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상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상문은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로, 2006년 KOR에 입단하여 테란 종족으로 활동했다. 2008년 프로리그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팀의 에이스로 성장했고, 2009년에는 EVER 스타리그 2009 36강 경기에서 보여준 근성 있는 플레이로 많은 팬을 확보했다. 개인리그에서는 8강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2013년 은퇴 후에는 전남과학대학교 e스포츠과에서 강의를 진행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PP 몰수패 사건과 8강 징크스가 있으며, 김택용, 이영호, 이제동 등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 - 이호준 (프로게이머)
    이호준은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 - 한동욱
    한동욱은 2003년 스파키즈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데뷔, 아마추어 신분으로 스타리그에 진출한 마지막 선수이자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 우승,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 기록을 가진 선수이다.
  • CJ 엔투스의 선수 - 이호준 (프로게이머)
    이호준은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 CJ 엔투스의 선수 - 유대현
    유대현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활동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최강 우주방어 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GO팀 소속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했고, 군 복무 후에는 다양한 방송에서 스타크래프트 및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가 및 캐스터로 활동했다.
  • 테란 선수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 테란 선수 - 이호준 (프로게이머)
    이호준은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신상문 - [인물]에 관한 문서
프로게이머 정보
이름신상문
null
null
설명null
국적대한민국
출생지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랭킹24
종족스타크래프트: 테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토스
아이디Sea.Leta, SM, UKKZ.464
소속팀null
특기달리기
별명미라클 보이
에이스 결정전의 사나이
빈혈테란
신상눈
좌우명열심히 살자
키보드삼성DT-35 화이트 USB
마우스로지텍 미니 옵티컬
마우스웨어로지텍 마우스웨어 9.79
마우스 설정왼쪽에서 3칸 / 스크롤 : 오른쪽 맨 끝
웹사이트개인방송 홈페이지

2. 선수 경력

신상문은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KOR의 5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1] 2007년 프로리그 전기 시즌부터 간간히 출전하며 경험을 쌓았고, 5월 27일 삼성전자와의 경기 1세트에서 송병구를 꺾는 이변을 일으키기도 했다. 같은 해 스타브레인에 출연하여 차재욱의 지령을 받는 플레이어 역할을 맡았으며, 차재욱 브레인 팀은 염보성 브레인 팀을 꺾고 시즌 1에서 우승했다.

2008년 프로리그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실력을 발휘하기 시작하여, 팀을 포스트시즌에 진출시키고, 김창희를 대신하여 새로운 테란 에이스로 떠올랐다. 08-09 시즌에는 49승 19패로 다승 4위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개인리그에서는 BATOO 스타리그 08~09, 로스트사가 MSL 2009, 아발론 MSL, 박카스 스타리그 2009 등에서 이렇다 할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009년 10월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는 김재춘에게 패하며 서바이버 예선으로 떨어졌지만, EVER 스타리그 2009 36강에서 박세정을 상대로 명경기를 펼치며 자신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후 09-10 위너스리그에서 위메이드 폭스와 KT 롤스터를 상대로 올킬을 달성하며 전성기 기량을 회복하는 듯했다.

2010년 10월, 하이트 스파키즈가 CJ 엔투스에 흡수 합병되면서 하이트 엔투스 소속이 되었다가, 2011년 5월 네이밍 스폰서 계약 기간 만료로 다시 CJ 엔투스 소속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2012-2013 시즌을 앞두고 스타크래프트 2에서 종족을 프로토스로 변경하였으며, 2013년 5월 7일 은퇴 행사를 갖고, 6월 14일 모교인 전남과학대학교 e스포츠과를 방문하여 강의를 진행하며 사실상 은퇴했다.

2. 1. 프로 데뷔 이전

신상문은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KOR의 5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1]

2. 2. KOR/하이트 스파키즈 시절 (2006년 ~ 2010년)

신상문은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KOR의 5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2007년 프로리그 전기 시즌부터 간간히 출전하며 경험을 쌓았다. 2007년 5월 27일 삼성전자와의 경기 1세트에서 송병구를 꺾는 이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이후 승패를 반복하며 무명 선수로 지냈다.

2007년 스타브레인에 출연하여 차재욱의 지령을 받는 플레이어 역할을 맡았다. 차재욱 브레인 팀은 염보성 브레인 팀을 꺾고 시즌 1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프로리그 시즌부터 실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신상문은 승수를 쌓으며 팀을 포스트시즌에 진출시키는 데 기여했고, 부진했던 김창희를 대신하여 새로운 테란 에이스로 떠올랐다. 2008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김구현도재욱을 꺾고, 결승전에서는 차명환을 격파하는 등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08-09 시즌에는 49승 19패, 다승 4위를 기록했으며, 특히 4~5라운드에서 보여준 대저그전 투스타 레이스 운영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6강 CJ 엔투스 전에서 3연패를 당하며 팀의 준플레이오프 진출 좌절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개인리그에서는 클럽데이 MSL에 첫 진출했지만 박지수에게 패해 조기 탈락했다. BATOO 스타리그 08~09로스트사가 MSL 2009에 양대 진출했으나, 온게임넷에서는 재경기 끝에 탈락했고, MSL에서는 8강에서 박찬수에게 패했다. 아발론 MSL에서는 정명훈이제동에게 연달아 패배했고,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서는 8강에서 팀 동료 문성진에게 패하며 좌절을 겪었다.

2009년 10월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는 김재춘에게 패하며 서바이버 예선으로 떨어졌고, EVER 스타리그 2009 36강에서는 박세정을 상대로 명경기를 펼쳤다. 1세트를 내줬지만, 2세트에서는 불리한 상황에서도 드랍십 활용과 벌쳐 견제를 통해 역전승을 거두었다. 3세트에서는 초반 빌드에서 밀렸음에도 불구하고 고스트의 핵과 락다운으로 상대 멀티를 파괴하고 캐리어를 잡아냈지만, 결국 자원 압박을 이기지 못하고 자신의 본진에 핵을 쏘며 GG를 선언했다. 이 경기는 신상문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09-10 위너스리그에서는 위메이드 폭스와 KT 롤스터를 상대로 올킬을 달성하며 전성기 기량을 회복했다.

2. 3. CJ 엔투스 시절 (2010년 ~ 2013년)

2010년 10월, 하이트 스파키즈가 CJ 엔투스에 흡수 합병되면서 신상문은 하이트 엔투스 소속이 되었다.[1] 2011년 5월, 네이밍 스폰서 계약 기간이 만료되면서 다시 CJ 엔투스 소속으로 활동하게 되었다.[1]

2012-2013 시즌을 앞두고 신상문은 스타크래프트 2에서 종족을 프로토스로 변경하였다.[1]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4라운드를 앞두고 프로게이머 소양 교육에 불참하고, 4라운드 로스터에서도 제외되면서 은퇴설이 제기되었다.[1]

2013년 5월 7일, CJ 엔투스 스타크래프트 2 선수단 은퇴 행사에 참여하였고,[1] 같은 해 6월 14일에는 모교인 전남과학대학교 e스포츠과를 방문하여 강의를 진행하며 사실상 은퇴 수순을 밟았다.[1]

3. 주요 사건 및 논란

신상문은 2007년 스타브레인에 출연하여 차재욱 브레인 팀의 플레이어로 활약하며 시즌 1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프로리그 시즌부터 팀의 주축 선수로 성장하여, 2008 시즌 플레이오프와 결승전에서 김구현, 도재욱, 차명환을 꺾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08-09 시즌에는 49승 19패로 다승 4위에 올랐고, 특히 4~5라운드에서 보여준 [대저그전 투스타 레이스] 운영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6강 CJ 엔투스 전 3연패는 팀의 준플레이오프 진출 실패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개인 리그에서는 클럽데이 MSL에 첫 진출했으나 박지수에게 패배, BATOO 스타리그 08~09로스트사가 MSL 2009 양대 리그 진출에는 성공했으나 각각 온게임넷 조별리그 재경기 끝에 탈락, MSL 8강에서 박찬수에게 패배했다. 아발론 MSL에서는 정명훈이제동에게 연달아 패배,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서는 8강에서 문성진에게 패배하며 개인 리그에서 아쉬운 결과를 냈다.

2009년 10월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는 김재춘에게 패배, EVER 스타리그 2009 36강에서는 박세정을 상대로 명경기를 펼쳤다. 1세트 패배 후, 2세트에서는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끊임없는 견제로 역전승, 3세트에서는 초반 빌드에서 밀렸지만 고스트의 핵과 락다운을 활용하여 분전했으나 결국 자원 부족으로 본진에 핵을 쏘며 GG를 선언했다. 이 경기는 신상문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09-10 위너스리그에서는 위메이드 폭스와 이영호가 속한 KT 롤스터를 상대로 올킬을 달성하며 전성기 기량을 회복했다.

2010년 10월, 하이트 스파키즈가 CJ 엔투스에 흡수 합병되면서 하이트 엔투스 소속이 되었다가, 2011년 5월 네이밍 스폰서 계약 만료로 다시 CJ 엔투스로 복귀했다. 2012-2013 시즌을 앞두고 스타2에서 종족을 프로토스로 변경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4라운드 전 프로게이머 소양교육 불참 및 로스터 제외로 은퇴설이 제기되었고, 2013년 5월 7일 CJ 엔투스 스타크래프트2 선수진들의 은퇴 행사와 6월 14일 모교 전남과학대학교 e스포츠과 방문 강의를 통해 사실상 은퇴했다.

3. 1. PP 몰수패 사건

2009년 4월 28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 4라운드 3주차 4경기 2세트에서 신상문과 김구현(STX)이 맞붙었다. 신상문이 김구현의 셔틀 견제를 막고 진출하려던 순간, KeSPA 공인 VGA 카드 문제로 모니터에 오류가 발생해 'pp'를 입력하며 경기 중지를 요청했다. 하지만 'p'를 2번만 입력했다는 이유로 창석준 심판은 신상문의 몰수패를 선언했고, STX Soul는 1:1로 앞서나가게 되었다.

이에 팬들은 "긴박한 상황에서 PPP를 치든 PP를 치든 무슨 상관이냐", "축구 시합 중 급할 때 타임아웃이라고 말해야 하는데 타임이라고 말해서 옐로카드 받는 꼴"이라며 창석준 심판과 KeSPA를 맹비난했다. 중계진들 역시 심판의 판정에 의문을 제기했다. 경기는 STX가 3:1로 승리했지만, 관련 규정(13조와 8조)이 중복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졌다.

이 사건은 규정 완화 및 심판 재량권 확대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박태민의 2연속 몰수패 사건으로 비난 여론은 더욱 거세졌다. 한편, 신상문은 이 사건으로 인해 'P'가 모자란 테란, 빈혈테란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이후 창석준 심판은 한 프로그램에서 "만약 자신이 팬이었어도 저런 상황이었다면 나를 욕했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당시 상황에 대한 심정을 밝히기도 했다.

3. 2. 8강 징크스

신상문은 뛰어난 실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리그 8강 이상 진출한 적이 없다.

스타리그에서는 박카스 스타리그 2009 8강에서 당시 같은 팀이었던 문성진에게 2:1로 패배했다.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2에서는 16강에서 김정우김택용을 꺾고 8강에 진출했지만, 8강에서 이영호에게 2:0으로 패배했다.[2]

MSL에서는 로스트사가 MSL 2009에서 32강 박재혁과 박찬수를 꺾고 16강에서 이영호에게 2:1로 역전승을 거두었으나, 8강에서 다시 만난 박찬수에게 3:2로 역전패 당했다. 이후 MSL 32강에서 두 번 연속 2패 탈락하는 부진을 겪었다. ABC마트 MSL 32강에서는 차명환과 박재혁을 꺾고 16강에서 김민철을 잡아 8강에 진출했지만, 8강에서 이영호에게 3:1로 패배했다.[2]

같은 테란 게이머인 염보성 또한 8강 이상 진출한 적이 없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2]

4. 플레이 스타일

신상문은 2008 시즌 프로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며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고, 새로운 테란 에이스로 떠올랐다. 특히 4~5라운드에서 보여준 대저그전 투스타 레이스 운영은 뛰어난 레이스 컨트롤과 바이오닉 체제 전환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개인 리그에서는 클럽데이 MSL에 첫 진출했지만 조기 탈락했고, 이후 BATOO 스타리그 08~09와 로스트사가 MSL 2009에 양대 진출했다. MSL 16강에서는 이영호를 꺾는 활약을 펼쳤지만, 8강에서 박찬수에게 패했다. 아발론 MSL에서는 정명훈이제동에게 연이어 패배하며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고,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서는 8강에 진출했지만 팀 동료 문성진에게 패했다.

EVER 스타리그 2009 36강에서는 박세정과의 경기에서 불리한 상황에서도 드랍십 활용과 벌쳐를 통한 멀티 견제로 역전승을 거두는 등 끈기를 보여주었다. 특히 3세트 단장의 능선에서는 초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본진에 핵을 쏘는 결단을 내리기도 했다.

5. 라이벌 관계

신상문은 여러 프로게이머들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성장했다. 특히, 이영호와의 대결은 '꼼눈록'이라 불리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상대 선수전적 (공식전)전적 (비공식전 포함)주요 경기 내용
이영호5:116:13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승리, WCG 2010 국가대표 선발전 16강 및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2 8강 패배, ABC마트 MSL 2011 8강 패배,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플레이오프 2차전 승리,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3라운드 패배
김택용4:44:508시즌 초반 승리 후 4연패,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2 16강,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10-11,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 2라운드 승리
이제동2:63:10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예선, 위너스리그, 아발론 온라인 MSL 2009 32강,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패배,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라운드,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승리, MLG 4강 패배
송병구1:22:2프로리그 데뷔전 승리, 이후 리매치 패배,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 이후 비시즌 경기 승리
정명훈2:42:4바투 스타리그 08-09, 아발론 MSL 패배,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승리, 피디팝 MSL 2010 32강 패자전 패배
허영무2:33:7듀얼토너먼트 예선, 프로리그 패배,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설욕
이성은5:05:0이성은 은퇴로 전적 변동 없음
김명운8:38:32008년 4월 패배 이후 5연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에서 하루 2번 승리,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에서 각각 1승 1패
박상우4:24:2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에서 하루 2번 승리, 최근 1패, 박상우 은퇴
염보성4:37:3이영호와 함께 염보성의 테란 천적
이재호3:23:3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위너스리그 승리
김구현4:34:3신인 시절 2승, 이후 3연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승리
윤용태3:33:3주로 에이스 결정전에서 경기
김대엽4:24:2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라운드 승리,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플레이오프 패배, 다음 날 승리,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 2라운드 패배
차명환6:16:1피디팝 MSL 2010에서만 패배,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결승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 4라운드, ABC마트 MSL 2011 승자전 승리
전상욱1:31:3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1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라운드,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패배,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 승리, 전상욱 은퇴
박성균4:04:2비공식전 2패, 공식전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 5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라운드 승리
조병세0:40:4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라운드, 6강 플레이오프 1, 2차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패배
조일장7:27:42008 MSL 서바이버, 바투 스타리그 08-09 16강,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 2010 MSL 서바이버, 피디팝 MSL 2010 서바이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 5라운드 승리, 바투 스타리그 08-09 16강 재경기,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라운드, 스타리그 2011 프로-암 예선 패배
민찬기4:05:0비공식전 1승,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 4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1라운드 승리
김승현3:03:0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 4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승리
박지수5:25:3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2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 4, 5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승리,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32강, 경남 - STX컵 마스터즈 2009,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라운드 패배
임진묵3:13:1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1라운드 패배, 2009 MSL 서바이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라운드 승리
박세정5:25:2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라운드, 2011 MSL 서바이버 승리, 에버 스타리그 2009 36강 패배
이신형3:03:0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라운드,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1, 3라운드 승리
고석현2:04:2비공식전 2승 2패, 공식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2라운드,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라운드 승리
신대근2:24:42군 평가전, 프로리그 승리, MSL 서바이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1 36강 패배
박수범3:07:62군 평가전, 15차 MSL 서바이버 예선, 라이벌 배틀 브레이크,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1 예선 승리


6. 기타

신상문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시절, 연습생으로 시작하여 팀의 주축 선수로 성장했다.

6. 1. 트리비아


  • 신상문은 합기도 공인 3단으로,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7~8년 정도 합기도를 수련했으며, 세계대회 동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2] 이러한 경력으로 경기에서 승리하면 가끔 돌려차기나 백덤블링 세레모니를 선보인다.
  • 프로게이머 데뷔 전 주 종족은 프로토스였으나, 프로토스로는 지는 일이 거의 없어 재미가 없어 테란으로 전향했다고 밝혔다. 아마추어 시절 프로토스로는 전략만 잘 쓰면 거의 지지 않았다고 한다.[2]

6. 2. 별명


  • '''미라클 보이''': 신상문의 대표적인 별명으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도록 결정적인 경기에서 승리하여 붙여졌다. 특히 플레이오프 진출 여부가 걸린 중요한 경기에서 박지수, 구성훈을 상대로 하루 2승을 거두며 팀을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
  • '''에이스 결정전의 사나이''': 신상문이 에이스 결정전에서 높은 승률을 기록하여 붙여진 별명이다.[1]
  • '''신거품''': 프로리그에서는 뛰어난 활약을 보이지만, 개인리그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어 붙여진 별명이다.[1]
  • '''양민테란''': S급 선수들과의 경기에서 약한 모습을 자주 보여 붙여진 별명이다.[1]

참조

[1] 웹인용 포모스 http://www.fomos.kr/[...] 2009-02-02
[2] 웹사이트 포모스 http://www.fomos.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