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을 지칭하며,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룬 국가 및 지역을 일컫는 용어이다. 이들은 수출 지향적인 정책, 인프라 및 교육 투자를 통해 고도 성장을 달성했으며,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와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겪었지만, 회복력을 보여주었다. 2021년 기준 대한민국은 G20 및 OECD 회원국이며, 싱가포르는 1인당 GDP가 가장 높고, 홍콩과 대만은 APEC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높은 교육 수준, 안정적인 거시 경제 환경, 유교 문화의 영향 등 사회 문화적 특징을 공유하며, 국제기구 가입을 통해 국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경제사 - 대만의 기적
    대만의 기적은 미국의 경제 원조, 토지 개혁, 수출 지향적 산업 정책, 교육 및 기술 개발 투자 등의 요인으로 20세기 후반 대만이 이룩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지칭하며, 이를 통해 대만은 고소득 산업 경제 국가로 발전하고 국민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으나 1990년대 후반 이후 중국 경제 부상과 함께 성장세가 둔화되었다.
  • 홍콩의 경제사 - 검은 토요일 (1983년)
    검은 토요일 (1983년)은 1983년 9월 24일 홍콩 달러 가치 폭락으로 금융 시장에 혼란이 발생한 사건이며,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한 소비자 신뢰 하락으로 위기를 겪은 홍콩 정부가 달러 페그제를 도입하여 위기를 진정시켰다.
  • 싱가포르의 경제사 - 베어링스 은행
    1762년 설립된 베어링스 은행은 대영제국 확장과 함께 성장하여 런던의 유력한 투자 은행으로 자리 잡았으나, 1995년 닉 리슨의 파생 상품 거래 실패로 파산 후 ING 그룹에 인수되었으며, 현재는 베어링 자산 관리에서 그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 싱가포르의 경제사 -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는 태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의 통화 및 자산 가치를 폭락시킨 경제 위기로, 취약한 경제 구조와 외부 충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IMF의 구조조정 요구는 논란을 야기했고, 이는 동아시아 경제 정책 변화와 금융 시스템 개혁을 촉발했다.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지도 정보
명칭
한국어아시아 네 마리 용
한자亞細亞四小龍
영어Four Asian Tigers
중국어 번체亞洲四小龍
중국어 간체亚洲四小龙
로마자 표기 (병음)Yàzhōu sì xiǎo lóng
로마자 표기 (우정식)Yàjhōu sìh siǎo lóng
로마자 표기 (웨이드-자일스)Ya4-chou1 szu4 hsiao3 lung2
로마자 표기 (광둥어)aa3 zau1 sei3 siu2 lung4
로마자 표기 (예일)aa jāu sei síu lùhng
로마자 표기 (민난어)A-chiu sì sió lêng
한국어 (로마자)asia-ui ne mari yong
한국어 (매큔-라이샤워)ashia-ŭi ne mari yong
말레이어Empat Harimau Asia
타밀어நான்கு ஆசியப் புலிகள்
의미아시아의 네 마리 용
다른 이름아시아 네 마리 용
아시아 네 마리 호랑이
아시아의 네 용
아시아의 네 호랑이
개요
대상 국가대한민국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
특징20세기 후반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룩한 개발도상국들
경제 발전 모델
특징수출 지향적 산업화
높은 교육 수준
강력한 정부 주도 경제 개발
친기업적 정책
성공 요인박정희 대통령의 경제 성장 정책 (대한민국)
정부의 강력한 경제 개입
높은 저축률
외국 투자 유치
숙련된 노동력
비판경제 성장의 불평등 심화
환경 문제
권위주의적 정치 체제
노동자의 권익 침해
국가별 특징대한민국: 재벌 중심의 경제 구조, 반도체 및 자동차 산업 발달
타이완: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 IT 산업 발달
싱가포르: 항만 및 금융 중심의 경제 구조, 서비스 산업 발달
홍콩: 자유 무역 및 금융 중심의 경제 구조, 국제 무역 발달
영향
경제적 영향아시아 지역의 경제 성장에 기여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 모델 제시
국제 무역 및 투자 증가
정치적 영향권위주의적 체제의 민주화 요구 증대
사회 운동 및 시민 단체 활성화
정치 개혁 요구 증대
문화적 영향한류 등 대중문화 확산
교육열 증가
서구 문화 수용
전통 문화의 현대화
기타
참고 자료아프리카는 한국에서 배울 수 있을까?
한국, 라틴 아메리카의 롤 모델: 대사
ザ 語源 第32回 アジア四小龍 国名の由来 ゼロから学べるアイザワ投資大学
관련 기사4마리의 아시아 호랑이의 정치적, 경제적 발전 재고 (1998-2017): 국가 정체성의 관점에서
관련 도서인문지리학 사전
동아시아 발전 경험
관련 논문성공적인 국가의 '역설'
한국의 경제 성장과 마케팅 실무 발전: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을 위한 역할 모델

2. 역사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을 지칭한다. 이들은 모두 과거 제국주의 열강의 통치를 받았으나, 열강으로부터 해방된 이후 고도의 경제적 성장과 번영을 이루었다. 20세기 중후반 용어가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신흥공업국으로 중진국 수준이었으나, 이후 지속적인 빠른 경제 성장을 통해 21세기 현재는 모두 선진국으로 평가받는다.

1960년부터 2014년까지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의 1인당 GDP 성장률
[8]

2019년을 기준으로 홍콩과 싱가포르는 1인당 GDP(명목)가 49,000달러 이상 되는 국제적인 금융 허브 도시이자 도시국가가 되었고, 대만은 자체적인 경쟁력을 갖췄다. 대한민국은 네 마리 용 중 유일하게 G20(주요 20개국) 및 OECD의 일원으로, 2019년 기준 GDP(명목) 세계 9위, 1인당 GDP(명목) 세계 27위(31430USD), 1인당 국민소득(GNI) 세계 26위(33720USD), 1인당 GDP(PPP) 세계 30위(44740USD)에 달하는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였다.

2. 1. 경제 발전 과정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을 지칭한다. 이들은 20세기 중후반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21세기 현재 모두 선진국으로 평가받는다.[8]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이전, 네 마리 용의 성장은 수출 지향적 정책과 강력한 개발 정책 덕분으로 여겨졌다. 세계은행 보고서는 요인 축적과 거시경제 관리를 주요 원인으로 제시한다.[9]

  • 홍콩: 1950년대 섬유 산업을 시작으로 산업화를 경험했다. 1960년대에는 의류, 전자 제품, 플라스틱 등 수출 지향적 산업으로 다양화되었다.[10]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 이후, 싱가포르 경제 개발청은 국가 경제 전략을 수립하여 제조업 부문을 육성했다.[11] 산업 단지 조성과 외국인 투자 유치에 힘썼다.
  • 대만과 한국: 1960년대 중반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정책을 통해 산업화를 시작했다. 두 나라 모두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추구했다.[12]


네 나라는 일본의 성공적인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인프라와 교육에 투자했다. 또한, 미국의 경제적 지원도 이들의 성장에 기여했다.

1960년대 말, 네 나라의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 수준은 다른 개발도상국들을 능가했다. 특히 교육은 아시아 경제 기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5년까지 네 나라 모두 보편적 초등 교육을 달성했으며,[9] 한국은 1987년 중등 교육 등록률 88%를 달성했다.[9]

안정적인 거시경제 환경 또한 중요했다. 네 나라는 재정 적자, 외채, 환율을 성공적으로 관리했다. 특히 한국은 1980년대 OECD 평균보다 낮은 재정 적자를 기록했다. 홍콩, 싱가포르, 대만은 외채가 없었다.[9] 한국은 외채가 있었지만, 높은 수출로 상쇄했다. 네 나라는 장기간 고정 환율 제도에서 관리된 변동 환율 제도로 전환하여 환율 상승을 피하고 안정적인 실질 환율을 유지했다.[9]

수출 정책은 네 마리 용 경제 성장의 핵심 요인이었다. 홍콩과 싱가포르는 자유 무역을 장려하는 신자유주의적 무역 제도를 도입한 반면, 한국과 대만은 자국 수출 산업을 지원하는 혼합 제도를 채택했다. 싱가포르, 한국, 대만 정부는 특정 수출 산업을 육성하는 수출 촉진 전략을 추진했다.[13]

하버드대학교 존 F. 케네디 행정대학원의 다니 로드릭 경제학자는 국가 개입이 동아시아 성장 기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14][6]

2. 2. 경제 위기 극복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는 네 마리 용으로 불리는 국가들의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특히 홍콩은 주식 시장과 통화에 대한 투기 공격을 받아 홍콩 금융 관리국이 시장에 개입해야 했다. 한국은 외채 부담이 늘면서 통화 가치가 크게 하락하여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15] 1997년 초, 홍콩, 싱가포르, 한국의 주식 시장은 미국 달러 기준으로 최소 60% 하락했다. 싱가포르와 대만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다. 네 마리 용은 높은 저축률(한국 제외)과 무역 개방성 덕분에 다른 국가들보다 빠르게 위기에서 회복할 수 있었다.[15]

2007년-2008년 2007년-2008년 세계 금융 위기는 미국 소비 증가로 이익을 보던 수출 중심의 네 마리 용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2008년 4분기, 네 나라 모두 국내총생산(GDP)이 연평균 약 15% 감소했고,[13] 수출 또한 연평균 50% 감소했다.[13] 내수 부진도 경제 회복을 더디게 만들었는데, 2008년 홍콩의 소매 판매는 3%, 싱가포르는 6%, 대만은 11% 감소했다.[13]

세계 경제가 회복되면서 네 마리 용 경제도 빠르게 반등했는데, 이는 각국 정부의 재정 부양책 덕분이었다. 이 재정 부양책은 2009년 각국 GDP의 4% 이상을 차지했다.[13] 또한, 네 나라의 기업과 가계 부채가 적었던 것도 빠른 회복의 요인 중 하나였다.[13]

3. 경제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이전,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일반적으로 "아시아의 기적"이라고 불림)의 성장은 수출 지향적 정책과 강력한 개발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 경제는 지속적인 급속한 성장과 높은 수준의 소득 분배가 특징이었다. 세계은행 보고서는 아시아의 기적의 원천으로 요인 축적과 거시경제 관리 등 두 가지 개발 정책을 제시한다.[9]

홍콩 경제는 1950년대 섬유 산업 발전과 함께 네 나라 중 가장 먼저 산업화를 경험했다. 1960년대까지 영국 식민지의 제조업은 확장되어 의류, 전자 제품,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수출 지향적 산업으로 다양화되었다.[10]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한 후, 싱가포르 경제 개발청은 국가 제조업 부문을 육성하기 위한 국가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했다.[11] 세금 감면을 통해 산업단지가 조성되었고 외국인 투자가 유치되었다. 한편, 대한민국대만은 1960년대 중반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정책을 통해 산업화를 시작했다. 두 나라 모두 홍콩싱가포르처럼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추구했다.[12] 네 나라는 일본의 성공적인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인프라와 교육에 투자하는 등 동일한 목표를 추구했다. 또한, 다른 나라들과 차별화되는 대외 무역 이점, 특히 미국의 경제적 지원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

1960년대 말까지 네 나라의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 수준은 유사한 개발 수준의 다른 나라들을 훨씬 능가했다. 이는 이후 1인당 소득 수준의 급속한 성장으로 이어졌다. 높은 투자가 경제 성장에 필수적이었지만, 인적 자본의 역할 또한 중요했다. 특히 교육은 아시아 경제 기적에서 주요 역할을 했다고 평가된다. 아시아 네 마리 용의 교육 등록 수준은 소득 수준을 고려할 때 예상보다 높았다. 1965년까지 네 나라 모두 보편적 초등 교육을 달성했다.[9] 특히 한국은 1987년 중등 교육 등록률 88%를 달성했다.[9] 아시아의 기적 기간 동안 남녀 간 등록률 격차도 크게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교육 발전은 높은 수준의 문해력과 인지 능력을 가능하게 했다.

안정적인 거시경제 환경 조성은 아시아의 기적의 기반이었다. 아시아의 네 마리 용 국가들은 각기 다른 성공 정도로 재정 적자, 외채환율 세 가지 변수를 관리했다. 각 국가의 재정 적자는 거시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지 않도록 재정 한도 내에서 유지되었다. 특히 한국은 1980년대 OECD 평균보다 낮은 적자를 기록했다. 홍콩, 싱가포르, 대만은 해외에서 차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채가 없었다.[9] 한국은 예외였지만 – 1980년에서 1985년 사이에 GNP 대비 부채 비율이 상당히 높았지만, 높은 수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아시아 네 마리 용 국가들의 환율은 장기간 고정 환율 제도에서 때때로 급격한 평가절하가 있는 관리된 변동 환율 제도를 포함하는 고정-조정 환율 제도로 변경되었다.[9] 이러한 적극적인 환율 관리를 통해 네 마리 용 경제는 환율 상승을 피하고 안정적인 실질 환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수출 정책은 아시아 네 마리 용 경제 부상의 사실상의 이유였다. 네 나라 모두 접근 방식이 달랐다. 홍콩과 싱가포르는 신자유주의적 성격의 무역 제도를 도입하고 자유 무역을 장려했지만, 한국과 대만은 자국의 수출 산업을 수용하는 혼합 제도를 채택했다. 홍콩과 싱가포르는 국내 시장이 작기 때문에 국내 가격이 국제 가격과 연동되었다. 한국과 대만은 거래 상품 부문에 대한 수출 인센티브를 도입했다. 싱가포르, 한국, 대만 정부는 수출 촉진 전략으로 불리는 특정 수출 산업 육성에도 힘썼다. 이러한 정책들은 네 나라가 30년 동안 연평균 7.5%의 성장을 달성하고 선진국 지위에 도달하는 데 기여했다.[13]

하버드 대학교 존 F. 케네디 행정대학원의 다니 로드릭 경제학자는 여러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성장 기적에서 국가 개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14][6] 그는 "정부 정책이 민간 투자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동아시아 성장 기적을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6][8]

2018년 기준,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의 경제 규모는 세계 경제의 3.46%를 차지하며, 총 국내총생산(GDP)은 2.932조달러였다. 국제통화기금(IMF) 추산에 따르면, 2021년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의 1인당 GDP(명목)는 모두 3만 달러를 넘었다.

네 국가 정부는 숙련된 노동자와 엔지니어, 의사와 같은 고급 일자리를 통해 국가에 이익을 가져다주기 위해 인프라뿐만 아니라 교육에도 대규모 투자를 집중했다. 이 정책은 일반적으로 성공적이었으며, 이들 국가가 더욱 발전된 선진 고소득 산업화된 선진국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예를 들어, 네 국가 모두 싱가포르, 대만, 대한민국, 홍콩의 고등학생들이 PISA 평가와 같은 수학 및 과학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대만 학생들은 국제 올림피아드에서 여러 개의 메달을 수상하는 등 세계적인 교육 중심지가 되었다.[17]

고등 교육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많은 명문 대학들이 있다. 2023년 QS 대학 랭킹에서 세계 100대 대학에는 홍콩의 5개 대학, 대한민국의 6개 대학, 싱가포르의 2개 대학, 대만의 1개 대학이 포함되어 있다. 네 국가의 인구가 적고 대학의 역사가 비교적 짧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국가는 미국 또는 영국을 제외한 상위 100개 대학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주목할 만한 대학으로는 국립 대만 대학교, 홍콩 중문대학교,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난양 이공대학교, 홍콩 대학교 등이 있다. 홍콩, 싱가포르, 서울은 고등 교육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3. 1. 경제 지표

(백만$)GDP (명목)
(백만$)1인당 GDP (PPP)
($)1인당 GDP (명목)
($)1인당 GNI (명목)
($)무역 규모
(백만$)수출액
(백만$)수입액
(백만$)무역 의존도 (%)인구출산율한국2,319,5851,629,53244,74031,43033,7201,046,018541,847504,17164.251,709,0981.29타이완1,300,212586,10455,07824,82726,729612,271330,537281,734104.423,603,1211.14싱가포르585,055362,818103,71765,62759,590747,701388,450359,251206.15,703,6000.87홍콩490,880372,98964,92849,33450,8401,114,590535,807578,7832997,524,1001.21



2018년 기준,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의 경제 규모는 세계 경제의 3.46%를 차지하며, 총 국내총생산(GDP)은 2.932조달러였다. 국제통화기금(IMF) 추산에 따르면, 2021년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의 1인당 GDP(명목)는 모두 3만 달러를 넘었다.

국가/지역GDP (PPP)
(백만$, 2022년)
GDP (명목)
(백만$, 2022년)
1인당 GDP (PPP)
($, 2022년)
1인당 GDP (명목)
($, 2022년)
무역 규모
(백만$, 2021년)
수출액
(백만$, 2021년)
수입액
(백만$, 2021년)
인간개발지수
(2021년)
한국2,765,8341,734,20753,57433,5921,113,940644,400469,5400.925
싱가포르700,980423,632131,42679,426786,436457,357329,0790.939
홍콩518,743368,37369,98749,7001,248,493669,903578,5900.952
타이완1,621,702828,65969,50035,513735,135447,693287,4420.926



이들 국가는 교육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숙련된 노동자와 고급 인력을 양성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그 결과,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와 같은 국제 시험에서 높은 성적을 거두는 등 교육 중심지로 성장했다.

2023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세계 100대 대학에는 홍콩의 5개 대학, 대한민국의 6개 대학, 싱가포르의 2개 대학, 대만의 1개 대학이 포함되어 있다. 주요 대학으로는 국립 대만 대학교, 홍콩 중문대학교,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난양 이공대학교, 홍콩 대학교 등이 있다.

3. 2. 산업 구조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이전,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일반적으로 "아시아의 기적"이라고 불림)의 성장은 수출 지향적 정책과 강력한 개발 정책 덕분이었다.[8] 이들 경제는 지속적으로 급속히 성장했고 높은 수준의 소득 분배가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보였다. 세계은행 보고서는 아시아의 기적을 이끈 두 가지 개발 정책으로 요인 축적과 거시경제 관리를 제시한다.[9]

홍콩 경제는 1950년대 섬유 산업 발전과 함께 네 나라 중 가장 먼저 산업화를 겪었다. 1960년대까지 영국 식민지였던 홍콩의 제조업은 확장되어 의류, 전자 제품,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수출 지향적 산업으로 다양화되었다.[10]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한 후, 싱가포르 경제 개발청은 국가 제조업 부문을 육성하기 위한 국가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했다.[11] 세금 감면을 통해 산업 단지가 조성되었고 외국인 투자가 유치되었다. 한편, 대한민국대만은 1960년대 중반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정책을 통해 산업화를 시작했다. 두 나라 모두 홍콩싱가포르처럼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추구했다.[12] 네 나라는 일본의 성공적인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인프라와 교육에 투자하는 등 동일한 목표를 추구했다. 또한, 다른 나라들과 차별화되는 대외 무역 이점, 특히 미국의 경제적 지원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

1960년대 말까지 네 나라의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 수준은 유사한 개발 수준의 다른 나라들을 훨씬 능가했다. 이는 이후 1인당 소득 수준의 급속한 성장으로 이어졌다. 높은 투자가 경제 성장에 필수적이었지만, 인적 자본의 역할 또한 중요했다. 특히 교육은 아시아 경제 기적에서 주요 역할을 했다고 평가된다. 아시아 네 마리 용의 교육 등록 수준은 소득 수준을 고려할 때 예상보다 높았다. 1965년까지 네 나라 모두 보편적 초등 교육을 달성했다.[9] 특히 한국은 1987년 중등 교육 등록률 88%를 달성했다.[9] 아시아의 기적 기간 동안 남녀 간 등록률 격차도 크게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교육 발전은 높은 수준의 문해력과 인지 능력을 가능하게 했다.

안정적인 거시경제 환경 조성은 아시아의 기적의 기반이었다. 아시아의 네 마리 용 국가들은 각기 다른 성공 정도로 재정 적자, 외채환율 세 가지 변수를 관리했다. 각 국가의 재정 적자는 거시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지 않도록 재정 한도 내에서 유지되었다. 특히 한국은 1980년대 OECD 평균보다 낮은 적자를 기록했다. 홍콩, 싱가포르, 대만은 해외에서 차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채가 없었다.[9] 한국은 예외였지만 – 1980년에서 1985년 사이에 GNP 대비 부채 비율이 상당히 높았지만, 높은 수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아시아 네 마리 용 국가들의 환율은 장기간 고정 환율 제도에서 때때로 급격한 평가절하가 있는 관리된 변동 환율 제도를 포함하는 고정-조정 환율 제도로 변경되었다.[9] 이러한 적극적인 환율 관리를 통해 네 마리 용 경제는 환율 상승을 피하고 안정적인 실질 환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수출 정책은 아시아 네 마리 용 경제 부상의 사실상의 이유였다. 네 나라 모두 접근 방식이 달랐다. 홍콩과 싱가포르는 신자유주의적 성격의 무역 제도를 도입하고 자유 무역을 장려했지만, 한국과 대만은 자국의 수출 산업을 수용하는 혼합 제도를 채택했다. 홍콩과 싱가포르는 국내 시장이 작기 때문에 국내 가격이 국제 가격과 연동되었다. 한국과 대만은 거래 상품 부문에 대한 수출 인센티브를 도입했다. 싱가포르, 한국, 대만 정부는 수출 촉진 전략으로 불리는 특정 수출 산업 육성에도 힘썼다. 이러한 정책들은 네 나라가 30년 동안 연평균 7.5%의 성장을 달성하고 선진국 지위에 도달하는 데 기여했다.[13]

하버드 대학교 존 F. 케네디 행정대학원의 다니 로드릭 경제학자는 여러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성장 기적에서 국가 개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14][6] 그는 "정부 정책이 민간 투자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동아시아 성장 기적을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6]

4. 사회

유교는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의 성공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여겨져 왔다. 이는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가 그의 저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제시한 서구의 프로테스탄트 윤리 이론과 유사하다. 유교 문화는 안정성, 근면성, 규율, 그리고 권위자에 대한 충성심과 존중을 중시하여 산업화에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18] 특히, 싱가포르의 리콴유 수상은 아시아적 가치를 주창하며 유교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9]

하지만 이러한 유교 문화의 영향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유교의 발상지인 중국 본토는 네 마리 용과 같은 시기에 경제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며, 1919년 5·4 운동 당시 유교는 중국의 낙후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비난받기도 했다.[18] 경제학자 조지프 스티글리츠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전통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유교적 유산이 이들 국가가 성장하지 못한 이유로 언급되었다"고 지적하며 유교 문화의 역할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제시했다.[20]

아시아 네 마리 용의 신용등급은 다음과 같다.

국가 또는 영토피치무디스S&P
홍콩AA[21]Aa2[22]AA+[23]
싱가포르AAA[24]Aaa[25]AAA
대한민국AA−[26]Aa2[27]AA[28]
대만AA[29]Aa3[30]AA+[31]


4. 1. 교육

1960년대 말까지 네 나라의 인적 자본 수준은 유사한 개발 수준의 다른 나라들을 훨씬 능가했다. 특히 교육은 아시아 경제 기적에서 주요 역할을 했다고 평가된다. 아시아 네 마리 용의 교육 등록 수준은 소득 수준을 고려할 때 예상보다 높았다. 1965년까지 네 나라 모두 보편적 초등 교육을 달성했다.[9] 특히 대한민국은 1987년 중등 교육 등록률 88%를 달성했다.[9] 아시아의 기적 기간 동안 남녀 간 등록률 격차도 크게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교육 발전은 높은 수준의 문해력과 인지 능력을 가능하게 했다.

네 국가 정부는 숙련된 노동자와 엔지니어, 의사와 같은 고급 일자리를 통해 국가에 이익을 가져다주기 위해 인프라뿐만 아니라 교육에도 대규모 투자를 집중했다. 이 정책은 일반적으로 성공적이었으며, 이들 국가가 더욱 발전된 선진 고소득 산업화된 선진국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의 고등학생들은 PISA 평가와 같은 수학 및 과학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대만 학생들은 국제 올림피아드에서 여러 개의 메달을 수상하는 등 세계적인 교육 중심지가 되었다.[17]

고등 교육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많은 명문 대학들이 있다. 2023년 QS 대학 랭킹에서 세계 100대 대학에는 홍콩의 5개 대학, 대한민국의 6개 대학, 싱가포르의 2개 대학, 대만의 1개 대학이 포함되어 있다. 네 국가의 인구가 적고 대학의 역사가 비교적 짧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국가는 미국 또는 영국을 제외한 상위 100개 대학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주목할 만한 대학으로는 국립 대만 대학교, 홍콩 중문대학교,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난양 이공대학교, 홍콩 대학교 등이 있다. 홍콩, 싱가포르, 서울은 고등 교육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4. 2. 인구

국가인구출산율
style="text-align:left;" |51,709,0981.29
style="text-align:left;" |23,603,1211.14
style="text-align:left;" |5,703,6000.87
style="text-align:left;" |7,524,1001.21


4. 3. 사회 문화적 특징

[8]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이전,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일반적으로 "아시아의 기적"이라고 불림)의 성장은 수출 지향적 정책과 강력한 개발 정책 덕분으로 여겨졌다. 이들 경제는 지속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소득 분배 수준이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세계은행 보고서는 아시아의 기적을 이끈 두 가지 개발 정책으로 요인 축적과 거시경제 관리를 제시한다.[9]

1960년대 말, 네 나라의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 수준은 비슷한 개발 수준의 다른 나라들보다 훨씬 높았다. 이는 이후 1인당 소득 수준의 빠른 성장으로 이어졌다. 높은 투자가 경제 성장에 필수적이었지만, 인적 자본의 역할 또한 중요했다. 특히 교육은 아시아 경제 기적에서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된다. 아시아 네 마리 용의 교육 등록 수준은 소득 수준을 고려할 때 예상보다 높았다. 1965년까지 네 나라 모두 보편적 초등 교육을 달성했다.[9] 특히 대한민국은 1987년 중등 교육 등록률 88%를 달성했다.[9] 아시아의 기적 기간 동안 남녀 간 등록률 격차도 크게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교육 발전은 높은 수준의 문해력과 인지 능력을 가능하게 했다.

안정적인 거시경제 환경 조성은 아시아의 기적의 기반이었다. 아시아의 네 마리 용 국가들은 각기 다른 성공 정도로 재정 적자, 외채환율 세 가지 변수를 관리했다. 각 국가의 재정 적자는 거시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지 않도록 재정 한도 내에서 유지되었다. 특히 한국은 1980년대 OECD 평균보다 낮은 적자를 기록했다. 홍콩, 싱가포르, 대만은 해외에서 차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채가 없었다.[9] 한국은 예외였지만 – 1980년에서 1985년 사이에 GNP 대비 부채 비율이 상당히 높았지만, 높은 수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아시아 네 마리 용 국가들의 환율은 장기간 고정 환율 제도에서 때때로 급격한 평가절하가 있는 관리된 변동 환율 제도를 포함하는 고정-조정 환율 제도로 변경되었다.[9] 이러한 적극적인 환율 관리를 통해 네 마리 용 경제는 환율 상승을 피하고 안정적인 실질 환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유교의 역할은 네 마리 아시아의 용(Four Asian Tigers)의 성공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결론은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가 그의 저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제시한 서구의 프로테스탄트 윤리 이론과 유사하다. 유교 문화는 안정성, 근면성, 규율, 그리고 권위자에 대한 충성심과 존중을 중시했기 때문에 산업화와 양립할 수 있었다고 한다.[18] 아시아의 용들의 기업 및 정치 제도에는 유교의 영향이 상당하다. 싱가포르의 리콴유 수상은 아시아에서 서구 문화의 영향에 대한 대안으로 아시아적 가치를 주창했다.[19] 그러나 이 이론은 비판 없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네 마리 용과 같은 시기에 중국 본토의 경제적 성공은 부족했는데, 중국은 유교의 발상지였다. 1919년 5·4 운동 당시 유교는 서구 열강과 경쟁할 수 없었던 중국의 원인으로 비난받았다.[18]

1996년, 경제학자 조지프 스티글리츠는 역설적으로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전통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유교적 유산이 이들 국가가 성장하지 못한 이유로 언급되었다"고 지적했다.[20]

아시아 네 마리 용의 신용등급은 다음과 같다.

국가 또는 영토피치무디스S&P
홍콩AA[21]Aa2[22]AA+[23]
싱가포르AAA[24]Aaa[25]AAA
대한민국AA−[26]Aa2[27]AA[28]
대만AA[29]Aa3[30]AA+[31]


5. 국제 관계

[8]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이전,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일반적으로 "아시아의 기적"이라고 불림)의 성장은 수출 지향적 정책과 강력한 개발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들 경제의 특징은 지속적인 급속한 성장과 높은 수준의 소득 분배였다. 세계은행 보고서는 아시아의 기적의 원천으로 요인 축적과 거시경제 관리 등 두 가지 개발 정책을 제시한다.[9]

홍콩 경제는 1950년대 섬유 산업 발전과 함께 네 나라 중 가장 먼저 산업화를 경험했다. 1960년대까지 영국 식민지의 제조업은 확장되어 의류, 전자 제품,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수출 지향적 산업으로 다양화되었다.[10]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 이후, 싱가포르 경제 개발청은 국가 제조업 부문을 육성하기 위한 국가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했다.[11] 세금 감면을 통해 산업 단지가 조성되었고 외국인 투자가 유치되었다. 한편, 한국대만은 1960년대 중반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정책을 통해 산업화를 시작했다. 두 나라 모두 홍콩과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추구했다.[12] 네 나라는 일본의 성공적인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인프라와 교육에 투자하는 등 동일한 목표를 추구했다. 또한, 다른 나라들과 차별화되는 대외 무역 이점, 특히 미국의 경제적 지원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

1960년대 말까지 네 나라의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 수준은 유사한 개발 수준의 다른 나라들을 훨씬 능가했다. 특히 교육은 아시아 경제 기적에서 주요 역할을 했다고 평가된다. 1965년까지 네 나라 모두 보편적 초등 교육을 달성했다.[9] 특히 한국은 1987년 중등 교육 등록률 88%를 달성했다.[9]

안정적인 거시경제 환경 조성은 아시아의 기적의 기반이었다. 한국은 1980년대 OECD 평균보다 낮은 재정 적자를 기록했다. 홍콩, 싱가포르, 대만은 해외에서 차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채가 없었다.[9] 한국은 예외였지만, 높은 수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아시아 네 마리 용 국가들의 환율은 장기간 고정 환율 제도에서 때때로 급격한 평가절하가 있는 관리된 변동 환율 제도를 포함하는 고정-조정 환율 제도로 변경되었다.[9] 이러한 적극적인 환율 관리를 통해 네 마리 용 경제는 환율 상승을 피하고 안정적인 실질 환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수출 정책은 아시아 네 마리 용 경제의 부상에 대한 사실상의 이유였다. 홍콩과 싱가포르는 신자유주의적 성격의 무역 제도를 도입하고 자유 무역을 장려했지만, 한국과 대만은 자국의 수출 산업을 수용하는 혼합 제도를 채택했다. 싱가포르, 한국, 대만 정부는 수출 촉진 전략으로 불리는 특정 수출 산업 육성에도 힘썼다. 이러한 정책들은 네 나라가 30년 동안 연평균 7.5%의 성장을 달성하고 선진국 지위에 도달하는 데 기여했다.[13]

하버드대학교 존 F. 케네디 행정대학원의 대니 로드릭 경제학자는 여러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성장 기적에서 국가 개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14][6]

5. 1. 국제기구 가입 현황

국가·지역G20OECDAPECEASASEAN
한국○ (APT)
대만××××
홍콩××××
싱가포르××


참조

[1] 논문 Four Asian Tigers'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Revisited 1998-2017: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Identity 2021
[2] 웹사이트 Can Africa really learn from Korea? http://www.afrol.com[...] Afrol News 2008-11-24
[3] 뉴스 Korea role model for Latin America: Envoy http://www.korea.net[...]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2008-03-01
[4] 논문 Korean economic growth and marketing practice progress: A role model for economic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2008-09-02
[5] 서적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https://archive.org/[...] Blackwell
[6] 논문 The 'paradoxes' of the successful state 1997-04-01
[7] 서적 The East Asian Development Experience https://books.google[...] Zed Books
[8] 웹사이트 Economic Research at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https://fred.stlouis[...]
[9] 서적 NBER Macroeconomics Annual https://www.nber.org[...] MIT Press
[10] 웹사이트 Economic History of Hong Kong http://eh.net/encycl[...] EH.net 2008-03-16
[11] 웹사이트 Singapore Infomap – Coming of Age http://www.sg/explor[...] Ministr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the Arts
[12]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1945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Bedford/St. Martin's 2003-11-10
[13] 뉴스 Troubled Tigers https://www.economis[...]
[14] 논문 Getting Interventions Right: How South Korea and Taiwan Grew Rich http://www.nber.org/[...] 1995
[15] 뉴스 East Asian Economies: Tigers adrift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16] 논문 Finance-growth nexus revisited for some Asian countries
[17] 뉴스 Multiple news articles about Taiwan's success in international Olympiads Multiple URLs Multiple sources including The Central News Agenc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hina, Forbes, BBC News, Business Insider, US News, The China Post, The Taipei Times, Taiwan News 2017-08-16
[18] 서적 Demystifying the Chinese Econom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10-27
[19] 서적 Religion and the Making of Modern East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4-25
[20] 간행물 Some Lessons from the East Asian Miracle http://documents.wor[...] World Bank 1996-08
[21] 웹사이트 Hong Kong Credit Ratings https://www.fitchrat[...]
[22] 뉴스 Rating Action: Moody's changes outlook on Hong Kong's Aa2 rating to negative from stable; affirms rating https://www.moodys.c[...] 2019-09-16
[23] 뉴스 S&P keeps Hong Kong's AA+ rating despite protests, cites strong finances https://www.reuters.[...] 2019-10-08
[24] 웹사이트 Singapore Credit Ratings https://www.fitchrat[...]
[25] 뉴스 Rating Action: Moody's affirms Singapore's Aaa ratings; maintains stable outlook https://www.moodys.c[...] 2018-11-12
[26] 웹사이트 Korea Credit Ratings https://www.fitchrat[...]
[27] 뉴스 Announcement of Periodic Review: Moody's announces completion of a periodic review of ratings of Korea, Government of https://www.moodys.c[...] 2020-02-15
[28] 뉴스 S&P keeps Korea's rating at AA with stable outlook https://en.yna.co.kr[...] 2019-11-06
[29] 웹사이트 Taiwan - Credit Rating https://www.fitchrat[...]
[30] 뉴스 Moody's announces completion of a periodic review of ratings of Taiwan, Government of https://www.moodys.c[...] 2020-02-15
[31] 뉴스 S&P raises Taiwan's long-term issuer credit ratings on strong economic performance https://www.reuters.[...] 2022-04-29
[32] 웹사이트 Countries in the world by population (2022) https://www.worldome[...]
[33] 웹사이트 Life Expectancy of the World Population https://www.worldome[...]
[34]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for Hong Kong SAR, China https://fred.stlouis[...] Economic Research 2022-11-22
[35]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for Singapore https://fred.stlouis[...] Economic Research 2022-11-22
[36] 웹사이트 S.Korea's birth rate decline accelerates to world's lowest https://www.kedgloba[...] 2022-11-22
[37] 웹사이트 婚育危機1》人口「生不如死」爆國安危機 各級政府對應卻如「扮家家酒」 https://new7.storm.m[...] 2022-11-22
[38] 웹사이트 Worldwide, Median Household Income About $10,000 http://www.gallup.co[...] 2013-12-16
[39] 간행물 Gallup® Global Wellbeing: The Behavioral Economics of GDP Growth https://web.archive.[...] Gallup 2017-08-16
[40]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0: Reader's Guide http://hdr.undp.org/[...] United Nation Development Program 2021-03-12
[41] 웹사이트 What is the human development index (HDI)? How are relevant data queried? https://eng.stat.gov[...]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Taiwan (ROC) 2021-03-14
[42] 웹사이트 人類發展指數(Human Development Index, HDI) https://web.archive.[...]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Taiwan (ROC) 2021-03-13
[43] 웹사이트 國情統計通報(第 195 號) https://ws.dgbas.gov[...]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Taiwan (ROC) 2022-10-16
[44]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Republic of China (Taiwan) https://eng.stat.gov[...]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Taiwan (ROC) 2022-10-16
[45] 웹사이트 The state of mobile network experience https://web.archive.[...] Opensignal 2021-06-29
[46] 웹사이트 Visa Survey: Hongkongers choosing mobile to browse and purchase online https://web.archive.[...] Visa Inc. 2016-08-30
[47] 웹사이트 Singapore leads SEA in smartphone, MBB adoption https://web.archive.[...] telecomasia.net 2016-08-30
[48] 웹사이트 "Made for Taiwan": the next billion-dollar app market http://www.androidau[...] androidauthority.com 2016-08-30
[49] 웹사이트 Index 2023 – Global score https://rsf.org/en/i[...] 2023-05-03
[50] 웹사이트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9 http://www3.weforum.[...] 2022-10-21
[51] 보도자료 HKMA joins SEACEN http://www.info.gov.[...] Hong Kong Government 2017-08-16
[52] 웹사이트 ザ 語源 第32回 アジア四小龍 国名の由来 {{!}} ゼロから学べるアイザワ投資大学 https://www.aizawase[...] 2024-05-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