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쇼다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쇼다라는 "영광을 지닌 자"라는 의미를 지닌 이름으로, 석가모니 부처의 아내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콜리야족 출신으로, 싯다르타와 결혼하여 아들 라훌라를 낳았다. 싯다르타가 출가한 후, 야쇼다라는 남편을 따라 소박한 삶을 살았으며,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후 고향을 방문했을 때 아들 라훌라를 통해 그를 만났다. 이후 야쇼다라는 비구니가 되어 수행했으며, 석가모니 열반 2년 전에 78세의 나이로 열반에 들었다. 전생에 대한 전설과 현대적인 해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야쇼다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배우자 | 싯다르타 (기원전 547년경 결혼) |
아버지 | 수파붓다 |
어머니 | 아미타 |
출생일 | 기원전 563년경 |
출생지 | 콜리야 왕국, 데바다하 |
사망일 | 기원전 485년경 (78세) |
자녀 | 라훌라 |
종교 | 불교 (개종 전 브라만교) |
로마자 표기 | Yaśodharā |
칸나다어 | ಯಶోధರಾ (야쇼다라) |
팔리어 | Yasodharā (야소다라) |
가계 | |
왕조 | 이크슈바쿠 왕조 |
가문 | 콜리야 가문 |
2. 이름 및 명칭
Yaśodharā|야쇼다라sa라는 이름은 "영광, 화려함"을 뜻하는 "야샤스(yaśas)"에 "참다, 지지하다"라는 뜻의 '다리(dhri)'의 어근 다라(dhara)가 합쳐진 것으로, "영광을 지닌 자"라는 의미이다.[34] Yasodharā|야소다라pi 외에도 야쇼다라 테리(Yaśodharā Theri), 빔바데비(Bimbādevī), 밧다카치아나(Bhaddakaccānā), 라훌라의 어머니라는 뜻의 라훌라마타(Rāhulamātā)라고도 불렸다.[34]
팔리어 경장에서는 야쇼다라라는 이름을 찾을 수 없으며, 밧다카치아나에 대한 두 개의 언급이 있다.[35]
다른 불교 전통에서는 석가모니 부처의 아내로 고파(Gopā)나 고페(Gopī), 므가자(Mṛgajā), 마노다라(Manodharā) 등의 이름이 언급되기도 한다.[36]
토머스 리스 데이비스(Thomas Rhys Davids)는 석가모니 부처에게는 단 한 명의 아내만이 존재했고, 시간이 흐르면서 그 한 사람을 지칭하는 호칭과 명칭이 다양해졌을 뿐이며, 이것이 후대에 석가모니 부처가 여러 명의 아내를 두었다는 이야기로 전승되었다는 해석을 내놓았다.[36] 노엘 페리(Noel Peri)는 팔리어뿐만 아니라 중국과 티베트의 불교 자료들을 조사하면서 초기 불교 자료(5세기 이전에 번역된 것)가 일관되게 부처의 부인을 '고피(Gopī)'로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정 기간 동안 기록이 일치하지 않는 시간대가 생기다가 5세기 후반부터 번역된 원문에서 '야쇼다라'가 석가모니 부처의 아내를 가리키는 호칭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36]
야쇼다라의 이름 및 명칭은 다음과 같다.
표기 | 뜻 |
---|---|
Yaśodharā|야쇼다라sa | "영광을 지닌 자" |
Yasodharā|야소다라pi | |
야쇼다라 테리(Yaśodharā Theri) | 야쇼다라 원로 |
빔바데비(Bimbādevī) | |
밧다카치아나(Bhaddakaccānā) | |
라훌라마타(Rāhulamātā) | 라훌라의 어머니 |
야수타라(耶戍陀羅) | |
지칭(持稱), 구칭(具稱), 제칭(除稱), 강칭(降稱), 명문(名聞), 지예(持譽) |
야쇼다라의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일반적으로 마하마야(마야 부인)의 아들인 싯다르타나 마하파자파티의 아들인 난다는 야쇼다라에게 사촌에 해당한다는 것이 북전(北伝) 불경의 전승이다.
3. 출신 및 가계
어느 쪽이든 야쇼다라는 수파붓다[5][6] 왕과 아미타의 딸이었다. 그녀는 바이샤카 달의 같은 날에 싯다르타 태자와 함께 태어났다. 그녀의 할아버지는 콜리야[7] 족의 추장인 안자나였고, 그녀의 아버지 수파붓다였으며, 어머니 아미타는 샤카 가문 출신이었다. 샤카족과 콜리야족은 아디차(산스크리트어: Aditya) 또는 익슈바쿠 왕조의 분파였다. 이 지역에서 이 두 왕족과 동등하다고 여겨지는 다른 가문은 없었으므로, 이 두 왕족의 구성원은 그들끼리만 결혼했다.[8]
북전 불경에서는 그녀의 남편 후보 경쟁(swayamvara)에서 싯다르타나 난타, 데바닷타 등과 경기를 치른 끝에 싯다르타의 정비가 되었다는 설도 있는데, 결혼 당시 야쇼다라는 10세 전후였고 싯다르타의 나이는 17세(혹은 16세)였다고 하며, 야쇼다라도 싯다르타와 같은 베샤카 달에 싯다르타와 같은 날에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
4. 생애
야쇼다라는 콜리야족 출신으로, 석가족과 마찬가지로 아디탸 또는 이크슈바쿠 왕조의 분파였다. 이 두 왕족은 서로 동등하게 여겨졌기 때문에 족내혼을 하는 풍습이 있었다.[28] 야쇼다라의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야쇼다라는 16세에 싯다르타 왕자와 결혼하여 29세에 외아들 라훌라를 낳았다. 라훌라가 태어난 날 밤, 싯다르타는 야쇼다라에게 알리지 않고 출가하였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야쇼다라는 큰 슬픔에 잠겼지만, 출가 수행자가 된 남편을 본받아 소박한 생활을 하며 그의 소식을 면밀히 주시했다.[32]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고 12년 후 고향 카필라바스투를 방문했을 때, 야쇼다라는 직접 만나러 가지 않고 아들 라훌라를 보내 유산을 요구하게 했다. 그러나 야쇼다라의 덕을 높이 산 석가모니는 그녀 앞에 나타나 인내와 희생을 칭찬했다. 이후 라훌라는 니구류원으로 가는 석가모니를 따라 사미가 되었다.
마하파자파티 고타미를 비롯한 500명의 여성과 함께 부처에게 출가를 간청했으나 처음에는 허락받지 못했다. 이들은 삭발하고 황의를 입은 채 석가모니를 따라가며 출가를 간청했고, 아난다의 설득으로 마침내 출가를 허락받았다. 출가 후 야쇼다라는 정진하여 여승 중 제일인자가 되었다고 한다. 야쇼다라는 남편 석가모니가 열반에 들기 2년 전, 78세의 나이로 열반에 들었다.[33]
4. 1. 결혼 전
야쇼다라는 석가족과 마찬가지로 아디탸(Sanskrit: Aditya) 또는 이크슈바쿠 왕조의 분파인 콜리야족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28] 이 지역에는 이 두 왕족과 동등한 가문이 없었기 때문에, 두 왕족 구성원들은 족내혼을 하였다.[8]야쇼다라의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설 | 내용 |
---|---|
남전 팔리어 경장 및 자타카 등 | 콜리족(拘利族) 데바다하성(天臂城)의 안샤나 왕을 할아버지로 그 장남 수프라붓다(善覚), 장녀 마야(摩耶), 차녀 마하파자파티(摩訶波闍波提)가 있었고 야쇼다라는 수프라붓다의 딸로 데바닷타(提婆達多)는 야쇼다라의 동생이라는 설. |
단다파니의 아버지 아냐냐는 콜리야 족의[31] 수장이었고 아미타는 그의 남편이 될 싯다르타의 아버지인 숫도다나 왕의 여동생, 즉 석가족이었다는 설. | 석가족의 거주지인 카필라바스투 성의 집장(執杖, 단다파니) 대신과[29][30] 아미타 부인의 딸로 고피카(瞿夷)와는 동일인물인데 혼동되어 전해졌다는 설. |
불본행집경 | 석가족의 거주지 카필라바스투 성의 대신 마하남(摩訶男, 마하나마라고도 하며 석가모니 부처의 제자 아나율의 형으로 다섯 비구의 한 사람과는 동명이인)의 딸이라는 설. |
일반적으로는 마하마야(마야 부인)의 아들인 싯다르타나 마하파자파티의 아들인 난다는 야쇼다라에게는 사촌에 해당한다는 것이 북전(北伝) 불경의 전승이다. 북전 불경에서는 그녀의 남편 후보 경쟁(swayamvara)에서 싯다르타나 난타, 데바닷타 등과 경기를 치른 끝에 싯다르타의 정비가 되었다는 설도 있는데, 결혼 당시 야쇼다라는 10세 전후였고 싯다르타의 나이는 17세(혹은 16세)였다고 하며, 야쇼다라도 싯다르타와 같은 베샤카 달에 싯다르타와 같은 날에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
숫도다나 왕이 태자의 배필을 구하고자 많은 여인들을 성 안으로 초대하고, 태자에게 초대받은 여인들에게 보석이 든 꽃바구니를 나누어주게 했을 때, 야쇼다라는 바구니를 받지 않고 빈손으로 돌아왔다. 아버지 수프라붓다가 다시 받아오라고 권하자 "보석이라면 집에도 많은데 뭐하러 밖에 나가서 받아오겠습니까?"라고 대답했다. 수프라붓다가 숫도다나 왕이 그런 모임을 연 이유를 말해주자, 야쇼다라는 싯다르타에게 갈 생각을 했다. 야쇼다라가 갔을 때는 이미 싯다르타는 보석 바구니를 다 다른 여인에게 나누어주고 남은 것이 없었다. 야쇼다라는 "저를 창피를 주시나요?"라고 따졌고, 싯다르타가 몸에 달았던 보석 장식을 하나하나 벗어 주려 하자 이를 사양하면서 "저는 태자가 차고 있는 것을 벗길 생각이 없습니다. 제 몸으로 태자의 몸을 장식해드리고 싶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이 일이 있은 뒤에 숫도다나 왕은 정식으로 수프라붓다 왕에게 청혼을 했다. 야쇼다라는 싯다르타의 비가 되어 궁중에 들어갈 때 관례를 무시하고 베일을 쓰지 않았고, 시녀가 주의를 주자 "흠도 없는 얼굴을 가릴 필요가 무엇이야."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오천축(五天竺) 제일의 미녀라고도 불린다.
4. 2. 라훌라 출산과 싯다르타의 출가
야쇼다라는 29세에 외아들 라훌라를 낳았다. 경전에 따라서는 야쇼다라가 라훌라를 6년 동안 태내에 품고 있었다는 설과 석가모니가 출가하여 고행 중이던 6년 사이에 라훌라를 잉태했다가 석가모니가 성도하던 날 밤에 낳았다는 설이 있다.[28] 《잡보장경》에서는 석가모니 부처의 성도 이후에 라훌라를 낳아서 친족으로부터 정절을 의심받았다고 적었다. 또한 《처처경》(處處経)이나 《서국불조대대상승전법기》(西國佛祖代代相承傳法記), 《내증불법상승혈맥보》(内證佛法相承血脈譜)에는 석가모니 부처가 태자 시절에 야쇼다라 외에도 다른 아내인 고피(瞿夷)와의 사이에서 우파마나(Upavana, 優波摩那), 녹야(鹿野)와의 사이에 슈나캇타(Sunakkatta, 善星)를 낳았고 이들은 이후 라훌라와 함께 모두 출가하였다고 하는 전승도 전하고 있다.라훌라가 태어난 지 이레째 되는 날 밤, 싯다르타는 왕궁을 떠나 출가를 결행하였다. 싯다르타는 모두가 잠든 사이에 아내인 야쇼다라에게도 알리지 않고 한밤중에 왕궁을 떠났다. 뒤늦게 그가 떠났다는 사실을 안 야쇼다라는 망연자실했고 슬픔에 잠겼다.[32] 인도의 힌두 시인 마이틸리 샤란 굽타(1886–1964)는 야쇼다라의 감정을 표현한 시를 썼다.
오, 그가 나에게 말했더라면,
나를 여전히 걸림돌로 여겼을까?
그는 나에게 많은 존경을 표했지만,
진정한 의미에서 나의 존재를 인식했을까?
나는 그를 인식했지,
만약 그가 이런 생각을 마음속에 품었다면
오, 그가 나에게 말했더라면.[9]
야쇼다라는 출가 수행자가 된 남편을 본받아 소박한 생활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32] 친척들이 그녀의 생활을 돕겠다고 하는 것도, 몇몇 왕자들이 그녀에게 구혼하는 것도 모두 거절하면서, 싯다르타가 출가하고 성도하기까지 6년 동안, 야쇼다라는 남편 싯다르타의 행동에 대한 소식을 면밀히 주시했다. 자타카(본생담)에서는 시아버지 숫도다나 왕이 그녀의 정절을 찬양했다고 한다.
일부 비학술 간행물에서는 야쇼다라가 붓다의 떠남에 분노했다고 하고,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15][16][17] 일부 연구에서는 그녀의 분노가 오래가지 않았으며, 그녀는 원망보다는 슬픔을 느꼈다고 한다.[18] 학자들은 야쇼다라가 분노가 아닌 슬픔을 느꼈고, 그를 모방하여 출가를 따라가고 싶어했다고 말한다.
"그의 탄생일에 왕자는 궁을 떠났다. 야쇼다라는 비통함에 휩싸여 슬픔에 잠겼다. 그녀는 남편이 성스러운 삶을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장신구를 벗고, 수수한 노란색 가운을 입고, 하루에 한 끼만 먹는 것으로 그를 따랐다."[19]
동양 시 또한 야쇼다라가 그의 떠남에 분노하거나 놀라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녀는 단지 슬퍼했을 뿐이다.
"야쇼다라의 슬픔은 그의 떠남에 대한 분노가 아니다. 그녀는 처음부터 붓다가 되는 것이 그의 목표임을 알고 있었고, 윤회의 모든 과거 생에서 그의 삶과 그 목표를 향한 그의 노력을 함께 했다. 그녀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충분히 알고 그렇게 해왔다. 그녀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이 한 번의 경우, 그가 그녀를 혼자 남겨두고 아무 말도 없이 떠났다는 것이다."[20]
4. 3. 석가모니의 성도와 귀향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고 12년 뒤 고향 카필라바스투를 방문했을 때, 야쇼다라는 직접 만나러 가지 않고 아들 라훌라에게 아버지에게 유산을 받으러 가라고 했다. 야쇼다라는 "내가 조금이라도 미덕을 얻었다면, 깨달은 분께서는 내 앞에 나타나실 것이다."라고 생각했고, 석가모니는 야쇼다라 앞에 나타나 그녀의 인내와 희생을 칭찬했다.[1] 라훌라는 니구류원으로 가는 아버지 석가모니를 따라 사미가 되었다.4. 4. 출가와 비구니 승단
마하파자파티 고타미를 비롯한 500명의 여성들은 부처에게 출가를 세 차례 간청했으나 처음에는 허락받지 못했다.[33] 이들은 석가모니가 카필라바스투를 떠나 바이샬리 외곽의 대림정사(중각강당)로 가는 길에 삭발하고 황의를 입은 채 뒤따라가며 출가를 간청하였다. 이들이 강당 앞에서 다리가 붓고 눈물과 먼지, 티끌로 범벅이 되어 큰 소리로 우는 것을 본 아난다가 그 이유를 묻자, 야쇼다라는 여자도 출가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청하였다. 아난다의 설득으로 야쇼다라를 비롯한 여인들은 마침내 출가를 허락받았다. 출가 후 야쇼다라는 자신을 반성하기 위해 노력하여 여승 중 제일인자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원시불교 경전 중 하나인 남전(南伝) 테라가타(장로니게)에는 석가모니와의 만남을 이야기한 게송이 실려 있다.야쇼다라는 남편 석가모니가 열반에 들기 2년 전, 78세의 나이로 열반에 들었다.[33] 그녀는 최초로 비구니 계급을 설립한 마하파자파티 고타미와 함께 500명의 여성과 함께 비구니로 서품되었으며,[1] 곧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했다.
5. 전설
불본행집경에 따르면 야쇼다라는 전생에 고피(수미트라 또는 바드라)라는 이름의 소녀였다. 그녀는 싯다르타 고타마의 전생인 수메다 브라만을 처음 만났을 때, 연등불(단판카라 붓다)에게 공양할 연꽃을 팔고 있었다. 당시 수메다 브라만은 연등불에게서 미래에 부처가 될 것이라는 예언을 받은 상태였다.[11]
파두마라는 도시에서 연등불에게 공양할 꽃을 구하던 수메다는 고피가 연꽃 일곱 송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수메다가 꽃을 사려 하자, 고피는 그의 용모에 반해 "다음 생애에 자신과 부부가 되어준다면 이 꽃을 팔겠다"고 제안했다. 그녀는 다섯 송이를 팔고 나머지 두 송이는 수메다에게 주며 자신을 대신해 연등불에게 공양해 달라고 부탁했다.[11]
법화경 제13장 권지품(勸持品)에 따르면 야쇼다라는 마하파자파티와 마찬가지로 석가모니로부터 미래에 부처가 될 것이라는 수기를 받았다.[11]
6. 기타 전승
《잡보장경》에서는 석가모니 부처의 성도 이후에 라훌라를 낳아서 친족으로부터 정절을 의심받았다고 적었다.[33] 또한 《처처경》(處處経)이나 《서국불조대대상승전법기》(西國佛祖代代相承傳法記), 《내증불법상승혈맥보》(内證佛法相承血脈譜)에는 석가모니 부처가 태자 시절에 야쇼다라 외에도 다른 아내인 고피(瞿夷)와의 사이에서 우파마나(Upavana, 優波摩那), 녹야(鹿野)와의 사이에 슈나캇타(Sunakkatta, 善星)를 낳았고 이들은 이후 라훌라와 함께 모두 출가하였다고 하는 전승도 전하고 있다.
7. 야쇼다라에 대한 현대적 해석
일부 비학술 간행물에서는 야쇼다라가 붓다가 떠난 것에 분노했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분노보다는 슬픔을 느꼈다고 해석한다.[15][16][17][18] 학자들은 야쇼다라가 남편을 따라 출가하고 싶어 했다고 말한다.[19]
동양 시에서는 야쇼다라가 슬퍼했을 뿐, 붓다가 떠난 것에 분노하거나 놀라지 않았다고 묘사한다. 그녀는 붓다가 되는 것이 그의 목표임을 알고 있었고, 그의 노력을 지지했다는 것이다.[20]
참조
[1]
웹사이트
The Lord Buddha and His Teachings
http://www.buddhism.[...]
[2]
논문
"In-laws of the Buddha as Depicted in Pāli Sources"
http://www.chibs.edu[...]
Chung-Hwa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2004
[3]
웹사이트
Suppabuddha
http://www.palikanon[...]
[4]
서적
Family in Buddhism
SUNY Press
[5]
서적
Stars at Dawn: Forgotten Stories of Women in the Buddha's Life
Shambhala Publications
[6]
웹사이트
Dhammapada Verse 128 Suppabuddhasakya Vatthu
http://www.tipitaka.[...]
Tipitaka.net
[7]
웹사이트
Koliyā
http://www.palikanon[...]
Palikanon.com
[8]
웹사이트
Why was the Sakyan Republic Destroyed? by S. N. Goenka
https://web.archive.[...]
[9]
서적
Bloomsbury Religion in North America
2021
[10]
웹사이트
The Compassionate Buddha
http://www.geocities[...]
Geocities.com
2009-09-23
[11]
간행물
Social responsibility, sex change, and salvation: Gender justice in the Lotus Sūtra
http://enlight.lib.n[...]
2002
[12]
웹사이트
Yashodhara (glorieuse) est la cousine et l’épouse principale de Gautama, mère de son fils Rahula. Connue par les Jatakas (légendes de la vie du Bouddha), elle serait devenue du vivant de Gautama une ascète, une nonne prééminente et l’un des quatre arahants de son entourage possédant l’intuition absolue 1. Les détails de sa légende sont de nos jours surtout populaires dans le bouddhisme theravada. Elle est également nommée Yashodhara Theri (doyenne Yashodhara), Bimbadevi, Bhaddakaccana ou Rahulamata (mère de Rahula).
http://www.territori[...]
[13]
문서
AN 1. 14. 5. 11 states: Etadaggaṃ bhikkhave mama sāvikānaṃ bhikkhunīnaṃ mahābhiññappattānaṃ yadidaṃ bhaddakaccānā
[14]
간행물
"LES FEMMES DE ÇĀKYA-MUNI"
www.jstor.org/stable[...]
1918
[15]
논문
Feminist Literary Criticism Meets Feminist Theology: Yashodhara and the Rise of Hagiographical Fiction in Modern Feminist Re-visioning
2021
[16]
웹사이트
The Woman Who Married the Buddha
https://tricycle.org[...]
2023-03-31
[17]
웹사이트
"Yasodhara and the Buddha" by Vanessa R Sasson
https://asianreviewo[...]
2021-04-09
[18]
서적
Yasodharā, the Wife of the Bōdhisattva
https://www.nypl.org[...]
[19]
웹사이트
Yasodharā – Tibetan Buddhist Encyclopedia
http://www.tibetanbu[...]
2024-03-01
[20]
서적
Yasodharā, the Wife of the Bōdhisattva: The Sinhala Yasodharāvata (The Story of Yasodharā) and the Sinhala Yasodharāpadānaya (The Sacred Biography of Yasodharā)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4-02-07
[21]
웹사이트
耶輸陀羅の解説 - 小学館 大辞泉
https://dictionary.g[...]
[22]
서적
図解仏教
成美堂出版
[23]
서적
差別の超克――原始仏教と法華経の人間観
講談社
[24]
서적
図解仏教
成美堂出版
[25]
논문
"In-laws of the Buddha as Depicted in Pāli Sources"
http://www.chibs.edu[...]
Chung-Hwa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2004
[26]
웹인용
Suppabuddha
http://www.palikanon[...]
[27]
서적인용
Family in Buddhism
SUNY Press
[28]
웹사이트
Why was the Sakyan Republic Destroyed? by S. N. Goenka
https://web.archive.[...]
[29]
서적인용
Stars at Dawn: Forgotten Stories of Women in the Buddha's Life
Shambhala Publications
[30]
웹인용
Dhammapada Verse 128 Suppabuddhasakya Vatthu
http://www.tipitaka.[...]
Tipitaka.net
[31]
웹인용
Koliyā
http://www.palikanon[...]
Palikanon.com
[32]
웹인용
The Compassionate Buddha
http://www.geocities[...]
Geocities.com
[33]
웹인용
The Lord Buddha and His Teachings
http://www.buddhism.[...]
2020-02-14
[34]
웹사이트
Yashodhara (glorieuse) est la cousine et l’épouse principale de Gautama, mère de son fils Rahula. Connue par les Jatakas (légendes de la vie du Bouddha), elle serait devenue du vivant de Gautama une ascète, une nonne prééminente et l’un des quatre arahants de son entourage possédant l’intuition absolue 1. Les détails de sa légende sont de nos jours surtout populaires dans le bouddhisme theravada. Elle est également nommée Yashodhara Theri (doyenne Yashodhara), Bimbadevi, Bhaddakaccana ou Rahulamata (mère de Rahula).
http://www.territori[...]
[35]
문서
AN 1. 14. 5. 11 states: Etadaggaṃ bhikkhave mama sāvikānaṃ bhikkhunīnaṃ mahābhiññappattānaṃ yadidaṃ bhaddakaccānā
[36]
간행물
LES FEMMES DE ÇĀKYA-MUNI
www.jstor.org/stable[...]
Bulletin De L'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1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