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전무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전무공은 청나라 건륭제가 재위 기간 동안 10차례의 군사적 정복을 이룬 사건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여기에는 준가르 원정, 금천 원정, 버마 원정, 대만 원정, 구르카 원정, 베트남 원정이 포함된다. 십전무공은 청나라의 국력을 과시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지만, 막대한 재정적 손실을 초래했다. 또한, 동남아시아의 정치적 상황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당시 동아시아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중국 - 동성파
동성파는 청나라 강희제 시대에 방포, 유대규, 요내 등이 창시하여 문단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으나, 간결하고 명료한 문체를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5·4 운동 이후 비판받으며 쇠퇴한 문학 유파이다. - 네팔이 참전한 전쟁 - 세포이 항쟁
세포이 항쟁은 1857년부터 1859년까지 영국 동인도회사에 맞서 인도 용병들이 일으킨 대규모 항쟁으로, 종교적 금기를 어기는 동물성 기름 사용 소문이 발단이 되었으나, 영국 동인도회사의 인도 지배 강화, 사회적 혼란, 세포이들의 처우 불만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인도 독립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 네팔이 참전한 전쟁 - 영국-네팔 전쟁
영국-네팔 전쟁은 1814년부터 1816년까지 영국 동인도 회사와 네팔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영토 분쟁과 경제적 이해관계 등으로 발발하여 수가울리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이 전쟁을 통해 영국군은 구르카 용병의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 - 건륭제 - 숙가황귀비
숙가황귀비 김씨는 조선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네 아들을 낳았고, 사후 황귀비로 추봉되었으며, 그녀의 아들들은 청나라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가문은 가경제 때 만주 성씨를 하사받았으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건륭제 - 철민황귀비
철민황귀비는 건륭제의 황귀비로, 건륭제의 측실 시절 첫째 아들 영황을 낳았으며 사후 철비로 추증되었다가 황귀비로 재추증되어 철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십전무공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날짜 | 1747년-1792년 |
장소 | 중국, 북부 베트남, 상미얀마, 네팔, 시킴 |
결과 | 건륭제 승리 |
결과 상세 | 신장 지역이 청나라에 병합됨 네팔, 베트남, 미얀마가 청의 조공 국가가 됨 |
교전 세력 1 | |
청-준가르 전쟁 | 쿠물 칸국 할하부 |
진촨 전역 | 청나라 |
미얀마 원정 | 청나라 |
베트남 원정 | |
타이완 원정 | 청나라 |
네팔 원정 | |
교전 세력 2 | |
청-준가르 전쟁 | |
진촨 전역 | |
미얀마 원정 | 꼰바웅 왕조 |
베트남 원정 | 떠이선 왕조 |
타이완 원정 | 타이완 반란군 |
네팔 원정 | |
지휘관 및 지도자 1 | |
청나라 | 건륭제 |
청나라 (1755) | 아무르사나 |
청나라 | 아귀 |
청나라 | 밍루이 |
청나라 | 푸차 푸헝 |
청나라 | 푸차 푸캉간 |
기타 | |
청나라 | 손사의 |
후 레 왕조 | 레 민제 |
지휘관 및 지도자 2 | |
(1755) | 다와치 |
(1756-1758) | 아무르사나 |
사망 | 칭귄자브 |
사망 | 소놈 |
꼰바웅 왕조 | 흐신바이우신 |
꼰바웅 왕조 | 마하 티하 투라 |
꼰바웅 왕조 | 마하 시추 |
꼰바웅 왕조 | 네 묘 시추 |
꼰바웅 왕조 | 발라민딘 |
꼰바웅 왕조 | 테잉야 민가웅 |
프랑스 | 피에르 드 밀라르 |
떠이선 왕조 | 응우옌후에 |
떠이선 왕조 | 판반란 |
떠이선 왕조 | 응오반쑤 |
타이완 반란군 | |
네팔 왕국 | 라나 바하두르 샤 |
네팔 왕국 | 바하두르 샤 |
2. 주요 원정
건륭제는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차례의 대규모 군사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원정은 다음과 같다.
- '''금천 원정(1747-1749, 1771-1776):''' 사천성 서부의 갈롱족 부족을 진압한 원정으로, 청나라 군대는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저항하는 부족들을 상대로 장기간의 소모전을 벌여야 했다.
- '''버마 원정(1765-1769):''' 미얀마의 꼰바웅 왕조를 침략한 원정으로, 청나라 군대는 큰 피해를 입었으나, 이 원정은 현재의 중국-미얀마 국경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대만 원정(1786-1788):''' 린쌍문이 이끄는 천지회(天地會)의 반란을 진압한 원정으로, 청나라 군대는 잘 훈련된 병력을 파견하여 반란군을 격파했다.
- '''구르카 원정(1788-1793):''' 네팔의 구르카족이 티베트를 침략하자, 청나라 군대가 개입하여 구르카족을 격퇴하고 베트라와티(Betrawati)에서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네팔은 청나라에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
- '''베트남 원정(1788-1789):''' 레 왕조의 레 치êu 통이 왕위 회복을 위해 청나라에 지원을 요청하면서 시작된 원정이다. 청나라 군대는 서산 군대에게 패배했지만, 이후 건륭제는 응우옌후에(광중제)를 베트남의 통치자로 인정했다.
2. 1. 준가르 원정 (1755-1759)
청나라는 오랜 기간 갈등 관계에 있던 준가르를 정복하여 신장 지역을 완전히 장악하고, 티베트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했다.[21][22] 십전무공 중 준가르를 멸망시킨 것은 청나라 역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데, 1755년 준가르가 완전히 청에 병합되고, 이후 청의 지배에 맞선 알티샤 호자의 난이 진압되면서 청은 신장 서부와 북부를 지배하고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할 수 있었다. 이 정복 이후 이슬람화된 투르크 계통의 신장 남부도 완전히 청에 병합되었다.[22]준가르 원정은 크게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2. 1. 1. 제1차 원정 (1755)
1752년, 다와치와 호이트-오이라트의 아무르사나 왕자는 준가르 칸국의 칸 자리를 놓고 경쟁하였다. 다와치는 아무르사나를 여러 차례 패배시켰고, 아무르사나는 소규모 군대를 이끌고 청나라로 도망쳐 건륭제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아무르사나와 함께 호자 형제인 부르한 알딘과 콰자이 자한도 청을 지지하였다.1755년, 건륭제는 아무르사나, 부르한 알딘, 콰자이 자한의 지원을 받은 만주 장군 조휘를 파견하여 준가르 원정을 이끌게 하였다. 일리 강을 따라 여러 차례의 작은 전투와 충돌이 있은 후, 조휘가 이끄는 청군은 일리(이닝)에 접근하여 다와치를 항복시켰다.[21] 건륭제는 아무르사나를 호이트 칸으로 임명하고 네 명의 칸 중 한 명으로 삼았는데, 이는 준가르 칸이 되고 싶었던 아무르사나에게는 매우 불만스러운 일이었다.[22]
참전국 | 지휘관 | 병력 |
---|---|---|
청나라 | 건륭제, 반디 (전체 지휘), 조휘 (부지휘관), 에민 호자, 아무르사나, 부르한 알딘, 크와자 이 자한 | 만주 팔기군 9,000명, 내몽골 19,500명, 외몽골 6,500명, 준가르 2,000명, 하미와 투루판 위구르족 5,000명, 중국인 12,000명 |
준가르 칸국 | 다와치 | 7,000명 |
2. 1. 2. 제2차 원정 (1756-1758)
1756년부터 1758년까지 청나라는 준가르의 새 지도자 아므르사나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두 번째 원정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칭군자브의 반란도 함께 진압되었다.[21]조호이 장군은 오로이-잘라투 전투(1758년)와 쿠룬구이 전투(1758년)에서 준가르족을 상대로 승리했다. 오로이-잘라투 전투에서는 밤에 아므르사나의 진영을 공격해 승리했고, 쿠룬구이 전투에서는 강을 건너 밤에 기습 공격을 하여 아므르사나를 격퇴했다. 건륭제는 이 두 번의 승리를 기념하여 청더의 푸닝사를 건립했다. 이 사찰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목조 관세음보살상이 있어 "대불사"라고도 불린다.[21]
이후 우슈투르판의 호자들이 청나라에 복속했다. 아므르사나는 러시아 제국으로 도망쳤다가 그곳에서 사망했고, 칭군자브는 북쪽 다르하드로 도망쳤지만 왕톨고이에서 체포되어 베이징에서 처형되었다.[21]
2. 1. 3. 제3차 원정 (1758-1759)
1758년, 알티샤르의 귀족이자 호자 형제인 부르한 알-딘과 콰자이 자한이 청나라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남은 준가르족 외에도 키르기스족과 알티샤르(타림 분지)의 오아시스 투르크계 주민들(위구르족)이 그들에게 합류했다.[3][4] 알티샤르의 여러 도시를 점령한 후, 1758년 말에는 야르칸드와 카슈가르에 두 개의 반군 요새가 남아 있었다. 투르판과 하미의 위구르족 무슬림들은 에민 호자와 호자 시 베크를 포함하여 청나라에 충성을 지키며 청 정부가 부르한 알-딘과 콰자이 자한 지휘 아래 알티샤르 위구르족과 싸우도록 도왔다.[3][4]조휘는 야르칸드를 포위 공격했지만 성공하지 못했고, 도시 외곽에서 결정적이지 않은 전투를 벌였는데, 이 전투는 역사적으로 통구즈룩 전투로 알려져 있다. 조휘는 야르칸드 동쪽의 다른 도시들을 점령했지만 후퇴해야 했고, 준가르와 위구르 반군은 그를 흑수(카라 우수)에서 포위했다. 1759년 조휘는 증원을 요청했고, 후덕과 마창 장군의 총지휘 아래 600명의 군대가 파견되었으며, 난질이 이끄는 200명의 기병대가 포함되었다. 아리군, 더빈, 두안지부, 풀루, 연향사, 장김부, 이사무, 아귀, 수허덕 등 다른 고위 장교들도 참여했다.[3][4]
1759년 2월 3일, 부르한 알-딘이 이끄는 5,000명 이상의 적 기병이 쿠르만 전투에서 600명의 증원군을 기습했다. 위구르와 준가르 기병은 청나라의 잠부라크 포병 낙타, 소총, 궁수에 의해 저지되었고, 난질과 마창은 측면 중 한 곳에서 기병 돌격을 이끌었다. 난질은 전사하고 마창은 말에서 떨어져 활을 가지고 도보로 싸워야 했다. 치열한 전투 끝에 청군이 승리하여 준가르 진영을 공격함으로써 흑수를 포위한 준가르족을 철수시켰다. 쿠르만 전투 승리 후, 청군은 남은 반군 도시들을 함락시켰다. 명뢰는 기병 부대를 이끌고 꼬스-꿀락 전투에서 준가르 기병을 물리쳤다. 위구르족은 꼬스-꿀락에서 후퇴했지만 1759년 9월 1일 아르쿨(알티샤르) 전투에서 조휘와 후덕에게 패배했다. 반군은 예실 콜 노르 전투에서 다시 패배했다.[3][4]
이러한 패배 후, 부르한 알-딘과 콰자이 자한은 소수의 지지자들과 함께 바다흐샨으로 도망쳤다. 바다흐샨의 술탄 샤는 그들을 보호할 것을 약속했지만 청나라에 연락하여 그들을 넘겨줄 것을 약속했다. 도망치는 반군이 술탄의 수도에 도착했을 때, 그는 그들을 공격하여 사로잡았다. 청군이 술탄 샤의 수도에 도착했을 때, 그는 포로로 잡힌 반군을 청나라에 넘겨주고 청나라에 복종했다. 후년에 두라니 아프가니스탄과 부하라 칸국이 바다흐샨을 침략하여 호자들을 청나라에 배신한 술탄 샤를 죽였지만, 청나라는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3][4]
2. 2. 금천 원정 (1747-1749, 1771-1776)
금천 진압은 십전무공 중 가장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었고, 가장 파괴적이었던 원정이었다. 금천(금빛 시내라는 뜻)은 성도 북서쪽, 사천성 서부에 위치했으며, 그 주민들은 갈롱족 부족으로 암도의 티베트인과 관련이 있었다.1747년-1749년의 첫 번째 원정은 청나라 군대가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 원주민 족장들을 설득하여 평화 계획을 받아들인 후 철수하면서 비교적 간단하게 끝났다. 그러나 20년 후, 여러 민족 간의 갈등이 재발하자 청나라는 다시 개입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청나라 군대는 장기적인 소모전을 벌이게 되었고, 이는 제국 재정에 준가르와 신강 정복에 사용된 금액보다 몇 배나 많은 비용을 소모하게 했다. 저항하는 부족들은 험준한 산악 지대의 석조 탑과 요새로 후퇴하여 대포 사격으로만 몰아낼 수 있었다. 청나라 장군들은 현지 걀롱 티베트인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하고, 그 지역을 군사 주둔지로 재편성한 후 협조적인 주민들로 다시 채웠다.[2]
2. 2. 1. 제1차 금천 원정 (1747-1749)
제1차 금천 원정은 1747년부터 1749년까지 사천성에서 벌어졌다. 청나라 군대는 원주민 족장들을 설득하여 평화 협정을 맺었으나, 이후 갈등이 재발했다.[18]
분쟁 | 제1차 금천 전투 |
---|---|
날짜 | 1747년-1749년 |
장소 | 사천성 |
결과 | 청나라 승리 |
참전국1 | 청나라 |
참전국2 | 금천 부족 |
지휘관1 | 건륭제 장광사 (전체 지휘)(건륭제에 의해 처형됨) 네친 (부사령관)(건륭제에 의해 처형됨) 복흥 (전체 지휘) 조휘 (부사령관) |
지휘관2 | 슬롭 폰 체 뱅 |
금천(금빛 시내라는 뜻)은 성도의 북서쪽, 사천성 서부에 위치해 있었다. 그 주민들은 갈롱족 부족으로, 암도의 티베트인과 관련이 있었다. 1747년에서 1749년까지의 첫 번째 전투는 청나라 군대가 힘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원주민 족장들을 설득하여 평화 계획을 받아들이게 한 후 철수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끝났다.
2. 2. 2. 제2차 금천 원정 (1771-1776)
청나라는 여러 민족 간의 갈등이 발생하자 20년 만에 다시 개입하였다. 그 결과 청나라 군대는 장기적인 소모전을 벌였고, 이는 제국 재정에 준가르와 신강 정복에 사용된 금액보다 몇 배나 많은 비용을 소모하게 했다. 저항하는 부족들은 험준한 산악 지대의 석조 탑과 요새로 후퇴하여 대포 사격으로만 몰아낼 수 있었다. 청나라 장군들은 현지 걀롱 티베트인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하고, 그 지역을 군사 주둔지로 재편성하고 협조적인 주민들로 다시 채웠다.[2] 승리한 군대가 베이징으로 돌아오자 그들의 명예를 기리는 축하 성가가 불려졌다. 이 성가의 만주어 버전은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 장 조제프 마리 아미오(Jean Joseph Marie Amiot)에 의해 기록되어 파리로 보내졌다.[5]2. 3. 버마 원정 (1765-1769)
건륭제는 1765년부터 1769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버마(현 미얀마)의 꼰바웅 왕조를 침략했다. 이 전쟁으로 7만 명이 넘는 청나라 군인과 4명의 지휘관이 목숨을 잃었으며,[6] "청나라가 벌였던 가장 참혹한 국경 전쟁"이자 "버마의 독립과 동남아시아 다른 국가들의 독립을 보장한 전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7] 버마의 성공적인 방어는 현재의 미얀마와 중국 사이의 국경의 기초를 마련했다.[6]1790년, 버마와 청나라는 외교 관계를 재개했다. 버마는 동등한 조건으로 관계를 재개했다고 여겼으나, 건륭제는 일방적으로 이를 버마의 복종으로 해석하고 승리를 선언했다. 이 전쟁의 주요 수혜자는 시암이었다. 1767년 버마에게 수도 아유타야를 잃은 시암은 버마의 대규모 군대가 없는 틈을 타 재편성하여 이후 2년 동안 영토를 되찾았다.[8]
2. 3. 1. 제1, 2차 침입 (1765-1766)
청명 전쟁건륭제는 1765년부터 1769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버마를 침략했다. 이 전쟁으로 7만 명이 넘는 청나라 군인과 지휘관 4명이 목숨을 잃었으며,[6] "청나라가 벌였던 가장 참혹한 국경 전쟁"이자 "버마의 독립과 동남아시아 다른 국가들의 독립을 보장한 전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7] 버마의 성공적인 방어는 현재의 미얀마와 중국 사이의 국경의 기초를 마련했다.[6]
건륭제는 손쉬운 전쟁을 예상하고 운남성에 주둔한 녹영 군사만 파견했다. 청나라의 침략은 버마군 대부분이 버마의 샴 침공에 투입된 시점에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련한 버마군은 1765년과 1766년 국경에서 일어난 두 차례의 침략을 물리쳤다. 이 지역 분쟁은 양국에서 전국적인 군사 작전을 수반하는 대규모 전쟁으로 확대되었다.[7]
2. 3. 2. 제3차 침입 (1767-1768)
청명 전쟁건륭제는 1765년부터 1769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버마를 침략했다. 이 전쟁으로 7만 명이 넘는 청나라 군인과 4명의 지휘관이 목숨을 잃었으며,[6] 때로는 "청나라가 벌였던 가장 참혹한 국경 전쟁"이자 "버마의 독립과 동남아시아 다른 국가들의 독립을 보장한 전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7] 버마의 성공적인 방어는 현재의 미얀마와 중국 사이의 국경의 기초를 마련했다.[6]
1767년부터 1768년까지 일어난 세 번째 침입은 정예 만주 팔기군이 주도하였으며, 수일 만에 수도 아바에서 불과 며칠 거리까지 버마 중앙부 깊숙이 침투하는 등 거의 성공 직전까지 이르렀다.[8] 그러나 북중국 출신 팔기군은 낯선 열대 지형과 치명적인 풍토병에 대처하지 못하고 큰 손실을 입고 격퇴되었다.[6] 간발의 차이로 위기를 넘긴 신뷔신 왕은 버마군 대부분을 시암에서 중국 국경으로 재배치했다.[7]
청나라 건륭제는 1768년 청-버마 전쟁에서 마이묘 전투에서 그의 지휘관 밍루이가 패배한 후 만주 장군 엘레덴게(Eledeng'e, 또는 에르덩에(E'erdeng'e, 額爾登額) 혹은 額爾景額)를 능지처사로 처형할 것을 명령했다. 엘레덴게가 약속된 장소에 도착하지 않아 밍루이의 측면을 지원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2. 3. 3. 제4차 침입 (1769)
건륭제는 1765년부터 1769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버마를 침략했다. 이 전쟁으로 7만 명이 넘는 청나라 군인과 4명의 지휘관이 목숨을 잃었으며,[6] "청나라가 벌였던 가장 참혹한 국경 전쟁"이자 "버마의 독립과 동남아시아 다른 국가들의 독립을 보장한 전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7] 버마의 성공적인 방어는 현재의 미얀마와 중국 사이의 국경의 기초를 마련했다.[6]네 번째이자 가장 큰 규모의 침입은 국경에서 침체되었다. 청나라 군대가 완전히 포위되자 1769년 12월 양측 현장 지휘관들 사이에 휴전이 이루어졌다.[9]
청나라는 또 다른 전쟁을 일으키려는 시도와 함께 국경 간 무역을 20년 동안 금지하면서 약 10년 동안 운남 국경 지역에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했다. 버마 또한 청나라의 곧 있을 침략에 대비하여 국경 지역에 여러 수비대를 배치했다.
2. 4. 대만 원정 (1786-1788)
1786년, 청나라가 임명한 대만(臺灣)의 순무(巡撫) 손경수(孫景燧)는 청나라에 반대하는 천지회(天地會)를 발각하여 진압했다. 천지회 회원들은 명나라(明朝)의 충신들을 모았고, 그들의 지도자인 린쌍문(林爽文)은 스스로 왕을 선포했다. 반란군은 빠르게 5만 명으로 불어났으며, 1년도 채 되지 않아 대만 남부 대부분을 점령했다. 이 소식을 들은 청나라 군대는 서둘러 반란군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조직이 부실하여 동부의 반란군에게 패퇴했다. 마침내 청나라 황실은 복강안(福康安)을 파견했고, 흠차(欽差) 해란찰(海蘭察)은 3,000명의 병력을 배치했다. 이 새로운 군대는 잘 무장되고 훈련되었으며 전투 경험이 풍부하여 반란군을 격파하기에 충분했다. 명나라 충신들은 전쟁에서 패했고, 지도자들과 남은 반란군들은 현지인들 사이에 숨었다.린쌍문(林爽文), 장대전(莊大田)과 다른 천지회 지도자들은 반란을 일으켰다. 청나라 장군 복강안(福康安)은 2만 명의 병력으로 반란을 진압하고 린쌍문(林爽文)을 처형했다.
2. 5. 구르카 원정 (1788-1793)
구르카족과의 전쟁은 청 제국이 티베트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했음을 보여준다. 1760년대 후반 네팔에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가 건설되었고, 1788년 네팔의 고르카 지배자들은 티베트 남부 침략을 결정했다.1차 원정에서 청군이 티베트 남부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고르카 군대가 철수한 후였다. 1791년 고르카 군이 다시 침략하자, 건륭제는 복강안을 사령관으로, 해란찰을 부관으로 하는 1만 명의 군대를 파견했다. 이들은 서녕에서 출발해 티베트로 진입, 1792년 여름 티베트 중앙에 도착하여 고르카 군대를 몰아냈다.
최종적으로 양측은 베트라와티(Betrawati)에서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10] 이 조약으로 네팔은 5년마다 청나라에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2]
2. 5. 1. 제1차 원정 (1788)
라사에 주둔하고 있던 두 명의 만주족 관리(암반)는 방어나 저항을 시도하지 않았다. 대신 네팔군이 라사로 진격해 오자 그들은 어린 판첸라마를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켰고, 네팔군은 시가체의 부유한 사원을 약탈했다. 첫 번째 네팔군의 침입 소식을 들은 건륭제는 쓰촨성에서 군대를 라사로 파견하여 질서를 회복하도록 명령했다. 그들이 티베트 남부에 도착했을 때는 고르카 군대가 이미 철수한 후였다. 이는 고르카와의 두 차례 전쟁 중 첫 번째 전쟁으로 기록되었다.2. 5. 2. 제2차 원정 (1791-1793)
1791년, 고르카 군이 대규모로 다시 쳐들어왔다. 건륭제는 긴급히 1만 명의 군대를 파견했다. 이 군대는 6,000명의 만주족과 몽골족 군대로 구성되었으며, 복강안 장군 휘하의 부족 병사들이 보충되었다. 해란찰이 그의 부관이었다. 그들은 북쪽의 서녕에서 티베트로 진입하여 행군 거리를 단축했지만, 1791년에서 1792년로 넘어가는 혹독한 겨울에 깊은 눈과 추위 속에서 높은 산맥을 넘어야 했다. 1792년 여름, 티베트 중앙에 도착한 그들은 두세 달 안에 고르카 군대를 몰아낸 일련의 결정적인 승리를 보고할 수 있었다.[10] 그러나 네팔군은 중국군보다 3~4배 더 큰 중국군을 상대로 성공적으로 지연 전술을 사용했다. 네팔군은 후퇴하기 시작하여 중국군을 불편할 정도로 과도하게 뻗어나가게 만들었다. 누와콧(Nuwakot)에서 중국군은 쿠크리(Khukuri)로 무장한 네팔군의 강력한 반격에 직면했다. 네팔이 서쪽으로 확장하고 있었고 복강안은 자신의 군대를 보호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양측은 베트라와티(Betrawati)에서 평화 조약에 서명했다.[10] 이 평화 조약은 청나라에 더 유리했는데, 그 조건으로 네팔은 5년마다 청나라에 조공을 바쳐야 했다.[2]2. 6. 베트남 원정 (1788-1789)
17세기 이후 베트남은 남부 당중(코친차이나)의 응우옌 봉건 영주 통치 지역과, 북부 당외(턴킨)의 정 봉건 영주가 레 황제를 허수아비로 내세워 통치하는 지역으로 나뉘었다. 1771년, 응우옌후에를 포함한 세 형제가 베트남 남부에서 서산 반란을 일으켜 응우옌 봉건 영주를 몰아냈다.푸쑤언(현재의 후에) 함락 후, 응우옌후우정은 응우옌후에에게 정씨 봉건 영주 타도를 권했다. 응우옌후에는 이를 받아들여 북쪽의 동경(현재의 하노이)을 함락했다. 1788년, 레 치êu 통이 레 황제로 즉위했으나, 응우옌후에는 푸쑤언으로 후퇴했다.
레 치êu 통은 왕위 회복을 위해 레 꾸잉 등을 롱저우(광서)로 보내 청나라에 지원을 요청했다. 청나라 군대가 베트남을 침공했으나, 서산 군대에 패했다. 이후 건륭제는 응우옌후에(광중제)를 베트남 통치자로 인정했다.[20]
청나라의 베트남 내정 간섭 동기는 논란거리다. 중국 학자들은 건륭제가 베트남 안정을 위해 레 황제를 복위시키려 했을 뿐, 영토 확장은 추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반면 베트남 학자들은 건륭제가 베트남을 속국화하려 했으며, 레 치êu 통을 꼭두각시 왕으로 세우려 했다고 주장한다.
3. 십전무공의 영향
준가르를 멸망시킨 것은 청나라 역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21] 1755년 준가르가 완전히 청에 병합되고, 이후 청의 지배에 맞선 알티샤 호자의 난이 진압되면서 청은 신장 서부와 북부를 지배하고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할 수 있었다. 이 정복 이후 이슬람화된 투르크 계통의 신장 남부도 완전히 청에 병합되었다.[22] 건륭제는 말년에 자신을 “십전(十全) 노인”이라는 거창한 칭호로 불렀으며, 1792년에 승리를 열거한 “십전기(十全記)”라는 글을 썼다.[15]
그러나 이 전쟁들은 청나라에 막대한 재정적 손실을 가져왔는데, 이 넘는 은(銀)이 소모되었다.[16] 대만(臺灣) 원정에는 거의 (1근 = 100냥)의 화물이 수송되었다.
전쟁의 결과는 미미했다. 진천(金川)의 부족은 3만 호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진압하는 데 5년이나 걸렸다. 버마(緬甸) 원정은 아바 왕조를 거의 전복시킬 뻔했지만, 버마를 심각하게 괴멸시키지는 못했고, 버마의 속국 지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타협했으며, 버마, 시암(暹羅), 베트남(越南)이라는 3개의 주요 국가로 이루어진 본토 동남아시아의 정치적 상황을 안정시켰다. 베트남에서 레조통(黎昭統)을 옹립하려던 원정의 목표와는 달리, 건륭제는 결국 새로운 떠이선 왕조와 화해하고, 청나라와 떠이선 왕조의 황실 간 혼인을 주선했다.
4. 십전무공에 대한 평가
건륭제는 말년에 스스로를 “십전(十全) 노인”이라 칭하고, 1792년에는 자신의 승리를 열거한 “십전기(十全記)”라는 글을 쓰기도 했다.[15] 그러나 십전무공은 청나라에 막대한 재정적 손실을 가져왔다.[16]
십전무공의 결과는 크지 않았다. 진천(金川)의 부족은 3만 호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진압하는 데 5년이나 걸렸다. 버마(緬甸) 원정은 아바 왕조를 거의 전복시킬 뻔했지만, 버마를 심각하게 괴멸시키지는 못했고, 버마의 속국 지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타협했으며, 버마, 시암(暹羅), 베트남(越南)이라는 3개의 주요 국가로 이루어진 본토 동남아시아의 정치적 상황을 안정시켰다. 베트남에서 레조통(黎昭統)을 옹립하려던 원정 목표와는 달리, 건륭제는 결국 새로운 떠이선 왕조(Tây Sơn)와 화해하고, 청나라와 떠이선 왕조의 황실 간 혼인을 주선했다.
4. 1. 긍정적 평가
건륭제는 십전무공을 통해 청나라의 군사력을 과시하고 국위를 선양했으며, 영토를 확장하고 변경을 안정시켰다. 또한, 중화 중심의 국제 질서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5]특히 준가르 정복은 청나라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755년 준가르가 청에 병합되고, 알티샤 호자의 난이 진압되면서 청은 신장 서부와 북부를 지배하고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했다. 이후 이슬람화된 투르크 계통의 신장 남부도 청에 병합되었다.[22]
4. 2. 부정적 평가
건륭제는 스스로를 “십전(十全) 노인”이라 칭하며 십전무공을 자랑했지만, 이 전쟁들은 청나라에 막대한 부담을 안겼다.[15]- 재정 악화: 1.5억위안이 넘는 은(銀)이 소모되었다.[16] 대만(臺灣) 원정에는 150만 근(斤)의 화물이 수송되었다. (1근=100냥)
- 미미한 성과: 진천(金川)의 부족은 3만 호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진압에 5년이나 걸렸다. 버마(緬甸) 원정은 버마를 완전히 굴복시키지 못하고 속국 지위를 유지하는 선에서 타협해야 했다. 베트남(越南) 원정 역시 레조통(黎昭統)을 옹립하려던 목표를 이루지 못하고, 새로운 떠이선 왕조(Tây Sơn)와 화해해야 했다.
5. 한국사와의 관계
십전무공은 조선의 대외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은 청나라의 조공국으로서 십전무공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베트남 원정은 조선의 대외 인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참조
[1]
백과사전
History > Kazakhstan to c. AD 1700
http://www.britannic[...]
1991-12-16
[2]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3]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2022-08-00
[4]
서적
From Frontier Policy to Foreign Policy: The Question of India and the Transformation of Geopolitics in Qing China
2022-08-00
[5]
웹사이트
Manchu hymn chanted at the occasion of the victory over the Jinchuan Rebels
http://www.manchustu[...]
Manchu Studies Group
2012-12-18
[6]
서적
Asian Borderlands: The Transformation of Qing China's Yunnan Frontier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Imperial Chinese Military History: 8000 BC – 1912 AD
iUniverse
[8]
서적
Burma
Hutchinson University Library
[9]
서적
History of Burma
Frank Cass & Co. Ltd.
[1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Nepalese Army
http://www.nepalarmy[...]
[11]
서적
null
2022-08-00
[12]
뉴스
Mùa Xuân Nói Chuyện Đống Đa
http://www.vietbao.c[...]
2005-02-14
[13]
서적
Quang Trung-Nguyễn Huệ
[14]
서적
Quang Trung-Nguyễn Huệ
[15]
학술지
Monarchy in the Emperor's Eyes: Image and Reality in the Ch'ien-lung Reign (Harvard East Asian, 59). By Harold L. Kah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262 pp. Appendix, Bibliography, Glossary, Index. $10.00
1972-02-00
[16]
서적
Qing Gaozong Shiquan Wugong Yanjiu
[17]
Kotobank
[18]
서적
乾隆得勝圖平定金川戰圖
http://www.zinbun.ky[...]
2012-00-00
[19]
서적
[20]
서적
[21]
웹인용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entry on Kazakhstan, page 19 of 22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1991-12-16
[22]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