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시마 해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시마 해협은 쓰시마 섬을 기준으로 대한해협(서수도)과 쓰시마 해협(동수도)으로 나뉘며, 폭 약 200km, 평균 수심 약 90~100m이다. 따뜻한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통과하며, 풍부한 어류 자원을 동해로 가져오지만, 노무라입깃해파리 대량 발생 및 쓰레기 유입과 같은 문제점도 발생한다. 역사적으로 한반도와 일본 간 교역로, 이주 및 침략 경로로 사용되었으며, 러일 전쟁의 쓰시마 해전이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현재는 군사적 요충지로 중요성이 증대되었으며, 일본은 핵무기 탑재 미군 함정의 자유로운 통행을 위해 영해를 3해리로 좁혔다. 쓰시마 해협 명칭은 주변 국가 간에 혼선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잔재로 간주하여 대한해협 명칭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중국해의 수역 - 남해
남해는 대한민국 정부 기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는 해역이며,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기상청 등 기관별로 경계 설정이 달라 부산 해운대구와 남구 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 동중국해의 수역 - 대한해협
대한해협은 한반도 남부와 일본 규슈 사이에 위치하여 동중국해와 일본해를 잇는 국제 해협으로, 쓰시마섬을 경계로 서수로와 동수로로 나뉘며, 쓰시마 난류가 지나가는 풍부한 어장이자 해상 교통로로서 한일 간 교류와 갈등의 중심지이며, 명칭 문제와 영토 분쟁으로 외교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 일본의 해협 - 대한해협
대한해협은 한반도 남부와 일본 규슈 사이에 위치하여 동중국해와 일본해를 잇는 국제 해협으로, 쓰시마섬을 경계로 서수로와 동수로로 나뉘며, 쓰시마 난류가 지나가는 풍부한 어장이자 해상 교통로로서 한일 간 교류와 갈등의 중심지이며, 명칭 문제와 영토 분쟁으로 외교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 일본의 해협 - 간몬 해협
간몬 해협은 혼슈와 규슈 사이에 위치하며, 과거 육지였으나 해수면 상승으로 형성되었고, 단노우라 전투와 시모노세키 조약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해상 및 육상 교통의 요충지이자 관광 명소이다. - 대한해협 - 쓰시마섬
쓰시마섬은 나가사키현에 위치하며 한국과 가까운 섬으로, 험준한 산지와 리아스식 해안을 지니고 인공 수로로 나뉘어 관리되며, 다양한 동식물과 멸종위기종의 서식지이자 한반도와 일본을 잇는 교통로이자 교류 중심지로서 복잡한 역사를 가진 섬이다. - 대한해협 - 겐카이나다
겐카이나다는 규슈 북부와 한반도 남부 사이에 위치한 해역으로, 쓰시마 난류의 영향으로 풍부한 어족 자원을 가지고 어업이 활발하며, 러일전쟁의 쓰시마 해전이 벌어진 곳으로 알려져 있다.
쓰시마 해협 | |
---|---|
개요 | |
위치 |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 |
설명 | 대한해협의 동쪽 수로이며, 쓰시마섬을 기준으로 동쪽 |
관련 명칭 | 대한해협 현해탄 쓰시마 해협 (일본) |
지리 | |
수심 | 90m (300피트) |
특징 | 쓰시마섬에 의해 양분됨 |
위치 정보 | 쓰시마 해협의 동쪽 수로 쓰시마섬 동쪽 |
해양 경계 | |
경계 설정 | 3해리 ~ 12해리 사이 (국제 해협) |
관련 해협 | 소야 해협 (라 페루즈 해협) 쓰가루 해협 오스미 해협 대한해협 동쪽 및 서쪽 수로 |
2. 지리
쓰시마 해협은 쓰시마 섬을 따라 약 100킬로미터에 걸쳐 뻗어 있으며, 가장 좁은 곳의 너비는 약 65킬로미터이다. 깊이는 약 140m이며, 서쪽에서 북쪽(고토 열도)까지 쓰시마 섬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인근의 이키 섬은 가미노 섬 남쪽 끝에서 규슈 방향으로 약 50킬로미터 떨어진 해협에 위치해 있다.
해협의 전체 폭은 약 200km, 평균 수심은 약 90~100m이다. 해협에는 비교적 큰 섬으로 쓰시마와 이키가 있다.
쓰시마 섬을 경계로 크게 두 개의 해협으로 나뉜다. 일본에서는 쓰시마 섬과 한반도 사이를 "대한해협", 해협 전체 및 쓰시마 섬과 이키 섬 사이를 "쓰시마 해협"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해상보안청 해양정보부가 발행하는 해도에서는 쓰시마 섬과 한반도 사이의 해협을 "쓰시마 해협 서수도", 쓰시마 섬과 이키 섬 사이를 "쓰시마 해협 동수도"로 하고 있다.
장마 말기가 되면 전선이 정체되기 쉬워 규슈 북부를 중심으로 호우가 발생한다.
2. 1. 해류 및 해양 환경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쓰시마 해협을 통과한다. 이 해류는 일본 열도에서 시작되어 동해를 지나 홋카이도 남쪽의 쓰가루 해협을 통해 북태평양으로 흘러간다. 또 다른 지류는 훨씬 북쪽으로 계속 흘러 사할린 섬의 양쪽 해안을 따라 갈라진다. 결국 홋카이도 북쪽의 라페루즈 해협과 블라디보스토크 근처의 타타르 해협을 통해 오호츠크 해로 흘러 들어간다.쿠로시오 해류는 방어, 전갱이와 같은 풍부한 어류 자원을 동중국해에서 동해로 가져오지만, 최근에는 거대한 노무라입깃해파리의 대량 발생 및 해류 경로를 따라 위치한 국가들로부터의 쓰레기와 같은 재앙을 초래하기도 한다.
3. 역사
쓰시마 해협은 고대부터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이의 교류와 분쟁의 통로였다. 조몬 시대부터 한반도 및 중국 대륙으로부터 사람들이 이주해 왔다. 5세기경 불교와 한자가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전래되었다.[3] 663년 백강 전투에서 백제와 왜 연합군이 당나라와 신라 연합군에 패배하였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는 왜구의 침입이 잦았다. 1274년과 1281년 몽골의 일본 원정이 있었으나 실패로 끝났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침략 경로이기도 했다.
1905년 러일 전쟁의 쓰시마 해전(대한해협 해전)에서 일본 연합함대가 러시아 발트 함대를 격파하였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기에는 미국과 소련 간 군사적 대립의 요충지였다.
3. 1. 한국과의 관계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쓰시마 해협은 한반도와 일본 사이의 주요 교역로였다. 역사적으로 이 해협은 한반도 남쪽 끝에서 쓰시마 섬, 이키 섬을 거쳐 혼슈 서쪽 끝까지 이어지는, 한반도와 일본 국가 간 교역을 위한 위험한 항해 통로 역할을 했다.[3]이 해협은 양방향으로 이주 또는 침략 경로로도 사용되었다. 몽골의 일본 침략은 이 바다를 건너 쓰시마 섬을 유린했다. 16세기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 해협을 통해 한반도를 경유하여 중국을 정복하려 했다.[3]
660년, 당나라와 신라가 연합하여 백제를 침공했을 때, 백제의 구원 요청을 받은 왜국은 한반도에 원군을 보냈지만, 663년 백강 전투에서 패배했다. 당나라·신라 연합군에게 일본 본토를 침략당하지 않도록, 쓰시마에 방인과 봉화를 설치하여 침략에 대비했다.
1905년 러일 전쟁에서는 동 해협에서 쓰시마 해전(대한해협 해전)이 벌어졌고, 대일본 제국 해군의 연합함대가 러시아 해군의 발트 함대에 승리하여 러일 전쟁의 승패를 결정지었다. 세계적으로는 쓰시마 해전(Battle of Tsushima)이라고 불린다.[3]
태평양 전쟁 종결 후, 미국과 소련이 대립하는 냉전에 돌입하자, 동 해협은 갑자기 군사상의 요충지로서 중요성이 증대되었고, 소련(현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함정이 자주 모습을 드러냈다.
4. 정치지리
쓰시마 해협은 역사적으로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이의 교류 및 분쟁의 통로였다. 고대에는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문물이 전파되는 경로였으며, 중세에는 몽골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침략 경로로 이용되기도 했다. 러일 전쟁 당시에는 쓰시마 해전이 벌어진 장소이기도 하다.[3]
현대에 들어 쓰시마 해협은 영해 및 해상 경계 설정과 관련하여 한일 양국 간 미묘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일본은 해협의 일부를 특정 해역으로 지정하여 영해 폭을 3해리로 좁히고, 외국 군함의 자유 통행을 허용하고 있다.[5][6] 이는 핵무기를 탑재한 미국 해군 함정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4. 1. 명칭 문제
쓰시마 해협은 주변 국가(한국, 일본, 북한 등)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에 혼선이 있다.구분 | 전체 | 한반도-쓰시마 | 쓰시마-이키/규슈 |
---|---|---|---|
일본 | 쓰시마 해협[7] | 쓰시마 해협 서수도 | 쓰시마 해협 동수도 |
일본 관용 명칭 | 조선 해협 | 쓰시마 해협 | |
국제 통용 명칭 (영어) | Korea Strait | Korea Strait Western Channel | Korea Strait Eastern Channel/Tsushima Strait |
한국 | 대한해협[7] | 부산해협 | 쓰시마 해협 |
북한 | 조선 해협 | ||
중국 | 조선 해협, 쓰시마 해협[7] | 조선 해협, 부산 해협 | 쓰시마 해협 |
영어로는 Korea Strait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일본 관련 자료, 특히 쓰시마 해전 관련 자료나 학술 논문 등에서는 Tsushima Strait 또는 Tsushima Strait/Korea로 병기되기도 한다.[8][9][10][11] 일본의 고지도에서는 쓰시마 해협[12]으로 표기된 것이 많으며, 고려 해협으로 표기된 것도 있다.[13]
4. 1. 1. 명칭 논란
한국에서는 대한해협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쓰시마 해협'''이라는 명칭은 일제강점기의 잔재로 간주되어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7]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독도 표기 문제와 마찬가지로 대한해협 명칭 사용을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있다.5. 교통
부산과 일본 혼슈 서쪽 끝의 시모노세키를 잇는 상업용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4] 시모노세키와 쓰시마 섬 사이에도 여객선이 운항된다.[4] 기타큐슈 (규슈)와 시모노세키 (혼슈)는 간몬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다리는 두 도시를 나가사키와 연결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Korea Strait
https://www.britanni[...]
2018-04-03
[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Japan - Geography
https://www.cia.gov/[...]
2018-02-13
[3]
서적
Decisive Battles that Shaped the World
Parragon
[4]
서적
Prehistoric Japan: New Perspectives on Insular East Asia
University College London
1996
[5]
뉴스
Japan left key straits open for U.S. nukes
http://search.japant[...]
Japan Times
2009-06-22
[6]
간행물
Enforcement Order of the Law on the Territorial Sea and the Contiguous Zone (Cabinet Order No. 210 of 1977, as amended by Cabinet Order No. 383 of 1993, Cabinet Order No. 206 of 1996 and Cabinet Order No. 434 of 2001)
https://www.un.org/D[...]
2008-03-13
[7]
논문
「日本海」呼称の起源と現状
https://doi.org/10.4[...]
日本地理学会
2010
[8]
웹사이트
Japan Maritime claims territorial sea
https://www.cia.gov/[...]
[9]
웹사이트
Tsushima Strait
https://scholar.goog[...]
[10]
간행물
フランス海軍海洋情報部刊行の海図目録-「日本海」単独標記に-
https://www.kaiho.ml[...]
海上保安庁
2004-07-13
[11]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russojapa[...]
2013-08-16
[12]
웹사이트
新鐫万国航海図
http://www.lib.kobe-[...]
神戸大学附属図書館住田文庫
1862
[13]
웹사이트
「亜細亜東部輿地図」
http://www.pref.shim[...]
陸軍参謀局
1875
[14]
뉴스
'대한해협' 아래 '쓰시마해협' 병기한 세계지도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4-12-06
[15]
뉴스
내셔널지오그래픽 東海 표기 우왕좌왕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8-05-04
[16]
웹사이트
S-23 Limits of Oceans and Seas
http://www.iho-ohi.n[...]
1953
[17]
뉴스
남해와 주변섬을 일본해로 표기했던 미국 야후, 왜곡 시정
http://prkorea.com/n[...]
VANK News
2006-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