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우 BH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우 BH는 후부 엔진, 후륜 구동 방식을 사용하는 고급형 버스 차량으로, 11.5m급에서 12m급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다. BH090 로얄 스타, BH113 로얄 에이스, BH115, BH116 로얄 럭셔리, BH117H 로얄 크루스타, BH119H 로얄 스페셜, BH120 등 여러 세부 종류가 있으며, 두산인프라코어 엔진을 주로 사용하고 커민스 엔진이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기도 했다. 경쟁 차종으로는 현대 유니버스, 현대 에어로, 기아 그랜버드가 있으며, 상급 차종으로는 자일대우 BX와 자일대우 FX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맥시마
    닛산 맥시마는 1981년 미국 시장에 처음 출시되어 닛산 블루버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후륜구동에서 전륜구동으로 변경되었고, 2000년대 이후 성능을 강화했으나, 2020년 한국 시장 철수와 함께 판매가 종료되었다.
  • 1981년 도입된 자동차 - 혼다 시티
    혼다 시티는 1981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를 거치며 다양한 시장에서 판매된 혼다의 소형차로, 초기에는 "톨보이" 디자인으로 인기를 끌었으며, 현재는 세단과 해치백, 하이브리드 모델로 판매되고 있다.
  • 자일대우버스의 차종 - 자일대우 레스타
    자일대우 레스타는 자일대우버스가 현대 카운티의 경쟁 모델로 2012년 출시한 17~25인승급 소형 버스로, 학원, 교회, 마을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판매되었으나 2024년 판매 중단으로 단종되었다.
  • 자일대우버스의 차종 - 자일대우 BX
    자일대우 BX는 자일대우버스에서 생산한 후부 엔진-후륜구동 방식의 최고급 버스로, 2004년 BX212 로얄 하이데커를 시작으로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거쳐 다양한 파워트레인 옵션을 제공했으며, 초기 문제점 개선을 통해 일부 노선버스 업체에서도 운행되었고, 2020년 이후 베트남에서 생산되어 수입될 예정이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르망
    대우 르망은 1986년 출시되어 독일 오펠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국GM에서 생산된 소형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디지털 계기판과 공기역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모델 변형을 거쳐 해외에서도 판매되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누비라
    대우 누비라는 1997년 출시되어 세단, 스테이션 왜건, 해치백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이탈리아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었고, 2002년 후속 모델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대우 BH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자동차 정보
이름자일대우버스 BH
차종중형/대형 버스
제조사자일자동차
조립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베트남
후속 차량자일대우 BX
자일대우 FX
관련 차량새한 BL

2. 특징

전형적인 후부엔진 - 후륜구동(RR) 방식을 사용하는 고급형 차량이다. 기본적으로 11.5m급에서 12m급까지, 스탠더드 데크 차량부터 하이데크 차량까지 출시되었다. 11.6m 모델은 기본적으로 310마력 직렬 6기통 엔진을, 12m급 모델은 340마력 이상의 V형 6기통 혹은 V형 8기통 엔진을 얹었다. 엔진은 두산인프라코어의 제품을 쓰지만 400마력 이상의 엔진을 사용하는 BH 120F 모델은 커민스사의 엔진이 선택 사양으로 제공된다. 변속기는 다이모스, 통일중공업의 수동 기어나 앨리슨 · ZF의 반자동 혹은 자동 기어까지 다양하게 장착할 수 있다. 서스펜션은 차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시트, 갱웨이, 편의 장치 등은 선택 사양으로 되어 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BH 115E·116·117H·119H·120F 각 모델의 후기형(로얄 II)이 생산되었다.

3. 세부 종류

대우 BH는 후부엔진 - 후륜구동(RR) 방식의 고급형 차량으로, 11.5m급부터 12m급까지, 스탠더드 데크부터 하이데크까지 다양한 모델이 있다. 11.6m 모델은 310마력 직렬 6기통 엔진을, 12m급 모델은 340마력 이상 V형 6기통 또는 V형 8기통 엔진을 탑재했다. 두산인프라코어 엔진을 주로 사용하지만, 400마력 이상 엔진을 사용하는 BH120F 모델은 커민스 엔진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한다. 변속기는 다이모스, 통일중공업의 수동 변속기나 앨리슨, ZF의 반자동 또는 자동 변속기를 장착할 수 있다. 서스펜션, 시트, 갱웨이, 편의 장치 등은 차종에 따라 다르며 선택 사양이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BH115E, BH116, BH117H, BH119H, BH120F 각 모델의 후기형(로얄 II)이 생산되었다.

3. 1. BH090 로얄 스타 (2002년 ~ 2023년)

BH090 로얄 스타


2000년 대우 BM090 로얄미디의 고급형 모델로, 국내에서 유일한 9m급 미디엄 고급 버스 모델이다. 도시형 모델은 BS090 로얄미디로 분리되었다. 출시 당시에는 DE08Tis 엔진을 장착하였으나, 2004년 유로3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DL08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2008년에는 유로4 환경규제에 대응하여 DL06 엔진을 기본으로 하고, DL08 엔진을 선택 사양으로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가격표 개정에도 DL06K 엔진을 기본으로, DL08K 엔진을 선택 사양으로 유지하였다. 2015년부터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유로6 엔진 개발을 중단함에 따라 커민스 ISBe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NEW BS 차종과 동일한 계기판으로 변경되었다. 다른 BH 차종과 달리 로얄스타II로 페이스리프트(F/L)되거나 자일대우 FX로 풀체인지되지 않고, 출시 당시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며 생산되었다. 2020년 6월부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실적 악화 등의 문제로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었으나, 이후 베트남에서 생산하여 국토교통부 인증을 통과하면 국내 판매를 재개할 예정이며, 비상구도 추가될 예정이었다. 2023년에 단종되었다.

3. 2. BH113 로얄 에이스 (1994년 ~ 1999년)

BH113 로얄 에이스는 BV113의 페이스리프트 대체 모델로, 1994년 7월부터 1999년 BH115E 로얄 이코노미가 출시될 때까지 생산된 11.3m급 최하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처음부터 전문 유리창에 각진 모서리를 적용했다. 엔진은 초기형에는 D2366 엔진을 탑재했으나, 1995년 말부터 DE12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판 스프링 서스펜션을 사용했으며, 다른 BH 시리즈와 달리 후기형 BV113과 같은 BS 계열의 차체를 사용했다. 리어램프는 BV113Q 두 번째 모델(페이스리프트)의 것과 동일하다. 총 1,782량이 생산되었다.

3. 3. BH115 (1984년 ~ 2007년)

BH115는 전형적인 후부엔진 - 후륜구동(RR) 방식을 사용하는 고급형 차량이다. 기본적으로 11.5m급에서 12m급까지, 스탠더드 데크 차량부터 하이데크 차량까지 출시되었다. 11.6m 모델은 기본적으로 310마력 직렬 6기통 엔진을, 12m급 모델은 340마력 이상의 V형 6기통 혹은 V형 8기통 엔진을 얹었다. 엔진은 두산인프라코어의 제품을 사용하지만, 400마력 이상의 엔진을 사용하는 BH120F 모델은 커민스사의 엔진이 옵션으로 제공된다. 미션은 다이모스, 통일중공업의 수동 기어나 앨리슨 · ZF의 반자동 혹은 자동 기어까지 다양하게 장착할 수 있다. 서스펜션은 차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시트, 갱웨이, 편의 장치 등은 선택 사양으로 되어 있다.

3. 4. BH116 로얄 럭셔리 (1997년 ~ 2009년)

1997년 3월부터 BH115H 로얄 익스프레스의 대체 모델로 생산된 11.6m급 스탠더드 데크 표준 모델이다. 2007년부터 '''BH116 로얄 럭셔리 Ⅱ'''로 판매되었으며, 2008년에는 후속 모델인 FX116 크루징 애로우가 등장했음에도 앞면을 페이스리프트한 일명 '''팬더곰''' 모델이 2009년 12월까지 연장 생산되었다.[2] 2003년부터는 광역 직행버스 용도로 압축 천연가스(CNG) 엔진(GE12TI)을 얹은 모델도 출시되었다.[2] BH115처럼 다양한 용도로 많이 생산되어, 많은 여객 운송사들이 이 차량을 도입하였다.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하였으며, 차량 외형은 BH115E 로얄 이코노미와 매우 유사하여 후면의 리어 램프[3]나 리어 가니쉬[4]로 구별이 가능하다. 2009년에 후속 없이 단종되었다.

BH116 로얄 럭셔리


BH116 로얄 럭셔리 II F/L

3. 5. BH117H 로얄 크루스타 (1995년 ~ 2007년)

1995년 10월에 출시된 11.7m급 준고상형(스탠더드 데크와 하이데크의 중간 높이, 세미 하이데크) 모델이다. 이 모델은 이후 출시된 BH115E 로얄 이코노미, BH116 로얄 럭셔리, BH119 로얄 스페셜의 베이스가 되었다.[5] BH120F 로얄크루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였다. 테일 램프와 리어 가니쉬 디자인 등으로 다른 모델과 구분된다. 2006년 4월부터 '''BH117H 로얄 크루스타Ⅱ'''로 페이스리프트해서 판매하다가, 일명 '''팬더곰'''이라고 불렸고, 2007년 12월 후속 없이 단종되었다. 현재 코리아와이드경북과 태화상운에서 로얄 스페셜과 함께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BH117H 로얄 크루스타


총 480량이다.

3. 6. BH119H 로얄 스페셜 (2003년 ~ 2007년)

2003년 대우버스 출범 이후 출시한 12미터급 준고상형 모델이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생산되었기 때문에 그 수는 많지 않다. 초기 모델은 DE12Tis (360마력) 엔진을 얹었으나, 2004년 후반부터 유로3 기준이 적용된 커먼레일 엔진인 DV11 (360마력) 엔진을 얹었다. 2006년 4월부터 '''BH119H 로얄 스페셜Ⅱ'''로 페이스리프트해서 판매하다가 이는 일명 '''팬더곰'''이라고 불렸고, 후속인 '''FX120 크루징스타'''의 등장으로 2007년 12월에 단종되었다. 현재 이 차종을 운행하는 회사는 코리아와이드경북, 삼흥고속, 강원여객, 태화상운이다.[1]

3. 7. BH120 (1981년 ~ 2009년)

BH120은 전형적인 후부엔진 - 후륜구동(RR) 방식을 사용하는 고급형 차량으로, 11.5m급에서 12m급까지, 스탠더드 데크 차량부터 하이데크 차량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다. 11.6m 모델은 기본적으로 310마력 직렬 6기통 엔진을 장착했고, 12m급 모델은 340마력 이상의 V형 6기통 혹은 V형 8기통 엔진을 얹었다. 엔진은 두산인프라코어 제품을 사용하지만, 400마력 이상의 엔진을 사용하는 BH120F 모델은 커민스 엔진이 옵션으로 제공된다. 미션은 다이모스, 통일중공업의 수동 기어나 앨리슨, ZF의 반자동 혹은 자동 기어까지 다양하게 장착할 수 있다. 서스펜션은 차종에 따라 다르며, 시트, 갱웨이, 편의 장치 등은 선택 사양이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BH115E, BH116, BH117H, BH119H, BH120F 각 모델의 후기형(로얄 II)이 생산되었다.

4. 경쟁 차종

5. 상급 차종

대우 BH는 후부엔진-후륜구동(RR) 방식을 사용하는 고급형 차량이다. 11.5m급에서 12m급까지, 스탠더드 데크 차량부터 하이데크 차량까지 다양한 모델이 있다. 11.6m 모델은 310마력 직렬 6기통 엔진을, 12m급 모델은 340마력 이상의 V형 6기통 혹은 V형 8기통 엔진을 사용한다. 두산인프라코어 엔진을 사용하며, 400마력 이상의 엔진을 사용하는 BH 120F 모델은 커민스 엔진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미션은 다이모스, 통일중공업의 수동 기어나 앨리슨 · ZF의 반자동 혹은 자동 기어를 장착할 수 있다. 서스펜션은 차종에 따라 다르며, 시트, 갱웨이, 편의 장치 등은 선택 사양이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BH 115E·116·117H·119H·120F 각 모델의 후기형(로얄 II)이 생산되었다.

참조

[1] 문서 BV113Q 역시 페이스리프트되고 나서 준고속 이미지를 상실한 계기가 됨.
[2] 문서 남성교통에서 이 차량을 전국 최초로 4대를 출고하였다. 이후 2014년~2015년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2014년에 자일대우 FX| FX Ⅱ116 크루징 애로우로 3대가 먼저 교체되었으며, 남은 1대는 2015년에 현대 유니버스로 교체되었다.
[3] 문서 전기형 모델에 한해서이며, 전기형 모델은 BH115E 로얄 이코노미와 달리 세로 배열의 리어 범퍼 일체형 리어 램프
[4] 문서 세로 배열 리어 램프인 중기형 모델부터 해당하며 가니쉬가 있으면 BH116 로얄 럭셔리, 가니쉬가 없으면 BH115E 로얄 이코노미이다.
[5] 뉴스 대우自(자) 고급관광버스 시판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95-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