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몽 가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몽 가녜는 은퇴한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로, 윙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1998년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에 지명되어 1999년 NHL에 데뷔했으며, 2012년 로스앤젤레스 킹스 소속으로 스탠리 컵 우승을 경험했다.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캐나다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퀘벡 출신 - 폼 클레멘티에프
    폼 클레멘티에프는 한국인 어머니와 프랑스계 러시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프랑스 배우로, 프랑스 영화 데뷔 후 할리우드에 진출하여 《올드보이》에 출연했으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맨티스 역을 맡아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 퀘벡 출신 - 스테판 디옹
    스테판 디옹은 캐나다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자유당 소속 하원 의원, 연방-주 관계부 장관, 환경부 장관, 자유당 대표,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독일, 프랑스, 모나코 대사를 지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선수 명단 - 예브게니 나보코프
    카자흐스탄 태생 러시아 아이스하키 골텐더 예브게니 나보코프는 NHL, KHL 등에서 활약하며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 NHL 올스타 선정, IIHF 세계 선수권 우승 등의 업적을 남기고 샌호세 샤크스 골텐딩 코치로 활동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선수 명단 - 비탈리 콜레스니크
    비탈리 콜레스니크는 카자흐스탄 출신으로 NHL 콜로라도 애벌랜치에서 데뷔하고 KHL 살라바트 율라예프 우파에서 가가린 컵 우승을 했으며 카자흐스탄 국가대표로 토리노 동계올림픽에 참가한 은퇴한 아이스하키 골리이다.
  • 200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선수 명단 - 마리오 르미외
    마리오 르미외는 NHL에서 17시즌 동안 피츠버그 펭귄스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리그 최고 선수로 선정되었고,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펭귄스 구단주로서 팀의 스탠리 컵 우승을 이끌었다.
  • 200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선수 명단 - 마이클 페카
    마이클 페카는 NHL에서 뛰어난 수비형 포워드로 활약하며 프랭크 J. 셀케 트로피를 두 차례 수상하고 캐나다 국가대표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이자 현재 뉴욕 레인저스의 보조 코치이다.
시몽 가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포지션레프트 윙
슈팅 방향왼쪽
185cm
몸무게88kg
국가대표팀CAN
출생일1980년 2월 29일
출생지퀘벡, 퀘벡주, 캐나다
선수 생활 시작1999년
드래프트 순위22위 전체
드래프트 년도1998년
드래프트 팀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선수 생활 종료2015년
2009년 3월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소속 시절의 가녜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소속 시절의 가녜 (2009년 3월)
클럽 경력
뛰었던 팀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탬파베이 라이트닝
로스앤젤레스 킹스
보스턴 브루인스
국가대표팀 경력
국가대표팀캐나다 U-18 (1996-1997)
캐나다 U-20 (1998-1999)
캐나다 (2002-2006)
수상
수상 내역스탠리 컵 1회
메달
메달}}
스포츠남자 아이스하키

2. 선수 경력

시몽 가녜는 퀘벡 주니어 하키 리그(QMJHL)의 보포 하르팡과 퀘벡 르파르에서 주니어 선수 생활을 보내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고, 특히 르파르 소속 시절에는 등번호 12번이 영구 결번되기도 했다.[2]

1998년 NHL 드래프트에서 전체 22순위로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에 지명된 가녜는 1999-2000 시즌에 데뷔하여 NHL 올 루키 팀에 선정되었다. 플라이어스에서 10시즌 동안 활약하며 두 차례 NHL 올스타전에 참가했고, 팀 MVP에게 주어지는 바비 클라크 트로피를 2회 연속 수상하는 등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선수 생활 동안 여러 차례 부상, 특히 뇌진탕과 사타구니 부상으로 고생하기도 했다.[4][6] 2010년 플레이오프에서는 부상에서 복귀하여 팀이 보스턴 브루인스를 상대로 0승 3패의 열세를 뒤집고 시리즈를 승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9]

2010년 탬파베이 라이트닝으로 트레이드되어 한 시즌을 보낸 후,[10] 2011년 로스앤젤레스 킹스와 계약했다.[11] 킹스 소속으로 2012년 스탠리 컵 우승을 경험했으며, 이는 그의 첫 스탠리 컵 우승이었다. 이후 목 종양 제거 수술을 받았다.[12] 2012-13 시즌 중반 다시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로 트레이드되어 잠시 복귀했다.[13]

1년간의 공백기 후 2014-15 NHL 시즌에 보스턴 브루인스와 계약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나,[16] 시즌 중 부친상을 당한 뒤 가족과 함께하기 위해 팀을 떠났고,[17] 2015년 9월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했다.[19]

2. 1. 주니어 경력

가녜는 16세였던 1996–97 QMJHL 시즌에 보포 하르팡 소속으로 QMJHL에 데뷔했다. 주로 3, 4라인에서 뛰며 51경기에서 31점(9골 22어시스트)을 기록했다. 이후 두 시즌 동안 퀘벡 르파르로 이적하여 114경기에서 189점(80골 109어시스트)을 기록하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특히 1998–99 QMJHL 시즌에는 120점을 기록하며 리그 득점 6위에 올랐고, QMJHL 세컨드 올스타 팀에 선정되었으며, "올해의 인물"에게 수여되는 폴 뒤몽 트로피를 수상했다. 가녜는 르파르 소속으로 치른 25번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도 20골 13어시스트로 총 33점을 기록했다. 1998–99 시즌을 마친 후 프로 선수로 전향했으며, 르파르는 1999–2000 시즌 초에 기념식을 열어 그의 등번호 12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 이로써 가녜는 하키 명예의 전당 헌액자인 기 라플레르와 함께 퀘벡 르파르에서 등번호가 영구 결번된 두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 (이후 알렉산더 라둘로프의 등번호도 르파르에 의해 영구 결번되었다.)[2]

2. 2.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1999-2010)

시몽 가녜는 1998년 NHL 드래프트에서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에 전체 22순위로 지명되었고, 1999-2000 시즌을 앞두고 훈련 캠프를 통해 플라이어스에 합류했다. 데뷔 시즌에 그는 주로 센터 포지션에서 뛰며 80경기에 출전해 20골과 28어시스트를 기록했고, 이 활약을 바탕으로 NHL 올 루키 팀에 선정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17경기에 나서 5골 5어시스트를 기록했으나, 팀은 동부 컨퍼런스 결승에서 뉴저지 데블스에게 7차전 끝에 패배했다.

다음 시즌부터 가녜는 센터에서 윙으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2000-01 시즌에는 마크 레키, 키스 프라이모와 함께 라인을 이루며 69경기에서 27골 32어시스트를 기록했고, 첫 NHL 올스타전에 참가하여 북미팀 소속으로 결승골을 포함해 두 골을 넣었다. 2001-02 시즌에는 79경기에서 33골과 개인 최다인 33어시스트를 기록했다. 그러나 2002-03 시즌에는 잦은 사타구니 부상으로 46경기 출전에 그치며 골, 어시스트, 포인트 모두 개인 최저 기록을 남겼다. 다음 시즌에는 80경기에 출전하여 24골 21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탬파베이 라이트닝과의 동부 컨퍼런스 결승 6차전에서 중요한 연장 결승골을 넣기도 했다.[3] 하지만 플라이어스는 7차전에서 패배하며 탈락했다.

2004-05 NHL 직장 폐쇄 이후, 가녜는 플라이어스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는 피터 포스버그, 마이크 너블과 함께 톱 라인의 왼쪽 윙어로 활약했는데, 이 라인은 등번호(가녜 12번, 포스버그 21번, 너블 22번) 때문에 "Deuces Wild" 라인으로 불렸다. 가녜는 이 시즌 72경기에서 47골 79포인트를 기록하며 개인 최고의 시즌을 보냈고, 플라이어스 팀 MVP에게 수여되는 바비 클라크 트로피를 수상했다. 시즌 후, 그는 2500만달러가 넘는 5년 계약 연장에 서명했다. 2006-07 시즌에는 포스버그가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나서지 못하고 결국 내슈빌 프레데터스로 트레이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녜는 76경기에서 41골 27어시스트를 기록하며 2년 연속 바비 클라크 트로피를 수상했다. 또한 두 번째 NHL 올스타전에도 참가했다.

2007-08 시즌 동안 가녜는 25경기에서 18포인트를 기록했지만, 뇌진탕 후유증으로 인해 2월 20일, 의사의 권고에 따라 시즌을 마감했다. 당초 5개월 동안 세 차례의 뇌진탕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의료진은 실제로는 한 번의 뇌진탕 이후 추가적인 충격으로 증상이 악화된 것이라고 밝혔다. 첫 뇌진탕은 2007년 10월 25일, 플로리다 팬서스의 수비수 제이 보우미스터에게 턱을 가격당하면서 발생했다. 4경기를 결장한 후 복귀했지만 11월 7일에 다시 부상을 입었고, 이후 26경기를 결장했다. 2008년 2월 10일 피츠버그 펭귄스와의 경기에서 복귀를 시도했으나 첫 시프트에서 다시 부상을 당했다.[4] 당시 플라이어스에서는 전 주장 키스 프라이모와 제레미 로닉 등 여러 선수들이 심각한 뇌진탕을 겪고 은퇴하거나 은퇴 위기에 놓였던 사례가 있었다.[5]

가녜는 2008-09 시즌에 79경기에 출전해 34골, 74포인트, +21의 기록으로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 하지만 2009-10 시즌에도 부상이 이어졌다. 시즌 개막 한 달도 되지 않은 2009년 10월 말, 사타구니 양쪽에 탈장 진단을 받고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플라이어스 팀 주치의는 수술을 권했지만, 가녜는 몬트리올의 개인 의사에게 추가 진단을 받았다.[6] 결국 그는 수술을 결정했고, 11월 3일에 배꼽을 통해 복강경으로 오른쪽 사타구니의 작은 탈장 두 개를 치료하고 양쪽 복직근을 강화하는 수술을 받았다. 24경기를 결장한 후 12월 19일 뉴욕 레인저스와의 경기에서 복귀했다.[7] 복귀 11일 만인 12월 30일, 레인저스를 상대로 개인 통산 세 번째 해트트릭이자 첫 내추럴 해트트릭(한 피리어드에 연속으로 3골 기록)을 달성했다.[8] 이 시즌 최종 기록은 58경기 40포인트였다.

2010년 플레이오프에서 플라이어스는 1라운드에서 2번 시드 뉴저지 데블스를 꺾었지만, 가녜는 부상으로 이 시리즈에 출전하지 못했다. 2라운드에서 보스턴 브루인스를 만난 플라이어스는 가녜 없이 3연패를 당하며 탈락 위기에 몰렸다. 그러나 가녜가 4차전에 복귀하여 연장 결승골을 터뜨렸고, 5차전에서도 두 골을 넣으며 팀의 반격을 이끌었다. 플라이어스는 NHL 역사상 6번째로 0승 3패의 열세를 뒤집고 7차전까지 가는 데 성공했고, 가녜는 7차전 3피리어드에서 결승골을 넣어 팀을 동부 컨퍼런스 결승으로 이끌었다. 플라이어스는 NHL 역사상 세 번째로 0승 3패의 열세를 뒤집고 시리즈를 승리한 팀이 되었다.[9]

2. 3. 탬파베이 라이트닝 (2010-2011)

2010년 7월 19일, 가녜는 맷 워커와 2011년 NHL 드래프트 4라운드 지명권을 대가로 탬파베이 라이트닝으로 트레이드되었다.[10] 그는 해당 시즌 라이트닝 소속으로 정규 리그에서 17골 23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2011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에서는 5골을 추가했다.

2. 4. 로스앤젤레스 킹스 (2011-2013)

탬파베이에서 한 시즌을 보낸 뒤, 가녜는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2011년 7월 2일, 그는 로스앤젤레스 킹스와 2년 700만달러 계약을 맺었다.[11] 그는 2011년 10월 13일, 뉴저지 데블스마르탱 브로되르를 상대로 킹스 소속 첫 골을 기록했다. 2011-12 정규 시즌 동안 그는 34경기에 출전하여 10골 7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12년 6월 11일, 그는 과거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시절 동료였던 제프 카터, 마이크 리차즈와 함께 뉴저지 데블스를 꺾고 스탠리 컵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그의 선수 경력 첫 스탠리 컵 우승이었다. 킹스의 플레이오프 기간 동안 그는 4경기에 출전했지만 득점을 기록하지는 못했다. 시즌 종료 후 오프시즌에는 만성적인 통증의 원인이었던 목의 5cm 크기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12]

2. 5.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복귀 (2013)

다음 2012-13 시즌은 노사 대립으로 단축되었는데, 가녜는 로스앤젤레스 킹스 소속으로 11경기에 드물게 출전했다. 2013년 2월 26일, 조건부 4라운드 드래프트 지명권을 대가로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로 트레이드되었다.[13] 그는 2013년 2월 27일, 웰스 파고 센터에서 열린 워싱턴 캐피털스와의 경기에서 필라델피아로 복귀했다. 복귀 첫 경기에서 가녜는 파워 플레이 상황에서 브레이든 쉔과 다니엘 브리에르의 어시스트를 받아 시즌 첫 골을 기록하며, 선수 경력 중 가장 길었던 32경기 무득점 행진을 마감했다.[14]

2. 6. 보스턴 브루인스 (2014-2015)

프로 아이스하키 선수로 1년간의 공백기를 가진 후, 가녜는 보스턴 브루인스와 프로 선수 평가 계약을 맺었다.[15] 성공적인 훈련 캠프를 거친 뒤, 2014년 10월 14일에 보스턴 브루인스와 1년 계약을 체결했다.[16] 2014-15 NHL 시즌 동안 23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4년 12월 부친상을 당했고,[17] 이로 인해 2015년 1월 12일, 해당 시즌에 더 이상 보스턴 브루인스 소속으로 복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17] 이는 사실상 그의 프로 선수 경력의 마무리를 알리는 신호였으며, 결국 2015년 1월 29일 보스턴 브루인스는 가녜와의 계약을 해지했다.[18] 이후 가녜는 2015년 9월 15일, 프로 아이스하키 선수 은퇴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19]

2. 7. 은퇴

프로 하키를 1년 동안 쉬었던 가녜는 보스턴 브루인스와 프로 선수 평가 계약을 맺었다.[15] 성공적인 훈련 캠프를 거친 후, 가녜는 2014년 10월 14일에 1년 계약을 체결했다.[16] 23경기에서 3골을 기록한 후, 2014년 12월에 부친상을 당한 가녜는 2015년 1월 12일에 2014-15 시즌에 브루인스로 복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17] 그의 프로 선수 경력의 종말을 알리는 신호로, 가녜의 계약은 2015년 1월 29일에 브루인스에 의해 해지되었다.[18] 2015년 9월 15일, 가녜는 프로 하키 은퇴를 발표했다.[19]

3. 국가대표 경력

캐나다 대표 선수로서 1999년 세계 주니어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며 국제 무대에 처음 등장했다. 개최국이었던 캐나다는 결승전에서 러시아와 만나 연장전 끝에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가녜는 이 대회 7경기에서 7골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10점을 기록한 다니엘 트카추크에 이어 팀 내 득점 2위에 올랐다.

3년 뒤, 200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에서 캐나다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6경기에 출전하여 4점을 기록했으며, 캐나다가 개최국 미국을 꺾고 50년 만에 올림픽 아이스하키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2004-05 NHL 록아웃 이전에는 2004년 아이스하키 월드컵에 캐나다 대표로 참가하여 두 번째 국제 대회 우승을 경험했다. 이 대회에서는 6경기에 출전해 2점을 기록했다. 소속팀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가 NHL에서 꾸준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기 때문에, 가녜는 NHL 록아웃이 있었던 2005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가 되어서야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할 수 있었다. 이 대회에서 9경기 동안 10점을 기록하며 릭 내시조 손턴에 이어 팀 내 득점 3위를 차지했다. 캐나다는 결승전에서 체코에게 0-3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다음 해인 2006년에는 두 번째 올림픽인 200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에 출전했다. 캐나다는 2002년 금메달을 방어하고자 했으나, 8강전에서 러시아에게 패배하며 최종 7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가녜는 5경기에서 3점을 기록했다.

이후 2010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를 앞두고 열린 여름 캠프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2009년 8월 25일 사타구니 부상으로 인해 캠프를 떠나야 했다.

4. 개인 생활

시몽은 카린과 결혼했으며, 2009년 6월 2일에 아들 매튜를 낳았고,[20] 2011년 2월 14일에 딸 릴리 로즈를 낳았다.[21]

5. 수상 기록


  • 1998-99 시즌에 QMJHL 세컨드 올스타팀에 선정되었다.
  • 1999-2000 시즌에 NHL 올 루키 팀에 선정되었다.
  • 2001년과 2007년 NHL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 2000-01 시즌에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의 기량 발전상인 펠레 린드버그 기념상을 수상했다.
  • 2001-02, 2005-06, 2006-07 시즌에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의 트리플스타 선정 횟수가 가장 많은 선수에게 주어지는 토요타 컵을 수상했다.
  • 2005-06과 2006-07 시즌에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의 MVP에게 주어지는 바비 클라크 트로피를 수상했다.
  • 2012년에 로스앤젤레스 킹스 소속으로 스탠리 컵 우승을 차지했다.
  • 2012-13 시즌에 플라이어스로 복귀 후 첫 경기에서 워싱턴 캐피털스를 상대로 득점한 골이 팬 투표로 "올해의 플레이"로 선정되었다.

6. 개인 통산 기록

시몽 가녜의 선수 경력 동안의 주요 기록은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 국제 대회, 올스타전 기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세한 기록은 아래의 각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

wikitext

  정규 시즌 플레이오프
시즌리그GPGAPtsPIMGPGAPtsPIM
1995–96생트푸아 구베르뇌르QMAAA2713922181578158
1996–97보포르 아르팡QMJHL519223139
1997–98퀘벡 렘파츠QMJHL5330396926121151623
1998–99퀘벡 렘파츠QMJHL615070120421398174
1999–2000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80202848221755102
2000–01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692732591863030
2001–02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793333663250002
2002–03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469182716134156
2003–04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80242145291854912
2005–06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724732794663142
2006–07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7641276830
2007–08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25711184
2008–09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793440744263142
2009–10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58172340471993120
2010–11탬파베이 라이트닝NHL63172340201557124
2011–12로스앤젤레스 킹스NHL34710171840002
2012–13로스앤젤레스 킹스NHL110552
2012–13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2756116
2014–15보스턴 브루인스NHL233144
NHL 통산82229131060132810937225932


6. 2. 국제 대회

연도대회출장어시스트승점페널티 (분)
1999캐나다WJC77182
2002캐나다OG61340
2004캐나다WCH61120
2005캐나다WC937100
2006캐나다OG51234
주니어 통산77182
시니어 통산26613194


6. 3. 올스타전

wikitext

연도개최지GAP
2001콜로라도202
2007댈러스000
올스타 통산202


참조

[1] 웹사이트 Pee-Wee players who have reached NHL or WHA https://www.publicat[...] 2019-02-09
[2] 뉴스 Transfer-deal détente tested by Russian team's poaching of Preds star http://network.natio[...] 2008-07-11
[3] 웹사이트 Flyers send series to Game 7 http://sports.espn.g[...] 2007-06-24
[4] 뉴스 Concussed Flyers F Simon Gagne already planning for next season http://www.iht.com/a[...] 2008-02-22
[5] 뉴스 Gagne joins Lindros, Primeau, Roenick as Flyers hit with brutal concussions https://www.usatoday[...] 2008-02-29
[6] 뉴스 Flyers Notes: Flyers' Gagne seeks 2d opinion on hernias http://www.philly.co[...] 2009-10-28
[7] 웹사이트 Flyers' Gagne to have surgery; out 6-8 weeks http://tsn.ca/nhl/st[...] The Sports Network 2009-11-02
[8] 웹사이트 Individual Player Stats: Simon Gagne http://www.flyershis[...] flyershistory.com 2010-01-22
[9] 뉴스 Flyers complete remarkable comeback to eliminate Bruins http://tsn.ca/nhl/st[...] The Sports Network 2010-05-14
[10] 웹사이트 Flyers trade Gagne to Tampa Bay http://www.philly.co[...] 2010-07-19
[11] 웹사이트 Veteran Gagne agrees to two-year, $7M deal with Kings https://www.tsn.ca/n[...] 2011-07-02
[12] 웹사이트 Report: Simon Gagne underwent surgery to remove "mass" from his neck http://prohockeytalk[...] 2012-07-14
[13] 웹사이트 Flyers acquire veteran forward Gagne from Kings for pick https://www.tsn.ca/n[...] The Sports Network 2013-02-26
[14] 웹사이트 Watch Simon Gagne score in his Return to Philly http://prohockeytalk[...] NBC Sports 2013-02-27
[15] 웹사이트 Kalman: Simon Gagne An Interesting, Possibly Insignificant Addition To Bruins Mix http://boston.cbsloc[...] 2014-08-15
[16] 웹사이트 "B's Sign Gagne to a One-Year Contract; Assign Robins & Caron to Providence – Boston Bruins – News" http://bruins.nhl.co[...] Boston Bruins 2014-10-14
[17] 뉴스 Gagne will not return to Bruins http://www.bostonher[...] 2015-01-14
[18] 웹사이트 Bruins place Simon Gagne on unconditional waivers https://www.thescore[...] The Score Inc.|The Score 2015-01-29
[19] 웹사이트 Simon Gagne announces retirement from the NHL http://flyers.nhl.co[...] Philadelphia Flyers 2015-09-15
[20] 간행물 Philadelphia Flyer Simon Gagne welcomes son Matthew http://celebritybabi[...] 2009-06-02
[21] 웹사이트 Simon Gagne player profile http://nbcsports.msn[...] NBC Sports 2012-01-02
[22] 웹사이트 Gagne leaves camp with groin injury http://www.ctvolympi[...] CTV Television Network 2009-08-25
[23] 웹사이트 Simon Gagne wins 2012-13 Flyers Play of the Year https://www.nhl.com/[...] Philadelphia Fly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