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인의 국가는 '척탄병 행진곡'으로, 1761년 처음 등장한 후 1770년 공식 명예 행진곡으로 지정되었다. 스페인 제1 공화국과 제2 공화국에서는 '리에고 찬가'가 국가였으나, 스페인 내전 이후 '척탄병 행진곡'이 다시 국가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가사 없이 연주되며, 1997년 공식 사용 관례가 공포되었다. 가사를 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정치적 반발로 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사벨 2세 (스페인) - 왕립극장 (마드리드)
왕립극장 (마드리드)은 페르난도 7세의 결정으로 건설이 시작되어 이사벨 2세 여왕 참석 하에 개관한 마드리드의 오페라 극장으로, 재건축과 리모델링을 거쳐 재개관 후 스페인 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공연을 개최하며 논란도 있었다. - 스페인의 상징 - 리에고의 노래
리에고의 노래는 1820년 작사되어 1822년 스페인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으나, 자유주의 정부 붕괴 후 마르차 레알에 밀려났으며, 스페인 제2공화국 시기에도 인기를 얻었지만 공식 국가로 지정되지는 않았고, 스페인 내전 관련 풍자 가사로도 사용된 역사를 가진 노래이다. - 스페인의 상징 - 스페인의 국장
스페인의 국장은 역사와 정체성을 상징하는 여러 왕국 문장과 기호로 구성되어 법률과 왕령에 의해 규제되며, 1981년에 현재의 국장으로 채택되었다. - 스페인의 노래 - 파소도블레
파소도블레는 2박자 리듬의 스페인 음악이자 춤으로, 희극과 보병 행진곡으로 사용되다가 투우와 연관되어 스페인 문화의 일부가 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설이 존재하고 투우사의 움직임을 모방한 춤과 볼룸 댄스 경연에서 선보이는 안무로 발전했다. - 스페인의 노래 - The Ketchup Song
"The Ketchup Song"은 라스 케첩이 2002년에 발표한 싱글로, 스페인어와 영어가 혼합된 가사와 쉬운 춤으로 인기를 얻어 세계적으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Ragatanga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고, 일부 가사가 사탄 숭배와 관련 있다는 논란이 있었다.
스페인의 국가 | |
---|---|
일반 정보 | |
![]() | |
제목 | Marcha Real (마르차 레알) |
영어 제목 | Royal March (로열 마치) |
다른 제목 | La Marcha Granadera (라 마르차 그라나데라) |
다른 영어 제목 | The Grenadier March (더 그레나디어 마치) |
국가 | 스페인 |
작곡가 | 마누엘 데 에스피노사 데 로스 몬테로스 |
관현악 | 바르톨로메 페레스 카사스 (1908년) |
화성 | 프란시스코 그라우 (1997년) |
채택일 | 1770년 9월 3일 |
폐지일 | 1822년 4월 7일, 1873년, 1931년 12월 9일 |
음원 정보 | |
역사 | |
제정 | 1770년 9월 3일 |
재제정 | 1823년, 1874년, 1942년 7월 |
가사 | |
작사가 | 정보 없음 (가사 없음) |
2. 역사
스페인의 국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가 중 하나로, 그 기원은 1761년 발간된 문서에서 '척탄병 행진곡'(La Marcha Granaderaes)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확인된다. 1770년 카를로스 3세는 이 곡을 공식적인 명예 행진곡으로 지정했으며, 왕실 행사 등에서 연주되면서 점차 '국왕 행진곡'(Marcha Reales)으로 불리게 되었다.
스페인 제2공화국 시기에는 잠시 리에고 찬가(Himno de Riegoes)가 국가로 채택되었으나,[5] 스페인 내전 이후 들어선 프랑코 정권 하에서는 다시 '척탄병 행진곡'이라는 이름으로 국가의 지위를 회복했다. 1975년 프랑코 사후 민주화 과정을 거치며 곡의 명칭은 다시 '국왕 행진곡'으로 돌아왔고, 1997년 왕립 칙령을 통해 프란시스코 그라우가 편곡한 현재의 버전이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스페인의 국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가 중 하나이다. 이 곡의 기원은 1761년 마누엘 데 에스피노사가 발간한 『'''스페인 보병 나팔 명령서'''』(Libro de Ordenanza de los toques militares de la Infantería Españolaes)라는 책에서 처음 확인된다. 이 책에는 '척탄병 행진곡'(La Marcha Granaderaes)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작곡가는 명확하지 않다. 일부 기록에서는 마누엘 데 에스피노사를 작곡가로 보기도 한다.한때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가 작곡했다는 설이 있었으나, 이는 1861년 스페인 군사 간행물(La España militares)에 잘못 게재되면서 퍼진 오해로 밝혀졌다. 이후 여러 간행물에서 이 설을 인용하며 확산되었지만,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다.
1770년 카를로스 3세는 '척탄병 행진곡'(Marcha de Granaderoses)을 공식 '명예 행진곡'으로 지정했다. 이는 이미 엄숙한 행사에서 연주되던 관행을 공식화한 조치였다. 왕실이 참석하는 공식 행사에서 꾸준히 연주되면서, 스페인 국민들은 이 곡을 자연스럽게 국가로 여기게 되었고, '국왕 행진곡'(Marcha Reales)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이사벨 2세 통치 시기에 이르러 스페인의 공식 국가로 자리 잡았다.
1868년 혁명 이후인 1870년, 후안 프림 장군은 새로운 국가를 제정하기 위해 공모전을 열었다. 400곡 이상이 제출되었으나 심사위원단은 적합한 곡을 찾지 못했고, 결국 기존의 '척탄병 행진곡'이 이미 국가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공모전은 중단되었다.[4]
알폰소 13세 시대인 1908년 8월 27일, 왕립 칙령을 통해 왕립 할버디어 근위대의 수석 음악가였던 바르톨로메 페레즈 카사스가 편곡한 악보가 공식 버전으로 채택되었다. 이 버전은 전통적으로 '척탄병 행진곡' 또는 '스페인 왕립 행진곡'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제2공화국 시대에는 잠시 리에고 찬가( Himno de Riegoes )가 국가로 채택되기도 했다.[5]
2. 2. 공화국 시대와 프랑코 정권
스페인 제1 공화국과 스페인 제2 공화국 시기에는 국왕 행진곡 대신 리에고 찬가가 국가로 채택되어 사용되었다.[5] 그러나 스페인 내전(1936-1939)이 끝나고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이끄는 프랑코 정권이 들어서면서, 국왕 행진곡이 다시 국가의 지위를 되찾았다. 이때 프랑코 정권은 곡의 명칭을 초기 이름인 척탄병 행진곡으로 바꾸어 불렀다.2. 3. 민주화 이후
스페인 1978년 헌법 제정 이후, 국가(國歌)인 '국왕 행진곡'(Marcha Real)의 새로운 편곡 작업이 프란시스코 그라우(Francisco Grau)에게 위임되었다. 이는 프란시스코 프랑코 독재 정권 시기 사용되던 편곡을 대체하고 민주주의 시대에 맞는 국가를 정립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이후 1997년 10월 10일,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은 왕립 칙령 1560/1997을 공포하여 '국왕 행진곡'의 공식적인 사용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관례화하였다. 이 칙령에 따라 스페인 정부는 이전 편곡자인 바르톨로메 페레즈 카사스(Bartolomé Pérez Casas)의 상속인들로부터 국가의 저작권을 구입하였으며, 프란시스코 그라우가 새롭게 편곡한 교향곡 버전을 공식 국가 악보로 채택하였다.
왕립 칙령 1560/1997은 국가 연주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도 제시하고 있다. 국가는 B 플랫 장조, 분당 76박자(♩=76)의 템포로 연주되어야 하며, AABB 형식으로 총 길이는 52초이다.
현재 스페인 국가는 공식 가사가 없다. 과거 여러 차례 가사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바스크, 카탈루냐 등 다양한 민족 및 지역 정체성이 공존하는 스페인의 복잡한 국내 사정으로 인해 국민적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무산되었다.
3. 현재 버전
현재 공식 버전인 Marcha Real|마르차 레알es은 1997년 10월 왕립 칙령 1560/1997에 명시되어 있으며,[6] 프란시스코 그라우가 편곡했다. 이 버전은 두 부분으로 나뉘는 16마디 길이의 구절로, 각 부분은 4마디가 반복되는 AABB 형식으로 구성된다. 템포는 ♩= 76, 조는 내림나장조(B♭ 장조)로 설정되어 있다.
연주 길이에 따라 용도가 다른데, 전체 버전은 국왕을 위한 예우 음악으로 사용된다. 반면, 반복 없이 짧게 연주되는 버전은 아스투리아스 공주, 정부 수반, 또는 스포츠 행사 등에서 연주된다.
또한, 스페인 정부의 요청으로 프란시스코 그라우가 작곡한 세 가지 공식 편곡이 존재한다. 각각 오케스트라용, 군악대용, 오르간용이다. 따라서 각 편곡과 길이에 따라 총 6개의 공식 편곡이 존재한다. 이 편곡들은 스페인 국립 오케스트라와 스페인 왕립 근위대 음악대에 의해 공식 녹음되어 CD로 한정 기간 동안 발매되기도 했다.
Marcha Real|마르차 레알es은 가사가 없는 국가 중 하나이다. 2007년, 스페인 올림픽 위원회(COE) 회장 알레한드로 블랑코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유치 경쟁에서 마드리드의 입찰을 앞두고 국가에 가사를 붙이려는 시도를 했다.[12][13][14] COE의 제안으로 방송사 텔레신코가 전국 공모전을 열었으나[15] 큰 호응을 얻지 못했고, 이후 COE가 다시 공모전을 조직하여 파울리노 쿠베로의 가사를 선정했다.[17] 하지만 이 가사 역시 비판에 직면하여 5일 만에 철회되었고, 가사 제정 계획은 무기한 보류되었다.[18] 현재까지도 가사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간혹 있지만, 바스크, 카탈루냐 등 복잡한 국내 사정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스페인의 자치 지방 중 다수는 자체적인 지역 국가를 가지고 있다.
4. 저작권 문제
스페인 국가인 Marcha Real|마르차 레알es의 현재 공식 편곡은 20세기 초 바르톨로메 페레즈 카사스(Bartolomé Pérez Casas)가 작곡한 것으로, 그의 사후에도 저작권이 소멸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예방하고자 스페인 정부는 1997년 페레즈 카사스의 유족으로부터 저작권을 매입했다. 매입 금액은 1억 3천만 페세타(781315.734EUR, 당시 환율로 약 1억엔에 해당)였다.[7]
저작권은 문화부와 저작권 관리 단체가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었으며, 국가 연주 시 저작권료를 징수하게 되면서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8] 이러한 저작권료 문제를 피하기 위해 일부 연주자들은 공식 편곡 대신 다른 방식으로 편곡하여 연주하기도 했다.
한편, 1997년 프란시스코 그라우(Francisco Grau)가 새롭게 편곡한 버전의 저작권은 스페인 정부에 무상으로 양도되었으나, 이 편곡 역시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되지는 않았다.[9]
5. 가사
왕의 행진곡(Marcha Reales)은 현재 공식적인 가사가 없다. 하지만 과거에 비공식적으로 사용된 가사들이 존재한다.
알폰소 13세 시대와 프랑코 정권 시대에 각각 다른 가사가 사용되었으나, 어느 것도 공식적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 특히 프랑코 정권 시절에 사용된 가사는 1978년 민주화 이후 폐기되었다.[10] 이후 스페인 국가는 공식 행사 등에서 가사 없이 연주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코 시대의 가사가 폐기된 후에도 간혹 잘못 불리는 경우가 있다.[11]
2000년대 후반, 스페인 올림픽 위원회(COE)를 중심으로 국가에 공식 가사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사회적 논란 끝에 무산되었다.[22]
5. 1. 비공식 가사 (알폰소 13세 시대)
스페인의 국가인 왕의 행진곡(Marcha Reales)은 공식 가사가 없지만, 과거에 비공식적으로 사용된 가사들이 있다. 알폰소 13세 시대에 사용된 버전은 에두아르도 마르키나(Eduardo Marquinaes, 1879–1946)가 알폰소 13세의 은혼 기념일을 위해 작사한 것이다.[19] 하지만 이 가사는 공식적으로 채택된 적은 없다.[3] 프랑코 시대에도 다른 가사가 사용되었으나, 1978년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승인한 가사가 폐기된 이후로는 가사 없이 연주되고 있다.[10]에두아르도 마르키나가 작사한 알폰소 13세 시대의 비공식 가사는 다음과 같다. 이 가사는 조국의 영광과 미래, 국기의 상징성, 국민의 열망 등을 노래하고 있다.
에두아르도 마르키나 작사 (스페인어) | 한국어 번역 |
---|---|
5. 2. 비공식 가사 (프랑코 시대)
마르차 레알은 공식 가사가 없지만, 과거에 가사가 쓰여 사용된 적이 있다. 프랑코 시대에 사용된 비공식 가사는 호세 마리아 페만(José María Pemán, 1897–1981)이 작사했다.[20] 이 가사는 페만이 알폰소 13세 치하와 미겔 프리모 데 리베라 정부 시절에 쓴 이전 버전을 프랑코 독재 정권의 이념에 맞춰 개작한 것이다.[20] 페만은 가사를 수정하면서 프랑코 정권의 극우 이념인 국가 가톨릭주의를 반영하여, 파시스트식 경례나 팔랑헤당의 상징인 '요크와 화살'과 같은 당시 시대상을 가사에 담으려 했다.이 가사는 공식적으로 채택된 적은 없으며,[3] 1978년 프랑코 독재 정권이 끝나고 민주화가 이루어지면서 폐기되었다.[10] 이후 스페인 국가는 가사 없이 연주되고 있지만, 때때로 프랑코 시대의 가사가 잘못 불리는 경우도 있다.[11]
다음은 호세 마리아 페만이 작사한 프랑코 시대의 비공식 가사와 그 해석이다.
원문 (호세 마리아 페만 작사) | 해석 |
---|---|
¡Viva España! Alzad los brazos, hijos del pueblo español, que vuelve a resurgir. Gloria a la Patria que supo seguir, sobre el azul del mar el caminar del sol.es | 스페인 만세! 팔을 걷어올려라, 스페인 인민의 아들들아 다시 부활하리라. 바다의 푸르름 위로 태양이 걸어가는 길을 아는 조국에 영광을. |
¡Triunfa España! Los yunques y las ruedas cantan al compás del himno de la fe. Juntos con ellos cantemos de pie la vida nueva y fuerte de trabajo y paz.es | 스페인, 승리하여라! 모루와 바퀴가 신념의 찬가에 맞춰 노래한다. 함께 그들과 일어서서 노래하자 새롭고 강인한 삶, 노동과 평화의 삶을. |
5. 3. 가사 공모 시도 (2000년대 후반)
2007년, 스페인 올림픽 위원회(COE) 회장 알레한드로 블랑코는 영국 리버풀 FC의 홈구장 안필드에서 팬들이 부르는 응원가 "You'll Never Walk Alone|유 윌 네버 워크 얼론영어"을 듣고 깊은 인상을 받았다.[12][13][14] 이를 계기로 2016년 하계 올림픽 유치 경쟁에서 마드리드의 입찰을 앞두고 스페인 국가 Marcha Real|마르차 레알es에 공식 가사를 붙이려는 시도를 시작했다.[12][13][14]같은 해, COE의 제안을 받은 스페인의 방송국 텔레신코는 전국적인 가사 공모전을 열었다. 웹사이트에 25개의 후보 가사를 게시하고 투표를 진행했으며, 약 4만 명이 참여했다. 이 공모에서는 잡지 발행인이자 시인인 엔리케 에르난데스-루이케가 작사한, 자유와 평화, 헌법의 가치를 담은 가사가 선정되었다.[15] 선정된 가사는 파스트라나에서 론다 데 아란수에케 합창단에 의해 불렸고, 독일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이를 촬영하기도 했다.[16]
그러나 스페인 올림픽 위원회는 이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공모전을 다시 열었다. 이 두 번째 공모에는 출처에 따라 2,000개에서 7,000개에 이르는 가사가 접수되었다. 개인 심사위원단은 당시 실업 상태였던 파울리노 쿠베로의 가사를 최종 선정했다.[17]
하지만 쿠베로가 쓴 가사에는 'Viva España|비바 에스파냐es'와 같은 표현이 포함되어 있어 논란이 일었다. 특히 이 구절은 과거 프란시스코 프랑코 독재 정권 시절을 연상시킨다는 비판과 함께 좌파 진영을 중심으로 강한 반발을 샀다.[22] 결국 이 가사는 발표된 지 5일 만에 철회되었고, 국가에 공식 가사를 붙이려던 계획은 무기한 보류되었다.[18] 이로써 스페인 국가에 가사를 제정하려는 시도는 다시 한번 무산되었다.
6. 해석 및 의전
스페인군과 스페인 국가 경찰의 군악대, 그리고 민간 취주악대 및 관악대는 일반적으로 프란시스코 그라우가 관악 밴드를 위해 편곡한 내림 나장조 버전의 국가를 연주한다. 가장조 버전의 연주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스페인에서 나팔 신호인 ''예포''는 시민 단체나 교구가 주관하는 종교 행사 및 행렬에서 취고악대가 연주하는 국가의 한 형태이다. 이때는 드럼과 나팔에 맞춰 편곡된 다양한 버전이 사용되며, 금관 악기가 함께 연주되기도 한다. 일부 취고악대에서는 나팔용으로 개작된 옛 공식 버전인 내림 라b장조 버전을 연주하기도 한다. 내림 나장조 버전이 연주될 경우에는 나팔 소리만 사용된다.
스페인 국가는 스페인 국왕과 여왕을 기리기 위해서도 연주되므로, 연주가 시작되면 모든 사람이 일어서는 것이 일반적이다. 교회 행사에서 국가가 연주될 때에도 참석자들은 왕족에 대한 존경심을 표시해야 한다. 민간인은 차렷 자세를 취하며, 제복을 입은 군인이나 경찰 등은 대열에 있지 않을 경우 거수경례를 한다.
참조
[1]
이미지
https://www.european[...]
[2]
웹사이트
Spain – Marcha Real
http://nationalanthe[...]
NationalAnthems.me
2011-11-23
[3]
웹사이트
Las otras letras del himno | elmundo.es
https://www.elmundo.[...]
[4]
서적
Hasta aquí hemos llegado: Recopilación histórica de la vieja piel de toro
https://books.google[...]
Punto Rojo Libros S.L.
2019-06-26
[5]
서적
Manual de Protocolo General. Formación para el Empleo
https://books.google[...]
EDITORIAL CEP
2010-10-21
[6]
간행물
Real Decreto 1560/1997, de 10 de octubre, por el que se regula el Himno Nacional
http://www.boe.es/bu[...]
1997-10-11
[7]
간행물
Real Decreto 1543/1997, de 3 de octubre, sobre adquisición por el Estado de los derechos de explotación de determinadas obras musicales y encomienda de su administración al Ministerio de Educación y Cultura
http://www.boe.es/bu[...]
1997-10-10
[8]
뉴스
El himno da aún mucho dinero
http://www.elmundo.e[...]
Crónica
2007-05-27
[9]
간행물
Real Decreto 2027/1998, de 18 de septiembre, de aceptación de la cesión gratuita efectuada por el maestro don Francisco Grau Vergara de los derechos de explotación por la revisión y orquestación del Himno Nacional y atribución de la administración de tales derechos al Ministerio de Educación y Cultura
http://www.boe.es/bu[...]
1998-09-29
[10]
뉴스
Divisive national anthem lyrics ditched
https://www.reuters.[...]
2016-08-24
[11]
뉴스
Italian choir mistakenly sings Franco-era national anthem to the King of Spain
https://www.cityam.c[...]
2019-05-08
[12]
웹사이트
Liverpool fans help inspire Spain to write words to anthem
http://uk.eurosport.[...]
Reuters
2007-06-05
[13]
뉴스
Spain to add lyrics to wordless national anthem
https://www.nbcnews.[...]
NBC News
2007-06-26
[14]
문서
Lost for Words
The Economist
[15]
웹사이트
El concurso para poner letra al Himno Nacional de la web de Telecinco ya tiene ganador
http://hoycinema.abc[...]
[[Diario ABC]]
2018-05-10
[16]
웹사이트
El concurso para poner letra al Himno Nacional de la web de Telecinco ya tiene ganador
https://www.lacronic[...]
La Crónica de Guadalajara
2018-05-10
[17]
뉴스
'¡Viva España! Cantemos todos juntos con distinta voz y un solo corazón'
http://www.elmundo.e[...]
[[Unidad Editorial]]
2018-05-10
[18]
뉴스
El himno de España vuelve a quedarse sin letra
https://elpais.com/e[...]
[[Grupo PRISA]]
2018-05-10
[19]
웹사이트
ABC MADRID 17-05-1927 página 3 - Archivo ABC
https://www.abc.es/a[...]
2019-08-05
[20]
문서
Marcha Real de España (José María Pemán)
[21]
문서
Dramatización sobre El Florido Pensil
https://web.archive.[...]
Crítica
1994
[22]
뉴스
新国王即位のスペイン王室、特異な5つのエピソード
https://www.afpbb.co[...]
2014-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