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중격결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실 중격 결손은 심장의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의 벽인 심실 중격에 결손이 생겨, 혈액이 섞이는 선천성 심장 질환이다. 원인으로는 임신 초기 심장 형성 과정의 문제, 심근 경색 후 중격 벽의 파열 등이 있으며, 다운 증후군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결손의 크기에 따라 증상이 다르며, 작은 결손은 무증상일 수 있지만, 큰 결손은 폐고혈압, 청색증, 심부전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은 청진, 흉부 X선, 심전도, 심장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결손의 크기와 증상에 따라 다르며, 자연 치유되거나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의료비 지원 정책을 통해 환자들을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천성 심장병 - 우심증
우심증은 심첨부가 오른쪽을 향하는 심장 위치 이상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심전도 및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심전도 리드 및 제세동 패드 부착 위치를 반대로 해야 하며, 심장 이식 시 정맥 경로 재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 선천성 심장병 - 엡스타인 기형
엡스타인 기형은 삼첨판이 우심실 방향으로 선천적으로 변위되는 희귀 심장 질환으로, 다른 심장 기형이나 볼프-파킨슨-화이트 증후군을 동반할 수 있으며, 심장 초음파 검사로 진단하고 약물 또는 수술로 치료하며, 1866년 빌헬름 엡스타인이 처음 기술하였다.
심실중격결손 | |
---|---|
질병 개요 | |
![]() 2. 막성주위 3. 유입구 4. 근육" | |
분야 | 심장외과 |
임상 정보 | |
증상 | (제공된 정보 없음) |
합병증 | (제공된 정보 없음) |
발병 시기 | (제공된 정보 없음) |
지속 기간 | (제공된 정보 없음) |
유형 | (제공된 정보 없음) |
원인 및 위험 | |
원인 | (제공된 정보 없음) |
위험 요인 | (제공된 정보 없음)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 (제공된 정보 없음) |
감별 진단 | (제공된 정보 없음) |
예방 및 치료 | |
예방 | (제공된 정보 없음) |
치료 | (제공된 정보 없음) |
약물 | (제공된 정보 없음) |
예후 및 빈도 | |
예후 | (제공된 정보 없음) |
빈도 | (제공된 정보 없음) |
사망 | (제공된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질병 데이터베이스 | 13808 |
국제 질병 분류 (10판) | Q21.0 |
메시 명칭 | Ventricular+Septal+Defects |
메시 번호 | C14.240.400.560.540 |
진료과의 | 소아심장과(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심장내과 |
2. 원인
선천성 심실 중격 결손은 다운 증후군과 같은 다른 선천성 질환과 자주 연관된다.[6] 임신 5주 차에 심장이 여러 번의 중격 형성 과정을 거치며 우회전을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심실 중격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9][10] 심실 중격 결손은 심장의 우심실과 좌심실을 분리하는 심실 중격의 상부가 완전히 발달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11]
심실 중격 결손은 심근 경색[8](심장 마비) 후 며칠 안에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중격 벽이 기계적으로 찢어지고, 심근 반흔 조직이 형성되기 전 대식세포가 죽은 심장 조직을 리모델링하기 시작할 때 발생한다.
구조상으로는 Kirklin 분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31]
유형 | 설명 |
---|---|
Kirklin-I형 | 고위 결손, 누두부 결손, Soto 분류에서의 우실 유출로 결손, Anderson 분류에서의 doubly committed subarterial type과 동일하다. 결손공이 중격벽의 상부에 위치해 있고 대동맥판 오른쪽 관상 첨판에 가까워 판막 탈출로 인한 대동맥판 폐쇄 부전증을 나타낼 수 있다. 아시아인에서는 전체 심실 중격 결손증의 약 30%를 차지한다.[27] |
Kirklin-II형 | 막양부 결손형. 빈도가 가장 많으며 심실 중격 결손증의 2/3를 차지한다.[27] 자연 폐쇄 경향이 강하다. |
Kirklin-III형 | 심내막상 결손형. 빈도는 가장 적지만 다운 증후군에서는 합병되는 빈도가 높은 심기형 중 하나(약 40%)이다.[32] |
Kirklin-IV형 | 근성부 결손형. 일본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에서는 3~5%로 낮지만, 백인에서는 10~20%를 차지한다.[27] 자연 폐쇄 사례가 많다. |
심실 수축, 즉 수축기 동안 좌심실의 일부 혈액이 우심실로 새어 들어가 폐를 통과하여 폐정맥과 좌심방을 통해 다시 좌심실로 들어간다. 이는 좌심실에 용적 과부하를 유발하고, 혈액이 우심실로 새어 들어가 우심실 압력과 용적이 증가하여 폐고혈압을 유발한다.[12]
심실중격결손(VSD)은 결손 구멍의 위치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Kirklin 분류가 사용된다.[31]
3. 병태 생리
심각한 경우, 폐동맥압이 전신 압력과 같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좌-우 단락을 역전시켜 혈액이 우심실에서 좌심실로 흐르게 하여 혈액이 산소화를 위해 폐를 우회하면서 청색증을 유발한다.[12] 이 현상은 결손이 더 큰 환자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3]
혈액의 단락량과 방향에 따라 증상이 바뀌며, 단락량은 결손공의 크기와 폐혈관 저항에 의해 결정된다.[33][34]결손공 크기 단락량 및 영향 증상 및 특징 대동맥륜 직경의 1/3 이하 단락량이 적어 혈역학은 거의 정상. 성인에서 주로 발견되며, 감염성 심내막염(IE) 발생 가능성은 결손공이 큰 경우와 비슷하다. 대동맥륜 직경의 1/2 전후 좌심실에서 우심실로의 좌→우 션트 발생. 폐 혈류량 증가 및 좌심실 용량 부하. 폐동맥압은 정상 또는 경도 상승. 대동맥륜 직경과 거의 같음 우심실압=좌심실압, 폐고혈압 발생. 폐고혈압 진행 시 좌우 압력차 감소로 단락량 일시적 감소. 더욱 진행되면 우→좌 션트로 역전, 아이젠멩거 증후군 발생, 청색증 유발. 아이젠멩거화 빈도 약 50%. 이 경우 원질환 수술 불가[35], 심폐 동시 이식 필요. 아이젠멩거화 이전 경증(폐체 혈류비 1.5 이상)은 수술 가능.
4. 분류
유형 설명 특징 빈도 Kirklin-I형 고위 결손, 누두부 결손, Soto 분류에서의 우실 유출로 결손, Anderson 분류에서의 doubly committed subarterial type과 동일. 결손 구멍이 중격벽 상부에 위치하며 대동맥판 오른쪽 관상 첨판에 가까워 판막 탈출로 인한 대동맥판 폐쇄 부전증을 나타낼 수 있다. 아시아인에서 높은 빈도 백인에서는 수%, 아시아인에서는 약 30%[27] Kirklin-II형 막양부 결손형 가장 흔한 유형, 자연 폐쇄 경향이 강함 심실 중격 결손증의 2/3[27] Kirklin-III형 심내막상 결손형 다운 증후군에서 합병되는 빈도가 높음. 자세한 내용은 심내막상 결손증(또는 방실 중핵 결손증)의 완전형 참조. 빈도는 가장 적음, 다운 증후군에서는 약 40%[32] Kirklin-IV형 근성부 결손형 자연 폐쇄 사례가 많음 일본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에서는 3~5%, 백인에서는 10~20%[27]
선천성 심장 수술 명명법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의 분류[14]는 심실중격의 우심실 표면에서의 VSD 위치를 기준으로 한다.
5. 증상
심실 중격 결손은 출생 시에는 증상이 없지만, 생후 몇 주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좌심실에서 우심실로 혈액이 새면서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데, 심한 경우 폐동맥 압력이 전신 압력과 같아져 혈액이 우심실에서 좌심실로 역류하여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12]
경증의 경우 자각 증상이 거의 없지만, 감염성 심내막염의 위험이 있다.[29] 중등도 이상의 경우, 폐 울혈로 인해 유아기부터 호흡 곤란이나 호흡기 감염증이 나타나고, 심부전으로 이어지기도 한다.[29]
청진을 통해 특징적인 심잡음을 들을 수 있는데, 흉골 좌측 가장자리에서 수축기 잡음(systolic murmur)이 들린다. 결손 구멍이 작을수록 잡음이 더 크게 들린다.[29] 이는 혈류의 난류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큰 심실 중격 결손은 흉골 옆 융기, 심첨 박동 변위(심장이 커지면서 심장 박동이 측면으로 이동)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성장 장애, 수유 중 땀, 빈호흡(빠른 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5]
6. 진단
청진을 통해 심실중격결손의 특징적인 심잡음을 들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실중격결손은 특징적인 전체 수축기 또는 범수축기 잡음을 유발하며, 청진은 일반적으로 유의미한 심실중격결손을 감지하기에 충분하다고 간주된다.[5] 흉골 좌측 경계의 역류성 수축기 잡음(결손공을 통과하는 혈액의 소리)이 특징적이다. 결손공이 작을수록 혈류의 난류가 심해져 잡음이 오히려 커진다.[29]
흉부 X선 촬영을 하면 폐혈류 증가, 심장 비대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36] 중등도에서 고도의 결손공의 경우, 좌-우 단락에 따른 폐혈류량 증가 소견(폐혈관 음영의 증강, 좌측 제4궁의 돌출, 좌심방·좌심실 확대)이 관찰된다.[36]
심전도 검사에서는 좌심실 비대, 고도의 결손으로 폐고혈압이 진행된 경우 우심실 비대를 보인다.[36]
심장 초음파 검사를 통해 심실중격결손의 위치, 크기, 혈류 방향 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단층법으로 심실 중격의 구멍을 관찰할 수 있고, 컬러 도플러법을 통해 단락 혈류를 묘사할 수 있으며, 폐동맥압 추정도 가능하다.
심장 카테터 검사를 통해 심장 내 압력, 산소 포화도 등을 측정하여 심실중격결손의 중증도를 평가할 수 있다. 중~고도 결손공의 경우, 우심실에서 산소 포화도의 단계적 증가,[38] 폐혈압 상승이 관찰된다.
7. 치료
대부분의 심실중격결손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생후 첫해에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가 있다. 작은 선천성 심실중격결손은 심장이 성장하면서 종종 스스로 닫히며, 이러한 경우 보존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39] 경과 관찰만으로 충분하며, 특히 운동 제한도 필요 없다. 다만, 감염성 심내막염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그 예방에 힘쓴다.[39] 1년에 1~2회의 정기 검사가 권장된다.[40]
중등도~중증의 경우, 다음과 같은 징후가 있을 때 수술적 중재가 필요할 수 있다.
- 울혈성 심부전이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 폐동맥 협착이 있는 심실중격결손
- 폐고혈압이 있는 큰 심실중격결손
- 대동맥판 역류가 있는 심실중격결손
수술 절차를 위해서는 심폐기가 필요하며 정중 흉골 절개술을 시행한다. 경피적 혈관 내 시술은 덜 침습적이며 박동하는 심장에서도 수행할 수 있지만 특정 환자에게만 적합하다.
영아의 심실중격결손은 처음에는 강심 배당체 (예: 디곡신 10μg/kg/일 ~ 20μg/kg/일), 루프 이뇨제 (예: 푸로세미드 1mg/kg/일 ~ 3mg/kg/일) 및 ACE 억제제 (예: 캡토프릴 0.5mg/kg/일 ~ 2mg/kg/일)로 약물 치료를 한다. 내과적 치료는 심부전이나 감염성 심내막염, 호흡기 질환 등에 대해 시행된다. 좌심실·좌심방의 용량 부하를 제거하기 위한 이뇨제가 첫 번째 선택이며, 푸로세미드, 스피로노락톤을 1mg/kg/일 ~ 3mg/kg/일 투여한다. 빈맥이 있는 경우에는 디곡신, 말초 냉감이 심하고 승모판 역류 등을 합병하는 경우에는 ACE 저해제를 병용할 수 있지만, 심부전의 악화 등에 주의를 요한다.
Amplatzer muscular VSD occluder라고 알려진 장치는 특정 심실중격결손을 닫는 데 사용될 수 있다.[15] 이 장치는 2009년에 처음 승인되었으며,[15] 효과가 좋고 안전한 것으로 보인다.[15] 또한 비용이 개심 수술보다 저렴하다.[15] 이 장치는 사타구니의 작은 절개를 통해 삽입된다.[16]
수술 자체는 인공 심폐기를 사용하여 우심방을 열고 삼첨판 쪽에서 우심실을 들여다보는 형태(심실은 절개하지 않음)로 결손공을 직접 또는 패치를 사용하여 막는다.[39] 외과적 치료가 고려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중~고도 결손공으로 폐/체 혈류비가 1.5 이상(좌-우 단락률이 33% 이상)으로 수축 경향이 없고 좌심실 확대를 보이는 경우[39] 폐고혈압을 동반하는 예에서는 2세 이전에 수술을 마친다. 2세 이상이라도 폐 혈관 저항이 8단위 이하이면 수술 적응.[40]
# Kirklin-I형(깔때기부 결손)에 대동맥판 탈출·대동맥판 폐쇄 부전이나 역류를 보이는 경우[39]
# 소 결손공에서도 감염성 심내막염을 재발하는 경우[39] IE의 치유 후 6개월이 지난 후에 수술을 시행한다.
# 발살바 동맥류를 동반한 경우[41]
아이젠멩거 증후군으로 진행되어 외과적 치료의 적응증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폐고혈압에 대한 대증요법으로 산소 투여나 아질산염, 칼슘 길항제 등이 사용된다. 폐고혈압이 진행되어 폐/체 혈류비가 1.5 이하가 된 경우에는 아이젠멩거 증후군이므로 외과적 치료의 적응증이 없어지고,[39] 완치를 위해서는 심폐 동시 이식이 필요하게 된다.
8. 합병증
심실 수축 시 좌심실의 혈액 일부가 우심실로 새어 들어가 폐를 거쳐 다시 좌심실로 돌아오는 혈액의 역류는 좌심실에 용적 과부하를 일으킨다. 또한, 좌심실은 우심실보다 수축기 혈압이 높아 혈액이 우심실로 새어 들어가면서 우심실 압력과 용적이 증가하여 폐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12] 심한 경우, 폐동맥압이 전신 압력과 같아져 혈액이 우심실에서 좌심실로 흐르게 되면서 청색증을 유발할 수 있다.[12]
결손이 큰 환자는 영아기에 호흡 곤란, 젖 먹기 부진, 성장 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결손이 작은 환자는 증상이 없을 수 있다.[13] Kirklin-I형 심실중격결손은 대동맥판 폐쇄 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아시아인에서 흔하게 발생한다.[27]
참조
[1]
논문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9-02-02
[2]
논문
Catheter therapy of Swiss cheese ventricular septal defects using the Amplatzer muscular VSD occluder
2002-03-01
[3]
논문
The incidence of congenital heart disease
[4]
논문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2013-01-01
[5]
서적
Textbook of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Elsevier
2006-01-01
[6]
논문
Congenital heart disease in infants with Down's syndrome
[7]
논문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Down syndrome: various aspects of a confirmed association
[8]
웹사이트
Ventricular septal defect
https://www.nlm.nih.[...]
MedlinePlus
[9]
논문
Cardiac Septation – A Late Contribution of the Embryonic Primary Myocardium to Heart Morphogenesis
2002-07-26
[10]
논문
Basics of Cardiac Development for the Understanding of Congenital Heart Malformations
2005-02-01
[11]
웹사이트
Congenital Heart Defects - What are Congenital Heart Defects?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2-03-24
[12]
서적
Kumar & Clark
[13]
논문
Ventricular Septal Defect Surgery in the Pediatric Patient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8-06-20
[14]
논문
Congenital Heart Surgery Nomenclature and Database Project: ventricular septal defect
2000-03-01
[15]
논문
Transcatheter device closure of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
2011-02-01
[16]
웹사이트
Amplatzer septal occluder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02-26
[17]
논문
Use of the Amplatzer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 occluder for closure of perimembranous ventricular septal defects
[18]
논문
Patent ductus arteriosus closure using an Amplatzer ventricular septal defect closure device
[19]
웹사이트
Rare Serious Erosion Events Associated with St. Jude Amplatzer Atrial Septal Occluder (ASO)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02-26
[20]
논문
Use of Fluorescein Dye to Identify Residual Defects
[21]
논문
Increasing incidenc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s caused by improved detection rate
[22]
논문
Incidence and natural course of trabe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and color Doppler flow imaging study.
http://www.jpeds.com[...]
1992-03-01
[23]
논문
High prevalence of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neonates
1995-11-15
[24]
웹사이트
The blue baby syndrome
https://www.deccanhe[...]
2015-09-25
[25]
서적
Look at Me!
https://www.hachette[...]
Hachette Books
2020-06-09
[26]
문서
弁置換手術などの術後にも生じることがある
[27]
문서
(高橋2015)p.145「概念」
[28]
웹사이트
心室中隔欠損
http://www.jsps.gr.j[...]
[29]
문서
(高橋2015)p.146-147「症状」
[30]
문서
大動脈と肺動脈が分離せず、1本の太い動脈が心室から起始する疾患。((高橋2015)p.176「3 総動脈幹症」)
[31]
문서
(医学情報研究所2017)p.149「分類」
[32]
문서
(高橋2015)p.149「C 房室中隔欠損症」
[33]
문서
(高橋2015)p.146「血行動態」
[34]
문서
(医学情報研究所2017)p.150「病態生理」
[35]
문서
手術すると右→左短絡していた血液の逃げ場がなくなりすでに高かった肺血管抵抗がさらに悪化し右心不全を起こす。((高橋2015)p.145「STEP3 Eisenmenger症候群」)
[36]
서적
検査
[37]
서적
胸部X線像
[38]
서적
C 酸素飽和度
[39]
서적
治療
[40]
서적
治療
[41]
서적
合併症
[42]
서적
合併症
[43]
서적
Valsava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