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미오다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오다론은 다양한 유형의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 특히 심방 및 심실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생명을 위협하는 급성 부정맥 치료와 장기적인 억제 모두에 사용되며, 정제와 주사제 형태로 제공된다. 아미오다론은 심실 세동, 심실 빈맥, 심방 세동 등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으나, 폐, 갑상선, 눈, 간 등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약물은 여러 약물과의 상호 작용을 보이며,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 특정 심장 질환자에게는 금기이다. 아미오다론은 196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1985년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 한국에서는 정제는 독약, 주사제는 극약으로 지정되어 관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아릴케톤 - 랄록시펜
    랄록시펜은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 및 유방암 위험 감소에 사용되는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로, 뼈와 간에서는 에스트로겐 활성을, 유방과 자궁에서는 항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낸다.
  • 다이아릴케톤 - 플루벤다졸
    플루벤다졸은 인체와 동물의 기생충 감염 치료에 쓰이는 구충제로, 사람에게는 플루버말, 수의 분야에서는 플루텔미움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지만, 약용 모래 형태로 사용될 경우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다.
  • 칼륨 통로 차단제 - 아토목세틴
    아토목세틴은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가 개발한 ADHD 치료제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하여 ADHD 증상을 완화시키며, 메틸페니데이트와 유사한 효능을 보이지만 틱이나 뚜렛 장애 환자에게도 사용 가능하고, 복통, 식욕 부진, 자살 관련 행동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칼륨 통로 차단제 - 글리메피리드
    글리메피리드는 제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설포닐우레아 계열의 경구용 혈당 강하제로, 췌장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낮추며, 저혈당 등의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하고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
아미오다론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개요
발음IPA(en): ˌæmiˈoʊdəroʊn
IPA(en): əˈmiːoʊdəˌroʊn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1951-25-3
PubChem2157
IUPHAR 리간드2566
DrugBankDB01118
ChemSpider ID2072
UNIIN3RQ532IUT
KEGGD02910
ChEBI2663
ChEMBL633
화학 및 물리 정보
아미오다론 구조
아미오다론 구조
아미오다론 염산염 결정 구조
아미오다론 염산염 결정 구조
IUPAC 이름(2-{4-[(2-뷰틸-1-벤조푸란-3-일)카르보닐]-2,6-다이아이오도페녹시}에틸)다이에틸아민
분자식C25H29I2NO3
SMILESCCN(CC)CCOc1c(I)cc(cc1I)C(=O)c2c3ccccc3oc2CCCC
StdInChI1S/C25H29I2NO3/c1-4-7-11-22-23(18-10-8-9-12-21(18)31-22)24(29)17-15-19(26)25(20(27)16-17)30-14-13-28(5-2)6-3/h8-10,12,15-16H,4-7,11,13-14H2,1-3H3
StdInChIKeyIYIKLHRQXLHMJQ-UHFFFAOYSA-N
약리학 정보
투여 경로경구
정맥
골내
생체이용률20–55%
단백질 결합96%
대사
제거 반감기58일 (범위: 15–142일)
배설주로 간 및 쓸개즙
법적 규제
AUS4
CARx-only
USRx-only
US 설명""
""
""
임신 정보
AUC

2. 의학적 사용

아미오다론은 심방 부정맥(상심실성 부정맥) 및 심실 부정맥 등 다양한 유형의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13] 심방 부정맥은 심장의 위쪽 방인 심방에서 시작되는 부정맥을 말하며, 심방 세동, 심방 조동 등이 이에 속한다.[14] 심실 부정맥은 심장의 아래쪽 방인 심실에서 시작되는 부정맥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14]

아미오다론은 심실 세동, 심실 빈맥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으며,[13] 특히 안정적인 심실 빈맥 또는 불안정한 심실 세동을 포함한 쇼크 저항성 심실 부정맥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15]

아미오다론 정제는 생명에 위험이 있는 재발성 부정맥으로 다른 항부정맥제가 효과가 없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심실 세동, 심실 빈맥, 심부전 또는 비대성 심근증에 따른 심방 세동 등)에 사용되며,[103] 주사제는 생명에 위험이 있는 심실 세동 또는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심실 빈맥으로,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 사용된다.[104]

2. 1. 심정지

제세동은 심실 세동 및 무맥성 심실 빈맥으로 인한 심정지 치료에 사용된다. 쇼크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아미오다론을 사용할 수 있지만, 효과에 대한 증거는 미미하다.[4] 아미오다론은 병원 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지만,[17] 일부 연구에서는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게 아미오다론을 조기에 투여하면 생존율이 향상되고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다고 제안한다.[18][19]

2. 2. 심실 빈맥

아미오다론은 특정 상황에서 심실 빈맥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20]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심실 빈맥 환자는 처음부터 아미오다론을 투여해서는 ''안 되며'', 전기 심율동 전환술을 받아야 한다.

아미오다론은 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심실 빈맥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의 기저 심장 기능 및 심실 빈맥 유형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단일 형태 심실 빈맥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있지만, 다형성 심실 빈맥 환자에게는 금기인데, 이는 항부정맥 약물로 악화될 수 있는 연장된 QT 간격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21]

2. 3. 심방 세동

개심술을 받은 환자는 시술 후 며칠 동안 심방 세동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한다.[13][22][23] ARCH 임상 시험에서 정맥 주사 아미오다론(2일 동안 2g 투여)은 위약과 비교했을 때 개심술 후 심방 세동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4][25] 그러나 임상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효능을 입증하는 데 실패했으며 폐 독성과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이 나타났다. 아미오다론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심방 세동에 대한 승인을 받지 않았지만, 동등하게 효과적인 치료 대안이 부족하여 오프 라벨로 흔히 처방되는 치료법이다.[26][27]

2003년 북미 심박 조율 및 전기 생리학회(NASPE)가 정의한 소위 '급성 발병 심방 세동'은 아미오다론의 단기 치료에 잘 반응한다.[26][28] 이는 17건의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입증되었으며, 이 중 5건은 위약군을 포함했다. 이 그룹의 심각한 부작용 발생률은 낮다.[29][30][31]

아미오다론은 새로운 심방 세동(NOAF)이 발생한 중환자 집단에서 동율동으로 심율동 전환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항부정맥 약물이다. 그러나 다른 항부정맥제는 더 우수한 리듬 조절, 속도 조절 및 낮은 사망률을 보일 수 있으며, 특정 경우에는 아미오다론보다 더 유리할 수 있다.[32]

3. 금기 사항

임신 중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 중인 여성은 아미오다론 복용을 피해야 한다. 임신 중 아미오다론 사용은 태아에게 갑상선 문제, 심장 문제, 신경학적 문제, 조산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60] 수유 중 사용은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지만, 1회 복용은 괜찮을 수 있다.[60]

동결절 기능 부전, 서맥, 방실 결절 차단, 인공 심박 조율기가 없는 2도 또는 3도 심장 차단이 있는 사람은 아미오다론을 복용해서는 안 된다.

벤질 알코올이 함유된 아미오다론 제제는 신생아에게 투여하면 안 된다. 벤질 알코올은 치명적인 "가스핑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33]

아미오다론은 디기탈리스 독성으로 인한 심장 부정맥을 악화시킬 수 있다.

아미오다론 요법을 시작하려는 경우, 기저 폐 기능이 저하된 사람은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아미오다론 복용 중에는 격렬한 지구력 운동과 같은 고강도 신체 활동을 하기 전에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아미오다론은 서맥 및 QTc 연장을 유발하여 운동 능력을 저하시키고 격렬한 운동 중 부정맥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13]

3. 1. 구체적인 금기 사항

다음은 아미오다론 투여가 금지되는 구체적인 경우이다.

  • 아미오다론 또는 그 구성 요소에 과민성이 있는 경우[13]
  • 간 기능 장애가 심각한 경우[13]
  • 동 서맥 또는 동방 차단을 포함한 동결절 기능 부전이 심각한 경우 (아미오다론은 심각한 서맥 및 동결절 정지를 유발할 수 있음)[13]
  • 심박 조율기 이식이 없는 2도 또는 3도 방실 (AV) 차단 (AV 전도 시스템에 대한 부정적인 크로노트로픽 (심박수에 영향) 및 드로모트로픽 (전도성에 영향) 효과 때문)[13]
  • 그레이브스병과 같이 기존 방법으로 조절할 수 없는 갑상선 중독증[13]

4. 부작용

아미오다론은 심각하고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경구 투여 시 400mg/일 이상의 용량에서 그러하다. 갑상선, 간, 폐, 망막 기능에 대한 독성이 보고되었으며, 임상 감시와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34][58] 아미오다론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도 발생할 수 있다.[34] 만성적으로 아미오다론을 투여받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최소 한 가지 이상의 부작용을 경험한다.[58]

일반적인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메스꺼움과 구토[13]
  • 미각 이상 (입안에서 금속성 또는 쓴맛)[13]
  • 피부 광과민성 (햇빛이나 자외선 노출 시 발진이나 햇볕에 탄 듯한 증상)[13]
  • 각막 미세 침착 (시야 흐림 또는 후광)[13][35]
  • 갑상선 기능 장애 (갑상선 기능 저하증 또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36][44]
  • 간 기능 장애[114]
  • 서맥 및 심장 차단 (심박수를 늦추고 심장 차단 위험 증가)[13]
  • QT 간격 연장[13]
  • 간질성 폐렴[109]
  • 소화기 증상, 피부 증상[114]


특히 간질성 폐렴은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투여 중에는 청진을 하고 KL-6 등의 혈중 마커를 정기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급성 췌장염의 위험이 1.5배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15] 또한, 아미오다론은 제세동 역치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ICD나 CRT-D 등의 장치를 삽입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아미오다론은 신장 독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에 대한 확실한 연구는 부족하다.[41]

4. 1. 폐 부작용

아미오다론을 경구 투여했을 때 400mg 이상의 용량에서는 다양한 폐 관련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42]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간질성 폐 질환이다. 위험 요인으로는 높은 누적 복용량, 하루 400mg 이상 복용, 2개월 이상 복용, 고령, 기존 폐 질환 등이 있다.[42] 어떤 환자는 치료 시작 1주일 만에 폐 섬유증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수년간 지속적으로 사용해도 발생하지 않는 환자도 있다.[42] 따라서 폐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아미오다론 사용을 가급적 피해야 한다.

아미오다론으로 인한 폐 독성을 확인하는 가장 특이적인 검사는 폐 기능 검사에서 DLCO 수치가 현저히 감소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부작용으로 간질성 폐렴이 나타날 수 있으며,[109] 이는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투여 중에는 청진을 빠뜨리지 않고 KL-6 등의 혈중 마커를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4. 2. 갑상선 부작용

아미오다론은 티록신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요오드를 포함하고 있어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20][43][45][46] 아미오다론은 플러머 효과 및 볼프-차이코프 효과를 통해 항갑상선 작용을 일으켜 서맥과 부정맥을 동반하는 특정한 "심장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유발한다.[47][48]

티록신


아미오다론 치료를 받는 환자의 약 15~20%에서 갑상선 기능 부전, 즉 아미오다론 유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또는 아미오다론 유도성 갑상선 중독증이 나타난다.[43][78][44][20] 갑상선 기능 항진 및 저하 모두 발생할 수 있다.[34]

갑상선 기능은 최소 6개월마다 검사해야 한다.[49]

  •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저하는 자주 발생한다. 심방세동 치료를 위해 아미오다론과 다른 약물을 비교한 SAFE 임상 시험에서, TSH 수치가 4.5~10 mU/L로 정의된 생화학적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아미오다론 치료군의 25.8%에서 발생했으며 대조군(위약 또는 소타롤 복용)에서는 6.6%에서 발생했다. TSH >10 mU/L로 정의된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5.0%에서 발생했으며 0.3%에서 발생했다. 이 중 대부분(>90%)은 아미오다론 치료를 시작한 후 처음 6개월 이내에 발견되었다.[50]
  • 아미오다론 유도성 갑상선 중독증 (AIT): 약물 내의 높은 요오드 함량으로 인해 요드-베이스도우 효과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제1형 AIT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레이브스병과 같이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대한 기저 경향이 있는 환자에서 아미오다론 시작 후 몇 주에서 몇 달 이내에 발생한다. 제1형 AIT는 일반적으로 항갑상선제 또는 갑상선 절제술로 치료한다. 제2형 AIT는 갑상선 여포 상피 세포에 대한 아미오다론의 직접적인 독성 효과로 인한 파괴적인 갑상선염에 의해 발생한다.[43][51] 제2형 AIT는 아미오다론을 시작한 지 몇 년 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연적으로 제한되며 항염증 치료, 예: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반응한다.[51]

4. 3. 눈 부작용

각막 미세 침착(소용돌이 각막병증이라고도 함)은 아미오다론을 6개월 이상 복용한 개인, 특히 400mg/일 이상의 용량에서 거의 보편적으로(90% 이상) 나타난다.[52] 이러한 침착물은 일반적으로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약 10명 중 1명은 푸른 후광을 호소할 수 있다. 전방 피막하 수정체 침착은 고용량(600mg/일 이상)에서 치료 6개월 후에 비교적 흔하게(50%) 나타난다. 시신경병증, 비동맥 전방 허혈성 시신경병증(N-AION)은 1~2%의 사람들에게 발생하며 용량에 의존하지 않는다.[53] 양측 시신경 유두 부종과 가볍고 가역적인 시야 결손도 발생할 수 있다.

4. 4. 간 부작용

아미오다론 복용자에게서 간 효소 수치 이상이 흔하게 나타난다.[34] 드물게 황달, 간비대, 간염이 나타날 수 있다.[55]

임상 관찰 결과, 저용량 아미오다론 투여도 알코올성 간경변증과 유사한 상태(가성 알코올성 간경변증)를 유발할 수 있다. 가성 알코올성 간경변증은 알코올성 간경변증 환자와 유사한 조직병리학적 특징을 보인다.[56][57] 그러나 이러한 극단적인 부작용은 매우 드물다.[58]

4. 5. 피부 부작용

아미오다론을 장기간(보통 18개월 이상) 투여하면 광과민성 청회색 피부 변색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청피증이라고 부른다.[59] 이러한 환자는 햇빛 노출을 피하고 자외선 A와 B를 모두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해야 한다.[59] 약물 중단 시 변색은 천천히 개선되지만, 피부색이 완전히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59]

일반적인 부작용 중 하나는 피부 광과민성이다. 즉, 광과민성으로 햇빛이나 자외선에 노출되면 발진이나 햇볕에 탄 듯한 증상과 같은 피부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13]

4. 6. 기타 부작용

아미오다론의 장기간 사용은 말초 신경병증과 관련이 있다.[61]

아미오다론은 때때로 부고환염의 원인이 된다. 아미오다론은 해당 기관의 머리 부분에 축적되어 편측성 또는 양측성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아미오다론 투여를 중단하면 호전되는 경향이 있다.[62]

아미오다론을 복용하는 남성에게서 일부 여유증 사례가 보고되었다.[63]

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아미오다론에 노출된 남성 환자에게서 소화기, 간, 머리, 목 및 간암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 연구의 여성 참가자 및 일반 인구와 비교한 결과이다. 이 연구는 또한 아미오다론의 고용량에 노출된 20-59세 및 80세 이상의 남성에서 암 발생의 표준화 발병률 비(Standardized Incidence Ratio)가 저용량에 노출된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이는 용량-효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64] 이러한 결과는 연구 설계의 제한 사항으로 인해 주의해서 해석해야 하며, 현재의 임상 및 처방 관행을 변경하기 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아미오다론과 암에 대한 영향은 여전히 ​​더 견고한 연구가 필요한 주제이다.

5. 약물 상호 작용

아미오다론은 약물동태학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약물과 상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65][66][67] 특히 심장 질환 환자에게 흔히 투여되는 약물들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2015년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아미오다론과 함께 C형 간염 치료제인 레디파스비르/소포스부비르 또는 소포스부비르를 복용하기 시작한 사람들이 비정상적으로 느린 심박수를 보이거나 심정지로 사망하는 것에 대해 의료 제공자에게 경고했다.[75]

아미오다론은 시토크롬 P450 동위효소 계열의 작용을 억제하여, 사이클로스포린, 디곡신, 플레카이니드, 프로카인아미드, 퀴니딘, 실데나필, 심바스타틴, 테오필린, 와파린을 포함한 여러 약물의 제거를 감소시킨다.[67][73][74]

5. 1. 주요 상호작용 약물

아미오다론은 약물동태학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심장 질환 환자에게 흔히 투여되는 많은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유발한다.[65][66][67] 특히 주의해야 할 주요 상호작용 약물은 다음과 같다.

  • Class I 항부정맥제: 아미오다론은 디소피라미드, 플레카이니드, 프로카인아미드, 퀴니딘 등 다른 class I 항부정맥제와 병용 시 QTc 연장 및 부정맥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13]
  • 베타 차단제 및 칼슘 채널 차단제: 아미오다론과 소타롤과 같은 베타 차단제 또는 칼슘 채널 차단제를 함께 사용하면 심박수가 느려지거나 서맥, 심장 차단이 발생할 수 있다.[13]
  • 디곡신: 아미오다론은 P-당단백질(P-gp)을 억제하여 체내 디곡신 수치를 높여 디곡신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13]
  • 스타틴: 아미오다론은 심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등 특정 스타틴을 대사하는 간 효소를 억제하여 근병증 또는 횡문근융해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13]
  • 와파린: 아미오다론은 CYP2C9 및 CYP3A4 시토크롬에 의한 와파린 대사를 억제하여 국제정상화비율(INR)을 증가시켜 출혈 위험을 높인다.[13][68] 아미오다론 복용량에 따라 와파린 용량을 조절하고, 항응고 상태(프로트롬빈 시간(PT) 및 INR로 측정)를 더 자주 측정해야 한다.[69][70] 와파린 용량 감소는 다음과 같다.

아미오다론 용량 (매일)와파린 용량 감소
400mg40%
300mg35%
200mg30%
100mg25%



아미오다론이 와파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치료 시작 후 며칠 내에 나타날 수 있지만, 최대 7주까지 상호 작용이 정점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69][71]


  • 항-HIV 약물: 리토나비르, 인다나비르 등과 같은 여러 HIV 약물이 CYP3A4 효소를 억제하여 아미오다론의 제거를 감소시키고, 체내 아미오다론 농도를 증가시킨다.[13][72]


아미오다론은 시토크롬 P450 동위효소 계열의 작용을 억제하여 다음과 같은 약물의 제거를 감소시킨다.[67][73][74]

6. 약동학

아미오다론은 디곡신, 페니토인, 와파린 등 시토크롬 P450 효소에 의존하는 여러 약물의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26][76][77][78]

일반적으로 아미오다론은 경구 투여 시 1일 400-800mg으로 시작하여 혈중 농도를 측정하면서 1-2주에 걸쳐 1일 100-200mg 정도로 감량한다. 유효 혈중 농도는 500-1000ng/mL이지만, 분포 용적이 크고 지방 조직에 분포한 약물이 천천히 소실되어 반감기가 매우 길다. 따라서 투약을 중단해도 혈중 농도 감소에 시간이 걸리므로 주의해야 한다.

6. 1. 대사

아미오다론은 주로 간에서 시토크롬 P450 효소, 특히 CYP3A4와 CYP2C8에 의해 대사된다.[72][78][67][81][82] 이 과정에서 활성 대사 산물인 데스에틸아미오다론(DEA)이 생성되는데, 이는 아미오다론과 유사한 항부정맥 특성을 갖는다.[26][83][84]

아미오다론의 대사는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83]

  • 1단계: 아미오다론이 주로 CYP3A4에 의해, 덜 매개되는 CYP2C8에 의해 산화되어 데스에틸아미오다론(DEA) 등 여러 활성 대사 산물이 생성된다.[83]
  • 2단계: 아미오다론과 DEA는 글루쿠론산과 결합하여 수용성을 높여 체외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85]


아미오다론은 높은 지질 용해도, 광범위한 조직 결합, 장간 순환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반감기가 매우 길다.[13][86]

한편, 자몽은 아미오다론의 대사를 억제하여 혈장 농도를 높일 수 있다.[79]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아미오다론과 심바스타틴을 함께 사용하면 횡문근융해증 위험이 증가한다고 경고했다.[80]

6. 2. 배설

아미오다론의 배설은 주로 간과 담도를 통해 이루어지며, 신장을 통한 배설은 거의 없고 투석되지 않는다.[1] 제거 반감기는 평균 58일(25~100일 범위)이며 활성 대사체인 데스에틸아미오다론(DEA)의 제거 반감기는 36일이다.[1] 아미오다론과 DEA는 태반에서 10~50% 전달되며 모유에도 존재한다.[1]

아미오다론은 주로 간 대사와 담즙 배설을 통해 체외로 배설되지만, 아미오다론과 그 대사체의 아주 적은 부분은 변하지 않은 채 소변이나 대변으로 배설된다.[72][78] 간은 아미오다론 배설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YP3A4와 CYP2C8을 포함한 시토크롬 P450 효소에 의해 광범위하게 대사된 후, 아미오다론은 다약제 내성 단백질 2(MRP2) 수송체를 통해 담즙으로 수송된다. 아미오다론과 그 대사체를 포함하는 담즙은 위장관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화합물 중 일부는 장간 순환을 통해 전신 순환으로 재흡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적인 대사 과정을 거친 후 결국 다시 담즙으로 배설될 수 있다.

신장 배설은 아미오다론 제거에 미미하게 기여하므로, 신장 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은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이는 정상적인 신장 기능을 가진 대부분의 환자가 간 대사와 담즙 배설 경로를 통해 약물을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13]

7. 약리학

아미오다론은 항부정맥제 3군으로 분류되지만, 1a, 2, 4군 항부정맥제의 작용 기전을 모두 가지고 있어 다양한 효과를 나타낸다. 아미오다론은 화학적으로 티록신(갑상선 호르몬)과 유사하며, 핵 갑상선 수용체에 대한 결합이 약리학적 및 독성 작용의 일부에 기여할 수 있다.[116]

아미오다론의 주요 작용은 다음과 같다.[116]


  • 칼륨 채널 차단
  • 나트륨 채널 차단
  • 칼슘 채널 차단
  • 비경쟁적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 작용

7. 1. 작용 기전

아미오다론은 항부정맥제 3군으로 분류되지만, 1a, 2, 4군 항부정맥제의 작용 기전을 모두 가지고 있다. 주로 심장 활동 전위의 3상, 즉 재분극 단계를 연장시켜 심장 활동 전위의 지속 시간을 늘린다. 이는 칼륨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칼슘 투과성을 감소시켜 나타나는 효과이다.[116]

아미오다론은 전압 개폐 칼륨 채널(KCNH2)과 전압 개폐 칼슘 채널(CACNA2D2)을 차단한다.

또한, 동방 결절(SA)과 방실 결절(AV)의 전도 속도를 늦추고 불응기를 연장시킨다. 심실, 히스 다발, 푸르키니 섬유의 불응기도 연장시키지만, 전도 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아미오다론은 심근 세포 활동 전위 지속 시간과 불응기를 연장시키고, 비경쟁적 β-아드레날린 억제 효과를 보인다.[116]

아미오다론은 동방 결절 및 방실 결절에 베타 차단제 및 칼슘 채널 차단제와 유사한 작용을 한다. 나트륨 및 칼륨 채널 효과를 통해 불응기를 증가시키고, 나트륨 채널 효과를 통해 심장 내 전도를 늦춘다. 아미오다론은 ∆KPQ와 같은 Long QT-3 증후군 관련 돌연변이와 관련된 표현형을 악화시킬 수 있는데, 이는 최고 나트륨 전류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나트륨 전류 증가에 기여하기 때문이다.[116]

아미오다론은 화학적으로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과 유사하며, 핵 갑상선 수용체에 대한 결합이 약리학적 및 독성 작용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다.[116]

아미오다론의 주요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다.[116]

  • 칼륨 채널 차단: 활동 전위 3상에서 심장 재분극에 관여하는 칼륨 채널을 차단하여 심장 활동 전위 지속 시간을 연장시킨다. 이는 불응기를 증가시키고 흥분성을 감소시킨다.
  • 나트륨 채널 차단: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을 통한 나트륨 이온 유입을 억제하여 심장 조직의 전기적 임펄스 전도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를 통해 심박수를 늦추고 심장 리듬을 조절한다.
  • 칼슘 채널 차단: 심근 세포의 L형 칼슘 채널을 억제하여 심실 수축 시 세포 내 칼슘 농도를 감소시킨다.
  • 비경쟁적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 작용: 알파 및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 효과를 통해 심장에 대한 교감 신경 자극을 줄인다.


결론적으로, 아미오다론은 심근 세포의 재분극에 관여하는 K+ 채널을 억제하여 활동 전위의 지속 시간과 불응기를 연장시켜 부정맥을 억제한다. 또한 Na+ 채널 억제, β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 Ca2+ 채널 억제 작용도 함께 나타내어 부정맥 억제에 기여한다.[116]

8. 역사

아미오다론의 전구체 분자인 켈린이 심장 활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최초의 관찰은 1946년 카이로에서 연구하던 러시아 생리학자 안레프에 의해 이루어졌다.[92] 켈린은 북아프리카에서 흔한 식물인 케라 또는 ''아미 비스가나''의 식물 추출물에서 얻어진다. 안레프는 켈린을 복용한 기술자 중 한 명이 협심증 증상이 치료된 것을 발견했고, 이후 켈린은 다양한 비심장 질환에 사용되었다. 아미오다론은 1961년 벨기에의 Labaz사에서 켈린에서 추출한 제제를 연구하던 화학자 톤두르와 비농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93][94][95] 이 약물은 협심증 치료제로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브라마 싱은 아미오다론과 소타롤이 항부정맥 특성을 가지며 새로운 종류의 항부정맥 제제(훗날 3급 항부정맥 제제가 됨)에 속한다는 것을 밝혀냈다.[96] 오늘날 아미오다론과 소타롤의 작용 기전은 더욱 자세히 연구되었다. 두 약물 모두 칼륨 이온 통로(K+ 채널)를 비롯한 다른 세포 기능과 상호 작용하여 활동 전위의 지속 시간을 연장하고, 불응기를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싱의 연구를 바탕으로 아르헨티나의 의사 마우리시오 로젠바움은 아미오다론을 상심실성 및 심실성 부정맥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시작했고,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 싱의 이론을 발전시킨 로젠바움의 논문을 바탕으로 미국의 의사들은 1970년대 후반에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부정맥 환자에게 아미오다론을 처방하기 시작했다.[97][98]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초기 보고에서 약물의 심각한 폐 부작용 발생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아미오다론의 공식적인 사용 승인을 꺼렸다. 1980년대 중반, 유럽 제약 회사들은 승인하지 않으면 미국 의사들에게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위협하며 FDA에 아미오다론 승인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1985년 12월, 아미오다론은 부정맥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다.[2][99]

9. 투여

아미오다론은 경구 및 정맥 주사 제형으로 제공된다.

경구 투여 시에는 업셔-스미스 연구소에서 생산하는 Pacerone과 Wyeth-Ayerst Laboratories에서 생산하는 Cordarone이라는 브랜드로 제공된다.[1][2]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는 Alphapharm Pty Ltd에서 생산하는 Aratac이라는 브랜드로도 제공되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Cardinorm 및 Rithmik 브랜드와 여러 제네릭 브랜드로도 제공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Arycor (Winthrop Pharmaceuticals 생산)로 판매된다. 남아메리카에서는 Atlansil로 알려져 있으며 Roemmers에서 생산한다.

인도에서는 Tachyra라는 브랜드로 (Cipla Pharmaceutical에서 생산) 아미오다론이 판매된다. 정맥 주사용 앰플과 바이알로도 제공된다.

아미오다론의 투여량은 개별 환자와 치료받는 부정맥에 맞게 조정된다. 경구 투여 시 아미오다론의 생체 이용률은 상당히 가변적이다. 흡수율은 22%에서 95%까지 다양하며, 음식과 함께 투여할 때 흡수가 더 잘 된다.[26] 경구 투여의 경우, 1일 용량을 400mg~800mg으로 시작하여 혈중 농도를 측정하면서 1~2주에 걸쳐 1일 용량으로 100mg~200mg 정도로 감량하는 경우가 많다. 유효 혈중 농도는 500ng/mL~1000ng/mL이지만, 분포 용적이 거대하고, 지방 조직에 분포한 약물이 천천히 소실되므로 혈중 농도 반감기가 매우 길어, 투약을 중단해도 혈중 농도 저하에 시간이 걸리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10. 한국 내 지정 구분

일본의 지정 구분에 따르면, 아미오다론 정제는 독약으로 지정되어 있다. 주사제 역시 2007년 승인 당시부터 독약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위에서 언급한 심폐소생 시의 적응 확대에 따라 아미오다론 주사제는 독약에서 극약으로 지정 구분이 변경되었다. 이는 심폐소생이라는 매우 긴급한 상황에서는 독약 지정으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응급 시 대응의 어려움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 검토가 이루어진 결과로, 예외적인 조치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Pacerone- amiodarone hydrochloride tablet https://dailymed.nlm[...] 2021-09-08
[2] 웹사이트 Cordarone (amiodarone) tablets, for oral use Initial U.S. Approval: 1985 https://dailymed.nlm[...] 2018-10-30
[3] 웹사이트 Nexterone- Amiodarone HCl injection, solution https://dailymed.nlm[...] 2021-09-08
[4] 간행물 Effectiveness of antiarrhythmic drugs for shockable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http://wrap.warwick.[...] 2018-11
[5] 서적 Review of the Medical Use of Amiodarone (Nexterone, Pacerone) Xavier Research Press 2018-07-24
[6] 간행물 Acute Amiodarone Pulmonary Toxicity null 2021-05
[7] 웹사이트 Amiodarone Hydrochloride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08-22
[8] 서적 Analytical Profiles of Drug Substances and Excipien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92
[9]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5
[10] 서적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2023: web annex A: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3rd list (2023) World Health Organization
[11] 웹사이트 The Top 300 of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2] 웹사이트 Amiodarone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3] 간행물 Amiodarone: A Comprehensive Guide for Clinicians null 2020-12
[14] 간행물 What is the real cardiac anatomy? null 2019-04
[15] 간행물 Pharmacologic Management for Ventricular Arrhythmias: Overview of Anti-Arrhythmic Drugs 2022-06
[16] 간행물 Randomized comparison of intravenous procainamide vs. intravenous amiodarone for the acute treatment of tolerated wide QRS tachycardia: the PROCAMIO study null 2017-05
[17] 간행물 Amiodarone and cardiac arres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0
[18] 간행물 Survival by time-to-administration of amiodarone, lidocaine, or placebo in shock-refractory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23-09
[19] 간행물 The impact of time to amiodarone administration on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23-06
[20] 간행물 Amiodarone and Thyroid Dysfunction null 2022-08
[21] 웹사이트 Peri-arrest arrhythmias – Tachycardia algorithm] https://www.resus.or[...] 2016-01-25
[22] 웹사이트 UpToDate https://www.uptodate[...] 2024-02-05
[23] 웹사이트 Atrial fibrillation after surgery: Common and undertreated? https://www.health.h[...] 2024-02-05
[24] 웹사이트 Amiodarone Reduction in Coronary Heart Trial https://www.acc.org/[...] 2024-02-05
[25] 간행물 Intravenous amiodarone for the prevention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open heart surgery: the Amiodarone Reduction in Coronary Heart (ARCH) trial 1999-08
[26] 간행물 Amiodarone: Guidelines for Use and Monitoring https://www.aafp.org[...] 2024-02-05
[27] 간행물 Practice Guideline Briefs https://www.aafp.org[...] 2024-02-05
[28] 간행물 Acute Management of Atrial Fibrillation: Part I. Rate and Rhythm Control https://www.aafp.org[...] 2024-02-05
[29] 간행물 Managing new-onset atrial fibrilla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systematic narrative review https://bmjopen.bmj.[...] 2024-02-05
[30] 간행물 Effectiveness of Amiodarone for Conversion of Atrial Fibrillation to Sinus Rhythm https://jamanetwork.[...] 2024-02-05
[31]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 Atrial fibrill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 Guidance | NICE https://www.nice.org[...] 2024-02-05
[32] 문서 Johnston BW, Chean CS, Duarte R, Hill R, Blackwood B, McAuley DF, Welters ID. Management of new onset atrial fibrillation in critically unwell adult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narrative synthesis.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2022 May 1;128(5):759-71.
[33] 간행물 Neonatal deaths associated with use of benzyl alcohol--United States https://www.cdc.gov/[...] 1982-06
[34] 웹사이트 Amiodarone https://www.drugs.co[...] Drugs.com 2022-07-25
[35] 간행물 Adverse reactions of Amiodarone null 2019-07
[36] 논문 When amiodarone-induced thyroiditis meets cardiomyopathy with excessive trabeculation: a case report 2023
[37] 논문 Amiodarone-Induced Lung Toxicity: A Case Initially Not Correctly Framed 2023-03
[38] 논문 Variable radiographic and histologic presentations of amiodarone-related interstitial lung disease and the importance of avoiding re-exposure 2023-06
[39] 논문 Pulmonary Fibrosis Related to Amiodarone-Is It a Standard Pathophysiological Pattern? A Case-Based Literature Review 2022-12
[40] 논문 Amiodarone induced lung disease 2022
[41] 논문 Case report of progressive renal dysfunction as a consequence of amiodarone-induced phospholipidosis 2023-09
[42] 웹사이트 Amiodarone Side Effects https://www.drugs.co[...] Drugs.com 2021-04-25
[43] 논문 Amiodarone-induced thyrotoxicosis: a review 2009-07
[44] 논문 Short review: novel concepts in the approach to patients with amiodarone-induced thyrotoxicosis 2023-09
[45] 논문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s a novel mechanism in amiodarone-induced destructive thyroiditis 2015-01
[46] 서적 Core Topics in Endocrinology in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47] 논문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Iodine
[48] 논문 Iodine, PUFAs and Iodolipids in Health and Disease: An Evolutionary Perspective
[49] 논문 2018 European Thyroid Association (ETA)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miodarone-Associated Thyroid Dysfunction 2018-03
[50] 논문 Thyroid function abnormalities during amiodarone therapy for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https://zenodo.org/r[...] 2007-10
[51] 논문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miodarone-Induced Thyroid Disorders 2021-01
[52] 논문 Amiodarone-induced cornea verticillata 1982-06
[53] 논문 Amiodarone-associated optic neuropathy: a critical review 2012-05
[54] 서적 Ocular differential diagnosis https://books.google[...] Jaypee Highlights Medical Publishers 2012
[55] 논문 Hepatotoxicity associated with amiodarone therapy
[56] 논문 Low dose amiodarone causing pseudo-alcoholic cirrhosis 2003-03
[57] 논문 Hepatic cirrhosis caused by low-dose oral amiodarone therapy 2005-11
[58] 논문 Low-dose Amiodarone Is Saf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4
[59] 논문 Skin Discoloration from Amiodarone 2020-01
[60] 웹사이트 Amiodarone Pregnancy and Breastfeeding Warnings https://www.drugs.co[...] 2021-12-08
[61] 논문 Peripheral neuropathy during long-term high-dose amiodarone therapy 1985-06
[62] 논문 Urologic complications of neurologic medications 2003-02
[63] 논문 Gynecomastia: its features, and when and how to treat it http://www.ccjm.org/[...] 2004-06
[64] 논문 Amiodarone and the risk of cancer: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2013-05
[65] 논문 Pharmacokinetic drug interactions with amiodarone 1989-08
[66] 논문 Drug interactions with amiodarone 1983-10
[67] 서적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 Hill 2022-11-01
[68] 논문 Drug-Induced Arrhythmia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0-10
[69] 논문 Evidence-based management of anticoagulant therapy: Antithrombotic Therapy and Prevention of Thrombosis, 9th ed: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2-02
[70] 웹사이트 UpToDate: Warfarin Drug Information https://www.uptodate[...] 2024-11-17
[71] 웹사이트 Amiodarone hydrochloride (Marketed as Cordarone and Pacerone) Information https://www.fda.gov/[...] 2019-06-18
[72] 웹사이트 Cordarone (amiodarone HCl) tables https://www.accessda[...] FDA
[73] 서적 Clinical Pharmacokinetics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21-08-27
[74] 서적 Drug Interaction Analysis and Management 2014 Wolters Kluwer Health 2014-04-12
[75] 뉴스 Gilead Warns After Hepatitis Patient on Heart Drug Dies https://www.bloomber[...] 2015-03-21
[76] 웹사이트 Amiodarone | Deranged Physiology https://derangedphys[...]
[77] 논문 Pharmacokinetic Drug Interactions with Amiodarone 1989
[78] 서적 Amiodarone 2024
[79] 논문 Grapefruit juice and drug interactions. Exploring mechanisms of this interaction and potential toxicity for certain drugs
[80] 웹사이트 Information on Simvastatin/Amiodarone https://www.fda.gov/[...]
[81] 논문 Pharmacokinetic drug-drug interaction and their implication in clinical management 2013-07
[82] 논문 The role of metabolites in predicting drug-drug interactions: focus on irreversible cytochrome P450 inhibition 2010-01
[83] 논문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amiodarone 1984-04
[84] 논문 "[Clinical aspects of treatment with amiodarone]" 2017-09
[85] 논문 The Role of Alcohol Dehydrogenase in Drug Metabolism: Beyond Ethanol Oxidation 2021-01
[86] 논문 Estimation of the In Vivo Release of Amiodarone From the Pharmacokinetics of Its Active Metabolite and Correlation With Its In Vitro Release 2020
[87] 웹사이트 Amiodarone https://www.drugbank[...] Drugbank
[88] 서적 Amiodarone: pharmacology, pharmacokinetics, toxicology, clinical effects Médecine et sciences internationales 1986
[89] 웹사이트 FDA Drug Label https://dailymed.nlm[...]
[90] 논문 Effects of Amiodarone and N-desethylamiodarone on Cardiac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91] 서적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Hill
[92] 논문 Ammi Visnaga in the Treatment of the Anginal Syndrome 1946-10
[93] 논문 "[Studies in the benzofuran series. VI. Coronary-dilating activity of alkylated and aminoalkylated derivatives of 3-benzoylbenzofuran]" 1962-09
[94] 논문 "[Studies in the benzofuran series. VII. Preliminary pharmacological study of 2-butyl-3-(3,5-diiodo-4-beta-N-diethylaminoethoxybenzoyl)-benzofuran]" 1962-09
[95] 서적 Antiarrhythmic Agents Books LLC
[96] 논문 The effect of amiodarone, a new anti-anginal drug, on cardiac muscle 1970-08
[97] 논문 Clinical efficacy of amiodarone as an antiarrhythmic agent 1976-12
[98] 논문 Ten years of experience with amiodarone 1983-10
[99]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Cordarone (Amiodarone Hydrochloride) Tablets. NDA #018972 http://www.accessdat[...]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00] 웹사이트 Compound summary for CID 2157 https://pubchem.ncbi[...] pubchem.ncbi.nil.nih.gov
[101] 문서 日本人被験者5人に経口投与後の活性代謝物の平均値。血漿からの消失半減期は19~53日
[102] 문서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p1。
[103] 문서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p11。
[104] 문서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p10。
[105] 논문 アミオダロン http://www.lifescien[...] 1996-04
[106] 문서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
[107] 웹사이트 心肺蘇生時のアミオダロン使用が可能に https://medical.nikk[...] 2013-06-20
[108] 웹사이트 アンカロン注 150 の新効能・効果の取得と毒薬・劇薬指定区分の変更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j-circ.or[...] 2013-05-31
[109] 논문 アミオダロンによる肺合併症への対応 https://doi.org/10.5[...] 2002
[110] 웹사이트 アミオダロン塩酸塩 速崩錠 安全使用実践マニュアル http://med.toaeiyo.c[...]
[111] 웹사이트 診断と治療に難渋したアミオダロン誘発甲状腺中毒症の1例 http://kkse-nm.kenky[...]
[112] 논문 塩酸アミオダロン中止10カ月後に破壊性甲状腺炎をきたした拡張型心筋症の1例 https://doi.org/10.1[...] 2010
[113] 웹사이트 重篤副作用疾患別対応マニュアル 角膜混濁 https://www.mhlw.go.[...]
[114] 문서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
[115] 웹사이트 アミオダロンで急性膵炎のリスクが上昇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 2015-02-04
[116] 서적 図解 薬理学 https://www.worldcat[...] 南山堂 2015
[117] 간행물 Amiodarone analog-dependent effects on CYP2C9-mediated metabolism and kinetic profiles null
[118] 웹인용 Pacerone- amiodarone hydrochloride tablet https://dailymed.nlm[...] 2021-09-08
[119] 웹인용 Cordarone (amiodarone) tablets, for oral use Initial U.S. Approval: 1985 https://dailymed.nlm[...] 2018-10-30
[120] 웹인용 Nexterone- Amiodarone HCl injection, solution https://dailymed.nlm[...] 2021-09-08
[121] 저널 Effectiveness of antiarrhythmic drugs for shockable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http://wrap.warwick.[...] 2018-11
[122] 웹인용 Amiodarone Hydrochloride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08-22
[123] 서적 Analytical Profiles of Drug Substances and Excipien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92
[124]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5
[125]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126] 웹인용 The Top 300 of 2020 https://clincalc.com[...] 2022-10-07
[127] 웹인용 Amiodarone – Drug Usage Statistics https://clincalc.com[...] 2022-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