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에라리온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에라리온 내전은 1991년부터 2002년까지 시에라리온에서 발생한 내전으로, 정치적 부패,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갈등, 외부 세력의 개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혁명통일전선(RUF)의 반란으로 시작되어, 다이아몬드 채굴을 둘러싼 이권 다툼과 민간인 학살, 아동 병사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을 동반했다. 국제 사회의 개입과 평화 협정을 통해 2002년 종식되었지만, 전쟁으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와 사회적 상처를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에라리온 내전 - 엑스큐티브 아웃컴즈
    엑스큐티브 아웃컴즈는 1989년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간 군사 기업으로, 분쟁 지역에서 군사 훈련 및 작전을 수행하며 다국적 기업과 정부를 고객으로 두었으나, 국제적 압력과 규제 강화로 1998년 해체되었고 민간 군사 기업의 역할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다.
  • 시에라리온의 역사 - 영국령 서아프리카
    영국령 서아프리카는 노예 무역 종식을 목표로 1821년부터 1888년까지 존속한 영국의 식민 통치 지역으로, 근대화 추진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며 각 식민지의 독립으로 해체되었다.
시에라리온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시에라리온 지도
기본 정보
분쟁시에라리온 내전
다른 이름Sierra Leone Civil War
장소시에라리온
날짜1991년 3월 23일 – 2002년 1월 18일
결과영국 연방의 승리
관련 분쟁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의 파급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의 파급
교전 세력 1
국가시에라리온
군대시에라리온 공화국군 (SLA, AFRC 이전 및 이후)
시민 방위군 (CDF) (카마조르, 타마보로스, 카프라스 등)
외국 용병
지원 세력영국 (2000-2002)
기니
ECOMOG (1998-2000)
익제큐티브 아웃컴스 (1995-1996)
UNAMSIL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 (2001-2005)
케냐
러시아 (1999-2005)
우크라이나 (1999-2005)
나이지리아
노르웨이
뉴질랜드
가나
요르단
독일
미국
벨라루스 (1995)
교전 세력 2
반군RUF
AFRC (1997-2002)
웨스트 사이드 보이스 (1998-2000)
라이베리아 (1997-2002)
NPFL (1991-2002)
지원 세력리비아
부르키나파소
외국 용병
지휘관 1
지휘관조지프 사이두 모모
밸런틴 스트래서
줄리어스 마다 비오
아흐마드 테잔 카바
새뮤얼 힝가 노먼
야히아 카누
솔로몬 무사
모이나 포파나
알리우 콘데와
토니 블레어
데이비드 리처즈
란사나 콘테
맥스웰 코베
비제이 제틀리
다니엘 오판데
지휘관 2
지휘관[[파일:Sl RUF.png|22px]] 포다이 상코
[[파일:Sl RUF.png|22px]] 샘 보카리
[[파일:Sl RUF.png|22px]] 이사 세사이
[[파일:Sl RUF.png|22px]] 오거스틴 그바오
조니 폴 코로마
포데이 칼라이
찰스 테일러
벤자민 예튼
병력 규모 1
정부군 및 민병대약 4,000명 (1999)
ECOMOG약 700명 (나이지리아군)
UNAMSIL군인 6,000명, 군사 옵서버 260명, 러시아 밀 Mi-24 4대 (1999)
영국군약 4,500명 (극장 투입), 1,300명 (상륙)
병력 규모 2
반군약 20,000명 (1999)
사상자
사망자50,000명에서 70,000명
이재민250만 명 (국내 및 국외)
기타
관련 전투실버 앤빌 작전
1992년 시에라리온 쿠데타
1996년 시에라리온 쿠데타
노블 오벨리스크 작전
프리타운 포위전
팔리서 작전
룽기 롤 교전
쿠크리 작전
바라스 작전

2. 내전의 원인

시에라리온 내전은 정치, 경제, 사회, 외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 정치적 요인: 1961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서 밀턴 마가이 초대 총리가 사망하면서 시에라리온의 정치는 부패, 부실 관리, 선거 폭력으로 점철되었다.[18][19] 알버트 마가이는 국가를 사익 추구의 도구로 여겼고, 시아카 스티븐스는 17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국가 기관을 파괴하고 왜곡했다.[20][21][22][23][24] 1985년 조셉 모모 소장이 집권했으나, 이미 파괴된 경제와 붕괴된 교육 시스템은 혁명적 통합전선(RUF)의 부상을 위한 토양을 제공했다.[25][26][27]

  • 경제적 요인: 시에라리온은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원의 저주" 현상으로 인해 경제 발전이 저해되었다.[26][27][30] 특히 다이아몬드 광산은 부패와 사적 이익 추구의 온상이었으며, RUF 반군에게는 무기 구입 자금으로 활용되었다.[28][29][31][32][33][34][37][38][39]


충적층 다이아몬드 채굴자

  • 사회적 요인: 독립 이후 정치적 부패와 경제적 실패는 사회 시스템을 약화시키고 교육 시스템을 붕괴시켰다.[18][19][25] 이는 불만을 품은 젊은 세대들이 RUF에 가담하는 계기가 되었다.[18][19]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발생한 난민들은 RUF에게 인적 자원을 제공했다.[42][43][44]

  • 외부적 요인: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은 난민 문제를 야기하여 RUF에게 인적 자원을 제공하는 결과를 초래했다.[42] 무아마르 카다피는 찰스 테일러와 RUF의 창립자 포데이 산코를 지원했으며,[45][46] 러시아 사업가 빅토르 부트는 찰스 테일러에게 무기를 공급했다.[47]


혁명통일전선(RUF)에 의해 파괴된 초등학교. 내전으로 인해 1270개의 학교가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2. 1. 정치적 요인

1961년 시에라리온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1964년 시에라리온의 초대 총리 서 밀턴 마가이 사망 이후, 시에라리온의 정치는 부패, 부실 관리, 선거 폭력으로 점차 특징지어졌으며, 이는 사회 약화와 교육 시스템 붕괴로 이어졌다. 1991년까지 불만을 품은 젊은 세대 전체가 (RUF)의 반항적인 메시지에 매료되어 조직에 가담하게 되었다.[18][19] 알버트 마가이는 그의 이복형제 밀턴과 달리 국가를 공공의 관리자로 보지 않고, 개인적인 이익과 자기 과시를 위한 도구로 여겼으며, 심지어 그의 통치를 위협하는 다당제 선거를 억압하기 위해 군대를 사용하기도 했다.[20]

시아카 스티븐스가 1968년 정계에 입문했을 때 시에라리온은 헌법 민주주의 국가였지만, 17년 후 그가 물러났을 때 시에라리온은 일당 국가가 되었다.[21] 스티븐스의 통치는 때때로 "17년 메뚜기 재앙"[22]으로 불리며, 모든 국가 기관의 파괴와 왜곡을 초래했다. 의회는 약화되었고, 판사들은 뇌물을 받았으며, 국고는 내부자들을 지원하는 애완 프로젝트에 자금을 대느라 파산했다.[23] 스티븐스가 반대파를 포섭하는 데 실패했을 때, 그는 종종 국가가 승인한 처형이나 추방에 의존했다.[24]

1985년 스티븐스는 물러났고, 조셉 모모 소장에게 국가 최고 지위를 넘겼다. 모모는 파괴된 경제를 물려받았지만, 정부 내 부패와 뇌물을 근절하는 데 상당히 성공한 것으로 여겨졌다. 국가가 공무원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 없게 되자, 절박한 사람들은 정부 사무실과 재산을 약탈했다. 프리타운에서조차 휘발유와 같은 중요한 상품이 부족했다. 그러나 정부가 더 이상 교사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 없게 되자 교육 시스템은 붕괴되었다. 부유한 가정만이 사교육을 감당할 수 있었기 때문에 1980년대 후반 시에라리온 청년 대부분은 목적 없이 거리를 배회했다.[25] 기반 시설과 공공 윤리가 함께 악화됨에 따라 시에라리온의 전문가 계층 대부분이 국가를 떠났다. 1991년 시에라리온은 다이아몬드, 금, 보크사이트, 루틸, 철광석, 어류, 커피, 코코아를 포함한 풍부한 천연자원의 혜택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26][27]

1978년 신헌법 제정 이후 시아카 스티븐스의 일당 독재 정권은 실정과 탄압으로 인해 경제를 파탄 상태에 빠뜨렸다. 이로 인해 치안이 심각하게 악화되어 언제 내전이 발발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 되었다.

1985년부터 스티븐스의 독재 정권을 대신하여 육군 소장 조세프 사이두 모모가 대통령이 되어 시에라리온의 정권을 장악했다. 모모는 스티븐스의 일당 독재 정치를 끝내는 정책을 취하는 등 대규모 내각 개편을 단행했다.

모모 암살 계획이 모의되었고, 부통령 프랜시스 미나를 비롯한 60명 이상이 체포되었다. 이후에도 모모의 독재 정권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1987년, 모모의 독재 정권을 타도하기 위해 아메드 포디 산코가 리비아로 가서 군사 훈련을 받고 혁명통일전선(RUF)을 결성했다. 리비아의 무아마르 알 카다피에게 소개된 산코는 시에라리온의 이웃 나라 리베리아의 찰스 테일러를 만났다. 테일러는 리베리아에서 독재 정치를 펼치던 사뮤엘 도 대통령을 타도하기 위해 카다피 휘하에서 혁명 전쟁 군사 훈련을 받고 있었다. 1989년 12월, 테일러가 이끄는 리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은 리베리아에 침입하여 무장봉기했다(리베리아 내전).

2. 2. 경제적 요인

1961년 시에라리온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시에라리온의 정치는 부패, 부실 관리, 선거 폭력으로 얼룩졌다. 이는 사회 약화와 교육 시스템 붕괴로 이어졌고, 1991년에는 불만을 품은 젊은 세대들이 (RUF)에 가담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18][19] 시아카 스티븐스의 통치는 "17년 메뚜기 재앙"[22]으로 불릴 정도로 국가 기관을 파괴하고 왜곡시켰다. 의회는 약화되었고, 판사들은 뇌물을 받았으며, 국고는 파산했다.[23]

1985년 스티븐스가 물러나고 조셉 모모 소장이 국가 최고 지위를 이어받았다. 모모는 파괴된 경제를 물려받았지만, 정부 내 부패와 뇌물 근절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공무원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 없게 되자, 사람들은 정부 사무실과 재산을 약탈하기 시작했다. 교육 시스템 또한 붕괴되어, 1980년대 후반 시에라리온 청년 대부분은 목적 없이 거리를 배회했다.[25] 사회 기반 시설과 공공 윤리가 악화되면서, 시에라리온의 전문가 계층 대부분이 국가를 떠났다. 1991년 시에라리온은 풍부한 천연자원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26][27]

시에라리온 동부와 남부 지역, 특히 코노(Kono)와 케네마(Kenema) 지구는 충적층 다이아몬드가 풍부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28] 1930년대 초 다이아몬드가 발견된 이후, 다이아몬드는 지속적인 부패와 사적 이익 추구에 자금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9] 천연자원이 풍부한 국가가 경제 개발 수준이 낮은 현상을 "자원의 저주(resource curse)"라고 한다.[30]

시에라리온의 다이아몬드 매장은 여러 측면에서 내전을 초래했다. 다이아몬드 채굴로 인한 불평등한 이익 배분은 일반 시에라리온 국민들에게 좌절감을 안겨주었다. 스티븐스 정부 하에서 국영 다이아몬드 광업 회사(DIMINCO)의 수익은 스티븐스와 그에게 가까운 정부 및 재계 엘리트의 사적 이익을 위해 사용되었다.[31][32] 1980년대 후반에는 시에라리온 다이아몬드의 거의 대부분이 밀수 및 불법 거래되어 민간 투자자의 손으로 들어갔다.[33][34]

다이아몬드는 RUF 반군이 무기와 탄약을 구입하는 자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37] 채굴이 용이한 다이아몬드의 존재는 폭력에 대한 유인을 제공했다.[38] 코노와 같은 중요한 광산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기 위해 수천 명의 민간인이 추방되었다.[39]

다이아몬드가 중요한 동기 요인이었지만, 시에라리온 내전에서 이익을 얻는 다른 방법도 있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채굴이 두드러졌다. 강제 노동을 이용한 cash crop 농업도 일반적이었다. 약탈은 다이아몬드뿐만 아니라 통화, 가정 용품, 식량, 가축, 자동차 및 국제 원조 물품도 포함했다. 경작 가능한 토지를 소유하지 못한 시에라리온 사람들에게 반군에 합류하는 것은 재산을 탈취할 기회였다.[40]

그러나 내전을 충적층 다이아몬드 광산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에 대한 갈등으로만 설명해서는 안 된다. 전쟁 전의 좌절과 불만은 다이아몬드 부문에만 국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년 이상의 빈곤한 지배, 빈곤, 부패 및 억압으로 RUF의 부상을 위한 환경이 조성되었고, 일반 사람들은 변화를 갈망했다.[41]

1985년부터 조세프 사이두 모모가 대통령이 되어 시에라리온의 정권을 장악했다. 모모는 스티븐스의 일당 독재 정치를 끝내는 정책을 취하는 등 대규모 내각 개편을 단행했다.

2. 3. 사회적 요인

1961년 시에라리온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1964년 시에라리온의 초대 총리 서 밀턴 마가이가 사망한 후, 시에라리온의 정치는 부패, 부실 관리, 선거 폭력으로 얼룩졌다. 이는 사회를 약화시키고 교육 시스템의 붕괴로 이어졌으며, 1991년에는 불만을 품은 젊은 세대 전체가 (RUF)의 선동에 넘어가 조직에 가담하게 되었다.[18][19] 알버트 마가이는 국가를 공공의 관리자가 아닌 개인적인 이익과 자기 과시를 위한 도구로 여겼고, 다당제 선거를 억압하기 위해 군대를 사용하기도 했다.[20]

시아카 스티븐스가 1968년 집권했을 때 시에라리온은 헌법 민주주의 국가였지만, 17년 후 그가 물러났을 때는 일당 국가가 되었다.[21] 스티븐스의 통치는 "17년 메뚜기 재앙"[22]으로 불리기도 하며, 모든 국가 기관의 파괴와 왜곡을 초래했다. 의회는 약화되었고, 판사들은 뇌물을 받았으며, 국고는 내부자들을 위한 프로젝트에 자금을 대느라 파산했다.[23] 스티븐스는 반대파를 포섭하지 못하면 국가가 승인한 처형이나 추방에 의존했다.[24]

1985년 스티븐스는 물러나고 조셉 모모 소장에게 권력을 넘겼다. 모모는 파괴된 경제를 물려받았지만, 정부 내 부패와 뇌물을 근절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국가가 공무원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 없게 되자, 사람들은 정부 사무실과 재산을 약탈했다. 프리타운에서조차 휘발유와 같은 중요한 상품이 부족했다. 정부가 교사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 없게 되자 교육 시스템은 붕괴되었다. 부유한 가정만이 사교육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1980년대 후반 시에라리온 청년 대부분은 거리를 배회했다.[25] 기반 시설과 공공 윤리가 악화되면서 시에라리온의 전문가 계층 대부분이 국가를 떠났다. 1991년 시에라리온은 다이아몬드, 금, 보크사이트, 루틸, 철광석, 어류, 커피, 코코아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26][27]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8만 명의 난민이 라이베리아에서 시에라리온-라이베리아 국경으로 피난했다. 난민 수용소와 구금 시설은 RUF의 반란에 필요한 인력을 제공했다.[42] RUF는 버려지고 굶주리며 의료 지원이 절실했던 난민들에게 식량, 숙소, 의료 서비스, 그리고 약탈과 광산 이익을 제공하며 지원을 약속했다.[43] 이러한 방법이 실패하면 청소년들은 종종 총을 들이대며 강제로 RUF에 가입해야 했다. 강제로 가입한 많은 아동 병사들은 내전으로 인한 법의 부재가 폭력을 통한 자기 권한 강화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계속해서 반군을 지지했다.[44]

2. 4. 외부적 요인

1961년 시에라리온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18][19] 그러나 독립 이후 시에라리온의 정치는 부패, 부실 관리, 선거 폭력으로 얼룩졌다. 이는 사회의 약화와 교육 시스템의 붕괴로 이어졌고, 불만을 품은 젊은 세대들은 (RUF)의 반항적인 메시지에 매료되어 조직에 가담하게 되었다.[18][19]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의 결과, 8만 명의 난민이 이웃 라이베리아에서 시에라리온-라이베리아 국경으로 피난했다.[42] 이 난민들은 RUF에게 귀중한 자원이 되었는데, 난민 수용소와 구금 시설은 RUF 반란에 필요한 인력을 제공했기 때문이다.[42] RUF는 난민들에게 식량, 숙소, 의료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대신 지원을 약속했지만, 강제로 가입시키기도 했다.[43][44]

무아마르 카다피는 찰스 테일러를 훈련시키고 지원했으며,[45] RUF의 창립자인 포데이 산코 역시 지원했다.[46] 러시아 사업가 빅토르 부트는 찰스 테일러에게 시에라리온에서 사용할 무기를 공급했다.[47]

1987년, 포데이 산코는 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지원을 받아 혁명통일전선(RUF)을 결성하고, 리비아에서 찰스 테일러를 만났다. 1989년 12월, 테일러가 이끄는 리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은 리베리아를 침공하여 무장봉기를 일으켰다(리베리아 내전).

3. 내전의 전개

카마조르는 익숙한 지역에서 활동하며 정부군과 혁명연합전선(RUF)의 약탈을 저지했다.[50][51] 피난민들에게 카마조르 가담은 가족과 터전을 지키는 수단이었다. 카마조르는 양측 모두와 충돌, 약탈자들을 저지했다.[52] 성공으로 조직은 확장됐으나, 분쟁 말 부패로 착취, 살인, 납치에 관여했다.[53]

1995년 3월, RUF가 프리타운에 접근하자, 남아프리카 공화국 민간군사기업(PMC) 이그제큐티브 아웃컴즈(EO)가 도착했다. 정부는 EO에 월 180만달러를 지급,[61] 다이아몬드 광산 반환, RUF 본부 파괴, 정부 지지 장려가 목표였다.[18] EO는 500명 군사 고문, 3,000명 병력, 공군 지원을 받았다.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32대대 출신 앙골라인, 나미비아인, 백인 남아공 장교단으로 구성됐다.[62] EO는 RUF를 10일 만에 96km 후퇴시켰다.[62] 7개월 만에 다이아몬드 광산, 캉가리 언덕을 탈환했다.[64] 근처 RUF 기지 파괴 후, RUF는 1996년 11월 30일 아비장 평화협정에 서명했다.[65] 1996년 2, 3월 의회,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고, 아마드 테잔 카바가 당선됐다.[66][67]

아비장 평화협정은 중립 평화유지군 도착 5주 내 EO 철수를 규정했다. 포데이 산코는 평화유지군 수, 유형을 문제 삼았다.[68][69] 1997년 1월, 국제통화기금(IMF) 요구에 카바 정부는 감시군 도착 전 EO 철수를 명령했다.[15][65] EO 철수는 RUF 재집결, 공격 기회를 줬다.[15] 1997년 3월 나이지리아에서 산코 체포는 RUF를 분노시켜 평화협정은 붕괴됐다.[70]

1991년 3월, 산코의 RUF는 찰스 테일러의 리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 영향으로 리베리아 국경에서 봉기, 국경을 넘나들며 공격했다. 1992년 4월 29일, 발렌타인 스트라서 쿠데타로 조지프 사이두 모모기니로 망명, 스트라서는 RUF 진압을 시도했으나 RUF는 학살, 약탈, 광범위한 지역을 지배했다.

RUF는 다이아몬드를 자금원으로 수도 프리타운을 점령했다. 1993년 스트라서는 RUF에 휴전, 사면을 선언했다. 쿠데타 미수 26명은 처형됐다.

1996년 1월, 줄리어스 마아다 비오 쿠데타로 스트라서는 물러났다. 2월 선거, 3월 카바 대통령 취임, 민정부가 들어섰으나 RUF와 대립, 카마조 등 민병대가 등장했다.

1997년 5월, 군사혁명평의회(AFRC) 조니 폴 코로마 쿠데타, RUF와 일시 연합했다.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MOG/ECOWAS) 개입으로 단명, 카바 민정부와 RUF 대립은 계속됐다.

1997년 테일러는 리베리아를 장악, 산코 지원, 다이아몬드 밀수를 했다.

1998년 7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181호로 유엔 시에라리온 감시단(UNOMSIL) 설립, ECOMOG와 평화 구축에 나섰다. 10월 산코 사형 선고로 RUF는 국토 3분의 2 이상 지배했다. 1999년 7월 로메 평화 협정으로 RUF 정권 참여가 인정됐다. UNOMSIL은 철수, 1999년 10월 2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270호로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UNAMSIL)이 설립, RUF 무장 해제 임무를 맡았으나 RUF는 응하지 않았다.

2000년 5월 1일, RUF는 UNAMSIL 요원 500명 인질로 잡았다. 5월 16일 산코 체포, 5월 19일 영국은 룽기 국제공항에 증원, 팔리저 작전을 개시했다. 6월 인도군 중심 쿠크리 작전으로 인질 구출, 웨스트 사이드 보이스가 영국군 병사 납치했으나, 시에라리온 인질 구출 작전으로 구출됐다.

정부-RUF 휴전, RUF 무장 해제, 카바는 2002년 1월 18일 종료, 3월 1일 종전 선언했다.

3. 1. RUF의 반란 (1991-1996)

1991년 3월, 포데이 산코가 이끄는 혁명통일전선(RUF)은 찰스 테일러의 리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 내전의 영향을 받아 시에라리온 남동부, 리베리아 국경 근처에서 무장봉기했다. RUF는 리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의 지원을 받아 리베리아에서 국경을 넘나들며 공격을 반복했다.[42]

RUF는 버려지고 굶주리며 의료 지원이 절실히 필요했던 난민들을 이용하여 식량, 숙소, 의료 서비스, 그리고 약탈과 광산 이익을 제공하는 대신 그들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러한 모병 방법이 RUF에게 자주 실패했을 때, 청소년들은 종종 총포를 들이대며 강제로 RUF에 가입하도록 강요당했다. 강제로 가입한 많은 아동 병사들은 내전으로 인한 법의 완전한 부재가 폭력을 통한 자기 권한 강화의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따라서 계속해서 반군을 지지했다.[44]

1991년 상반기에 초기 반란은 쉽게 진압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RUF는 수적으로 열세이고 민간인들에게 극도로 잔혹했음에도 불구하고, 연말까지 국가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다. 시에라리온군(SLA)의 나쁜 행동 또한 이러한 결과를 가능하게 했다.[28] 정부군은 종종 RUF와 직접 대면하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찾을 수 없어 민간인들 사이에서 반군이나 동조자를 찾는 과정에서 잔혹하고 무차별적인 행동을 했다. 함락된 도시들을 탈환한 후, SLA는 마을 주민들을 반군으로부터 분리한다는 구실로 그들의 가정에서 멀리 떨어진 동부와 남부 시에라리온에 있는 ‘전략적 마을’이라는 강제수용소와 같은 곳으로 이송하는 ‘소탕 작전’을 수행했다.[48] 그러나 많은 경우, 마을 주민들이 대피한 후 약탈과 절도가 이어졌다.

SLA의 비열한 행동은 필연적으로 많은 민간인들의 소외를 불러왔고, 일부 시에라리온 사람들을 반군의 대의에 합류하게 만들었다.[1] 사기가 저하되고 식량은 더욱 부족해지면서 많은 SLA 군인들은 반군과 함께 시골의 민간인들을 약탈하는 것이 반군과 싸우는 것보다 더 나은 선택임을 알게 되었다. [1] 지역 주민들은 RUF와의 긴밀한 관계 때문에 이러한 군인들을 ‘소벨’ (낮에는 군인, 밤에는 반군)이라고 불렀다. 1993년 중반까지 양측은 사실상 구분이 어려워졌다.

시에라리온의 다이아몬드 매장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내전을 초래했다. 첫째, 다이아몬드 채굴로 인한 불평등한 이익 배분으로 인해 일반 시에라리온 국민들은 좌절감을 느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시에라리온 다이아몬드의 거의 대부분이 밀수 및 불법 거래되고 있으며, 그 수익은 민간 투자자의 손으로 직접 들어갔다.[33][34] 다이아몬드는 또한 충적층 다이아몬드 광산에서 얻은 자금을 사용하여 이웃 기니, 라이베리아, 심지어 SLA 병사들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구입한 RUF 반군을 무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37] 하지만 다이아몬드와 전쟁 사이에서 가장 중요한 연결고리는 채굴이 용이한 다이아몬드의 존재가 폭력에 대한 유인을 제공했다는 점이다.[38]

3. 2. 국제사회의 개입과 평화 노력 (1996-1999)

1996년 1월, 줄리어스 마아다 비오 준장에 의한 무혈 쿠데타로 스트라세가 실각했다.[28] 이듬해 2월 대통령 및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고, 3월에는 아마드 테잔 카바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민정 이양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혁명통일전선(RUF)은 이 민정부와도 격렬하게 대립했다. 이 무렵부터 카마조와 같은 정부 측 민병대가 등장했다.[50][51][52][53]

1997년 5월, 군사 쿠데타로 카바 대통령으로부터 권력을 빼앗은 군사혁명평의회(AFRC)의 조니 폴 코로마 소령이 국가원수가 되어 RUF와 일시적으로나마 손을 잡았다. 이 군사 정권은 나이지리아 등을 중심으로 한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MOG/ECOWAS)의 군사 개입으로 단명했지만, 부활한 카바 민정부와 RUF의 대립은 그칠 줄 몰랐다.

같은 해, 리베리아에서 무장 봉기를 일으켰던 산코의 동족인 찰스 테일러가 리베리아의 권력을 장악했다. 테일러는 동족인 산코를 돕기 위해 무기 지원과 맞바꿔 다이아몬드 밀수를 했다.[147]

1998년 7월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181이 결의되어 유엔 평화유지 활동의 유엔 시에라리온 감시단(UNOMSIL)이 설립되었다. UNOMSIL은 ECOMOG와 함께 평화 구축에 임하게 되었다. 1998년 10월, 산코 의장의 사형 선고를 계기로 RUF가 전국적으로 대공세를 펼쳐 마침내 수도를 포함한 전국토의 3분의 2 이상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후 1999년 7월에는 로메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유엔 감시하의 무장 해제와 맞바꿔 RUF의 정권 참여가 인정되었다. RUF의 공세 당시 UNOMSIL은 철수했지만, 1999년 10월 2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270에 따라 병력이 강화된 유엔 평화유지군(PKF)인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UNAMSIL)이 설립·파견되었다. UNAMSIL은 RUF 등의 무장·동원 해제, 재통합(무장해제, DDR)을 임무로 했지만, 이와 대립하여 RUF는 무장 해제에 응하지 않았다.

3. 3. 로메 평화 협정과 UNAMSIL의 활동 (1999-2002)

1999년 7월, 로메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유엔 감시하에 무장 해제와 맞바꿔 RUF의 정권 참여가 인정되었다.[147] RUF의 공세 당시 UNOMSIL은 철수했지만, 1999년 10월 2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270에 따라 병력이 강화된 유엔 평화유지군(PKF)인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UNAMSIL)이 설립·파견되었다. UNAMSIL은 RUF 등의 무장·동원 해제, 재통합(무장해제, DDR)을 임무로 했지만, RUF는 이에 대립하여 무장 해제에 응하지 않았다.

2000년 5월 1일, RUF가 UNAMSIL 요원 약 500명을 인질로 잡는 사건이 발생했다. 5월 16일, RUF의 산코가 프리타운 자택에서 시민들에게 체포되어 시에라리온 경찰에 인계되었고, 5월 19일 영국은 프리타운과 해협으로 갈라진 룽기 국제공항에 증원 부대를 파병했다(Operation Palliser). 6월, 인도군을 중심으로 한 구출 작전(Operation Khukri)이 실행되어 인질들이 구출되었다. 같은 시기, 탈영병과 소년, 소녀로 구성된 웨스트 사이드 보이스가 순찰 중인 영국군 병사를 납치하여 인질로 잡았지만, 영국군의 개입으로 이들 역시 구출되었다(시에라리온 인질 구출 작전).

이후 정부는 RUF와 휴전에 합의했고, RUF는 정부 측의 무장 해제 요구에 응했다. 카바 정권은 2002년 1월 18일 무장 해제 종료를 선언했다.

3. 4. 내전의 종식 (2002)

1991년 3월, 포데이 산코가 이끄는 혁명통합전선(RUF)은 찰스 테일러의 라이베리아 국민 애국 전선(NPFL) 내전의 영향을 받아 라이베리아 국경 근처인 시에라리온 남동부에서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RUF는 NPFL의 지원을 받아 라이베리아에서 국경을 넘나들며 공격을 반복했다.[42]

1992년 4월 29일, 발렌타인 스트라서가 이끄는 하급 장교들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조지프 사이두 모모 정권을 무너뜨리고 기니로 망명시켰다. 스트라서는 국가원수가 되어 라이베리아의 테일러가 이끄는 NPFL과 이에 합류한 산코의 RUF 반정부 활동을 진압하려 했으나, RUF는 학살과 약탈을 거듭하며 동부 주 등 광범위한 지역을 장악했다.[13][54]

RUF는 지역 내 다이아몬드를 자금원으로 삼아 세력을 키워 수도 프리타운을 점령했다. 테일러의 NPFL 지배 지역이 감소하면서 RUF의 세력이 약화되는 듯했으나, 1993년 스트라서는 RUF에 일방적으로 휴전을 선언하고 반군 병사들에게 사면을 내렸다. 이후 모모 정권 인사 26명이 스트라서 타도 쿠데타 미수 혐의로 처형되었는데, 이는 이후 쿠데타의 전조가 되었다.

1995년, 스트라서는 구르카 용병의 후속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백인 정권 시대 전직 군인들로 구성된 이그제큐티브 아웃컴즈(EO)사를 고용했다. EO사의 개입으로 RUF는 일시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62]

1996년 1월, 줄리어스 마아다 비오 준장의 무혈 쿠데타로 스트라서는 정권에서 물러났다. 이듬해 2월 대통령 및 의회 선거가 실시되어 3월에는 아마드 테잔 카바가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민정부가 들어섰다. 그러나 RUF는 민정부와도 격렬하게 대립했고, 카마조와 같은 정부 측 민병대가 등장했다.[67]

1997년 5월, 군사혁명평의회(AFRC)의 조니 폴 코로마 소령이 군사 쿠데타로 카바 대통령으로부터 권력을 빼앗고 RUF와 일시적으로 손을 잡았다. 이 군사 정권은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MOG/ECOWAS)의 군사 개입으로 단명했지만, 부활한 카바 민정부와 RUF의 대립은 계속되었다.

1997년, 리베리아에서 무장 봉기를 일으켰던 산코의 동족 테일러가 리베리아의 권력을 장악했다. 테일러는 산코를 돕기 위해 무기 지원과 맞바꿔 다이아몬드 밀수를 했다.

1998년 7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181호에 따라 유엔 평화유지 활동인 유엔 시에라리온 감시단(UNOMSIL)이 설립되어 ECOMOG와 함께 평화 구축에 나섰다. 1998년 10월, 산코 의장의 사형 선고를 계기로 RUF가 전국적인 대공세를 펼쳐 수도를 포함한 국토의 3분의 2 이상을 지배했다. 1999년 7월, 로메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유엔 감시하의 무장 해제와 맞바꿔 RUF의 정권 참여가 인정되었다. RUF의 공세 당시 UNOMSIL은 철수했지만, 1999년 10월 2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270호에 따라 병력이 강화된 PKF인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UNAMSIL)이 설립·파견되었다. UNAMSIL은 RUF 등의 무장 해제 및 재통합(DDR)을 임무로 했지만, RUF는 이에 응하지 않았다.

2000년 5월 1일, RUF가 UNAMSIL 요원 약 500명을 인질로 잡는 사건이 발생했다. 5월 16일, RUF의 산코는 프리타운 자택에서 시민들에게 체포되어 경찰에 인계되었고, 5월 19일 영국은 룽기 국제공항에 증원 부대를 파병했다(영국의 시에라리온 내전 군사 개입, 팔리저 작전). 6월, 인도군 중심의 구출 작전(쿠크리 작전)으로 인질들이 구출되었다. 웨스트 사이드 보이스가 영국군 병사를 납치했으나, 영국군의 개입으로 이들 역시 구출되었다(시에라리온 인질 구출 작전).

정부는 RUF와 휴전에 합의했고, RUF는 무장 해제 요구에 응했다. 카바 정권은 2002년 1월 18일 무장 해제 종료를 선언했고, 3월 1일 내전 종식을 선언했다. 같은 해 5월 카바 대통령이 재선되면서 10년 이상 이어진 분쟁은 막을 내렸다.

4. 내전의 결과 및 영향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라이베리아에서 시에라리온-라이베리아 국경으로 8만 명의 난민이 피난했다.[42] 이들은 대부분 어린이였으며, 혁명적 통합전선(RUF)은 이들을 반란에 필요한 인력으로 이용했다.[42] RUF는 난민에게 식량, 숙소, 의료 서비스와 약탈, 광산 이익을 약속하며 지원을 확보했으나, 때로는 총을 들이대 강제로 가입시키기도 했다.[43][44] 강제 가입한 아동 병사 일부는 내전으로 인한 법 부재를 폭력을 통한 자기 권한 강화 기회로 인식하고 반군을 계속 지지했다.[44]

포데이 산코는 2003년 전쟁범죄 혐의로 재판에 회부될 예정이었으나, 프리타운 병원에서 사망했다. 찰스 테일러 또한 같은 해 라이베리아 정권에서 축출, 도주 끝에 체포되어 시에라리온 내전 관여 혐의로 프리타운 재판에 회부되었다.

2005년 12월 유엔 시에라리온 임무단(UNAMSIL)(최대 1만 7천 명)이 완전히 철수했고, 2007년 8월 어니스트 바이 코로마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4. 1. 인명 피해

내전으로 인해 시에라리온에서는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이웃 라이베리아에서 8만 명의 난민이 시에라리온-라이베리아 국경으로 피난했다.[42] 이들 대부분은 어린이들로, 혁명연합전선(RUF)은 이들을 징집하여 반군 활동에 이용했다.[42] RUF는 난민들에게 식량, 숙소, 의료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대가로 이들을 징집했으며, 때로는 강제로 징집하기도 했다.[43][44]

전쟁이 끝난 후, 납치되어 전쟁에 이용되었던 많은 어린이들은 재활, 보고 및 치료가 필요했다.[123] 이들은 약물 금단 증상, 세뇌, 신체적 및 정신적 상처 등으로 고통받았으며, 자신이 누구인지, 어디에서 왔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123] 또한, 약 100만~200만 명으로 추산되는 실향민과 난민이 발생했다.[124]

4. 2. 사회적 피해



시에라리온 내전은 사회에 심각한 피해를 가져왔다. 다이아몬드 채굴로 인한 불평등한 이익 분배는 일반 국민들에게 좌절감을 안겨주었다. 스티븐스 정부 시절, 국영 다이아몬드 광업 회사(DIMINCO)의 수익은 스티븐스와 그 측근들의 사적 이익을 위해 사용되었다.[31][32] 1980년대 후반에는 다이아몬드 무역이 레바논 상인과 앤트워프의 국제 다이아몬드 시장과 연결된 이스라엘인들이 지배했고, 밀수와 불법 거래가 만연했다.[33][34][35]

다이아몬드는 혁명적 통합전선(RUF) 반군이 무기와 탄약을 구입하는 자금으로 사용되었으며,[37] 다이아몬드 광산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기 위해 수천 명의 민간인이 추방되었다.[39] 또한, 채굴, 강제 노동을 이용한 경제작물(cash crop) 농업, 약탈 등도 내전 중 이익을 얻는 수단이었다.[40]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인해 발생한 8만 명의 난민은 RUF 반군에게 귀중한 자원이 되었다. RUF는 난민들을 이용하여 식량, 숙소, 의료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지원을 약속받았다.[42][43] 강제로 RUF에 가입한 아동 병사들은 폭력을 통해 자기 권한을 강화할 기회를 얻었다.[44]

전쟁 후, 납치되어 갈등에 이용되었던 많은 어린이들은 재활, 보고 및 치료가 필요했다. 그러나 약물 금단 증상, 세뇌, 신체적 및 정신적 상처 등으로 인해 즉시 집으로 돌아갈 수 있는 어린이는 극소수였다.[123]

약 100만~200만 명으로 추산되는 실향민과 난민은 마을로 돌아가고 싶어하거나 돌아가야 했다.[124] 수천 개의 작은 마을이 약탈과 파괴로 심각한 피해를 보았고, 진료소와 병원도 파괴되어 기반 시설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24]

4. 3. 전후 처리

스티븐 J. 랩(Stephen J. Rapp), 최고 검사


로메 평화 협정은 분쟁 중 인권 침해의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치유를 촉진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기 위해 진실화해위원회 설립을 촉구했다.[121] 이후 시에라리온 정부는 1996년 11월 30일 이후 시에라리온 영토 내에서 자행된 반인륜 범죄, 전쟁 범죄, 심각한 국제 인도주의법 위반 및 관련 시에라리온 법에 따른 범죄에 대해 가장 큰 책임을 지는 자들을 재판하기 위해 시에라리온 특별법정 설립에 UN의 도움을 요청했다.[122] 진실화해위원회와 특별법정은 모두 2002년 여름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보도에 따르면 수천 개의 작은 마을이 약탈과 적대 세력으로 간주되는 자들의 재산에 대한 집중적인 파괴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진료소와 병원도 심하게 파괴되어 기반 시설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24]

유럽 연합(EU)은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 영국(UK)의 지원을 받아 경제와 정부를 안정시키기 위해 예산 지원을 제공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EU는 정부 재정 및 사회 서비스 등을 위해 4750000EUR를 지원했다.[124] 방글라데시 UN 평화유지군의 기여 이후, 아마드 테잔 카바 정부는 2002년 12월 벵골어를 명예 공식 언어로 선포했다.[125][126][127][128]

시에라리온의 다이아몬드 수익은 분쟁 종식 이후 2000년 1000만달러에서 2004년 약 1.3억달러로 10배 이상 증가했지만, UNAMSIL의 광산 현장 조사에 따르면 "다이아몬드 채굴의 50% 이상이 여전히 무허가 상태이며 상당한 불법 다이아몬드 밀수가 계속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129]

2003년 1월 13일, 무장한 소규모 인원이 프리타운(Freetown)의 무기고에 침입하려다 실패했다. 전 AFRC 군사 정권 지도자 코로마(Koroma)는 이 습격과 연루된 후 잠적했다. 3월, 시에라리온 특별법정(Special Court for Sierra Leone)은 내전 당시 전쟁범죄에 대한 첫 기소를 발표했다. 이미 구금 중이던 산코(Sankoh)는 악명 높은 RUF 현장 사령관 샘 "모스키토" 보카리(Sam "Mosquito" Bockarie), 코로마, 내무장관이자 전 민방위군 사령관 사무엘 힌가 노먼(Samuel Hinga Norman), 그리고 다른 여러 사람들과 함께 기소되었다. 노먼은 기소장 발표와 함께 체포되었지만, 보카리와 코로마는 도주 중이었다(아마 라이베리아에 있을 것으로 추정). 2003년 5월 5일, 보카리는 라이베리아에서 사망했다. 테일러(Taylor) 대통령은 특별법정에 의해 기소될 것을 예상했고 보카리의 증언을 두려워했다.[130] 그는 보카리 살해를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지만, 아직 기소되지는 않았다.[131]

몇 주 후, 라이베리아에서 코로마도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그의 사망은 확인되지 않았다. 6월, 특별법정은 테일러에 대한 전쟁범죄 기소를 발표했다.[132] 산코는 2003년 7월 29일 프리타운 감옥에서 폐색전증으로 사망했다.[133] 그는 전년도 뇌졸중 이후로 병석에 있었다.[134]

2003년 8월, 카바(Kabbah) 대통령은 내전 당시 자신의 역할에 대해 진실화해위원회(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에 증언했다. 2003년 12월 1일, 시에라리온 정부의 국방참모총장이었고 SLA에서 중요 인물이었던 소장(Major General) 톰 캐리우(Tom Carew)는 민간인 신분으로 재배치되었다. 2007년 6월, 특별법정은 기소된 11명 중 3명인 알렉스 탐바 브리마(Alex Tamba Brima), 브리마 바지 카마라(Brima Bazzy Kamara), 산티지 보보르 카누(Santigie Borbor Kanu)를 유죄로 판결했는데, 그들의 죄목에는 테러리즘 행위, 집단 처벌, 절멸, 살인, 강간, 인격에 대한 잔혹 행위, 15세 미만 아동의 강제 징집, 노예화, 약탈 등이 포함되었다.[135]

체포된 산코(Sannoh)는 2003년 전쟁범죄 혐의로 재판에 회부될 예정이었으나, 이미 쇠약해진 상태였고 병으로 프리타운(Freetown) 병원에서 사망했다. 또한 산코의 동족 테일러(Taylor)도 같은 해 압력에 의해 라이베리아 정권에서 축출되어 도주 끝에 체포되어 시에라리온 내전에 관여한 혐의로 프리타운 재판에 회부되어 구금되었다.

그 후, 2005년 12월에 UNAMSIL(최대 1만 7천 명 참가)은 완전히 철수했고, 2007년 8월에 어니스트 바이 코로마(Ernest Bai Koroma)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5. 주요 인물



시에라리온 내전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주요 역할을 수행했다.


  • 혁명적 통합전선(RUF) 관련 인물
  • 포데이 산코(Foday Sankoh): RUF의 지도자로, 내전 기간 동안 잔혹 행위로 악명이 높았다. 2003년 폐색전증으로 사망했다.[133]
  • 샘 보카리(Sam Bockarie): RUF 현장 사령관으로, "모스키토"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잔혹한 전술로 악명이 높았으며, 2003년 라이베리아에서 사망했다.[130]

  • 무장혁명평의회(AFRC) 관련 인물
  • 조니 폴 코로마(Johnny Paul Koroma): AFRC 군사 정권 지도자로, 1997년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내전 이후 잠적했다가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 시에라리온 정부 및 민방위군 관련 인물
  • 사무엘 힌가 노먼(Samuel Hinga Norman): 내무장관이자 민방위군 사령관이었다. 시에라리온 특별법정에 의해 기소되었다.
  • 톰 캐리우(Tom Carew): 시에라리온 국방참모총장이자 시에라리온군(SLA)의 중요 인물이었다.[135]

  • 시에라리온 특별법정 관련 인물
  • 알렉스 탐바 브리마(Alex Tamba Brima), 브리마 바지 카마라(Brima Bazzy Kamara), 산티지 보보르 카누(Santigie Borbor Kanu): 시에라리온 특별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인물들이다.[135]

  •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UNAMSIL) 관련 인물
  • 비제이 제틀리(Vijay Jetley): 인도의 장군으로, UNAMSIL 초기 다국적군을 지휘했다.[92]
  • 다니엘 오판데(Daniel Opande): 케냐의 중장으로, 제틀리의 사임 이후 UNAMSIL을 지휘했다.[93]
  • 하린더 수드(Harinder Sood): 인도의 소령(현 중령)으로, 쿠크리 작전(Operation Khukri)을 지휘하여 RUF에 포위된 인도군 병사들을 구출했다.[99]

  • 기타
  •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 라이베리아 대통령으로, RUF를 지원하고 내전에 깊숙이 개입했다. 시에라리온 특별법정에 의해 전쟁범죄로 기소되었다.[132]
  • 데이비드 리차드스(David Richards): 영국의 준장으로, 팔리서 작전(Operation Palliser)을 지휘하여 외국인 대피와 질서 확립에 기여했다.[102]

5. 1. 시에라리온

1999년 10월, UN은 시에라리온 UN 평화유지활동(UNAMSIL)을 설립하였다. UNAMSIL의 주요 목표는 무장 해제 과정을 지원하고 로메 협정에 따라 설정된 조건을 시행하는 것이었다.[68] 이전의 중립적인 평화유지군들과 달리, UNAMSIL은 상당한 군사력을 동원했다.[91] 초기 다국적군은 인도의 비제이 제틀리(Vijay Jetley) 장군이 지휘했다.[92] 제틀리는 나중에 사임했고 2000년 11월 케냐의 다니엘 오판데(Daniel Opande) 중장이 그를 대신했다.[93]

UNAMSIL 군대는 1999년 12월 시에라리온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당시 배치될 최대 병력 수는 6,000명으로 설정되었다. 하지만 불과 몇 달 후인 2000년 2월, 새로운 UN 결의안에 따라 11,000명의 전투원 배치가 승인되었다.[95] 2001년 3월에는 그 수가 17,500명으로 증가하여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UN 군대가 되었고,[93] UNAMSIL 병사들은 RUF가 장악한 다이아몬드 지역에 배치되었다.

쿠크리 작전(Operation Khukri)은 UNAMSIL에서 인도, 네팔, 가나, 영국, 나이지리아가 참여한 다국적 작전이었다. 이 작전의 목표는 카일라훈(Kailahun)에 있는 인도군 부대가 RUF 무장대원들에게 포위된 상황을 돌파하여 재배치하는 것이었다.[98] 약 120명의 특수부대원들이 뉴델리에서 공수되어 RUF 반군에 75일 이상 포위된 223명의 인도군 병사들을 구출하는 임무를 이끌었다. 이 작전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포위된 모든 병사들을 안전하게 구출하고 RUF에 수백 명의 사상자를 발생시켰다.[99][100]

5. 2. 국제사회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의 결과, 8만 명의 난민이 이웃 라이베리아에서 시에라리온-라이베리아 국경으로 피난했다. 이 난민들은 혁명적 통합전선(RUF)의 반란에 필요한 인력을 제공했다.[42] RUF는 난민들에게 식량, 숙소, 의료 서비스 등을 약속하며 지원을 받았지만, 이러한 방법이 실패하면 종종 강제로 RUF에 가입시켰다.[43]

카마조르(Kamajors)라는 민병대는 정부군과 RUF 반군 모두와 충돌하며, 마을을 약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0][51][52] 그러나 카마조르는 분쟁이 끝날 무렵 부패하여 착취, 살인, 납치에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53]

1995년 3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민간군사기업(PMC)인 이그제큐티브 아웃컴즈(Executive Outcomes)가 시에라리온에 도착했다. 이들은 RUF에 대한 매우 성공적인 반란 진압 작전을 수행하여, RUF 부대를 96km 지점까지 후퇴시켰다.[62] 7개월 만에 이그제큐티브 아웃컴즈는 다이아몬드 광산 지역과 주요 RUF 거점인 캉가리(Kangari) 언덕을 탈환했다.[64] 결국 RUF는 패배를 인정하고 1996년 11월 30일 아비장 협정(Abidjan Peace Accord)에 서명했다.[65]

1999년 10월, UN은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UNAMSIL)을 설립하여 무장 해제 과정을 지원하고 로메 협정에 따라 설정된 조건을 시행했다.[68] 초기에는 6,000명의 병력이 배치되었으나, 2001년 3월에는 17,500명으로 증가하여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UN 군대가 되었다.[93] 그러나 UNAMSIL은 RUF 반군에게 자주 거부당하고 모욕을 당했으며, 2000년 5월에는 500명이 넘는 UNAMSIL 평화유지군이 포로로 잡히기도 했다.[17]

1999년 말, UN 안전보장이사회는 러시아에 시에라리온 평화유지 임무 참여를 요청했고, 러시아는 헬리콥터 4대와 115명의 인력을 파병했다.[97]

정부군을 지원하는 데 사용된 영국 시 해리어 제트기


2000년 5월, 영국 공수부대가 팔리서 작전(Operation Palliser)에 투입되어 외국인을 대피시키고 질서를 확립했다.[101] 이들은 상황을 안정시키고 전쟁 종식에 기여한 휴전의 촉매제가 되었다.[102]

;인물

  • 사무엘 힌가 노먼 (Samuel Hinga Norman)
  • 솔로몬 무사 (Solomon Musa)


;군대

  • 웨스트 사이드 보이즈 (West Side Boys)
  • 카마조르 (Kamajors)
  • 이그제큐티브 아웃컴즈 (Executive Outcomes)
  •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감시단 (ECOMOG)
  • 샌드라인 인터내셔널 (Sandline International)


;평화 노력

  • 로메 협정 (Lomé Peace Accord)
  • 아비장 협정 (Abidjan Peace Accord)
  •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 (UNAMSIL)
  • 시에라리온 특별법정 (Special Court for Sierra Leone)


;정치 단체

  • 무장혁명평의회 (AFRC)
  • 전인민회의 (APC)


;민족 집단

  • 멘데족 (Mende people)
  • 템네족 (Temne people)
  • 림바족 (Limba people (Sierra Leone))


;기타

  • 마노강 (Mano River)
  • 제1차 리베리아 내전 (First Liberian Civil War)
  • 제2차 리베리아 내전 (Second Liberian Civil War)

6. 더 읽을 거리


  • '''인물'''
  • 사무엘 힌가 노먼
  • 솔로몬 무사
  • '''군대'''
  • 웨스트 사이드 보이즈
  • 카마조르
  • 이그제큐티브 아웃컴즈
  •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감시단
  • 샌드라인 인터내셔널
  • '''평화 노력'''
  • 로메 협정
  • 아비장 협정
  •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
  • 시에라리온 특별법정
  • '''정치 단체'''
  • 무장혁명평의회
  • 전인민회의
  • '''민족 집단'''
  • 멘데족
  • 템네족
  • 림바족
  • '''기타'''
  • 마노강
  • 제1차 리베리아 내전
  • 제2차 리베리아 내전

6. 1. 한국어 자료


  • 사무엘 힌가 노먼
  • 솔로몬 무사
  • 웨스트 사이드 보이즈
  • 카마조르
  • 이그제큐티브 아웃컴즈
  •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감시단
  • 샌드라인 인터내셔널
  • 로메 협정
  • 아비장 협정
  •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
  • 시에라리온 특별법정
  • 무장혁명평의회
  • 전인민회의
  • 멘데족
  • 템네족
  • 림바족
  • 마노강
  • 제1차 리베리아 내전
  • 제2차 리베리아 내전

6. 2. 영어 자료


  • Beah, Ishmael영어 (2007). 《A Long Way Gone: Memoirs of a Boy Soldier영어》. 뉴욕: Farrar, Straus and Giroux영어.
  • Bergner, Daniel영어 (2003). 《In the Land of Magic Soldiers: a Story of White and Black in Africa영어》. 뉴욕: Farrar, Straus and Giroux영어.
  • Campbell, Greg영어 (2004). 《Blood Diamonds: Tracing the Deadly Path of the World's Most Precious Stones영어》. Westview영어: 볼더.
  • Denov, Myriam S영어 (2010). 《Child soldiers: Sierra Leone's Revolutionary United Front영어》. 뉴욕: Cambridge University Press영어.
  • Dorman, Andrew M영어 (2009). 《Blair's Successful War: British Military Intervention in Sierra Leone영어》. 버링턴 (버몬트주): Ashgate영어.
  • Mustapha, Marda영어; Bangura, Joseph J.영어 (2010). 《Sierra Leone Beyond the Lomé Peace Accord영어》. 뉴욕: Palgrave Macmillan영어.
  • Mutwol, Julius영어 (2009). 《Peace agreements and Civil Wars in Africa: Insurgent Motivations, State Responses, and Third-Party Peacemaking in Liberia, Rwanda, and Sierra Leone영어》. 앰허스트 (뉴욕주): Cambria Press영어.
  • Olonisakin, Funmi영어 (2008). 《Peacekeeping in Sierra Leone영어》. 볼더 (콜로라도주): Lynne Rienner Publishers영어.
  • Özerdem, Alpaslan영어 (2008). 《Post-War Recovery: Disarmament, Demobilization and Reintegration영어》. 뉴욕: Palgrave Macmillan영어.
  • Sessay, Amadu영어 외. (2009). 《Post-War Regimes and State Reconstruction in Liberia and Sierra Leone영어》. 다카르: Council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 Research in Africa영어.
  • Azam, Jean-Paul영어 (2006). "Warlords and Heroes: Why do Warlords Sacrifice their own Civilians영어". 《Economic Governance영어7 (1): 53–73.
  • Heupel, Monika영어; amp영어; Bernhard Zang영어 (2010). "On the Transformation of War: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New War Thesis영어".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evelopment영어13 (1): 26–58.
  • Jalloh, S. Balimo영어 (2001). "Conflicts, Resources and Social Instability in Sub-Saharan Africa – The Sierra Leone Case영어". 《Internationales Afrikaforum영어》 (독일) 37 (2): 166–80.
  • Gberie, Lansana영어 (1998). 《War and state collapse: The case of Sierra Leone영어》 (M.A.). Wilfrid Laurier University영어.
  • Lujala, Paivi영어 (2005). "A Diamond Curse?: Civil War and Lootable Resources영어".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영어49 (4): 538–562.
  • Zack-Williams, Alfred B.영어 (1999). "Sierra Leone: the Political Economy of Civil War, 1991-98영어". 《Third World Quarterly영어20 (1): 143–62.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Sierra Leone: The Tamaboros and their role in the Sierra Leonian conflict https://www.refworld[...] Immigration and Refugee Board, Canada 2022-01-16
[3] 웹사이트 Торговля оружием и будущее Белоруссии – Владимир Сегенюк – NewsLand https://newsland.com[...]
[4] 웹사이트 UN Peace Keeping Missions: Sierra Leone (2001 – Dec 2005) https://web.archive.[...] Pakistan Army 2017-09-13
[5] 뉴스 Africa | Peacekeepers feared killed http://news.bbc.co.u[...] 2000-05-23
[6] 뉴스 UK | Britain's role in Sierra Leone http://news.bbc.co.u[...] 2000-09-10
[7] 웹사이트 Farewell to the general http://news.bbc.co.u[...] 2015-07-17
[8] 웹사이트 Liberia: Former Rebel Commander Benjamin Yeaten Still A Fugitive From Justice https://web.archive.[...] 2017-06-08
[9] 웹사이트 UNAMSIL: United Nations Mission in Sierra Leone – Background https://www.un.org/e[...]
[10] 웹사이트 Rapid Intervention and Conflict Resolution: British Military Intervention in Sierra Leone 2000– 2002 https://researchcent[...] Australian Army Research Centre 2022-01-16
[11] 서적 Evaluation of UNDP assistance to conflict-affected countries: Case Study: Sierra Leone http://web.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6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웹사이트 A New Mandate For UN Mission In Africa https://web.archive.[...]
[23] 서적
[24] 서적 Child Soldiers, Adult Interests: The Global Dimension of the Sierra Leonean Tragedy Nova Science Publishers
[25] 서적
[26] 웹사이트 GDP per capita (current US$) http://data.worldban[...]
[27] 웹사이트 Sierra Leon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Sustaining Development in Mineral Economies: The Resource Curse Thesis Routledge
[31] 서적
[32] 웹사이트 The Curse of Natural Resources and Human Development https://web.archive.[...]
[33] 서적
[34] 서적
[35] 간행물 The Heart of the Matter: Sierra Leone, Diamonds, and Insecurity (Summary Report) https://web.archive.[...] Partnership Africa Canada 2000-01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웹사이트 Economization of the Sierra Leone War https://web.archive.[...] Lehigh University 2012-05-22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뉴스 How the mighty are falling http://www.economist[...] 2007-07-05
[46] 웹사이트 Revealed: Colonel Gaddafi's school for scoundrels http://www.metro.co.[...] Metro 2011-03-15
[47] 서적 Merchant of death: money, guns, planes, and the man who makes war possible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웹사이트 In Search of the Kamajors, Sierra Leone's Civilian Counter-insurgents https://www.crisisgr[...] 2017-03-07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When the State Fails: Studies on Intervention in the Sierra Leone Civil War Pluto Press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웹사이트 Elections in Sierra Leone http://africanelecti[...] 2007-09-17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웹사이트 Chronology http://www.c-r.org/o[...] Conciliation Resources 2000-09-01
[71] 서적
[72] 서적 Civil Militia: Africa's Intractable Security Menace? Ashgate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웹사이트 Shocking War Crimes in Sierra Leone New Testimonies on Mutilation, Rape of Civilians https://www.hrw.org/[...] 1999-06-24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학술지 Toward a Pax West Africana: Building Peace in a Troubled Sub-region https://www.ipinst.o[...] 2001-09-01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학술지 Military Interventions in Sierra Leone: Lessons From a Failed State http://apps.dtic.mil[...]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08-01-01
[92] 서적
[93] 웹사이트 Chapter Four: The 'New' UNAMSIL: Strength and Composition https://web.archive.[...]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2002-01-01
[94] 웹사이트 Indian troop recall shifts onus to Nato https://www.theguard[...] 2000-09-21
[95] 웹사이트 Chapter Three: UNAMSIL's Troubled Debut https://web.archive.[...]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2002-01-01
[96] 서적
[97] 웹사이트 SMOTR: Mi-24 in Sierra Leone! (English subtitles) https://www.youtube.[...] YouTube
[98] 웹사이트 Operation Khukri http://vayu-sena.tri[...] Vayu-sena.tripod.com
[99] 웹사이트 Peacekeeping in Sierra Leone https://web.archive.[...]
[100] 웹사이트 IAF 2000 Contingent to UNAMSIL http://indianairforc[...] Official Website of the Indian Air Force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학술지 Observing The 2002 Sierra Leone Elections https://www.carterce[...] 2003-05-01
[109] 웹사이트 Sierra Leone http://www.globaliss[...] 2001-07-23
[110] 간행물 Sierra Leone http://www.dol.gov/i[...] Bureau of International Labor Affairs, U.S. Department of Labor 2002-01-01
[111] 서적
[112] 웹사이트 Sierra Leone: Getting away with murder, mutilation, rape https://www.radionet[...] 2000-01-25
[113] 웹사이트 Getting Away with Murder, Mutilation, Rape: New Testimony from Sierra Leon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9-07-01
[114] 웹사이트 THE TERROR OF SIERRA LEONE http://www.vanityfai[...] 2006-12-08
[115] Youtube YouTube https://www.youtube.[...] YouTube 2021-11-19
[116] 웹사이트 Sierra Leone – Human Rights http://www.bellaonli[...]
[117] 웹사이트 Innocence lost: The child soldiers of Sierra Leone https://www.radionet[...] 2000-02-16
[118] 웹사이트 The memories should be their punishment: War rape in Sierra Leone https://www.radionet[...] 2000-01-12
[119] 서적 2005
[120] 웹사이트 UNAMSIL: United Nations Mission in Sierra Leone https://www.un.org/e[...]
[121] 간행물 Sierra Leone: Submission to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http://ictj.org/publ[...] International Center for Transitional Justice (ICTJ)
[122] 간행물 Challenging the Conventional: Can Truth Commissions Strengthen Peace Processes? https://www.ictj.org[...] International Center for Transitional Justice (ICTJ)
[123] 웹사이트 Return of Sierra Leone's lost generation https://www.theguard[...] 2000-03-02
[124] 학술지 Post War Reconstruction in Sierra Leone http://ec.europa.eu/[...] 2001-07-01
[125] 뉴스 How Bengali became an official language in Sierra Leone http://indianexpress[...] 2017-02-21
[126] 뉴스 Why Bangla is an official language in Sierra Leone https://www.dhakatri[...] 2017-02-23
[127] 웹사이트 Recounting the sacrifices that made Bangla the State Language https://web.archive.[...] 2017-02-21
[128] 뉴스 Sierra Leone makes Bengali official language http://www.dailytime[...] 2002-12-29
[129] 웹사이트 Twenty-fifth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on the United Nations Mission in Sierra Leone https://web.archive.[...]
[130] 서적 The Sahel. Proceedings of the 16th Danish Sahel Workshop. https://books.google[...] Dept. of Systematic Botany, Institute of Biological Sciences, Aarhus University
[131] 뉴스 The Mysterious Death of a Fugitive http://www.theperspe[...] The Perspective (Atlanta, Georgia, USA) 2003-05-07
[132] 학술지 CASE NO. SCSL – 03 – I, The Special Court for Sierra Leone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and the Government of Sierra Leone 2003-03-03
[133] 뉴스 Foday Sankoh http://www.economist[...] 2003-08-07
[134] 뉴스 Sierra Leone rebel leader dies http://news.bbc.co.u[...] 2003-07-30
[135] 웹사이트 Guilty Verdicts in the Trial of the AFRC Accused https://web.archive.[...] Special Court for Sierra Leone 2007-06-20
[136] 웹사이트 Sierra Leone Refugee All Stars: A Documentary Film http://www.refugeeal[...]
[137] 뉴스 Taking the rap for bloody bling https://www.irishtim[...] 2007-03-16
[138] 웹사이트 Artist – Kanye West https://www.grammy.c[...] Grammy.com
[139] 웹사이트 2006 BMI London Awards https://www.bmi.com/[...] BMI 2006-10-03
[140] 웹사이트 More at IMDbPro » Blood Diamond (2006) https://www.imdb.com[...]
[141] 논문 Provocative 'War' Skillfully Takes Aim 2005-09-16
[142] 서적 2008
[143] 웹사이트 Child soldiers in the Globalized North? Organized crime and youth in Naples http://www.eugad.eu/[...] 2013
[144] 웹사이트 A laboratory for the rehabilitation of former child soldiers in Sierra Leone http://www.eugad.eu/[...] 2013
[145] 웹사이트 Jonathan Torgovnik's 'Girl Soldier,' Life After War in Sierra Leone https://www.national[...] 2018-04-24
[146] 웹사이트 콜롬비아에서 훈련받은 이스라엘인의 무기 공급과 소련군 출신 우크라이나인들의 참전
[147] 웹사이트 킴벌리 프로세스와 분쟁 다이아몬드
[148] 웹사이트 무기 거래와 벨라루스의 미래 http://maxpark.com/u[...]
[149] 웹인용 UN Peace Keeping Missions: Sierra Leone (2001 - To Dec 2005) https://www.pakistan[...] Pakistan Army 2017-09-13
[150] 웹사이트 YouTube https://www.youtube.[...] YouTube 2017-01-21
[151] 뉴스 UK | Britain's role in Sierra Leone http://news.bbc.co.u[...] BBC News 2017-01-21
[152] 뉴스 AFRICA | Peacekeepers feared killed http://news.bbc.co.u[...] BBC News 2017-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