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 트랜스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용 트랜스타는 쌍용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 O-404 버스를 기반으로 개발하여 1994년 출시한 대한민국형 대형 버스이다. 1991년부터 3년간의 개발 기간과 200억 원의 투자를 거쳐 출시되었으며, 벤츠의 엔진을 탑재하고 고강도 아연도금 강판, 전면 일체형 대형 유리, 리어 스포일러 등을 특징으로 했다. 1996년 부분 변경을 통해 엔진 출력을 개선하고, 요르단, 도미니카 공화국, 중국 등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으나, 1998년 쌍용자동차의 경영난으로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준고속형(11.5m급)과 고속형(12m급) 모델이 있었으며, 금호고속, 중앙고속 등에서 운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년 도입된 자동차 - 토요타 RAV4
토요타 RAV4는 1994년 첫 출시 이후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되고 있는 콤팩트 SUV로,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모델을 제공하며 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여러 차명으로 판매되고 일부는 테슬라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전기차 모델로도 출시되었다. - 1994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A8
아우디 A8은 1994년부터 생산된 아우디의 플래그십 세단으로, 알루미늄 차체 기술인 아우디 스페이스 프레임(ASF)을 적용하여 경량화와 높은 강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며 메르세데스-벤츠 S 클래스, BMW 7 시리즈 등과 경쟁한다. - KG모빌리티의 차종 - 쌍용 코란도 훼미리
쌍용 코란도 훼미리는 쌍용자동차에서 생산된 SUV 차량으로 다양한 엔진과 사양으로 출시되었으며, 4륜 구동 방식과 초기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에서 5링크 코일 스프링으로 변경된 서스펜션을 채택하고, 여러 미디어 작품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졌다. - KG모빌리티의 차종 - 쌍용 코란도 스포츠
쌍용 코란도 스포츠는 쌍용자동차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생산한 액티언 스포츠의 후속 픽업 트럭으로, 코란도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여 레저에 최적화되었으며 대한민국 픽업트럭 최초로 차체 자세 제어 장치를 기본 장착하고 유로 6 기준에 맞춰 엔진과 변속기를 변경하기도 했으나 렉스턴 스포츠 출시 후 단종되었다. - 버스 차종 - 토요타 코스터
토요타 코스터는 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버스로, 1969년 다이나 플랫폼 기반으로 출시되어 현재 4세대까지 다양한 좌석 구성과 엔진 옵션을 제공하며 대중교통, 스쿨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 버스 차종 - 히노 세레가
히노 세레가는 1990년에 출시되어 히노 자동차의 대형 버스 라인업을 잇는 모델로, 풀 모델 체인지를 통해 외관을 일신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다.
쌍용 트랜스타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이름 | 쌍용 트랜스타 |
제조사 | 쌍용자동차 |
생산 기간 | 1994년–1998년 |
대체 차량 | (정보 없음) |
차체 형태 | 단층 코치 |
문 개수 | 1개 |
제원 | |
승객 정원 | 45+1 (운전석 포함) |
길이 | 11960mm |
너비 | 2490mm |
높이 | 3450mm |
차체 무게 | 12060kg |
바닥 형태 | 스텝 입구 |
엔진 및 변속기 | |
엔진 | (정보 없음) |
출력 | (정보 없음) |
변속기 | 수동 |
관련 항목 | |
관련 차량 | 쌍용 SY 트럭 |
선행 차량 | 쌍용 에어로 버스 |
후속 차량 | C120 (예정) |
2. 역사
쌍용자동차는 동아자동차 시절부터 생산된 '코스믹 에어로'라는 별칭을 가진 HA30 / HA60의 차체를 계승한 SB33 / SB66 시리즈를 생산하였으나, 기존 버스 차종의 판매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던 중 무쏘 개발을 계기로 1991년부터 기술 제휴 관계를 맺게 된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의 O-404 버스를 대한민국형 모델로 개량하기로 결정하고 개발을 시작하였다. 3년간의 개발 기간 동안 총 2000억원의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1994년 6월 20일 신형 버스인 SB88 트랜스타를 시판하였다.[2][3]
대한민국에서 만든 버스 최초로 전면 일체형 대형 유리를 채택하였으며, 고강도 아연도금 강판을 채용하여 내식성을 높였다.[3] 또한 리어 스포일러를 기본 장착하여 고속주행 안정성을 높였으며, 스포일러에는 후방 카메라를 장착하여 후방 시야 문제를 해결하였다.
쌍용 트랜스타의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메르세데스-벤츠의 상용 차종에 탑재된 6기통 OM401LA 터보 인터쿨러 엔진과 8기통 OM442A 터보 엔진을 탑재한 트랜스타는 1996년 8월 1일 부분 변경 모델 출시와 함께 기존의 OM401LA 엔진을 OM441LA 터보 인터쿨러 엔진으로 대체하여 출력 부족 문제를 개선하였다.
1994년 10월 요르단과 도미니카 공화국에 수출한 것을 시작으로[4] 1996년 10월에는 중국에 수출하는 등[5] 현대 유니버스 이전에 대한민국에서 만든 상용차로서는 드물게 해외에 진출하여 품질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1998년 쌍용의 경영난으로 인해 쌍용자동차는 대우그룹에 인수되었으며, 자일대우버스 차종과의 투자 중복 및 경쟁력 취약의 원인으로 트랜스타는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이에 따라 쌍용자동차는 대형 버스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하였다. 결국 2000년 쌍용자동차의 버스 생산 라인은 모두 중국 업체로 매각되었다.
3. 특징
초기에는 메르세데스-벤츠의 OM401LA 엔진과 OM442A 엔진을 탑재하였으나 OM401LA 엔진은 출력 부족 문제가 제기되어 부분 변경과 함께 OM441LA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트랜스타의 엔진은 독일 다임러-벤츠가 설계한 100만 km 무보링 엔진으로서 발매 당시 대한민국에서 만든 버스 중 가장 높은 출력인 340마력을 내었으며,[6] 기본적으로 벤츠의 보조 브레이크인 COTV(COnstant Throttle Valve)를 장착하여 내리막길에서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였다.
1군 고속버스 회사 중에서는 금호고속과 중앙고속에서 운용한 적이 있었다.
4. 라인업
모델명 | 엔진 | 비고 |
---|---|---|
SB85S | OM401LA / OM441LA | |
SB85P | OM441LA | 1996년부터 시판 |
- 고속형(12m급)
- SB88H (H): OM441LA, OM442A 엔진, 일반 고속용
- SB88V (V): OM441LA, OM442A 엔진, 우등 고속용
4. 1. 준고속형(11.5m급)
모델명 | 엔진 | 비고 |
---|---|---|
SB85S | OM401LA / OM441LA | |
SB85P | OM441LA | 1996년부터 시판 |
4. 2. 고속형(12m급)
- H (SB88H): OM441LA, OM442A 엔진, 일반 고속용
- V (SB88V): OM441LA, OM442A 엔진, 우등 고속용
5. 경쟁 차종
참조
[1]
웹아카이브
Автобус Ssangyong Transstar
http://sibline21.ru/[...]
2011-08-27
[2]
웹사이트
Ssangyong Motors
http://www.smotor.co[...]
2009-08-19
[3]
뉴스
新型버스「트랜스타」개발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94-06-19
[4]
뉴스
쌍용自 버스수출 선적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4-10-13
[5]
뉴스
쌍용自 「트랜스타」中수출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96-10-29
[6]
문서
쌍용 트랜스타 엔진 디튠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