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누아리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누아리오는 기독교 성인으로, 특히 피의 기적으로 유명하다. 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지만, 432년의 서신에서 순교자이자 나폴리 교회의 중요한 인물로 언급되었다. 야누아리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기독교 박해 시기에 체포되어 처형되었으며, 유해는 나폴리로 옮겨져 수호 성인이 되었다. 그의 피는 굳어 있지만 특정 시기에 액체로 변하는 기적을 보이며, 나폴리 대성당에서 이를 기념하는 축제가 열린다. 과학적인 연구와 논란이 있으며, 유사한 현상이 다른 성인들의 유물에서도 나타난다. 야누아리오의 유물은 산 제나로 보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05년 사망 -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는 막센티우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한 기독교 성녀로, 황제의 유혹을 거절하고 이교도 학자들과의 논쟁에서 승리했으나 순교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는 논란이 있지만 중세 이후 널리 숭배받으며 학문과 순교의 상징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305년 사망 - 왕융 (서진)
왕융은 서진 시대의 인물로 죽림칠현 중 한 명이며, 사마소의 초빙을 받아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오나라 정벌에 참여하고 혜제 시대에 요직을 역임했으나 사마륜의 난에 연루되어 면직된 후 사망했다. - 4세기 기독교 순교자 - 루치아
루치아는 로마 제국 시대 시칠리아 시라쿠사 출신의 기독교 성인이자 순교자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했으며, 가톨릭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시각 장애인과 안과 질환자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 4세기 기독교 순교자 - 아녜스
아녜스는 4세기 초 로마 제국에서 순교한 초기 기독교 성녀로,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정결을 서약하고 순교하여 순결, 정원사 등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으며, 매년 축일에는 교황이 축복한 어린 양털로 팔리움을 만드는 전통이 있다. - 3세기 출생 - 책계왕
책계왕은 백제 제8대 국왕으로 고이왕의 아들이며, 대방군 태수의 딸과 결혼하여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고구려의 공격에 대비해 방어 시설을 보강했으나, 한, 예맥 연합군의 침입으로 전사하여 백제의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했다. - 3세기 출생 - 성 게오르기우스
성 게오르기우스는 3~4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순교한 로마 군 장교로, 용을 물리치는 전설로 기사도의 상징이 되었으며 잉글랜드, 조지아 등의 수호성인으로 4월 23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야누아리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성 야누아리오 |
로마자 표기 | Ianuarius |
이탈리아어 표기 | Gennaro |
인물 정보 | |
출생 | 3세기경 (기원후 272년 4월 21일경) |
출생지 | 베네벤토 또는 나폴리, 캄파니아, 로마 제국 |
사망 | 305년경 (9월 19일경) |
사망지 | 포추올리, 캄파니아 |
직함 | 주교 및 순교자 |
공경 | |
공경하는 교파 |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축일 | 9월 19일 (산 제나로 축제, 가톨릭교회) |
주요 성지 | 나폴리 대성당, 이탈리아, 가장 귀한 피의 교회, 리틀 이탈리아, 맨해튼, 뉴욕 |
상징 | 피가 담긴 병, 손바닥, 베수비오 산 |
수호 | 혈액 은행, 나폴리, 화산 폭발 |
2. 약력
야누아리오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46] 그나마 전해지는 이야기도 《Acta Bononensia》(BHL 4132, 6세기 이후)와 《Acta Vaticana》(BHL 4115, 9세기) 같은 후대 기독교 문헌과 후대에 발전한 민간전승이 대부분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야누아리오 관련 자료는 432년 놀라의 주교 우라니오가 그의 스승인 놀라의 성 바울리노의 죽음에 대해 쓴 서신이다. 431년 바울리노가 선종하기 3일 전, 성 야누아리오와 성 마르티노의 영혼이 그에게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47] 이 서신에서 야누아리오는 ‘순교자, 주교, 나폴리 교회의 중요한 인물’로 간략히 언급된다.[48] 《Acta Bononensia》에는 “이탈리아 남부 캄파냐 주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체포되어 참수당한 베네벤툼의 주교 야누아리오와 그의 부제인 페스토, 독서자 데시데리오, 미세눔 교회의 부제 소시오, 포추올리의 부제 프로쿨로 등 거룩한 순교자들을 함께 기념하고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전승
여러 기독교 전승에 따르면, 야누아리오는 베네벤토 지역의 부유한 로마 귀족 가문 출신으로, 사움족의 카우디니 부족의 후손이라고 한다. 15세에 베네벤토 성당의 교구 사제가 되었으며, 20세에 나폴리의 주교가 되었다.[49]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기독교 박해 시기에 야누아리오는 동료들을 숨겨주고 보호하다 체포되었다. 포추올리의 플라비아누스 원형경기장에서 맹수에게 던져질 뻔했으나, 대중의 소요를 우려하여 솔파타라 분화구에서 참수되었다고 전해진다.[49] 다른 전승에서는 맹수들이 그를 공격하지 않아 목이 베였다고도 한다.

2. 2. 역사적 기록
야누아리오에 대한 가장 오래된 역사적 언급은 432년 놀라의 주교 우라니우스가 그의 스승인 놀라의 바울리누스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쓴 서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서신에는 431년 바울리누스가 죽기 3일 전에 성 야누아리오와 투르의 마르티노의 영혼이 그에게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47] 서신에서 야누아리오는 '순교자이며 주교였으며, 나폴리 교회의 중요한 사람이었다'라고 간략하게 언급된다.[48]3. 유해
초기 성인전[50]에 따르면, 성 야누아리오의 유해는 나폴리의 주교 성 세베로에 의해 나폴리 성 밖에 있는 카타콤베인 ‘엑스트라 모에니아(extra moenia)’로 옮겨졌다.[51] 10세기 초, 성 야누아리오의 두개골은 나폴리에 남고, 몸은 베네벤토 공작 시코에 의해 베네벤토로 옮겨졌다.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 치세의 혼란 중에 야누아리오의 몸은 몬테베르지네 대수도원으로 옮겨졌고, 1480년에 발견되었다.
1497년, 올리비에로 카라파 추기경의 주도로 야누아리오의 유해는 나폴리로 다시 이송되어 나폴리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카라파 추기경은 야누아리오의 머리와 몸통을 나폴리 대성당 지하묘역에 안치하였다. 나폴리 대성당 지하묘역은 1506년에 공사를 마쳤으며, 르네상스 후기의 뛰어난 예술작품 가운데 하나로 손꼽힌다.[52]
4. 피의 기적
성 야누아리오의 피는 평소에는 응고되어 있으나, 9월 19일(성 야누아리오 축일), 12월 16일(나폴리와 대교구의 수호 성인 기념일), 5월 첫째 주 일요일 전 토요일(유물 재결합 기념일)에 액화되는 현상을 보인다.[19] 이 기적은 나폴리 대성당에서 매년 세 차례 거행되며, 수많은 사람들이 이 현상을 보기 위해 모여든다.
이 피는 교황의 방문과 같은 특정 시기에 자발적으로 액화되기도 한다. 1848년 교황 비오 9세가 참석했을 때 액화되었지만, 1979년 요한 바오로 2세와 2007년 베네딕토 16세가 참석했을 때는 액화되지 않았다.[20] 2015년 3월 21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나폴리 대성당을 방문하여 말라붙은 피를 경배하며 그 위에서 주님의 기도를 드리고 입을 맞췄다. 세페 대주교는 "피가 반 정도 액화되었는데, 이는 성 야누아리우스가 우리 교황과 나폴리를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선언했다.[21]
이러한 피의 기적으로 인해 나폴리는 ‘피의 도시(urbs sanguinum)’라는 명칭으로도 불리지만, 피의 기적은 성 야누아리오에 한정된 것만은 아니다. 성녀 파트리치아와 산 그레고리오 알메노 수도원에 있는 성 요한 세례자 그리고 라벨로에 있는 성 판텔레온의 피 역시 성 야누아리오의 피와 마찬가지로 평상시에는 응고되어 있다가 일정한 시기가 되면 액화되는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역사가 에릭 홉스봄은 이 "피의 기적"을 애국주의의 원인을 설명하는 역사적인 예로 언급하기도 했다.
4. 1. 피의 기적에 대한 의식
성 야누아리오는 피의 기적으로 유명하다. 성인의 피는 시간이 흘러 굳어 응고되었지만, 특정 시기에는 붉은 액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을 보인다. 이 피는 17세기부터 은으로 된 성유물함에 보관된 두 개의 밀폐된 작은 앰풀에 보관되어 있다.[22]나폴리 대성당에서는 성 야누아리오를 기념하여 1년에 세 번 축제를 연다. 9월 19일(성 야누아리오 축일), 12월 16일(나폴리의 수호성인으로 지정된 날), 5월 첫 번째 토요일(성 야누아리오의 머리와 몸통이 재결합한 날)이다.[53]
축제 때마다 수많은 사람들이 피의 기적을 보기 위해 나폴리 대성당에 모인다. 사제가 성 야누아리오의 혈액이 담긴 앰풀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는데, 굳어 있던 혈액이 액체 상태로 변하면 테 데움을 선포한다.
대부분의 시간 동안 앰풀은 은행 금고에 보관되며, 금고 열쇠는 나폴리 시장을 포함한 지역 명사 위원회가 가지고 있다. 뼈는 나폴리 대성당의 주 제단 아래 지하 묘지에 보관되어 있다. 축일에 이 모든 유물은 대성당에서 산타 키아라 수도원으로 행렬을 이루어 가져가며, 그곳에서 대주교는 성유물함을 들고 내용물이 고체임을 보여주기 위해 기울인 다음 성인의 다른 유물 옆에 있는 높은 제단에 올려놓는다. 신자들의 간절한 기도, 소위 "성 야누아리오의 친척"(''parenti di San Gennaro'')을 포함한 후, 더 큰 작은 병의 내용물이 일반적으로 액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 다음 대주교는 작은 병을 들고 다시 기울여 액화가 일어났음을 증명한다. 액화 발표는 13세기 누오보 성에서 21발의 예포로 환영받는다.[22] 앰풀은 8일 동안 제단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며, 사제들은 내용물이 액체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정기적으로 앰풀을 옮기거나 돌린다.[22]
액화는 때때로 즉시 일어나지만, 몇 시간 또는 며칠이 걸릴 수도 있다. 드물게 액화되지 않거나, 이미 액화된 상태로 발견되거나, 통상적인 날짜가 아닌 다른 날에 액화되는 경우도 있다.[24][22]
4. 2. 과학적 연구 및 논란
가톨릭 교회는 성 야누아리오의 피가 응고된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 즉 '피의 기적'에 대해 공식적인 인정을 하지 않고 있지만, 과학적 조사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22] 피의 기적은 성 야누아리오 외에도 성녀 파트리치아, 성 요한 세례자, 성 판텔레온에게서도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1902년과 1989년에 수행된 분광 분석에서는 이 물질의 스펙트럼이 헤모글로빈과 일치한다는 결과가 나왔다.[25][26] 그러나 이러한 결과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었다.[30] 1900년과 1904년에 수행된 측정에서는 앰풀의 무게가 액화 과정에서 최대 28g 증가했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이후 정밀 저울을 사용한 측정에서는 변화가 없었다.[30]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광과민성, 흡습성 물질, 낮은 용융점을 가진 물질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으나,[27][28][29] 주변 온도와의 상관관계가 부족하다는 점 등 기술적인 문제에 직면했다.[30] 최근에는 이 물질이 티소트로피 젤, 특히 수산화철(III) 산화물 현탁액일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30][31][32] 티소트로피 젤은 가만히 두면 점성이 증가하고, 흔들거나 움직이면 점성이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010년, 주세페 제라치 교수는 18세기부터 아레초 근처 토스카나의 ''에레모 디 카말돌리''에 보관되어 있던, 성 야누아리오의 피와 동일한 특성을 가진 오래된 혈액이 담긴 바이알을 연구했다.[35] 그는 흔들림을 통해 이 혈액 역시 고체-액체 상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36] 그는 자신의 혈액으로도 이 현상을 재현했지만, "움직임이 혈액을 용해시키는 능력이 있다고만 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했다.[37]
과학사학자 프란체스코 파올로 데 체글리아는 이 현상이 열적 기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주장된) 피는 기온이 가장 높은 9월에 보관하는 성당에서 이미 액체 형태로 추출되기 때문이다. 5월에는 더 오래 걸리고, 12월에는 훨씬 더 오래 걸린다. 이 마지막 연례 ‘기적’은 수년 동안 일어나지 않았지만, 최근 기후 변화와 나폴리의 기온 상승으로 인해 점점 더 자주 일어나고 있다.[38]
한편, 초자연 현상 연구가 조 니켈은 "14세기 이후 액화되는 다른 성인의 혈액이 나폴리 전 지역에 여러 존재하며, 이는 일부 지역의 비밀을 상기시킨다."라고 지적했다.
5. 다른 성인들의 유사한 기적
나폴리는 ‘피의 도시(urbs sanguinum)’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성 야누아리오 뿐만 아니라 다른 성인들에게서도 피의 기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성녀 파트리치아, 산 그레고리오 알메노 수도원에 있는 성 요한 세례자, 라벨로에 있는 성 판텔레온의 피 역시 성 야누아리오의 피처럼 평상시에는 응고되어 있다가 일정한 시기가 되면 액화되는 현상을 보인다.[53] 조 니켈은 "14세기 이후 액화되는 다른 성인의 혈액이 나폴리 전 지역에 여러 존재하며, 이는 일부 지역의 비밀을 상기시킨다."라고 말했다.
6. 산 제나로 축제
산 제나로 축제는 가톨릭 교회의 로마 일반 전례력에 따라 9월 19일에 기념되며,[6] 동방 교회에서는 4월 21일에 기념한다.[8] 나폴리는 50명이 넘는 공식적인 수호 성인을 두고 있지만, 주된 수호 성인은 성 야누아리우스이다.[9]
미국에서는 뉴욕의 리틀 이탈리아에서 산 제나로 축제가 연중 하이라이트 행사로 열리며, 성인의 다색 조각상이 여러 블록에 걸쳐 펼쳐지는 거리 축제 한가운데를 지나간다. 로스앤젤레스에서도 2002년부터 지미 키멜과 도그 델루카에 의해 산 제나로 축제가 창립되어 할리우드에서 매년 9월에 열리고 있다.
매년 액화된다고 알려진 그의 혈액 기적 외에는, 야누아리우스의 생애나 업적에 관한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지만, 가톨릭 교회와 정교회(신력)의 전례력에서는 9월 19일에 그의 축일이 정해져 있다. 수백 년 동안 보존되어 온 야누아리우스의 마른 혈액은 성유물 상자 속 작은 용기에 안전하게 보관되어 있다. 매년 야누아리우스의 축일이나 5월의 첫 번째 일요일 전 토요일에 그의 유해 근처로 이 용기를 가져가면, 마른 혈액이 액체로 변한다.
매년 이 행사를 보기 위해 정말 많은 사람들이 나폴리 대성당에 모여든다. 기도와 기원 중에 주 제단에 있는 대주교가 나폴리의 수호 성인인 성 야누아리우스의 마른 혈액이 담겨 있다고 하는 유리병을 들고, 그것이 액화되었다고 선언한다. 이 액화 선언은 13세기에 건축된 카스텔 누오보에서 21발의 예포로 맞이한다. 이 의례는 9월의 야누아리우스 축일 외에 5월과 12월에도 행해진다. 축일에 액화된다고 하는 이 "피의 기적"에 대해 처음 언급된 것은 1389년이었다. 혈액의 액화는 즉시 일어나는 경우도 있고 몇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으며, 때로는 며칠이 걸리기도 한다.
역사가 에릭 홉스봄은 이 "피의 기적"을 애국주의의 원인을 설명하는 역사적인 예로, 저서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 programme, myth, reality''(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 1990년)에서 언급하고 있다.
7. 산 제나로 보물 박물관
"피의 도시"(urbs sanguinumla) 나폴리에서, 혈액 액화 전설은 유일한 현상이 아니다. 산 그레고리오 아르메노 수도원에 보관된 성 파트리샤와 세례자 성 요한의 혈액, 라벨로의 성 판탈레온의 혈액 등이 다른 예시이다.[40] 이 외에도, 교회는 7명[40] 또는 약 20명[39]의 캄파니아 출신 성인들의 기적적인 혈액 액화 주장을 인정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43] 다른 성인들의 혈액 숭배는 16세기 이후 중단되었으며, 회의론자인 제임스 랜디는 이를 지역 장인이나 연금술사들이 이러한 유형의 유물을 제조하는 비밀 레시피를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로 보았다.[40] 중세 시대의 작업자들에게 알려진 현지 재료와 기술만을 사용하여 병 안의 액체의 모든 특성과 행동을 재현하는 액체를 만드는 데 성공한 이탈리아 화학자 3명으로 구성된 팀도 있었다.[40][41][42] 조던 랭커스터는 이 관행이 고대 로마 종교의 생존이며, 베수비오 산의 예상치 못한 분화로부터 지역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43]
참조
[1]
웹사이트
Star Quest Production Network: Saint Januarius
https://web.archive.[...]
2008-04-13
[2]
EPD
null
[3]
CE1913
[4]
서적
De Vita et Obitu Paulini Nolani
http://www.documenta[...]
Surius
2009-06-20
[5]
웹사이트
Uranius
http://www.ancientli[...]
2009-11-06
[6]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7]
서적
The Roman Martyrology
null
1962
[8]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
웹사이트
Sant' Aspreno di Napoli
http://www.santiebea[...]
Santi e Beati
2008-08-29
[10]
서적
Acta Sanctorum Septembris, Vol. VI
1867
[11]
서적
1986
[12]
논문
The Succorpo in the Cathedral of Naples: 'Empress of All Chapels'
1986
[13]
서적
1986
[14]
서적
Croniche de Inclyta Cità de Napole
null
1974
[15]
서적
Chronicon Siculum
null
1887
[16]
서적
1993
[17]
서적
Annales Ecclesiastici
null
1594
[18]
논문
Thinking with the Saint: The Miracle of Saint Januarius of Naples and Science in Early Modern Europe
2014
[19]
웹사이트
Chiesa di San Gennaro - Duomo (Napoli)
http://www.tredy.com[...]
[20]
뉴스
Blood of St. Januarius liquefies during Francis' visit to Naples
http://www.catholich[...]
Catholic Herald
2015-03-21
[21]
뉴스
Pope Francis Performs 'Miracle' In Naples; Turns Dry Blood to Liquid
http://www.christian[...]
Christian Post
2015-03-23
[22]
웹사이트
San Gennaro: Vescovo e martire
http://www.santiebea[...]
[23]
웹사이트
Sir Francis Ronalds' Travel Journal: Naples and the Miracle
http://www.sirfranci[...]
2018-02-11
[24]
뉴스
Sangue di San Gennaro liquefatto prima della processione
Corriere dell Sera
1997-05-04
[25]
서적
Il Miracolo di S. Gennaro
D'Auria
1901
[26]
서적
Prolusione
null
1990
[27]
서적
Des sciences occultes ou essai sur la magie, les prodiges et les miracles
Baillière
1826
[28]
서적
Le Paranormal
Seuil
1989
[29]
서적
Mysterious Realms
Prometheus Books
1993
[30]
논문
The Blood of St. Januarius
https://web.archive.[...]
1994
[31]
웹사이트
The Miracle Blood of Saint Januarius
http://www.csicop.or[...]
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
2007-03-02
[32]
서적
Sangue Prodigioso
http://www.luigigarl[...]
2009-06-20
[33]
논문
Better Blood Through Chemistry: A Laboratory Replication of a Miracle
https://web.archive.[...]
1992
[34]
뉴스
Naples blood boils at miracle's 'debunking'
https://web.archive.[...]
Times Newspapers Ltd
2007-03-02
[35]
뉴스
San Gennaro, spunta una seconda ampolla con dentro il sangue
http://www.metropoli[...]
Metropolis Web
2013-09-23
[36]
뉴스
Geraci, la rivelazione 11 anni fa al Corriere "Il sangue c'è e l'ho visto, il miracolo no"
http://corrieredelme[...]
RCS Corriere del Mezzogiorno
2013-09-23
[37]
뉴스
Miracolo di San Gennaro, un test dimostra che nell'ampolla c'è sangue umano
http://www.positanon[...]
Positano News
2010-02-05
[38]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a Neapolitan Miracle. The Secret of San Gennaro’s Blood
Routledge
[39]
서적
Relics of the Chri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40]
서적
Skeptic Encyclopedia of Pseudoscience
https://books.google[...]
Abc-Clio
[41]
웹사이트
Examining Miracle Claims
http://www.hiddenmys[...]
2007-03-02
[42]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unbelief
https://books.google[...]
Prometheus Books
[43]
서적
In the shadow of Vesuvius
Tauris
[44]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http://www.museosang[...]
Museo San Gennaro
[45]
간행물
正教改暦 2008年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
[46]
간행물
Saint Januariu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09-06-20
[47]
간행물
De Vita et Obitu Paulini Nolani
http://www.documenta[...]
2009-06-20
[48]
문서
Ianuarius, episcopus simul et martyr, Neapolitanae urbis illustrat ecclesiam
[49]
문서
Saint Januarius
Catholic Encyclopedia
[50]
간행물
Acta Sanctorum Septembris, Tomus Sextis
Paris
[51]
문서
[52]
문서
[53]
웹사이트
Chiesa di San Gennaro - Duomo (Napoli)
http://www.tredy.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