 기습하여 스콴토를 무사히 구출했다.[64] 이 사건은 오히려 필그림의 군사력을 보여주어 주변 부족들이 플리머스와 평화 관계를 맺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1621년 9월 13일에는 아홉 명의 하위 사켐들이 플리머스를 방문하여 제임스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문서에 서명하기도 했다.

스콴토는 구출된 후에도 플리머스 식민지를 위해 계속 일했다. 그는 8월 18일 이후 매사추세츠 인디언들과의 만남을 주선하는 등[66] 외교 활동을 지속했으며, 1621년 가을, 필그림들이 첫 수확을 축하하며 마사소이트와 그의 부족민 90명을 초대해 함께 연회를 열었을 때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행사는 오늘날 추수감사절의 기원으로 여겨진다.[75][76]

비록 스콴토는 필그림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였지만, 마사소이트 추장은 그를 완전히 신뢰하지는 않았다. 마사소이트는 스콴토를 감시하고 자신의 입장을 대변하게 하기 위해 또 다른 원주민인 호보목을 플리머스에 파견하여 스콴토와 함께 지내도록 했다.[142] 스콴토가 필그림에게 충성한 동기는 그의 부족이 사라진 후 느낀 외로움 때문이거나, 포카노켓 부족 내에서의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자기 이익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필그림들이 주변 원주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창구였으며, 그가 필그림과 함께 살았던 약 20개월 동안 모든 중요한 접촉에 관여했다.

3. 5. 배신 혐의와 죽음

윈슬로우와 브래드퍼드의 기록에 따르면, 스콴토는 필그림과의 친분과 영향력을 이용하여 개인적인 이익을 추구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그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자신이 필그림의 평화나 전쟁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득하고, 필그림이 곧 공격할 것이라는 거짓 정보로 선물을 갈취했다고 알려졌다.[93][94] 윈슬로우는 더 나아가 스콴토가 마사소이트가 공격할 것이라는 거짓 소문을 퍼뜨려 필그림과 마사소이트 사이의 평화를 깨뜨리려 했다고 주장했다.[95] 또한 스콴토는 필그림이 창고 아래에 흑사병을 보관하고 있으며 마음대로 퍼뜨릴 수 있다고 원주민들에게 말했는데, 이는 실제로는 화약 저장고를 의미했다.[96]

이러한 행동은 왐파노아그의 추장 마사소이트의 분노를 샀다. 마사소이트는 플리머스 식민지에 사자를 보내, 평화 조약에 따라 자신의 부족민인 스콴토를 처형할 수 있도록 인도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비버 가죽을 보내며 스콴토의 인도를 설득하려 했고, 브래드포드가 직접 스콴토를 처형할 수 있도록 자신의 칼을 보내기도 했다. 브래드포드는 스콴토가 통역가로서 필수적이라는 이유로 망설였지만, 조약상의 의무 때문에 그를 넘겨줄 준비를 하고 있었다. 때마침 항구에 정체불명의 배가 나타나자, 브래드포드는 상황 확인을 이유로 인도를 지연시켰고, 마사소이트의 사자들은 지체되는 것에 분노하며 돌아갔다.[98]

이후 1622년, 스콴토는 왐파노아그 족과 필그림 사이의 손상된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회합에 참석했다가 매사추세츠주 채텀으로 돌아오는 길에 열병에 걸렸다. 그는 코에서 피를 흘리며 쓰러졌는데, 당시 원주민들은 이를 죽음의 징조로 여겼다.[143] 며칠 후 스콴토는 사망했다. 죽기 전 그는 브래드포드에게 자신을 위해 잉글랜드인들의 신에게 기도해 달라고 부탁했으며, 자신의 소지품 일부를 영국인 친구들에게 유산으로 남겼다. 브래드포드는 그의 죽음을 "엄청난 손실"이라고 기록했다.[124] 스콴토는 표식 없는 무덤에 묻혔으며, 플리머스의 뷰리얼 힐[144] 또는 채텀 포트 마을에 묻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스콴토가 마사소이트 추장을 배신한 것에 대한 대가로 왐파노아그 족에 의해 독살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43] 역사가 너새니얼 필브릭 역시 마사소이트가 스콴토를 독살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4. 유산

스콴토의 이름은 매사추세츠 남부 해변 곳곳에 남아 있으며, 가장 유명한 곳은 퀸시에 있는 스콴텀이다. 초기 정착민들은 스콴토의 안내를 받아 그 지역을 처음 탐험할 때 스콴텀 반도에 그의 이름을 붙였을 수 있다. 많은 기념물들이 초기 정착민 마을을 기념하고 있지만, 정작 스콴토 개인을 위한 기념물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127][128]

스콴토는 문학이나 대중 오락 작품에는 비교적 드물게 등장한다. 19세기 뉴잉글랜드 시인이나 이야기꾼들 중 혁명 이전 미국을 다룬 이들 가운데 스콴토를 직접적으로 언급한 경우는 많지 않다.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는 그의 시 "마일스 스탠디시의 구애"에서 스콴토의 이름을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지도자들과 함께 다음과 같이 언급한 바 있다.

> 원한다면 오라, 사가모어든, 사켐이든, 파우와우든,

> 아스피넷, 사모셋, 코비탄트, 스콴토 또는 토카마하몬이든!

대중 오락에서도 스콴토는 자주 등장하지 않았으며, 등장할 때는 종종 역사적 사실과 거리가 먼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1793년 보스턴에서 공연된 멜로드라마 "순례자들, 또는 플리머스 록에 선조들이 상륙하다"에서는 인디언의 위협과 함께 사모셋과 스콴토의 과장된 전투 장면 등이 포함되었다. 거의 2세기 후, 디즈니는 영화 ''스콴토: 전사의 이야기''(Squanto: A Warrior's Tale, 1994)를 제작했지만, 이 영화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충실도가 낮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스콴토를 보다 비중 있게 다룬 작품들도 있다. 애니메이션 미니시리즈 ''이것이 아메리카, 찰리 브라운''의 "메이플라워 항해자" 에피소드(1988)에 스콴토(성우: 프랭크 웰커)가 등장한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의 영화 ''세인트 & 스트레인저스''(Saints & Strangers, 2015)에서는 칼라니 퀘이포가 연기한 스콴토가 비교적 역사적 사실에 가깝게 묘사되었다.[129] 필리파 그레고리의 소설 ''다크 타이드''(Dark Tides, 2020)와 포커스 온 더 패밀리가 제작한 오디오 드라마 "스콴토의 전설"(The Legend of Squanto, 1997)에서도 스콴토의 초기 삶과 순례자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다뤄졌다.[130]

5. 역사적 평가

스콴토에 대한 역사 기록은 대부분 잉글랜드 정착민들이 남긴 것이다. 이 기록들은 새로운 정착민을 유치하거나 재정 후원자들에게 자신들의 행동을 설명하고 정당화하려는 목적을 가졌기 때문에, 스콴토를 비롯한 아메리카 원주민을 자신들의 활동을 돕는 부수적인 역할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었다. 스콴토 개인이나 원주민 문화, 특히 종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시도한 기록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플리머스 식민지의 총독이었던 윌리엄 브래드퍼드는 스콴토가 "자신의 목적을 추구하고 자신의 게임을 했다... 자신을 부유하게 만들기 위해" 행동했다고 보면서도, 그가 결국 "다양한 물건들을 다양한 영국인 친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언급했다.[124]

역사가들의 스콴토에 대한 평가는 이러한 초기 기록의 편견과 동기를 얼마나 고려하는지에 따라 달라져 왔다. 초기 역사가들은 식민지 개척자들의 기록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애덤스(1892년 저술)는 스콴토를 "인디언 특유의 천진난만함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사례"로 묘사했다. 존 데이비스 판사(1826년 저술) 역시 스콴토를 "자연의 아이"로 보았지만, 그가 정착지에 어느 정도 유용성을 제공했다는 점은 인정하며 "몇 가지 잘못에도 불구하고 그의 행동은 대체로 흠잡을 데 없었고, 신생 정착지에 대한 그의 유용한 봉사는 감사의 기억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현대 역사가들, 특히 민족사 연구에 익숙한 학자들은 스콴토를 비롯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해 더욱 복잡하고 다면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슈펠턴(1976년 저술)은 스콴토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의 영국인 친구들만큼이나 세련되었으며, 스페인, 잉글랜드, 뉴펀들랜드를 방문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지역의 넓은 지역을 여행한, 당시 뉴잉글랜드에서 가장 여행을 많이 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고 평가했다. 아돌프(1964년 저술)는 스콴토가 "정착민과 원주민을 서로 대립시켜 자신을 과장하려는 시도"를 했다며 그의 성격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지만, 동시에 그가 없었다면 "플리머스의 설립과 발전은 훨씬 더 어려웠을 것이고, 불가능했을 수도 있다"며 그의 중요성을 인정했다. 베일리(1836년 저술) 역시 스콴토의 이중적인 면모를 지적하면서도, 정착민들의 생존에 대한 그의 중요한 기여를 인정하며 "그의 손실은 정당하게 공공의 불운으로 여겨졌다"고 기록했다.

결론적으로, 스콴토에 대한 평가는 기록의 한계와 해석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현대에는 그를 단순히 필그림 파더스를 도운 조력자나 '고귀한 야만인'과 같은 단편적인 모습으로 이해하기보다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생존을 모색하고 자신의 부족과 잉글랜드 정착민 사이에서 권력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했던 복잡한 인물로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의 이야기는 단순한 협력이나 영웅담이 아닌, 생존과 협상, 때로는 배신과 갈등이 얽힌 복잡한 역사적 과정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참조

[1] 논문 New Hypothesis for Cause of Epidemic among Native Americans, New England, 1616–1619 2010
[2] 서적 Native American history: a chronology of the vast achievements of a culture and their links to world events https://archive.org/[...] Ballantine Books 1996
[3] 간행물 1890, 1914
[4] 간행물 Letter of Emmanuel Altham to his brother Sir Edward Altham, September 1623 https://static1.squa[...] 1623, 1963
[5] 간행물 1643, 1981
[6] 간행물 1980, 1976
[7] 간행물 1624, 1841
[8] 간행물 1624, 1634, 1643, 1841
[9] 간행물 1624, 1976, 1841
[10] 간행물 1643, 1996
[11] 간행물 1624, 1841
[12] 간행물 1634, 1996
[13] 간행물 1624, 1841
[14] 간행물 1976, 1978
[15] 간행물 1605, 1906
[16] 간행물 1605, 1906
[17] 간행물 1658, 1890
[18] 간행물 1892
[19] 간행물 1622, 1993, 1981, 1841
[20] 간행물 1890, 1981
[21] 간행물 1622, 1890
[22] 논문 Málaga, Squanto, y el día de acción de gracias https://archive.org/[...] 2023-07
[23] 간행물 1952, 1908
[24] 간행물 1622, 1952, 1908, 1841
[25] 간행물 1622, 1890
[26] 간행물 1952, 1908
[27] 간행물 1658, 1890
[28] 간행물 1952, 1908
[29] 간행물 1858
[30] 간행물 1622, 1865, 1841
[31] 간행물 1622, 1865, 1841
[32] 간행물 1622, 1865, 1841
[33] 간행물 1622, 1865, 1841
[34] 간행물 1622, 1865, 1841
[35] 간행물 1622, 1865, 1841
[36] 서적 Mourt's Relation 1622
[37] 서적 OPP 1952
[38] 서적 Mourt's Relation 1622
[39] 서적 OPP 1952
[40] 서적 OPP 1952
[41] 서적 Letter from E.W. to [George Morton?] 1622
[42] 서적 Letter of John Pory to the Earl of Southampton 1963
[43] 서적 OPP 1952
[44] 서적 Morton 1637
[45] 서적 Mourt's Relation 1622
[46] 서적 OPP 1952
[47] 서적 Mourt's Relation 1622
[48] 서적 Mourt's Relation 1622
[49] 서적 OPP 1952
[50] 서적 Mourt's Relation 1622
[51] 서적 Mourt's Relation 1622
[52] 서적 Mourt's Relation 1622
[53] 서적 Mourt's Relation 1622
[54] 서적 Mourt's Relation 1622
[55] 서적 OPP 1952
[56] 서적 Mourt's Relation 1622
[57] 서적 Mourt's Relation 1622
[58] 서적 OPP 1952
[59] 서적 Mourt's Relation 1622
[60] 서적 Mourt's Relation 1622
[61] 서적 OPP 1952
[62] 서적 Mourt's Relation 1622
[63] 서적 OPP 1952
[64] 서적 Mourt's Relation 1622
[65] 서적 OPP 1952
[66] 서적 Mourt's Relation 1622
[67] 서적 Mourt's Relation 1622
[68] 서적 Mourt's Relation 1622
[69] 서적 Mourt's Relation 1622
[70] 서적 Mourt's Relation 1622
[71] 문헌
[72] 문헌
[73] 문헌
[74] 문헌
[75] 문헌
[76] 문헌
[77] 문헌
[78] 문헌
[79] 문헌
[80] 문헌
[81] 문헌
[82] 문헌
[83] 문헌
[84] 문헌
[85] 문헌
[86] 문헌
[87] 문헌
[88] 문헌
[89] 문헌
[90] 문헌
[91] 문헌
[92] 문헌
[93] 문헌
[94] 문헌
[95] 문헌
[96] 문헌
[97] 문헌
[98] 문헌
[99] 문헌
[100] 문헌
[101] 문헌
[102] 문헌
[103] 문헌
[104] 문헌
[105] 문헌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간행물 Chronological and Topographical Account of Dorchester https://archive.org/[...]
[127] 서적
[128] 서적
[129] 뉴스 "'Saints & Strangers' Cast on Bringing Early American Settlers to Life" https://variety.com/[...] 2015-10-29
[130] 웹사이트 The Focus Store https://store.focuso[...] 2024-07-31
[131] 서적
[132] 서적 The Mayflower and the Pilgrims' New World https://archive.org/[...] G.P. Putnam's Sons
[133] 웹사이트 Squanto (Bio) http://www.biography[...]
[134] 웹사이트 Tisquantum ("Squanto") (MayflowerHistory.com) http://mayflowerhist[...]
[135] 웹사이트 Squanto: Friend to the Pilgrims ("Squanto") (Social Studies for Kids) http://www.socialstu[...]
[136] 웹사이트 Profile: "Squanto" http://www.biography[...] 2014-11-26
[137] 웹사이트 "Squanto" http://www.rootsweb.[...]
[138] 문서 Sir Ferdinando Gorges, "A Brief Relation of the Discovery and Plantation of New England" London 1622
[139] 문서 1491. Mann, Charles C
[140] 웨이백 "New hypothesis for cause of an epidemic among Native Americans, New England, 1616–1619" http://www.cdc.gov/E[...] Emerg Infect Dis 2010-02
[141] 서적 History of the Town of Middleboro Massachusetts 1669–1905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1906
[142] 웹인용 Squanto http://continentaldr[...] 2006-11-29
[143] 서적 Mayflower: A Story of Courage, Community, and War Penguin Books 2007-04-24
[144] 웹인용 First Americans: Tisquantum http://kirkhneely.co[...] 2009-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