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랑은 님 웨일스가 인터뷰한 자료를 바탕으로 집필한 책으로, 김산의 삶을 다루고 있다. 1941년 필리핀에서 집필을 마치고 미국에서 처음 출판되었으며, 1953년 일본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 언급에 대한 금기로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다가, 1984년 한국어판으로 번역되어 정식 출판되었다. 1980년대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 시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여러 차례 재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님 웨일스 - 김산
김산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독립운동가이자 중국 혁명가로,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항일 운동과 사회주의 혁명에 헌신했으나 트로츠키주의자로 몰려 숙청당한 후 복권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을 받았다. - 한국의 사회주의 - 연안파
연안파는 김두봉, 최창익, 김무정 등을 중심으로 중국 옌안에서 항일 투쟁을 한 조선인 공산주의자 그룹으로,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했으나 김일성 세력과의 노선 갈등으로 1956년 숙청되었다. - 1941년 책 - 자유로부터의 도피
에리히 프롬의 심리학 서적 "자유로부터의 도피"는 개인이 자유 획득 후 불안과 고독에서 벗어나고자 권위주의, 파괴성, 자동인간적 순응과 같은 심리적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과정을 분석하며,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를 구분하고 나치즘 흥행의 심리적 원인을 설명하며 자유의 긍정적 측면 극대화를 강조한다. - 1941년 책 - 검은 형제들
리자 테츠너의 소설 "검은 형제들"은 스위스 소년 조르지오가 밀라노에서 굴뚝 청소부로 고생하며 '검은 형제들' 공동체를 통해 역경을 이겨내는 이야기로, 아동 노동과 사회적 불평등 등의 주제를 다루고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었다.
아리랑 (책)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저자 | 헬렌 포스터 스노우 |
ISBN | 0-87867-022-X |
출판일 | 1941년 |
원제 | |
영어 | Song of Ariran |
중국어 | 我離郎之歌 (Wǒ lí láng zhī gē) |
한국어 | 아리랑 |
인물 | |
장지락 (필명: 김산) | 김산(Jang Jirak, Gim San) |
2. 출간
님 웨일스는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1941년 미국에서 《아리랑의 노래》를 출간했다. 이 책은 1953년 일본에서도 번역 출판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을 언급하는 것에 대한 금기로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으나, 일본과 미국의 유학생들이 들여온 원본과 번역본이 운동권 인사들에게 널리 읽혔다. 1984년에는 한국어판이 정식 출판되었다.
2. 1. 해외 출간
님 웨일즈는 인터뷰한 자료를 가지고 중국을 떠나 1941년 필리핀에서 글쓰기를 모두 마쳤다. 그의 글은 미국에서 출판되었고, 이후 1953년에 일본에서도 번역 출판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을 언급하는 것에 대한 금기로 오랫동안 이 책이 알려지지 못했다. 그러나 일본과 미국의 유학생들에 의해 원본과 번역본이 밀반입되어 운동권 인사들에게 널리 읽혀졌다.2. 2. 대한민국 출간
대한민국에서는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 언급에 대한 금기로 오랫동안 이 책이 알려지지 못했다. 그러나 일본과 미국의 유학생들에 의해 원본과 번역본이 밀반입되어 운동권 인사들에게 널리 읽혀졌으며, 1984년 마침내 한국어판으로 번역되어 정식으로 출판되었다. 김산의 본명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었으나 김일성 북한 주석이 자신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서 "장지락"으로 언급하면서 밝혀졌다.3. 영향
1984년 이 책의 한국어 번역본이 대한민국에서 출판되었다.[2] 당시 대한민국은 군사 쿠데타와 광주 학살로 인해 민주주의 사회 운동이 격화되었다. 대학생과 노동 운동 활동가를 포함한 사회 운동가들은 이 책을 비롯한 여러 책과 팸플릿을 읽고 깊은 영향을 받아 급진화되었는데, 이 책의 한국어 번역본은 그중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2]
3. 1. 1980년대 민주화 운동
1979년 12·12 군사 반란과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사회 운동이 격화되었다.[2] 대학생과 노동 운동 활동가를 포함한 사회 운동가들은 이 책을 읽고 깊은 영향을 받아 급진화되었으며, 이 책의 한국어 번역본은 1980년대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핵심적인 텍스트 중 하나였다.[2]3. 2. 지속적인 영향
한국어 번역본은 같은 출판사에서 1993년과 2000년에 페이퍼백 신판으로, 2005년에는 하드커버 신판으로 출판되었으며, 2010년대에도 한국 독자들에게 읽히며 영감을 주고 있다.[3]4. 관련 도서
참조
[1]
서적
Song of Ariran: a Korean Communist in the Chinese Revolution
Ramparts Press
[2]
서적
아리랑
동녘
[3]
서적
아리랑: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불꽃 같은 삶
동녘
[4]
서적
Song of Ariran: a Korean Communist in the Chinese Revolution
Ramparts Press
[5]
서적
아리랑
동녘
[6]
서적
아리랑: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불꽃 같은 삶
동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