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앤디 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디 훅은 "푸른 눈의 사무라이"라는 별명으로 불린 스위스 출신의 가라테 선수로, K-1에서 활약하며 1996년 K-1 월드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다. 훅은 가라테를 기반으로 한 화려한 발차기 기술과 뛰어난 투지로 많은 강자들을 상대로 승리했으며, 특히 자신에게 패배를 안겨준 상대에게 복수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3년 연속 K-1 그랑프리 결승에 진출하는 등 K-1에 큰 족적을 남겼으나, 2000년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킥복싱 선수 - 비외른 브레기
    스위스 출신 격투가 비외른 브레기는 K-1 스칸디나비아 그랑프리, K-1 월드 그랑프리 암스테르담에서 우승하고 WKA 유럽 헤비급 챔피언을 지내는 등 K-1에서 활약했다.
  • 프랑스계 스위스인 -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을 네 단계로 나누고 '스키마', '동화', '조절' 개념을 통해 인지 발달 과정을 분석한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인식론자로서, 발달심리학, 교육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계 스위스인 - 알랭 들롱
    알랭 들롱은 1960년대부터 80년대까지 프랑스를 대표하는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로, 《태양은 가득히》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거장 감독들과 함께 85편 이상의 영화에 출연하고 제작 및 감독에도 참여했고, 2019년 칸 영화제에서 명예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지만, 복잡한 사생활과 건강 문제로도 주목받았다.
앤디 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앤디 훅 사진
앤디 훅
본명안드레아스 훅
다른 이름푸른 눈의 사무라이
철인 (일본어: 데쓰진)
미스터 K-1
태풍
국적스위스
출생일1964년 9월 7일
출생지취리히, 스위스
사망일2000년 8월 24일 (향년 35세)
사망 장소분쿄, 도쿄, 일본
신장1.80 m
체중97.7 kg
체급헤비급
리치1.83 m
스탠스사우스포
소속팀팀 앤디 훅
도장 가마쿠라
히라나카 복싱 스쿨 짐
활동 기간1977–2000
배우자일로나 훅 (1993년 결혼, 2000년 사별)
제자샤빗 바이라미
비외른 브레기, 페타르 마이스토로비치
마이클 맥도날드
격투 스타일
무술극진 가라테 (5단)
정도회관
킥복싱
킥복싱 기록
총 경기 수47
승리37
KO 승21
패배9
KO 패6
무승부1
메달 수상 내역
4개국 팀 토너먼트금메달 (1981년)
영국 오픈동메달 (런던, 1986년, 헤비급)
네덜란드 오픈동메달 (위르트, 1981년, 미들급)
유럽 선수권 대회금메달 (바르셀로나, 1985년, 헤비급)
동메달 (카토비체, 1987년, 헤비급)
금메달 (부다페스트, 1989년, 헤비급)
은메달 (부다페스트, 1989년, 헤비급)
Ibusz Oyama Cup금메달 (부다페스트, 1982년, 미들급)
금메달 (부다페스트, 1985년, 헤비급)
Sursee Cup금메달 (주르제, 1988년, 오픈)
스위스 선수권 대회금메달 (1982년, 미들급)
금메달 (1984년, 헤비급)
금메달 (1985년, 헤비급)
스위스 오픈금메달 (1985년, 오픈)
Swiss Oyama Cup금메달 (1979년)
금메달 (1981년)
세계 오픈은메달 (도쿄, 1987년, 오픈)
정도회관 월드컵금메달 (오사카, 1992년, 오픈)
은메달 (오사카, 1993년, 오픈)

2. 생애

앤디 훅은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났으며, '푸른 눈의 사무라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8] 가라테를 기반으로 한 선수로, 가라테 선수로는 처음으로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을 차지했다. 그의 특기는 훅 토네이도(하단 뒤돌려차기)와 액스 킥이었다.

키 180cm, 체중 98kg으로 헤비급에서는 작은 체격이었지만, 뛰어난 기량과 투지로 많은 강자들을 상대했다. 자신을 쓰러뜨린 상대에게는 반드시 복수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스위스일본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으며, 가라테 선수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K-1 우승(1996년)과 3년 연속 K-1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결승 진출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1964년 9월 7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난 그는 10세 때 극진 가라테를 시작하여, 13세 때부터 여러 가라테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79년에는 15세의 나이로 스위스 전국 오야마컵에서 우승하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1987년에는 제4회 교쿠신 세계 오픈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 세이도카이칸 가라테로 전향하여 프로 선수로 데뷔했고, 그해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93년에는 K-1에 데뷔하여, 1996년 K-1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K-1 월드 챔피언에 올랐다. 1997년1998년 K-1 그랑프리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9년부터는 스위스에서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2000년 6월에는 미르코 크로캅을 상대로 판정승을 거두기도 했다.

2000년 8월 17일 백혈병 진단을 받았으며, 2000년 8월 24일 급성 백혈병으로 35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에 많은 일본인들이 슬퍼했고, 스위스에서는 국장으로 장례식이 치러졌다. K-1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 현재까지도 K-1에서 그를 추모하는 대회가 종종 열린다.

2. 1. 어린 시절

1964년 9월 7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프랑스 외인부대 출신의 프랑스계 스위스인 아버지와 독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8] 아버지는 그가 태어나기 전 태국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았고,[8] 어머니는 생계를 위해 일해야 했기 때문에 그를 입양 보냈다. 그는 3년간 고아원에서 생활하다 할아버지, 할머니, 형, 여동생과 함께 살게 되었다.[8]

어린 시절 축구 선수로 활동하며 스위스 16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기도 했으나, 가정 환경으로 인해 괴롭힘을 당했다.[9] 10세 때 할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극진 가라테를 시작했고, 13세 때부터 여러 가라테 대회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9] 이후 축구와 가라테 중 가라테를 선택하여 선수 생활에 전념했다.[9]

2. 2. 가라테 선수 시절 (1977–1991)

앤디 훅은 1977년 11월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볼렌 가라테 학교 대표로 선발되었다. 1979년, 15세의 나이로 스위스 전국 오야마컵에서 우승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1981년에는 스위스 팀 소속으로 4개국 팀 토너먼트에서 우승했고, 베르트(Weert), 네덜란드에서 열린 제5회 네덜란드 교쿠신 선수권 대회에서 80kg 미들급 부문 3위를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그해 스위스 오야마컵 결승에서 하인츠 문트바일러를 이기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9] 1982년 스위스 선수권 대회 미들급에서 우승하여 스위스 최고의 교쿠신 파이터로서의 입지를 더욱 굳혔다.

1983년 제7회 네덜란드 오픈에서 16강에 진출했다. 1984년에는 헤비급으로 체급을 올린 후 스위스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같은 해 1월, 제3회 교쿠신 세계 오픈에 출전하여 16강에 진출했지만 마쓰이 쇼케이에게 판정패했다. 1985년에는 이부즈 오야마컵과 스위스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12월 바르셀로나(Barcelona), 스페인에서 열린 제3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클라우스 렉스를 판정승으로 꺾고 유럽 챔피언에 올랐다.

1986년 런던(London), 잉글랜드에서 열린 제11회 영국 오픈에서는 마이클 톰슨에게 준결승에서 패했다. 1987년 5월 카토비체(Katowice), 폴란드에서 열린 제4회 유럽 교쿠신 선수권 대회 준결승에서 다시 마이클 톰슨에게 패하여 유럽 챔피언 자리를 내주었다. 1987년 11월 제4회 교쿠신 세계 오픈 결승에 진출하여 마쓰이 쇼케이에게 다시 판정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1988년 제1회 쥐르제컵 결승에서 미도리 켄지를 꺾고 우승했다. 1989년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제5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마이클 톰슨을 꺾고 우승하며 2회 유럽 챔피언이 되었다.

1991년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제6회 유럽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다시 마이클 톰슨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같은 해 일본 도쿄무도관에서 열린 제5회 교쿠신 세계 오픈 3라운드에서 프란시스코 필류에게 KO패를 당했다.

극진 가라테 전적은 다음과 같다.

'''극진 가라테 전적'''
날짜결과상대대회장소방법
1991-11-00 프란시스코 필류제5회 극진 가라테 세계 오픈, 3라운드일본 도쿄입본
1989-07-00 마이클 톰슨제6회 유럽 극진 가라테 선수권 대회, 결승헝가리 부다페스트
1989-00-00 마이클 톰슨제5회 유럽 극진 가라테 선수권 대회, 결승헝가리 부다페스트
1988-00-00 미도리 켄지제1회 수르제컵, 결승스위스 수르제
1987-11-08 마쓰이 쇼케이제4회 극진 가라테 세계 오픈, 결승일본 도쿄판정
1987-11-08 마스다 아키라제4회 극진 가라테 세계 오픈, 5라운드일본 도쿄판정
1987-11-08 아데미르 다 코스타제4회 극진 가라테 세계 오픈, 4라운드일본 도쿄아와세 입본
1987-11-08 구와시마 야스히로제4회 극진 가라테 세계 오픈, 3라운드일본 도쿄입본
1987-11-08 기모토 마사시제4회 극진 가라테 세계 오픈, 2라운드일본 도쿄판정
1987-11-00 슈테판 고펠제4회 극진 가라테 세계 오픈, 1라운드일본 도쿄입본
1987-05-00 마이클 톰슨제4회 유럽 극진 가라테 선수권 대회, 준결승폴란드 카토비체
1986-00-00 마이클 톰슨제11회 극진 가라테 영국 오픈, 준결승잉글랜드 런던
1985-12-00 클라우스 렉스제3회 유럽 극진 가라테 선수권 대회, 결승스페인 바르셀로나판정
1985-04-00 미셸 베델제2회 이부즈 오야마컵, 결승헝가리 부다페스트
1985-00-00 클라우스 렉스1985 극진 가라테 스위스 오픈, 결승스위스
1984-01-00 마쓰이 쇼케이제3회 극진 가라테 세계 오픈, 5라운드일본 도쿄판정
1983-00-00 플레밍 진젠제7회 극진 가라테 네덜란드 오픈, 16강네덜란드 알크마르
1983-06-00 마크 니에지오카제1회 이부즈 오야마컵, 결승헝가리 부다페스트
1982-00-00 케네스 펠터제6회 극진 가라테 네덜란드 오픈, 16강네덜란드
1982-00-00 장-피에르 루이세제2회 유럽 극진 가라테 선수권 대회, 16강잉글랜드 런던
1982-00-00 가브리엘 막서1982 스위스 극진 가라테 선수권 대회, 결승스위스
1981-00-00 하인츠 문트바일러1981 스위스 오야마컵, 결승스위스
1981-00-00 코엔 샤렌베르크제5회 극진 가라테 네덜란드 오픈, 준결승네덜란드 베르트


2. 3.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및 K-1 진출 (1992–1993)

1992년, 앤디 훅은 세이도카이칸 가라테로 전향하여 프로 선수로 데뷔했고, 그해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40] 1993년에는 K-1에 데뷔하여 K-1 그랑프리 '93에서 가쿠다 노부아키를 2라운드 1분 26초 만에 왼쪽 무릎 공격으로 KO 시켰다.[40] 같은 해 K-1 Illusion 1993 가라테 월드컵 결승에서 사타케 마사아키에게 다메시와리에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40]

'''세이도카이칸 전적'''
날짜결과상대대회장소방법라운드시간전적
1993-10-03 사타케 마사아키K-1 Illusion 1993 가라테 월드컵 결승일본 오사카다메시와리53:0011–1
1993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 챔피언십. 4차례 연장전 이후,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다메시와리 경기에서 훅이 패배했다.
1993-10-03 아토카와 토시유키K-1 Illusion 1993 가라테 월드컵 준결승일본 오사카판정13:0011–0
1993-10-02 창푸엑 키앗송그릿K-1 Illusion 1993 가라테 월드컵 8강일본 오사카판정13:0010–0
1993-10-02 아라타 요시노리K-1 Illusion 1993 가라테 월드컵 1라운드일본 오사카KO19–0
1993-06-25 후지타 미노루K-1 Sanctuary III일본 오사카판정13:008–0
1993-04-30 가쿠다 노부아키K-1 그랑프리 '93일본 도쿄KO (왼쪽 무릎)21:267–0
1992-10-04 킨 타이에이1992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 결승6–0
1992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 챔피언십 우승.
1992-10-03 스즈키 슈지1992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 준결승KO (아와세 입본)5–0
1992-10-02 후지타 미노루1992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 8강판정13:004–0
1992-10-02 가쿠다 노부아키1992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 2라운드입본3–0
1992-10-02 고젠 모리타1992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 1라운드입본2–0
1992-07-30 야나기사와 토시유키세이도카이칸 각토기 올림픽 II일본 도쿄판정53:001–0



'''''범례''''':






2. 4. K-1 월드 그랑프리 (1994–1998)

연도대회상대 선수결과라운드시간비고
1998K-1 그랑프리 '98피터 아츠결승11:10KO (왼쪽 하이킥)
1998K-1 그랑프리 '98샘 그레코준결승33:00판정 (다수결)
1998K-1 그랑프리 '98레이 세포8강22:28TKO (펀치)
1998K-1 월드 그랑프리 '98마크 러셀1라운드23:07KO (왼쪽 로우킥)
1997K-1 그랑프리 '97어네스트 후스트결승33:00판정 (만장일치)
1997K-1 그랑프리 '97피터 아츠준결승33:00판정 (만장일치)
1997K-1 그랑프리 '97사타케 마사아키8강10:15KO (왼쪽 하이킥)
1997K-1 그랑프리 '97피에르 게네트1라운드11:49KO (오른쪽 후크)
1996K-1 그랑프리 '96마이크 베르나르도결승21:18KO (왼쪽 회전 힐킥)
1996K-1 그랑프리 '96어네스트 후스트준결승53:002차 연장전 판정 (스플릿)
1996K-1 그랑프리 '96듀안 반 데어 메르베8강10:40KO (왼쪽 후크)
1996K-1 그랑프리 '96바트 베일1라운드12:24TKO (펀치)
1995K-1 리벤지 II마이크 베르나르도22:43KO (오른쪽 후크)
1995K-1 월드 그랑프리 1995피터 크레이머10:45KO (왼쪽 오버핸드)
1995K-1 그랑프리 '95마이크 베르나르도1라운드32:39TKO (펀치)
1994K-1 리벤지패트릭 스미스10:56KO (왼쪽 니킥)
1994K-1 그랑프리 '94패트릭 스미스8강10:19KO (오른쪽 어퍼컷)



1994년, K-1 그랑프리 '94에 출전했으나 8강에서 패트릭 스미스에게 KO패를 당했다.[16] 이후 K-1 리벤지에서 스미스에게 복수하며 KO승을 거두었다.[16] 1995년, K-1 그랑프리 '95 16강에서 마이크 베르나르도에게 KO패를 당했다.[16] 이후 K-1 리벤지 II에서 베르나르도에게 다시 한번 KO패를 당했다.[16]

1996년, K-1 그랑프리 '96에서 마이크 베르나르도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에 올랐다.[16] 8강전에서는 듀에인 반 더 메르베를 40초 만에 KO로 물리쳤고, 준결승에서는 어네스트 후스트와 5라운드까지 가는 접전 끝에 판정승을 거두었다.[16] 결승전에서는 베르나르도를 2라운드에 "휴그 토네이도"로 KO시키며 우승을 차지했다.[16]

1997년, K-1 그랑프리 '97 결승에서 어네스트 후스트에게 판정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16] 8강전에서는 사타케 마사아키를 1라운드 KO로, 준결승에서는 피터 아츠를 판정으로 이겼다.[16]

1998년, K-1 그랑프리 '98 결승에서 피터 아츠에게 KO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16] 8강전에서는 레이 세포를 TKO로, 준결승에서는 샘 그레코를 판정으로 이겼다.[16]

2. 5. 은퇴 경기 및 사망 (1999–2000)

アンディ・フグ일본어는 1999년부터 스위스에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2000년 6월, 스위스에서 열린 K-1 파이트 나이트 2000에서 미르코 크로캅을 상대로 판정승을 거두었다.[40] 2000년 7월, K-1 스피릿츠 2000에서는 하야시 노부를 KO로 꺾고 승리했다. 이 경기가 그의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40]

2000년 8월 초, 앤디 훅은 39회가 넘는 고열과 심한 코피를 쏟는 발작을 경험했다. 의학 검사와 진찰을 위해 병원을 방문했지만, 의사들은 질병의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월 14일 일본으로 건너가 예정된 ''K-1 월드 그랑프리 2000 후쿠오카'' 대회 훈련을 시작했다. 8월 15일, 스위스 개인 주치의는 훅의 목 왼쪽에 부어오른 종양을 발견하고 악성이라고 선언했다. 8월 19일, 도쿄 분쿄의 일본 의과대학 병원으로 긴급 이송된 훅은 백혈병 진단을 받고 즉시 항암 화학 요법을 시작했다. 그러나 항암 치료는 훅의 심장 및 순환기 문제로 인해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를 받았다.[42]

8월 23일, 훅의 상태는 악화되어 혼수상태에 빠졌고, 생명 유지 장치에 연결되었다. 혼수상태에서 심장이 세 번 멈췄지만, 의사들은 맥박을 회복시켰다. 그러나 8월 24일 네 번째 심정지가 왔을 때, 의사들은 소생을 포기했고, 훅은 2000년 8월 24일 오후 6시 21분에 사망했다. 그의 나이 35세였다.[33]

훅의 사망 소식은 일본 뉴스 채널을 통해 생방송으로 보도되었다. 피터 아츠는 훅의 사망 소식을 듣고 슬픔에 잠겼으며, 다가올 ''K-1 월드 그랑프리 2000 결승전''에서의 활약을 훅에게 바쳤다.[34] 훅의 장례식은 8월 27일 도쿄 모토아자부의 젠푸쿠지에서 거행되었으며, 그의 시신은 화장되었다. 이시이 가즈요시, 프란시스코 필료 등 많은 K-1 관계자와 팬들이 참석하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35] 그의 유골은 교토의 호슈인 사원 묘지에 안치되었다.[9]

3. 업적 및 평가

앤디 훅은 극진 가라테와 세이도카이칸 가라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가라테 선수로서 명성을 쌓았다. K-1에서는 '푸른 눈의 사무라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1996년 K-1 월드 그랑프리 우승을 포함하여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특히, 자신에게 패배를 안겨준 상대에게는 반드시 복수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스위스일본에서 높은 인기를 누렸으며, 그의 경기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16][17][18]

키 180cm에 체중 98kg로 헤비급에서는 작은 체격이었지만, 뛰어난 기량과 투지로 많은 강자들을 이겼다. 2000년 8월 24일 백혈병으로 사망했는데, 그의 죽음에 많은 일본인들이 슬퍼했고, 스위스에서는 국장으로 장례식이 치러졌다. K-1에 큰 영향을 준 인물이며, 현재까지도 K-1에서 그를 추모하는 대회가 종종 열린다.

피터 아츠, 어네스트 호스트, 마이크 베르나르도와 함께 K-1 초창기 4대 천왕으로 불렸다. K-1 파이터 중에서는 작은 체격이었지만, 불굴의 투지와 리벤지 매치에서의 강함, 그리고 유머 넘치는 성격으로 K-1의 인기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모국 스위스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었으며, K-1 스위스 대회에서 앤디 훅의 경기는 스위스 국영 방송의 평균 시청률이 50%를 넘었는데, 이는 테니스의 마르티나 힝기스나 축구 스위스 국가대표팀의 경기보다도 높은 수치였다.

주요 기술은 좌우의 훅과 하단 회전차기였다. 발뒤꿈치 떨어뜨리기나 하단 뒤돌려차기(휴그 토네이도) 등 화려한 차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기술로 상대의 주의를 끌면서 훅과 하단 회전차기로 타격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입장 시에는 고트하르트의 'Fight for Your Life'(일본어 제목: 싸워라! 앤디 훅)나 의 'We Will Rock You'를 테마곡으로 사용했다.

발뒤꿈치 떨어뜨리기에 대해서는 태권도의 내려차기와 비슷해 보이지만, 앤디는 인터뷰에서 이 기술은 가라테의 차기 기술 중 하나인 '안쪽 돌려차기'를 응용한 것이며, 내려차기는 발뒤꿈치 떨어뜨리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후에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 가라테 시절 라이벌이었던 마스다 쇼는 "발뒤꿈치 떨어뜨리기보다 하단 회전차기가 더 강력했다. 앤디의 훌륭한 점은 발뒤꿈치 떨어뜨리기로 공격을 분산시키고, 결정타인 하단 회전차기에 연결하여 상대를 쓰러뜨렸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앤디는 제4회 오픈 토너먼트 전 세계 가라테 선수권 대회에서 쿠와지마 야스히로, 아데미르 다 코스타를 이러한 방식으로 한판승을 거두었다.

가족으로는 아내 이로나와 아들 세야(가라테의 외침에서 이름을 따왔다)가 있다.

각다 신로와는 특히 친분이 깊었다.

앤디는 훈련 기록을 노트에 적어 데이터화하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할 수 없는 것에 도전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동료들에게 자주 설명했다.[44]

킥복싱 전향 이후 일본 선수들에게는 전승을 거두었으며, 마지막 경기였던 하야시 노부전 상대도 일본 선수였다.

'''킥복싱 전적'''

총전적KO승판정승KO패판정패무승부
473721169631


4. 경기 스타일

가라테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발차기 기술은 앤디 훅의 트레이드 마크였다. 특히 '훅 토네이도'라고 불리는 하단 뒤돌려차기와 '엑스 킥'이라고 불리는 내려찍기가 그의 대표적인 기술이었다.[23] 훅과 로우킥을 이용한 공격도 능숙하게 구사했다.[24]

K-1 초창기에는 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점차 기술과 속도를 중시하는 스타일로 변화했다.[44] 킥복싱 시작 당시 중간 거리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지만, 곧 자신만의 거리를 확보했다.[44]

앤디 훅은 훈련 기록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분석하는 등 과학적인 훈련 방식을 추구했다.[44] 할 수 없는 것에 도전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동료들에게도 이러한 정신을 전파했다.[44]

킥복싱 전향 이후 일본 선수들과의 경기에서 전승을 거두었으며, 마지막 경기였던 하야시 노부(Nobu Hayashi) 전에서도 승리했다.[25]

5. 개인적인 삶

1993년, 앤디 훅은 일로나와 결혼하여 아들 세야를 두었다.[27][28] 일본에서 활동하는 동안 일본 언론에서 모델이자 배우인 후지와라 노리카와 염문설이 제기되기도 했다.[30][31]

6. 유산

앤디 훅일본어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격투기 팬들에게 큰 충격과 슬픔을 안겨주었다.[33] 스위스에서는 국장으로 장례식이 치러졌고, 일본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슬퍼했다.[34] K-1에서는 그를 추모하는 대회가 종종 열리고 있으며, 그의 업적은 격투기 역사에 길이 남아있다. K-1에 한 획을 그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장례식은 도쿄 젠푸쿠지에서 거행되었으며, 1만 2천 명이 넘는 조문객들이 모였다.[35] 유골은 교토의 호슈인 사원 묘지에 안치되었다.[9]

7. 수상 경력

단체내용
4개국 단체전금메달 4개국 단체전 우승
유럽 쿄쿠신 선수권 대회
이부즈 오야마컵
쿄쿠신 영국 오픈동메달 제11회 쿄쿠신 영국 오픈
쿄쿠신 네덜란드 오픈동메달 제5회 쿄쿠신 네덜란드 오픈 미들급
쿄쿠신 스위스 오픈금메달 1985년 쿄쿠신 스위스 오픈
쿄쿠신 세계 오픈은메달 제4회 쿄쿠신 세계 오픈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
주르제컵금메달 제1회 주르제컵
스위스 쿄쿠신 선수권 대회
스위스 오야마컵
블랙 벨트 잡지2001년 명예상[36]
K-1
유니버설 킥복싱 연맹(Universal Kickboxing Federation)
세계 킥복싱 협회(World Kickboxing Association)
세계 무에타이 협의회(World Muay Thai Council)WMTC 세계 슈퍼 헤비급 (+95 kg/209 lb) 챔피언십 (1회)


7. 1. 가라테

앤디 훅의 가라테 전적
승패상대결과대회명개최일
○ | 마이클 톰프슨 | 3분 3R 종료 판정 5-0 | 카라테 월드컵 '95
【스피릿 카라테 룰】 | 1995년 10월 8일
× | 사타케 마사아키 | 시합 종료 판정 8-9 | 카라테 월드컵 '93 풍림화산 "화의 장"
【결승】 | 1993년 10월 3일
○ | 고가와 토시유키 | 연장R 종료 판정 4-0 | 카라테 월드컵 '93 풍림화산 "화의 장"
【준결승】 | 1993년 10월 3일
○ | 참푸아 겟손릿 | 본선 종료 판정 5-0 | 카라테 월드컵 '93 풍림화산 "화의 장"
【준준결승】 | 1993년 10월 3일
○ | 아라타 요시노리 | 본선 2:09 왼쪽 상단 회전차기 | 카라테 월드컵 '93 풍림화산 "화의 장"
【1회전】 | 1993년 10월 3일
○ | 무라카미 류지 | 1R 0:39 왼쪽 발꿈치 내리찍기 | K-1 ILLUSION 풍림화산 "림의 장"
【스피릿 카라테 룰】 | 1993년 9월 4일
○ | 후지타 미노루 | 3R 종료 판정 2-0 | 성전 〜SANCTUARY III〜 풍림화산 "풍의 장"
【스피릿 카라테 룰】 | 1993년 6월 25일
○ | 각다 신로 | 2R 1:26 오른쪽 무릎차기 | K-1 GRAND PRIX '93
【스피릿 카라테 룰】 | 1993년 4월 30일
○ | 김태영 | 본선 판정 | 격투기 올림픽 III〜'92 카라테 월드컵
【결승전】 | 1992년 10월 4일
○ | 스즈키 슈지 | 본선 합세일본승 | 격투기 올림픽 III〜'92 카라테 월드컵
【준결승】 | 1992년 10월 4일
○ | 후지타 미노루 | 본선 판정 | 격투기 올림픽 III〜'92 카라테 월드컵
【준준결승】 | 1992년 10월 4일
○ | 각다 신로 | 본선 일본승 | 격투기 올림픽 III〜'92 카라테 월드컵
【3회전】 | 1992년 10월 4일
○ | 모리타 고젠 | 본선 발꿈치 내리찍기 | 격투기 올림픽 III〜'92 카라테 월드컵
【2회전】 | 1992년 10월 4일
○ | 야나자와 토시유키 | 3분 5R 종료 판정 | 격투기 올림픽 II
【카라테 풀컨택트 룰】 | 1992년 7월 30일
× | 프란시스코 필리오 | 연장 2회 일본패 왼쪽 상단 회전차기 | 제5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
【4회전】 | 1991년 11월 4일
○ | 비타제 타리엘 | 판정 | 제5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
【1회전】 | 1991년 11월 2일
× | 마쓰이 쇼케이 | 연장 2회 판정 4-0 | 제4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
【결승전】 | 1987년 11월 8일
○ | 마스다 아키라 | 연장 3회 판정 5-0 | 제4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
【준결승】 | 1987년 11월 8일
○ | 아데미르 코스타 | 합세일본승 오른쪽 하단 회전차기, 오른쪽 중단 회전차기 2:28 | 제4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
【준준결승】 | 1987년 11월 8일
○ | 쿠와지마 야스히로 | 일본승, 연장 1회 0:36 오른쪽 하단 회전차기 | 제4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
【5회전】 | 1987년 11월 8일
○ | 키모토 마사스케 | 연장 2회 판정 3-0 | 제4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
【4회전】 | 1987년 11월 8일
○ | 슈테판 게펠 | 일본승 | 제4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
【3회전】 | 1987년 11월 7일
× | 마쓰이 쇼케이 | 판정 | 제3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
【5회전】 | 1984년 1월 22일


  • '''극진가라테'''
  • * 제3회 유럽 선수권 대회(1985년) 우승
  • * 제4회 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1987년) 준우승
  • * 제5회 유럽 선수권 대회(1989년) 우승
  • '''정도회관'''
  • * 카라테 월드컵 '92 우승
  • * 카라테 월드컵 '93 준우승


앤디 훅은 1977년 11월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볼렌 가라테 학교 대표로 선발되었다. 1979년 스위스 전국 오야마컵에서 우승하며 주목받았다.

1981년, 훅은 스위스 팀 소속으로 4개국 팀 토너먼트에서 우승했고, 베르트에서 열린 제5회 네덜란드 교쿠신 선수권 대회 미들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스위스 오야마컵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1982년 스위스 선수권 대회 미들급에서 우승했다.

1983년 제1회 이부즈 오야마컵 우승, 1984년 헤비급으로 스위스 전국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1984년 1월, 제3회 교쿠신 세계 오픈 16강에 진출했지만 마쓰이 쇼케이에게 패했다. 1985년에는 이부즈 오야마컵, 스위스 전국 선수권 대회,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제3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1986년 런던에서 열린 제11회 영국 오픈 준결승에서 마이클 톰슨에게 패했다. 1987년 제4회 유럽 교쿠신 선수권 대회 준결승에서 다시 패했지만, 11월 세계 오픈 결승에 진출하여 마스다 아키라를 이겼으나, 결승에서 마쓰이 쇼케이에게 다시 패했다.

1988년 제1회 쥐르제컵에서 미도리 켄지를 꺾고 우승, 1989년 제5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마이클 톰슨을 꺾고 우승했다. 1991년 제6회 유럽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다시 마이클 톰슨에게 패했다.

1991년 도쿄에서 열린 제5회 세계 선수권 대회 3라운드에서 프란시스코 필류의 ''마와시 게리''에 의해 의식을 잃고 패했다.

1992년, 앤디 훅은 세이도카이칸으로 전향하여 프로 선수로 데뷔, 세이도카이칸 가쿠토기 올림픽 II에서 야나기사와 도시유키를 꺾고, 1992년 세이도카이칸 가라테 월드컵에서 킨 타이에이를 꺾고 우승했다.

1993년 K-1에 처음 출전하여 '''K-1 그랑프리 '93'''에서 각쿠다 노부아키를 니킥으로 제압했다.[12] 1993년 '''K-1 섐크추어리 III'''에서 후지타 미노루에게 판정승을 거두었다.

1993년 K-1 일루전 1993 가라테 월드컵 결승에서 사타케 마사아키와 다메시와리 대결에서 패했다.

7. 2. 킥복싱

앤디 훅은 180cm, 몸무게 98kg으로 헤비급에서는 작은 체격이었지만, 뛰어난 기량과 투지로 많은 강자들을 이겼다. 자신을 쓰러뜨린 상대에게는 반드시 리벤지에 성공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스위스일본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으며, 가라데 선수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K-1 우승(1996년)과 3년 연속 K-1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결승 진출이라는 기록을 세웠다.[16]

1996년은 앤디 훅의 선수 경력에서 가장 성공적인 해였다. 3월 3일, K-1 그랑프리 '96 오프닝 배틀에서 바트 베일을 압도적인 승리로 제압하고 K-1 그랑프리 '96 출전권을 따냈다. 8강전에서 듀에인 반 더 메르웨를 40초 만에 KO로 이기고, 준결승에서 에르네스토 후스트와 맞붙었다. 두 선수의 대결은 K-1 역사상 가장 위대한 경기 중 하나로 꼽히는 격전이었다. 5라운드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앤디 훅이 판정승을 거두었다. 결승전에서는 마이크 베르나르도와 맞붙어, 2라운드에 "휴그 토네이도"를 작렬시켜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십을 차지했다.[16]

6월 2일, K-1 파이트 나이트 II에서 사다우 키아송그릿을 2라운드 KO로 꺾고 UKF 슈퍼 헤비급 타이틀 2차 방어에 성공했다. 9월 1일, K-1 리벤지 '96에서는 스탠 롱기니디스에게 도전하여 세계 무에타이 협의회(WMTC) 세계 슈퍼 헤비급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10월 18일, K-1 스타 워즈 '96에서 사타케 마사아키를 판정으로 이기고 세계 킥복싱 협회(WKA) 세계 슈퍼 헤비급 무에타이 벨트를 차지했다. 12월 8일, K-1 허큘리스 '96에서 무사시를 판정으로 이기며 1996년을 8전 전승으로 마무리했다.[17][18]

'''수상 내역'''

단체내용
블랙 벨트 잡지2001 명예상[36]
K-1
유니버설 킥복싱 연맹(Universal Kickboxing Federation)
세계 킥복싱 협회(World Kickboxing Association)
세계 무에타이 협의회(World Muay Thai Council)WMTC 세계 슈퍼 헤비급 (+95 kg/209 lb) 챔피언십 (1회)



'''킥복싱 전적'''

37승(22KO) 9패 1무

참조

[1] 웹사이트 The Best in Global Boxing News and Commentary http://www.badleftho[...]
[2] 웹사이트 Best Heavyweight High Kickers http://www.centralki[...] 2013-09-16
[3] 웹사이트 Top 10 K-1 Fighters of All-Time http://www.profighti[...] 2013-08-26
[4] 뉴스 Martial arts and TV star Andy Hug dies of leukemia http://search.japant[...] 2010-03-04
[5] 뉴스 Brilliant sports flames snuffed out too early http://search.japant[...] 2010-03-04
[6] 웹사이트 Andy Hug (1964–2000) - Kickbox legend by Thomas Staedeli http://www.cyranos.c[...] 2008-01-17
[7] 웹사이트 Japanese rank their favorite 100 historical figures - Japan Probe http://www.japanprob[...] 2016-07-12
[8] 웹사이트 Childhood - Andy Hug - Official Website http://www.andyhug.c[...] 2013-12-12
[9] 웹사이트 Gods of War: Andy Hug http://www.bloodyelb[...] 2013-12-13
[10] 웹사이트 Youth - Andy Hug - Official Website http://www.andyhug.c[...] 2013-12-12
[11] 웹사이트 Karate - Andy Hug - Official Website http://www.andyhug.c[...] 2013-12-12
[12] 웹사이트 Karate Flashback #3: Andy Hug vs. Nobuaki Kakuda http://liverkick.com[...] 2020-02-05
[13] 서적 Total Mma: Inside Ultimate Fighting https://archive.org/[...] ECW Press 2010
[14] 웹사이트 Andy Hug: "Never Give Up!" http://www.centralki[...]
[15] 웹사이트 Japan's "Blue Eyed Samurai": A Tribute to Andy Hug http://www.liverkick[...] 2013-08-24
[16] 웹사이트 Remembering Mike Bernardo: The Greatest Rivalry http://www.liverkick[...] 2020-02-05
[17] 웹사이트 Andy Hug fight clips in K-1 Andy Hug vs Masaaki Satake - KYOKUSHINSTAR http://kyokushinstar[...]
[18] 웹사이트 K-1 Classics: Andy Hug vs. Masaaki Satake http://dancesport.co[...] 2013-12-11
[19] 웹사이트 The Best K-1 Wars http://www.centralki[...] 2013-11-20
[20] 웹사이트 Remembering K-1 Champion Mike Bernardo: Dead at 42 http://www.bloodyelb[...] 2012-02-17
[21] 웹사이트 Dick Lightning's Mixed Bag: Lightning Spread: Mr. K-1 Andy Hug http://dicklightning[...] 2007-12-18
[22] 웹사이트 98・12・13 K1 GP '98決勝戦 http://www.boutrevie[...]
[23] 웹사이트 99・4・25 K-1 REVENGE'99 (4) フグ vs セフォー http://www.boutrevie[...]
[24] 웹사이트 99・2・3 K-1 JAPAN 代々木第2 (6) アンディ・フグ×中迫剛 http://www.boutrevie[...]
[25] 웹사이트 Shihan Andy Hug http://www.musashi.n[...]
[26] 웹사이트 Love - Andy Hug - Official Website http://www.andyhug.c[...] 2013-12-12
[27] 웹사이트 Perspectives - Andy Hug - Official Website http://www.andyhug.c[...] 2013-12-12
[28] 웹사이트 Family - Andy Hug - Official Website http://www.andyhug.c[...] 2013-12-12
[29] 웹사이트 Ilona - Andy Hug - Official Website http://www.andyhug.c[...] 2013-12-12
[30] 웹사이트 Fujiwara Norika https://www.japan-zo[...]
[31] 웹사이트 F for Fujiwara http://www.wordpress[...] 2004-08-02
[32] 웹사이트 Andy Hug tribute http://www.fightingm[...] 2013-08-28
[33] 웹사이트 Kickboxer Andy Hug Passes At 35... http://www.ikfkickbo[...] 2000-08-24
[34] 웹사이트 ANDY, SADLY The Life & Death of a Modern Day Samurai http://www.axs.tv/bl[...] 2011-01
[35] 뉴스 So schob ich Andy Hugs Leiche ins Feuer http://www.blick.ch/[...] 2010-08-23
[36] 웹사이트 Black belt magazine Honorary Award http://www.blackbelt[...]
[37] 서적 吾 武人として生きる 東邦出版 2009
[38] 웹사이트 角田信朗、15年経っても涙…アンディ・フグ氏偲ぶ https://www.nikkansp[...] 2015-08-24
[39] 간행물 格闘技通信Legend of Andy Hug 2000-10-10
[40] 간행물 格闘技通信 1993-12-23
[41] 웹사이트 フィリォ、アーツも敗退?。王者ホーストが警戒する新鋭とは http://www.boutrevie[...] 2000-07-26
[42] 웹사이트 「鉄人アンディ・フグ死去」 http://www.boutrevie[...] 2000-08-24
[43] 웹사이트 “押忍”の精神よ永遠に。1万2千人がアンディに最後の別れ http://www.boutrevie[...] 2000-08-27
[44] 서적 平直行の格闘技のおもちゃ箱 福昌堂 2006
[45] 문서 アンディ・フグのCMに関する記述 2020-06
[46] 웹사이트 アンディ・フグ https://www.ad-c.or.[...] ACジャパン 2020-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