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중은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된 관직명이다. 중국에서는 진나라 때부터 시작되어 시대에 따라 승상의 속관, 재상, 황제의 측근 신하 등을 지칭했으며, 시대별로 관직의 권한과 역할에 변화가 있었다. 한국에서는 신라 시대에 처음 도입되어 재상 역할을 하였고, 고려 시대에도 재상직으로 존재했다. 일본에서는 당명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관직과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신라의 관직과 칭호 - 문하시중
    문하시중은 고려 시대에 설치된 최고 관직 중 하나로, 시대에 따라 명칭과 역할이 변화하며 고려 후기 왕권 강화와 정치 개혁, 권력 다툼의 중심에 있었고, 조선 건국 후 정승으로 개칭되어 조선 정치 체제의 기반이 되었다.
  • 중국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중국의 관직과 칭호 - 태위
    태위는 동아시아의 삼공 중 하나로, 주로 군사 지휘를 담당하는 최고위 관직이었으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역할과 권한에 차이가 있었다.
시중
기본 정보
직책 종류관직
관할 부서황궁
임명권자황제
존속 기간 ~ 명
상세 정보
역할황제의 측근 보좌
자문 및 정책 결정 참여
황제의 명령 전달
중요도매우 높음
특징황제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
정치적 영향력 행사 가능
기타 명칭시중(侍中)
중황문(中黃門)
산기상시(散騎常侍)
역사
기원진나라 시기
발전나라 때 중요성 증가
변화시대에 따라 역할과 권한 변동
폐지명나라 때 폐지
관련 인물
대표 인물장량
조조
사마의
기타 인물역사 속 다수의 인물들이 시중 역임

2. 중국

중국에서 시중은 진대부터 시작되어 승상의 속관으로서 전중의 주사를 맡았다. 한대에는 황제의 승마·복식도 취급하는 가관(겸직)이 되었다. 후한말에서 조위에 이르기까지 순욱, 사마의, 조상 등이 시중을 겸직했다.

조위 이후에는 전임 시중 4명이 추기에 참여하는 중직을 맡았다. 남조의 과 북조의 북위에서는 재상과 동등한 관직이 되었다.

수대에는 납언(納言)으로 바뀌었다가 당대에 시중으로 돌아왔다. 당나라 이후 문하성 장관 2명이 시중을 겸하여 사실상의 승상이 되었으나, 황권 강화로 중서성에 흡수되며 권한이 축소되었다.

송대에는 명예직으로 기능하다 원대 이후 폐지되었다.

2. 1. 전한, 후한

진대부터 중국에서 승상의 속관으로서 전중의 주사를 맡았고, 한대에 들어가면 가관(본직의 다른 겸임 전용의 직책)이 되어 황제의 승마·복식도 취급했다. 후한말에서 조위에 이르기까지 순욱이 수상서령에 시중을 겸하고, 이어 태위 사마의대장군 조상이 시중을 겸하고 있었다.[2][3]

"시중(Chief Minister)"은 전한 시대의 재상(相國, 상국; 丞相, 승상)을 지칭했다. 전한 시대 시중의 부관은 대사공(大司空), 어사대부(御史大夫)(감찰총장), 대사마(大司馬) 및 태위(太尉)(각각 총사령관 및 방어사령관)이며 이들 또한 시중이었다. 후한 시대에는 명목상으로 사도(司徒)(재상), 사공(司空)(감찰총장), 그리고 태위(太尉)(방어사령관)를 지칭했다.[3]

시종(Shizong)의 지위와 기능은 큰 변화를 겪었는데, 황제를 보좌하는 측근 신하를 지칭했다.[4]

2. 2. 위진남북조

중국에서는 진대부터 시작되어 승상의 속관으로서 전중의 주사를 맡았고, 한대에 들어가면 가관(본직의 다른 겸임 전용의 직책)이 되어 황제의 승마·복식도 취급했다. 후한말에서 조위에 이르기까지 순욱이 수상서령에 시중을 겸하고, 이어 태위 사마의대장군 조상이 시중을 겸하고 있었다.[2][3]

조위 이후에는 전임 시중도 설치되어 대체로 4명이 놓였으며, 추기에 참여하는 중직이 되었다. 남조의 과 북조의 북위에서는 재상과 동등한 관직이 되었다.[2][3]

육조 시대에는 시중이라는 용어가 최고 행정관으로 활동하는 여러 권력 보유자를 지칭했다. 그중에는 중서감(中書監)(비서감찰관), 중서령(中書令)(비서원장), 시중(侍中)(궁정 시종), 상서령(尙書令) 및 [사복야(僕射)](https://zh.wikipedia.org/wiki/%E5%83%B8%E4%B9%9F)(국정원 부통령)이 있다.[3]

2. 3. 수, 당

진대부터 시작되어 승상의 속관으로서 전중의 주사를 맡았고, 한대에 들어가면 가관(본직의 다른 겸임 전용의 직책)이 되어 황제의 승마·복식도 취급했다. 후한말에서 조위에 이르기까지 순욱이 수상서령에 시중을 겸하고, 이어 태위 사마의대장군 조상이 시중을 겸하고 있었다.[2]

조위 이후에는 전임 시중도 설치되어 대체로 4명이 놓였으며, 추기에 참여하는 중직이 되었다. 남조의 과 북조의 북위에서는 재상과 동등한 관직이 되었다.[2]

수대에는 납언(納言)으로 개칭되었다가 당대에 시중으로 복원되었다. 당나라 이후에는 문하성 장관을 겸해 2명이 임명되어 사실상의 승상이 되었다. 하지만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그 권한은 축소되었다. 문하성은 귀족 세력의 권익을 대표하여 황권에 대항하는 부국이었으나 당 중기 이후에는 황권이 강해지면서 문하성의 권위는 저하되고 중서성에 흡수되기에 이른다.[2]

2. 4. 송, 원

진대부터 시작되어 승상의 속관으로서 전중의 주사를 맡았고, 한대에 들어가면 가관(본직의 다른 겸임 전용의 직책)이 되어 황제의 승마·복식도 취급했다. 후한말에서 조위에 이르기까지 순욱이 수상서령에 시중을 겸하고, 이어 태위 사마의대장군 조상이 시중을 겸하고 있었다.

조위 이후에는 전임 시중도 설치되어 대체로 4명이 놓였으며, 추기에 참여하는 중직이 되었다. 남조의 과 북조의 북위에서는 재상과 동등한 관직이 되었다.

수대에는 납언(納言)으로 개칭되었다가 당대에 시중으로 복원되었다. 당나라 이후에는 문하성 장관을 겸해 2명이 임명되어 사실상의 승상이 되었다. 하지만,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그 권한은 축소되었다. 문하성은 귀족세력의 권익을 대표하여 황권에 대항하는 부국이었으나 당 중기 이후에는 황권이 강해지면서 문하성의 권위는 저하되고 중서성에 흡수되기에 이른다.

송대에 시중의 관명은 복원되었으나 실무직이 아닌 명예직으로 기능하였으며, 원대 이후에 폐지되었다.

3. 한국

한국에서는 신라에서 진덕여왕상대등을 견제하기 위해 중시(中侍)라는 이름으로 처음 도입되었으며, 경덕왕 때 집사부(執事部) 장관의 관직으로서 시중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신문왕 즉위년에 김흠돌의 난을 평정하는 과정에서 진골 귀족을 대거 숙청하면서 상대등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왕명 출납, 왕의 시위 등을 담당하던 중시, 즉 시중의 권한을 강화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문하시중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하였으며, 고려의 재상직이었다. 고려말에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3. 1. 신라

651년 신라 진덕여왕상대등을 견제하기 위해 중시(中侍)라는 이름으로 처음 도입되었으며, 747년 경덕왕 때 집사부(執事部) 장관의 관직으로서 시중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681년 신문왕 즉위년에 김흠돌의 난을 평정하는 과정에서 진골 귀족을 대거 숙청하면서 상대등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왕명 출납, 왕의 시위 등을 담당하던 중시, 즉 시중의 권한을 강화하였다.

3. 2. 고려

고려시대에는 문하시중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하였으며, 당시 고려의 재상직이었다. 고려말에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4. 일본

일본에서는 장인의 당명으로 사용되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chengxiang 丞相 "Counselor-in-chief" http://www.chinaknow[...] 2021-05-22
[2] 서적 Law, State, and Society in Early Imperial China (2 Vols): A Study with Critical Edition and Translation of the Legal Texts from Zhangjiashan Tomb No. 247 Brill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4] 서적 Zhongguo da bai ke quan shu https://books.google[...] Zhongguo da bai ke quan shu chu ban she
[5] 웹사이트 じちゅう【侍中】の意味 https://dictionary.g[...]
[6] 웹사이트 じちゅう【侍中】の意味 http://dictionary.go[...]
[7] 웹사이트 じちゅう【侍中】の意味 http://dictiona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