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호테알린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호테알린산맥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위치한 산맥으로, 온대 기후와 다양한 생물종이 공존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이 산맥은 아무르강의 여러 지류의 발원지이며, 1910년대와 1920년대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의 탐험으로 널리 알려졌다. 1935년에는 야생 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시호테알린 및 라조 자연 보호구역이 설치되었고, 1947년에는 대규모 운석우가 발생하기도 했다. 2001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멸종 위기종의 서식지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지형 - 악마의 문 동굴
    악마의 문 동굴은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고고학 유적으로,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직물 조각과 고대 동북아시아인의 유전적 특징을 밝히는 데 중요한 인골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지형 -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반도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반도는 러시아 극동 지역에 위치하며 아무르만과 우수리만 사이에 있고 러시아의 태평양 진출과 극동 지역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동시베리아 총독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지형 - 타타르 해협
    타타르 해협은 동해와 오호츠크해를 잇는 러시아의 주요 해상 교통로로, 여러 국가에서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해저에는 파이프라인이 부설되어 있고, 과거에는 터널 건설이 계획되기도 했으며,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이 발생한 곳이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지형 - 우츠카야만
    우츠카야만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 만이다.
  • 러시아의 산맥 - 캅카스산맥
    캅카스산맥은 유럽과 아시아 경계의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 산맥으로, 대캅카스산맥과 소캅카스산맥으로 나뉘며 지각판 충돌과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고, 다양한 기후와 지형, 실크로드의 일부로서 여러 민족과 문화가 교차하는 지역이며, 현재는 여러 국가의 영토로 구성되어 있다.
  • 러시아의 산맥 - 사얀산맥
    사얀산맥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사얀 산맥과 동사얀 산맥으로 구분되고 알프스 지형과 높은 봉우리, 협곡을 특징으로 하며, 언어학적 연구 대상이 되기도 하고 과학 연구 시설이 위치해 있다.
시호테알린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시호테알린 산맥 전경
시호테알린 산맥은 세계에서 가장 큰 고양이과 동물 중 하나인 아무르 호랑이의 서식지임
위치러시아 남동부
좌표45°20'N 136°10'E
지리
길이약 900km
최고봉토르도키 야니
최고봉 높이2,090m
다른 봉우리 높이2,077m
2,003m
1,933m
명칭
러시아어Сихотэ́-Али́нь (Sikhote-Alin)
일본어シホテアリニ山脈 (Sikhote-Arini Sanmyaku)
중국어锡霍特山脈 (Xīhuòtè Shānmài)
세계유산
명칭시호테알린 산맥 중앙부
지정 연도2001년 (제25차 세계유산위원회)
종류자연유산
기준(x)
지정 번호766
지역유럽 및 아시아

2. 지리

온대 기후 지역이지만, 북부 타이가에서 서식하는 순록, 우수리불곰과 아무르호랑이, 아무르표범, 반달가슴곰이 공존한다. 이 지역에는 호랑이와의 경쟁 때문에 회색늑대가 거의 없다.[2]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는 천 년 된 주목이다.[3] 이 지역은 딱정벌레과 Jurodidae의 유일한 현존 종인 ''Sikhotealinia''의 유일한 서식지이며, 이 종은 분류학적 위치가 불분명하여 "딱정벌레의 가장 신비로운 대표자"로 묘사되어 왔다.[4]

아무르강의 구르강 등 많은 지류가 이 산맥 안에 위치해 있다.[5]

3. 역사

1910년대1920년대에 러시아 지리학자이자 박물학자인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1872–1930)가 시호테알린산맥을 광범위하게 탐험했으며, 그의 모험담을 여러 권의 책에 묘사했는데, 특히 1923년에 출판된 《데르수 우잘라》가 유명하다. 이 책은 1975년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에 의해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로 제작되었다.[6] 아르세니예프의 탐험과 옹호 덕분에 이 지역의 특이한 야생 동물을 보존하기 위해 1935년에 대규모 시호테알린 및 라조 야생동물 보호구역이 설치되었다.

이 지역은 퉁구스계 민족이 많이 활동한 곳이었다. 숙신이나 말갈 등의 민족이 우스리강 동쪽에서 활동했다는 기록이 중국 역사서에 남아 있으며, 이들 퉁구스계 민족이 세운 국가인 발해의 동쪽 끝은 이 산맥의 서쪽 절반까지 이르렀다. 하지만 만주의 평원에 비해 시호테알린산맥의 퉁구스계 민족은 국가를 세우지 않고 수렵 생활을 하며 만주족이나 한족, 러시아인과 교역하며 생활했던 것으로 보인다.

1860년베이징 조약까지 시호테알린산맥은 청나라 영토였으며, '''내흥안령산맥''' 또는 '''시흐터산맥'''(현대 중국어: 錫霍特山脈)으로 불렸다. 현재에도 나나이족, 우데게족 등 퉁구스계 민족이 살고 있지만, 압도적인 다수는 러시아인이다.

1900년대에,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완전 개통에 앞서 동청 철도가 블라디보스토크로 연장되면서, 시호테알린 산맥은 광물 자원을 찾는 사람들이 러시아 각지에서 몰려드는 일종의 골드 러시 상태를 보였다. 또한, 중국인조선인 농민들이 이주하여 원시림을 개간하고, 한약의 원료가 되는 야생 생물을 사냥하기 시작했다. 1910년대부터 1920년대에 걸쳐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 (1872년~1930년)에 의해 광범위하게 조사되었으며, 그 탐험은 몇 권의 저서, 『데르수 우잘라(Dersu Uzala)』(Дерсу Узала|데르수 우잘라ru, 1923년) 등에 묘사되었다. 이 책은 구로사와 아키라1975년에 일소 합작으로 감독한 영화 『데르수 우잘라』의 원작이다.

4. 민족

이 지역은 퉁구스계 민족이 많이 활동한 곳이었다. 숙신, 말갈 등의 민족이 우스리강 동쪽에서 활동했다는 기록이 중국 역사서에 남아 있으며, 이들 퉁구스계 민족이 세운 국가인 발해의 동쪽 끝은 이 산맥의 서쪽 절반까지 이르렀다. 하지만 만주의 평원에 비해 시호테알린산맥의 퉁구스계 민족은 국가를 세우지 않고 수렵 생활을 하며 만주족, 한족, 러시아인과 교역하며 생활했던 것으로 보인다.

1860년베이징 조약까지 시호테알린산맥은 청나라 영토였으며, '''내흥안령산맥''' 또는 '''시흐터산맥'''(현대 중국어: 錫霍特山脈)으로 불렸다. 현재에도 나나이족, 우데게족 등 퉁구스계 민족이 살고 있지만, 압도적인 다수는 러시아인이다.

5. 자연

시호테알린산맥은 온대 기후 지역이지만, 북부 타이가에서 서식하는 종(순록, 우수리불곰)과 남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종(아무르호랑이, 아무르표범, 반달가슴곰)이 공존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특히 아무르호랑이와의 경쟁 때문에 회색늑대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2]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는 천 년 된 주목으로 알려져 있다.[3]

또한, 시호테알린산맥은 딱정벌레과 Jurodidae의 유일한 현존 종인 ''Sikhotealinia''의 유일한 서식지이다. 이 종은 분류학적 위치가 불분명하여 "딱정벌레의 가장 신비로운 대표자"로 묘사되기도 한다.[4] 아무르강의 여러 지류, 예를 들어 구르강이 이 산맥에서 발원한다.[5]

시호테알린 산맥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풍부하고 독특한 온대림을 보유하고 있다. 혹독한 겨울 추위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역사는 타이가아열대의 동식물이 섞인 독특한 온대림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 이 산맥에는 고유 식물종이 많이 자라며, 북방 타이가 동물인 순록이나 불곰과 함께 열대 동물이었던 아무르호랑이, 아무르표범, 반달가슴곰 등이 함께 서식한다. 이러한 희귀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대시호테알린 야생 보호구역과 라조 야생 보호구역이 지정되었다.

시호테알린의 아무르 호랑이

5. 1. 유네스코 세계유산

2001년, 유네스코는 "비늘등가창오리, 블라스톤 물고기부엉이 및 아무르호랑이와 같은 멸종 위기 종의 생존"에 중요하기 때문에 "중앙 시호테알린"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했다.[6] 이 세계유산 지역의 총 면적은 이며, 이 중 시호테알린 자포베드니크의 육상 핵심 구역은 를 차지했다. 2018년, 세계유산비킨 국립공원을 "비킨강 계곡"이라는 이름으로 포함시키면서 로 확장되었다.[7]

6. 시호테알린 운석 충돌

1947년 2월 12일 오전 10시 30분, 시호테알린산맥 인근 주민들은 태양보다 밝은 불덩이가 북쪽 하늘에서 빛나고 굉음이 울리는 것을 들었다. 그 빛과 소리는 반경 300km에 걸쳐 목격되었으며, 이후 많은 불덩이가 비행운과 같은 구름의 항적을 무수히 하늘에 남기며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았다.

이 화구는 소행성대에 있던 900톤 미만의 소행성이 초속 14km로 지구에 충돌한 것으로 보이며, 지상에 충돌하기 전에 대기권에 돌입하여 대폭발을 일으켜 흩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 폭발의 중심지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동쪽으로 440km 떨어진 시호테알린산맥 산중의 파세카 (Paseka) 마을로, 1.3km2의 타원형 지역에 무수한 운석 조각과 분화구가 생긴 것이 발견되었다. 가장 큰 분화구는 지름 26m, 깊이 6m였다. 가장 큰 운석 표본은 300kg이었다.[6]

참조

[1] 논문 Chapter 6. Who's king of the beasts? Historical and recent body weights of wild and captive Amur tigers, with comparisons to other subspecies http://fishowls.com/[...] PSP, Vladivostok, Russia 2005
[2] 웹사이트 Tigers and Wolves in the Russian Far East: Competitive Exclusion, Functional Redundancy, and Conservation Implications http://www.savetheti[...] savethetigerfund.org 2008-07-09
[3] 웹사이트 Сервер Правительства Хабаровского края - Туризм и отдых - Достопримечательности края - Туристические комплексы - Памятник природы "Сихотэ - Алинь". Центр реабилитации диких животных "УТЕС" http://adm.khv.ru/in[...] 2007-09-29
[4] 간행물 The most mysterious beetles: Jurassic Jurodidae (Insecta: Coleoptera) from China https://www.rosspipe[...] 2014
[5] 웹사이트 Water of Russia - Гур https://water-rf.ru/[...]
[6] 웹사이트 Central Sikhote-Alin - Russian Federation http://www.unep-wcmc[...]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7] 웹사이트 Bikin River Valley https://whc.unesco.o[...] UNESCO 2018-07-03
[8] 서적 世界地誌シリーズ 9 ロシア 朝倉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