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스탄티노스 6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노스 6세는 780년부터 797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였다. 그는 776년 아버지 레온 4세에 의해 공동 황제로 임명되었고, 780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10세의 나이에 어머니 이리니의 섭정 아래 황위에 올랐다. 그는 프랑크 왕국의 카롤루스 대제의 딸과 약혼했으나 어머니에 의해 파혼되었고, 제2차 니케아 공의회의 칙령에 서명했지만 성상 파괴주의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790년 실질적인 권력을 잡았지만, 불가리아와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삼촌의 눈을 멀게 하는 등 잔혹한 행위로 인해 백성들의 지지를 잃었다. 그는 아내와 이혼하고 테오도테와 재혼하여 '모에키안 논쟁'을 일으켰으며, 이로 인해 교회 기득권의 지지를 잃었다. 797년 어머니 이리니에 의해 폐위되어 눈이 멀고 투옥되었으며, 이후 이리니가 제국의 첫 여제로 즉위했다. 콘스탄티노스 6세는 805년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97년 사망 - 트리송데첸
    트리송데첸은 8세기 티베트 제국의 군주로, 장안 점령, 영토 확장, 당과의 군사적 충돌, 불교 장려, 삼예 사원 논쟁 등을 통해 티베트 불교의 기틀을 다졌으나, 잦은 전쟁과 영토 확장으로 비판받기도 합니다.
  • 771년 출생 - 알 하캄 1세
    알 하캄 1세는 8세기 말에서 9세기 초에 코르도바를 통치한 우마이야 왕조의 아미르였으며, 삼촌들의 반란과 여러 도시의 반란을 진압하고 귀족들을 학살하는 등 강압적인 통치를 하다가 822년에 사망했다.
  • 771년 출생 - 피피누스 카를로마누스
    샤를마뉴의 아들 피피누스 카를로마누스는 롬바르디아 분국왕으로 책봉되어 교황으로부터 정통성을 부여받고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쳤으나 베네치아 원정 실패 후 사망, 그의 사후 아들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반란을 일으켜 처형되었다.
  • 이사브리아 왕조 - 레온 3세
    레온 3세는 8세기 초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에서 이슬람 제국의 침공을 막아냈지만, 말년의 성상 파괴 운동으로 동서 교회의 분열을 심화시켰다.
  • 이사브리아 왕조 - 콘스탄티노스 5세
    콘스탄티노스 5세는 레오 3세의 아들이자 741년부터 775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성상 파괴 운동을 지지하고 아랍 및 불가리아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며 행정 및 군사 개혁을 추진했다.
콘스탄티노스 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로마인의 황제
재위 기간780년 9월 8일 – 797년 8월 19일
선임 황제레오 4세
후임 황제이리니
섭정이리니 (780–790), 이리니 (792–797, 공동 통치자)
출생일771년 1월 14일
사망일805년 이전
배우자마리아, 테오도테
자녀에우프로시네
대관식776년 4월 14일
왕조이사우리아 왕조
아버지레오 4세
어머니이리니
이름
그리스어Κωνσταντῖνος ΣΤ' (Kōnstantinos VI)
라틴어Constantinus
이사우리아 왕조 연대표
연대표레오 3세 (717–741)
콘스탄티누스 5세와 공동 통치 (720–741)
콘스탄티누스 5세 (741–775)
레오 4세와 공동 통치 (751–775)
아르타바스도스 찬탈 (741–742)
니케포로스와 공동 통치 (741–742)
레오 4세 (775–780)
콘스탄티누스 6세와 공동 통치 (776–780)
콘스탄티누스 6세 (780–797)
이리니 섭정 (780–790)
이리니 공동 통치 (792–797)
이리니 (797–802)
계승이전: 20년 무정부 시대
이후: 니케포로스 왕조
이미지
콘스탄티누스 6세 – 금화 솔리두스. 비문은 CONSTANTINOS BASIΘ.
콘스탄티누스 6세 - 금화 솔리두스. 비문은 }}
레오 4세와 콘스탄티노스 6세의 동전
아버지 레오 4세 (왼쪽)와 콘스탄티노스 6세 (오른쪽)

2. 생애

780년 아버지 레온 4세가 사망하면서 콘스탄티노스 6세가 즉위했지만, 9세의 어린 나이였기에 어머니 이리니섭정을 하였다.[13] 이리니는 성상 파괴 운동에 부정적이었고, 성상 파괴령을 파기하고 성상 부활 정책을 채택했다. 그러나 성상 파괴 운동 지지자들은 콘스탄티노스 6세와 결탁하여 이리니와 대립하였다.

콘스탄티노스 6세는 처음에는 어머니와 사이가 좋지 않아 성상 파괴 운동을 지지했지만, 이후 성상 파괴 운동 지지자들과도 대립하게 되었다. 또한, 할아버지 콘스탄티누스 5세를 따라 제1차 불가리아 제국에 친정했지만, 공포에 질려 싸우지 않고 도주하여 군대와 정부 고위 관리의 지지도 잃었다.

797년 6월, 어머니 이리니는 아들에게 반란을 일으켜 그를 내쫓았다. 콘스탄티누스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도망쳤으나 결국 붙잡혔고, 8월 15일 이리니는 아들의 눈을 멀게 했다.[10][11] 그는 눈이 멀게 된 직후 상처로 인해 곧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2. 1. 초기 생애와 섭정

776년 아버지 레온 4세에 의해 공동 황제로 임명되었고, 780년 아버지가 죽자 10살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여 어머니 이리니가 섭정을 하였다.[2] 782년 프랑크 왕국의 왕 카롤루스 대제의 딸과 약혼했으나 6년 후 어머니가 파혼했다. 그는 줄곧 섭정인 어머니의 영향 아래에 있었고, 이리니는 국정을 장악하고 전권을 행사했다.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 칙령에 서명했는데, 이것도 어머니 이리니의 영향 아래 벌어진 일이다.[2]

790년 콘스탄티노스가 성년이 되었음에도 어머니 이리니는 권력을 놓지 않았고, 아들과 마찰을 벌여 아들을 투옥했다. 성상 옹호론자였던 이리니에 반대하는 성상 파괴론자들은 콘스탄티노스를 중심으로 뭉쳐서 그를 단독 황제로 추대하고 이리니를 황궁에 감금했다. 단독 황제가 된 이후에도 힘이 없고 유약했던 콘스탄티노스는 연이은 이슬람과 불가르족의 침입에 무력한 모습을 보였고, 이로 인해 불만이 고조되어 레온 4세의 형제들, 즉 콘스탄티노스의 삼촌들을 중심으로 반란이 일어났을 때는 이를 잔혹하게 진압하여 백성들의 신망을 잃었다. 792년 이리니를 복위시켰다.[7][8]

795년 황제는 아내와 이혼하고 궁녀였던 테오도테를 새 황후로 삼았는데, 이것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신앙심 깊은 사람들의 반감을 샀다. 이 문제는 이른바 ‘간통 논쟁(Moechian controversy)’을 낳았고, 향후 동로마 제국의 종교 분쟁을 야기하게 된다.

2. 2. 제2차 니케아 공의회와 성상 논쟁

780년 아버지 레온 4세가 죽자 어머니 이리니의 섭정 아래 공동 황제가 된 콘스탄티노스 6세는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의 결과에 서명했다.[2] 이는 어머니 이리니의 영향 아래 벌어진 일이었다. 당시 16세였던 콘스탄티노스는 공의회 칙령에 서명했지만, 성상 파괴주의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2]

어머니 이리니는 성상 파괴 운동에 부정적이었고, 성상 파괴령을 파기하고 성상 부활 정책을 채택했다.[13] 그러나 그 때문에 성상 파괴 운동을 지지하는 일파가 콘스탄티노스 6세와 결탁하여 이리니와 대립하기도 했다.

2. 3. 이리니와의 갈등과 권력 투쟁

776년 아버지에 의해 공동 황제로 임명되었고, 780년 아버지가 죽자 어머니 이리니의 섭정 아래 어머니와 공동 황제가 되었다.[2] 782년 프랑크 왕국의 왕 카롤루스 대제의 딸과 약혼했으나, 788년 어머니가 파혼했다.[6] 그는 줄곧 섭정인 어머니의 영향 아래에 있었고, 이리니는 국정을 장악하고 전권을 행사했다.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 서명했지만, 성상 파괴주의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2]

790년 콘스탄티노스가 성년이 되었음에도 어머니 이리니는 권력을 놓지 않았고, 아들과 마찰을 벌였다. 성상 옹호론자였던 이리니에 반대하는 성상파괴론자들은 콘스탄티노스를 중심으로 뭉쳤고, 아르메니아크가 이리니에 반란을 일으킨 후, 콘스탄티노스는 실질적인 권력을 잡았다.[7] 그러나 발칸 반도 원정에 실패한 후, 792년 콘스탄티노스는 어머니를 복위시키고 공동 통치자로 삼았다.[7][8]

단독 황제가 된 이후 콘스탄티노스는 792년 마르켈레 전투에서 불가리아의 카르담에게 패배하는 등 무력한 모습을 보였다.[2] 이로 인해 불만이 고조되어 삼촌 니케포로스를 중심으로 반란이 일어났을 때는, 삼촌의 눈을 멀게 하고 아버지의 이복 형제 4명의 혀를 자르는 등 잔혹하게 진압하여 백성들의 신망을 잃었다.[2]

795년 황제는 아내 암니아의 마리아와 이혼하고 궁녀였던 애인 테오도테를 새 황후로 삼았는데, 이는 '간통 논쟁(Moechian controversy)'을 낳았고, 동로마 제국의 종교 분쟁을 야기했다. 콘스탄티노스는 점점 더 성상 파괴를 지지하는 쪽으로 돌아섰고, 그에 대한 반대의 물결이 거세졌다.[2]

797년 6월, 어머니 이리니는 아들에게 반란을 일으켜 그를 내쫓는 데 성공한다. 콘스탄티누스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도망쳤으나 결국 붙잡혔다. 8월 15일 이리니는 아들의 눈을 멀게 했다.[10][11] 그는 눈이 멀게 된 직후 상처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리니가 세운 성 유프로시네 수도원에 묻혔다.[2]

2. 4. 폐위와 죽음

797년 콘스탄티노스 6세는 어머니 이리니의 지지자들에 의해 체포되어 눈이 멀게 되는 형벌을 받고 투옥되었다.[2] 이리니는 아들을 상대로 음모를 꾸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첫 여제가 되도록 하였다. 콘스탄티노스 6세가 정확히 언제 사망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805년 이전인 것은 확실하며, 눈이 멀게 된 직후 상처로 인해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2] 그는 이리니가 세운 성 유프로시네 수도원에 묻혔다.[2]

콘스탄티노스 6세는 792년 마르켈레 전투에서 불가리아의 카르담에게 굴욕적인 패배를 당하는 등[2] 통치 능력이 부족함을 드러냈다. 그는 삼촌인 카이사르 니케포로스를 지지하는 음모가 진행되자 삼촌의 눈을 멀게 하고 아버지의 이복 형제 4명의 혀를 자르는 잔혹함을 보였다.[2] 793년에는 아르메니아 지지자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극심한 잔혹함으로 진압하기도 했다.[2][9]

795년에는 아들을 낳지 못한 아내 암니아의 마리아와 이혼하고, 정부였던 테오도테와 결혼하여 "모에키안 논쟁"을 일으켰다. 이 결혼은 인기가 없었을 뿐 아니라 교회법적으로도 불법이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타라시오스 총대주교는 공개적으로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결혼 주례를 거부했다. 테오도테의 삼촌 사쿠디온의 플라톤은 타라시오스의 소극적인 태도에 교제를 끊는 등 대중의 반대를 표명했고, 결국 투옥되었다. 이 "모에키안 논쟁"으로 콘스탄티노스는 남은 인기마저 잃게 되었고, 특히 이레네는 자신의 아들을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2]

어머니 이레네는 성상 파괴 운동에 부정적이었고, 성상 파괴령을 파기하고 성상 부활 정책을 채택했다.[13] 그러나 이 때문에 성상 파괴 운동을 지지하는 일파가 콘스탄티노스 6세와 결탁하여 이레네와 대립하였다. 콘스탄티노스 6세는 처음에는 어머니와 사이가 좋지 않아 성상 파괴 운동을 지지했지만, 이후 성상 파괴 운동 지지파와도 대립하게 되었다. 또한, 할아버지 콘스탄티누스 5세를 따라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을 친정했지만, 싸우지 않고 도주하는 실수를 저질러 군대와 정부 고위 관리의 지지도 잃었다.

이러한 상황을 틈타 이레네는 797년 군대를 동원하여 콘스탄티노스 6세를 체포하고, 친아들의 눈을 멀게 하여 추방했다.[14] 콘스탄티노스 6세가 추방된 후, 제국 동부에서는 이레네가 스스로 로마 제국 최초의 여제를 칭했고,[15] 제국 서부에서는 프랑크 왕국의 국왕 카를이 로마 교황 레오 3세에 의해 콘스탄티노스 6세의 후계자로서 로마 황제로 대관되었다.[16][17][18][19]

3. 가족 관계

배우자자녀
마리아
테오도테



콘스탄티노스 6세는 처음에 샤를마뉴의 딸 로트루트와 약혼했으나, 성상 숭배 부활 정책이 채택된 후에 파혼되었다.[20]

참조

[1] 웹사이트 Konstantinos VI https://www.degruyte[...]
[2] 서적
[3] 서적 The Emperors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22
[4] 논문 The daughter of a Byzantine Emperor – the wife of a Galician-Volhynian Prince https://www.academia[...] 2014
[5]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1864
[6] 간행물 Adelchi, re dei Longobardi 1960
[7] 웹사이트 Constantine VI (780–797) https://www.doaks.or[...]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c. 500–149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c. 500–149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0] 서적 The Chronicle of Theophanes Confessor Oxford University Press
[11] 논문 The Tombs and Obits of the Byzantine Emperors (337–1042); With an Additional Note https://archive.org/[...] 1962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c. 500–149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3] 서적
[14] 인용
[15] 서적
[16] 서적 ビザンツ帝国史 学校法人東海大学出版会
[17] 서적 ヨーロッパ世界の誕生 創文社
[18] 서적 神聖羅馬帝国 国民図書
[19] 서적 世界歴史大系 ドイツ史1 山川出版社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