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하캄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 하캄 1세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초에 코르도바를 통치한 우마이야 왕조의 아미르였다. 그는 아버지 히샴 1세의 뒤를 이어 권력을 잡았지만, 삼촌들의 반란에 직면했다. 통치 기간 동안 톨레도, 사라고사, 메리다 등지에서 발생한 여러 반란을 진압했으며, 806년에는 코르도바에서 자신을 폐위하려는 음모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귀족들을 학살했다. 그는 친위대 알 하라스를 조직하고, 과달키비르 강변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여 주민들을 추방하기도 했다. 822년에 사망했으며, 압드 알라흐만 2세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22년 사망 - 김헌창
김헌창은 신라 하대에 아버지 김주원의 왕위 계승 실패에 불만을 품고 웅천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장안국을 세웠으나 진압군에 패배하여 자결한 인물로, 그의 난은 신라 하대 정치적 혼란의 대표적 사건이다. - 822년 사망 - 사이초
사이초는 일본 헤이안 시대의 승려로, 일본 천태종을 개창하고 당나라에서 천태교학을 배운 뒤 귀국하여 일본 불교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771년 출생 - 콘스탄티노스 6세
콘스탄티노스 6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어머니 이리니와 권력 다툼, 간통 논쟁, 불가리아 원정 실패 등으로 혼란을 야기하다가 이리니의 반란으로 폐위되어 사망했다. - 771년 출생 - 피피누스 카를로마누스
샤를마뉴의 아들 피피누스 카를로마누스는 롬바르디아 분국왕으로 책봉되어 교황으로부터 정통성을 부여받고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쳤으나 베네치아 원정 실패 후 사망, 그의 사후 아들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반란을 일으켜 처형되었다. - 코르도바 아미르 - 아브드 알라흐만 1세
아브드 알라흐만 1세는 756년 이베리아 반도에 후우마이야 왕조를 건국하고 아바스 왕조의 침략과 반란을 진압하며 코르도바 대사원을 건설하는 등 알 안달루스에 우마이야 왕조를 재건한 인물이다. - 코르도바 아미르 - 알 문디르
알 문디르는 코르도바에서 태어나 군사 작전을 지휘했으며, 아스투리아스 왕국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반란군을 진압했으나, 바누 카시 가문에 패배한 후, 886년 코르도바의 왕이 되었지만 888년 사망했다.
알 하캄 1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제3대 코르도바 아미르 |
통치 기간 | 796년 6월 12일 – 822년 5월 21일 |
선임자 | 히샴 1세 |
후임자 | 아브드 알 라흐만 2세 |
왕조 | 우마이야 |
종교 | 이슬람교 |
개인 정보 | |
출생 | 771년, 코르도바 |
사망 | 822년 5월 21일 (771년 출생 기준 향년 51세), 코르도바 |
아버지 | 히샴 1세 |
어머니 | 조크루프 |
배우자 | 알려진 바 없음 |
자녀 | 아브드 알 라흐만 2세 |
이름 (아랍어) | الحكم بن هشام بن عبد الرحمن |
2. 생애
하캄 1세는 서구권에서 통용되는 호칭이다. 아랍어 사료에서는 그의 치세 중 코르도바 교외(rabaḍ|라바드ar)에서 일어난 반란 때문에 al-Ḥakam al-Rabaḍī|알 하캄 알 라바디ar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스페인어로는 관용적으로 ''Alhakén, Alhaquénes''이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하캄 1세의 이슴과 나사브를 합한 이름은 Abu ’l-ʿAsī al-Ḥakam b. His̲h̲āmar이다. 즉 하캄은 압드 알라흐만 1세의 손자이자, 히샴 1세의 아들이다. 아버지 히샴이 사망했을 때 히샴의 형제이자 할아버지 압드 알라흐만의 아들인 술라이만과 압둘라가 하캄에게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했다.[8]
하캄 1세의 아버지는 히샴 이븐 압드 알라흐만이며, 어머니는 조크루프(Zokhrouf)라는 첩이다.[12]
하캄 1세는 다음과 같은 자녀를 두었다.[13]
하캄은 아잡(Ajab)이라는 여성을 아내 중 한 명으로 맞이했다. 아잡은 코르도바 교외에 중증 피부병 환자를 위한 시설을 건립했다.[15] 이 시설은 아잡의 이름을 딴 문야 아잡(Munyat 'Ajab)이라는 와크프 재산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운영되었다.[16] 아잡은 다음 자녀의 어머니이다:[15]
- 아부 압드 알말리크 마르완
무타(Mut'a)라는 이름의 아내도 있었으며, 그녀는 묘지를 설립했다. 해당 묘지는 10세기까지 존재했다.[17]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승계
알 하캄 1세는 히샴 1세의 둘째 아들이었고, 그의 형은 일찍 사망했다. 알 하캄 1세가 권력을 잡았을 때, 할아버지 압드 알 라흐만 1세의 아들들인 삼촌 술레이만과 압달라가 왕위를 주장하며 도전했다. 압달라는 자신의 두 아들 우바이드 알라와 압드 알 말리크를 샤를마뉴의 아헨 궁정으로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한편, 술레이만은 코르도바를 공격했지만 패배하고 메리다로 후퇴하던 중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압달라는 용서를 받았지만 발렌시아에 머물러야 했다.[3]2. 2. 잦은 반란과 강경 진압
알 하캄 1세는 아버지 히샴 1세의 둘째 아들이었으며, 형은 일찍 사망했다. 그가 권력을 잡았을 때, 할아버지 압드 알 라흐만 1세의 아들인 삼촌 술레이만과 압달라의 도전을 받았다. 압달라는 두 아들을 샤를마뉴의 아헨 궁정으로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그동안 술레이만은 코르도바를 공격했지만 패배하여 메리다로 후퇴하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압달라는 용서받았지만 발렌시아에 머물러야 했다.[3]알 하캄은 톨레도, 사라고사, 메리다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 통치 기간의 많은 부분을 보냈다. 봉기는 두 번이나 코르도바에까지 이르렀다. 알 하캄을 폐위하고 사촌 무함마드 이븐 알-카심으로 교체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음모는 발각되었다. 806년 11월 16일, 72명의 귀족과 그들의 시종(일부는 5,000명이라고 함)이 연회에서 학살당하고 십자가에 못 박혀 과달키비르 강 둑을 따라 전시되었다. 이러한 잔혹한 전시 행위는 당시 흔한 일이었으며, 북쪽 원정에서 살해된 반군 지도자나 기독교 적들의 머리가 코르도바 성문에 전시되기도 했다.[1]
코르도바의 반란 이후, 알 하캄은 친위대 알 하라스를 창설했는데, 이들은 코르도바 기독교의 비시고트 지도자이자 에미르의 세금 징수관으로도 활동했던 테오둘프의 아들인 Comes (백작) 라비가 이끌었다. 라비는 나중에 부패 혐의로 제거되어 십자가형에 처해졌다.[2]
818년, 그는 과달키비르 강 남쪽 기슭에 있는 교외 al-Ribad|알-리바드ar에서 성직자들이 이끈 반란을 진압했다. 약 300명의 유력자들이 체포되어 십자가에 못 박혔고, 나머지 주민들은 추방되었다. 일부는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로, 일부는 페스와 크레테로 이동하여 토후국을 형성했다. 또 다른 이들은 레반트 해적에 합류했다.[3]
2. 3. 친위대 조직과 통치
알 하캄은 코르도바 반란 이후 신변 경호에 신경 쓰게 되었고, 아미르와 개인적으로 연결된 친위대 알 하라스를 조직했다. 이 친위대는 코르도바 기독교의 비시고트 지도자이자 에미르의 세금 징수관으로도 활동했던 테오둘프의 아들인 Comes(백작) 라비가 이끌었다. 라비는 나중에 부패 혐의로 제거되어 십자가형에 처해졌다.[2][10]2. 4. 죽음
알 하캄 1세는 822년에 26년간의 통치를 끝으로 사망했다.[8] 그는 서구권에서 통용되는 호칭이다. 아랍어 사료에서는 그의 치세 중에 코르도바 교외(rabaḍ|라바드ar)에서 일어난 반란 때문에 al-Ḥakam al-Rabaḍī|알 하캄 알 라바디ar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스페인어로는 관용적으로 Alhakén, Alhaquénes이라고 표기되기도 한다.3. 가족
알 하캄 1세는 히샴 1세와 그의 첩 조크로프 사이에서 태어났다.[4]
알 하캄 1세는 여러 부인과 첩을 두었으며, 그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다. 알려진 부인과 첩, 그리고 그 자녀들은 다음과 같다.
아잡은 코르도바 교외에 한센병 환자를 위한 시설을 설립했으며,[6] 이 시설은 아잡의 이름을 딴 문야트 아잡의 수입으로 운영되었다.[7]
참조
[1]
서적
Early Medieval Spain
St. Martin's Press
[2]
서적
Christian Martyrs in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5-08
[3]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Islamic dynasties
Anmol Publications PVT. LTD.
[4]
간행물
Histoire des Almohades d´Abd el-Wahid Merrakechi
Algiers
[5]
간행물
Historia política del reino Asturiano (718-910)
[6]
서적
Cities, texts, and social networks, 400-1500: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edieval urban space
Ashgate Publishing, Ltd.
[7]
서적
Gardens, landscape, and vision in the palaces of Islamic Spain
Penn State Press
[8]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Islamic dynasties
Anmol Publications PVT.
[9]
서적
Early Medieval Spain
St. Martin's Press
[10]
서적
Christian Martyrs in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5-08
[11]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Islamic dynasties
Anmol Publications PVT.
[12]
간행물
Histoire des Almohades d´Abd el-Wahid Merrakechi
Algiers
[13]
웹사이트
Moorish Spain page at Medieval Lands
http://fmg.ac/Projec[...]
[14]
간행물
Historia política del reino Asturiano (718-910)
[15]
서적
Cities, texts, and social networks, 400-1500: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edieval urban space
Ashgate Publishing, Ltd.
[16]
서적
Gardens, landscape, and vision in the palaces of Islamic Spain
Penn State Press
[17]
서적
Cities, texts, and social networks, 400-1500: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edieval urban space
Ashgate Publishing,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