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인여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인여진은 명나라가 여진족을 건주여진, 해서여진과 함께 분류한 집단으로, 1573년 이후 사료에 등장한다. 이들은 주로 아무르강, 우수리강, 쑹화강 유역 등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했으며, 조선에서는 왈카와 우디거로 분류했다. 야인여진은 퉁구스어로 "숲의 사람"을 의미하며, 요나라 시대부터 존재한 생여진의 후예로 여겨진다. 17세기 청나라는 야인여진 부족들을 정복하여 팔기군에 편입시키거나 만주족 지배 체제에 흡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야인여진 | |
---|---|
개요 | |
별칭 | 해동여진(海東女眞) |
구분 | 여진족 |
언어 | 여진어 |
역사적 배경 | |
기원 | 숙신(肅愼) 읍루(挹婁) 물길(勿吉) 말갈(靺鞨) |
명칭 유래 | 야인(野人)은 한족(漢族)이 붙인 멸칭 ‘변방의 미개인’이라는 의미 |
거주 지역 | 중국 동북 지역 |
주요 활동 시기 | 명나라 시대 |
사회 및 문화 | |
사회 구조 | 수렵 채집 농경 부족 사회 형태 유지 |
역사적 관계 | |
주요 관계 | 명나라 조선 건주여진 해서여진 |
갈등 및 협력 | 명나라의 여진족 분열 정책 조선의 회유 정책 건주여진과의 경쟁 및 통합 시도 |
기타 | |
후대 영향 | 청나라 건국 세력의 일부 |
2. 명칭과 분류
야인여진은 '야생에서 사는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야인(野人)'은 "미개인"을 의미한다. 이 명칭은 건주 여진과 해서 여진이 일어나기 전 모든 여진족을 통칭하는 말이었다. 명나라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지 않은 여진족은 야인여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야인 여진"이라는 분류는 만력 연간(1573년 ~ 1620년) 이후 사료에 등장한다.[7]
조선에서는 건주 여진 이외의 여진을 오랑캐 (왈카)[8], 우디거 등으로 불렀다.
2. 1. 명나라의 분류
명나라는 여진족을 크게 건주 여진, 해서 여진, 야인여진으로 분류했다. '야인(野人)'은 "야생인", 즉 "미개인"을 의미한다. 원래 명나라 초기에는 여진을 "건주"와 "해서" 두 가지로 분류했지만, 만력 연간 이후 "야인 여진"이라는 분류가 사료에 등장한다.[7] 이는 여진 내부에서 후룬 사부가 융성하면서, 해서 = 후룬 사부를 가리키는 대상이 좁혀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후룬 사부를 제외한 옛 해서위 분의 여진을 가리키는 말로서 "야인 여진"이 형성되었다.[7]조선에서는 건주 여진 이외의 여진을 올량합(왈카)[8]과 올적합(우디게) 두 가지로 나누었으며, 우디게를 다시 후룬=우디게(명나라의 해서 여진, 후의 후룬 사부), 쿨카=우디게(후의 쿨카부), 제성 우디게(후의 웨지부)로 분류했다. 이 중 왈카, 쿨카=우디게, 제성 우디게가 명나라에서 말하는 "야인 여진"에 해당하며, 17세기의 만주어 사료가 기록하는 동해 삼부(왈카, 쿨카, 웨지)와도 대응한다.
명나라가 아무르강 하류 유역 통치의 거점으로 삼았던 누르간에는 한문, 몽골어, 여진어 세 가지 언어로 기록된 비문이 남아 있는데, 이 비문에서 "야인"이라는 한자에 대응하는 몽골어/여진어는 Udigan/Udigen으로 기록되어 있다.[9] 이는 퉁구스어로 "숲의 사람"을 의미하는 weji-kai가 변형된 것으로, 명나라에서 "야인 여진"이라고 불린 집단은 요나라 시대부터 존재하는 "생여진"의 후예로 추정된다.
2. 2. 조선의 분류
조선은 건주여진 이외의 여진을 왈카(兀良哈, 오랑캐)[8]와 우디거(올적합)의 두 가지로 나누었다.[8] 우디거는 다시 후룬 우디거(명나라의 해서 여진, 후의 후룬 사부), 쿨카 우디거(후의 쿨카부), 제성 우디거(후의 웨지부)로 분류되었다. 이 중 왈카, 쿨카 우디거, 제성 우디거가 명나라에서 말하는 "야인 여진"에 해당하며, 17세기의 만주어 사료가 기록하는 동해 삼부(왈카, 쿨카, 웨지)와도 대응된다.왈카(ᠸᠠᡵᡴᠠ|warkamnc)는 장백산 동쪽의 도문강(투먼 우라) 유역에 거주했으며,[10] 조선에서는 이들을 오랑캐(兀良哈)라고 불렀다.[8] 왈카는 영락제 초기에 설치된 모련위의 구성 부족이었다.[10] 왈카에 속하는 부족들은 다음과 같다.
부족명 | 위치 및 주요 사건 |
---|---|
안추라크[11][12] | 와르카부 서역 (대소 도라쿠수 일대)에 위치한 건주부의 속령. 우라가 우두머리를 사로잡아 예허에 넘김.[10] |
퓌오[13][14] | 훈춘장 (현 지린성옌볜 조선족 자치주훈춘시) 일대에 거주.[10] 만력 35년 (1607) 음력 정월, 우라의 침공을 받아 500호가 누르하치에게 귀순.[15] |
스이푼[16][17] | 숭정 10년 (1637)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야란[18][19] | 숭정 10년 (1637)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후이예[20][21] | 우수리 우라(오소리강) 상류 일대에 거주. 숭정 10년 (1637)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남두르[22][17] | 수분하 유역의 속평강 일대에 거주.[10] |
니마차[17][23] | 숭정 10년 (1637)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울구첸[24][25] | 만력 39년 (1611), 청나라의 아바타이, 비영동, 순과락 등이 토벌.[15] |
물렌[25][26] | 울구첸과 함께 공략됨. |
아쿠리니만 | 숭정 8년 (1635), 청나라의 우바하이(오바해)가 토벌.[15] |
울이거천(오이거신)[27] | 숭정 10년 (1637)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울기 | 숭정 10년 (1637)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니흑고륜 | 숭정 10년 (1637)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노락하만 | 숭정 10년 (1637)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야인여진은 아무르강(흑룡강) 중·하류, 우수리강, 쑹화강(송화강), 무단강(목단강) 유역 등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했다.
3. 지리적 분포
명나라 초·중기에는 여진을 "건주"와 "해서"로 분류했으나, 만력 연간 이후 "야인 여진"이라는 분류가 등장했다. 이는 여진 내부에서 후룬 사부가 융성하면서, 기존 "해서 여진"의 범위가 좁혀지고, 후룬 사부를 제외한 나머지 여진을 가리키는 "야인 여진"이라는 용어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7]
조선에서는 건주 여진 이외의 여진을 올량합(왈카)[8]과 올적합(우디게)으로 나누었다. 올적합은 다시 후룬=우디게, 쿨카=우디게, 제성 우디게로 분류되었는데, 이 중 왈카, 쿨카=우디게, 제성 우디게가 명나라에서 말하는 "야인 여진"에 해당하며, 17세기 만주어 사료의 동해 삼부(왈카, 쿨카, 웨지)와도 대응된다.
명나라가 아무르강 하류 통치 거점으로 삼았던 누르간(노아간)에는 한문, 몽골어, 여진어로 기록된 비문이 있는데, 이 비문에서 "야인"에 해당하는 몽골어/여진어는 Udigan/Udigen으로 기록되어 있다.[9] 이는 퉁구스어로 "숲의 사람"을 의미하는 weji-kai가 변형된 것으로, "야인 여진"은 요나라 시대부터 존재한 "생여진"의 후예로 추정된다.
3. 1. 주요 부족
ᠸᠠᡵᡴᠠmnc, warka, 와르카(瓦爾喀)는 장백산 동쪽 도문강 유역에 거주했다.[10] 조선에서는 이들을 오랑캐(兀良哈)라고 불렀다.[8] 영락제 초기에 설치된 모련위의 구성 부족이었다.[10] 와르카부에는 다음과 같은 부족들이 있었다.
부족명 | 위치 | 비고 |
---|---|---|
안추라크[11][12] | 와르카부 서역 (대소 도라쿠수 일대) | 건주부 속령. 우라가 우두머리를 사로잡아 예허에 넘김.[10] |
퓌오[13][14] | 훈춘장 (현 지린성옌볜 조선족 자치주훈춘시) 일대 | 만력 35년 (1607) 음력 정월, 우라의 침공을 받아 500호가 누르하치에게 귀순.[15] |
스이푼[16][17] | 숭정 10년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
야란[18][19] | 숭정 10년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
후이예[20][21] | 오소리강 상류 일대 | 숭정 10년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남두르[22][17] | 수분하 유역의 속평강 일대 | [10] |
니마차[17][23] | ||
울구첸[24][25] | 만력 39년, 청나라의 아바타이, 비영동, 순과락 등이 토벌.[15] | |
물렌[25][26] | 울구첸과 함께 공략됨. | |
아쿠리니만 | 숭정 8년, 청나라의 우바하이(오바해)가 토벌.[15] | |
울이거천(오이거신)[27] | 숭정 10년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
울기 | 숭정 10년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
니흑고륜 | 숭정 10년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
노락하만 | 숭정 10년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 hūrha, 虎爾哈/ᡴᡡᡵᡴᠠmnc, kūrka, 庫爾哈, 庫爾喀)는 송화강과 무단강 유역에 거주했다. 원나라대의 후리가이로(呼里改路) (현재 흑룡강성 할빈시 이란현)가 이곳에 있었다.[15] 후르하/쿠르카부에는 다음과 같은 부족들이 있었다.
부족명 | 비고 |
---|---|
오찰라 | 숭정 6년, 수령 초치(綽奇)가 청에 입조하여 담비 가죽을 공납. 숭정 8년 음력 5월, 우바하이 등이 정벌. 같은 해 음력 10월, 오찰라 부의 동생 세헌복크사 등이 청나라에 귀순하여 닝구타 지방으로 이주. 숭정 14년 음력 2월, 닝구타 장긴 종과태 등이 잔당 세력의 집락을 정복.[15] |
초고선 | 숭정 16년 음력 5월, 청나라의 아이지(阿爾津) 등이 토멸.[15] |
능길이 | 숭정 16년 음력 5월, 청나라의 아이지 등이 토멸.[15] |
랄리선 | 숭정 12년 음력 8월, 청나라의 사목십 등이 토멸.[15] |
탁진 | 숭정 12년 음력 8월, 청나라의 사목십 등이 토멸.[15] |
아사진 | 숭정 12년 음력 8월, 청나라의 사목십 등이 토멸.[15] |
다금 | 숭정 12년 음력 8월, 청나라의 사목십 등이 토멸.[15] |
오고이성 | 숭정 12년 음력 8월, 청나라의 사목십 등이 토멸.[15] |
괘랄이 | 숭정 12년 음력 8월, 청나라의 사목십 등이 토멸.[15] |
액소리 | 숭정 12년 음력 8월, 청나라의 사목십 등이 토멸.[15] |
액이토 | 숭정 12년 음력 8월, 청나라의 사목십 등이 토멸.[15] |
격선리 | 숭정 원년 음력 정월, 두목 4명이 청나라에 입공.[15] |
시라힌[28] | 요력하 지류의 칠리하 유역에 거주. 만력 44년, 순과락 등이 설복. 만력 46년, 일족이 귀순.[15] |
나감태 | 숭정 3년 음력 11월, 영수 호이아가 처자를 이끌고 닝구타에 투항. 명마이타오조대청(命馬爾拖朝大清). 목초지 요청.[15] |
탁과락라(脫科落) | 숭정 10년 음력 4월, 음력 12월, 숭정 15년 음력 12월, 청나라에 담비 가죽을 공납.[15] |
노력랄(耨野勒) | 숭정 11년 음력 4월, 청나라에 귀순.[15] |
묵이차륵 | 숭정 11년 음력 12월, 청나라에 귀순.[15] |
흑엽 | 숭정 11년 음력 12월, 청나라에 귀순.[15] |
마이차뢰 | 숭정 15년 음력 12월, 청나라에 귀순.[15] |
과이불과이 | 숭정 15년 음력 12월, 청나라에 귀순.[15] |
고사각리 | 숭정 15년 음력 12월, 청나라에 귀순.[15] |
갈달소 | 대갈달소와 소갈달소로 분류. 숭정 16년 음력 5월, 청나라의 아르진 등이 토멸.[15] |
사하랸[29][30] | 만력 44년 음력 7월, 달르한(다르한 히야), 순과락 등이 36개 촌락을 탈취.[15] |
4. 역사
야인여진은 요나라 시대의 '생여진'의 후예로 추정된다. 명나라 초기에는 '야인'이라는 명칭 대신 '兀狄哈'(오적합, 우디거) 등으로 불렸다.[7] 조선에서는 건주 여진 이외의 여진을 올량합(왈카)[8]과 올적합(우디거)으로 나누었으며, 우디거를 다시 후룬=우디게, 쿨카=우디게, 제성 우디게로 분류했다. 이 중 왈카, 쿨카=우디게, 제성 우디게가 명나라에서 말하는 "야인 여진"에 해당한다고 여겨지며, 17세기의 만주어 사료가 기록하는 동해 삼부(왈카, 쿨카, 웨지)와도 대응된다.
명나라는 아무르강 하류의 누르간(노아간)에 누르간도지휘사사를 설치하고 야인여진을 간접적으로 통치하려 했다. 누르간에는 한문, 몽골어, 여진어의 세 가지 언어로 기록된 비문이 남아 있는데, 이 비문에서 "야인"이라는 한자에 대응하는 몽골어/여진어는 Udigan/Udigen으로 기록되어 있다.[9] 이는 퉁구스어로 "숲의 사람"을 의미하는 weji-kai가 변형된 것으로, 야인여진이 "생여진"의 후예임을 시사한다.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이끄는 건주여진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야인여진 부족들을 정복하거나 복속시켰다. 청나라 건국이후 야인여진은 만주족의 일부로 흡수 통합되었다.
- '''瓦爾喀|와르카|warka중국어'''
부족명 | 위치 | 비고 |
---|---|---|
장백산 동쪽 도문강(투멘 우라) 유역[10] | 조선 측에서는 이들을 오랑캐(兀良哈)라고 불렀다.[8] 영락제 초기에 설치된 모련위의 구성 부족이다.[10] | |
주요 부족 | ||
안추라크[11][12] | 와르카부의 서역 (대소 도라쿠수 일대) | 건주부의 속령 |
퓌오[13][14] | 훈춘장(현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훈춘시) 일대[10] | |
스이푼[16][17], 야란[18][19], 후이예[20][21], 울이거천(오이거신)[27], 울기, 니흑고륜, 노락하만 | 숭정 10년(1637년) 음력 7월, 청나라의 카카이, 타커 등이 토벌[15] | |
남두르[22][17] | 수분하 유역의 속평강 일대[10] | |
니마차[17][23], 아쿠리니만 | ||
울구첸[24][25], 물렌[25][26] | 만력 39년(1611년), 청나라의 아바타이, 비영동, 순과락 등이 토벌[15] |
- '''ᡥᡡᡵᡥᠠ|후르하|hūrhamn, ᡴᡡᡵᡴᠠ|쿠르카|kūrkamkh'''
부족명 | 위치 | 비고 |
---|---|---|
쑹화강(송화강)과 무단강(목단강) 유역 | 원나라대의 후리가이로(呼里改路) (현재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이란현)에 해당.[15] | |
주요 부족 | ||
오찰라 | 숭정 6년(1633년) 청에 입조, 담비 가죽 공납. 숭정 8년(1635년) 음력 5월, 우바하이 등이 정벌. 같은 해 음력 10월, 닝구타 지방으로 이주. 숭정 14년(1641년) 음력 2월 잔당 세력 정복.[15] | |
초고선, 능길이 | 숭정 16년(1643년) 음력 5월, 청나라의 아이지 등이 토멸.[15] | |
랄리선, 탁진, 아사진, 다금, 오고이성, 괘랄이, 액소리, 액이토 | 숭정 12년(1639년) 음력 8월, 청나라의 사목십 등이 토멸.[15] | |
격선리 | 숭정 원년 음력 정월, 두목 4명이 청나라에 입공.[15] | |
시라힌[28] | 요력하 지류의 칠리하 유역 | 만력 44년(1616년), 순과락 등이 설복. 만력 46년(1618년), 일족 귀순.[15] |
나감태 | 숭정 3년(1630년) 음력 11월, 영수 호이아가 처자를 이끌고 닝구타에 투항.[15] | |
탁과락라(脫科落) | 숭정 10년(1637년) 음력 4월, 음력 12월, 15년(1642년) 음력 12월, 청나라에 담비 가죽 공납.[15] | |
노력랄(耨野勒), 묵이차륵, 흑엽 | 숭정 11년(1638년) 청나라에 귀순.[15] | |
마이차뢰, 과이불과이, 고사각리 | 숭정 15년(1642년) 음력 12월, 청나라에 귀순.[15] | |
갈달소 (대갈달소와 소갈달소로 분류) | 숭정 16년(1643년) 음력 5월, 청나라의 아르진 등이 토멸.[15] | |
사하랸[29][30] | 만력 44년(1616년) 음력 7월, 달르한(다르한 히야), 순과락 등이 36개 촌락 탈취.[15] |
참조
[1]
서적
東夷考略·女真通考
[2]
웹사이트
满洲历史上的东海女真
http://www.sohu.com/[...]
[3]
서적
『御製増訂清文鑑』・巻十
[4]
서적
満洲実録・上函・巻三
遼寧省档案館
[5]
서적
満洲実録・上函・巻一
遼寧省档案館
[6]
서적
増井寛也
[7]
서적
増井寛也
[8]
문서
蒙古系の[[ウリャンカイ]]とは別種。
[9]
서적
長田夏樹
[10]
논문
明末の野人女直について
https://toyo-bunko.r[...]
[11]
문서
転写:anculakū, 漢文:安楚拉庫 (滿洲實錄-2)
[12]
서적
manju i yargiyan kooli (滿洲實錄)
四庫全書
[13]
문서
転写:fio, 漢文:蜚悠 (柳邊紀略-3)、斐優 (滿洲實錄)
[14]
서적
manju i yargiyan kooli (滿洲實錄)
四庫全書
[15]
서적
柳邊紀略
https://zh.wikisourc[...]
不詳
[16]
문서
転写:suifun, 漢文:綏分 (柳邊紀略-3)、遂分 (柳邊紀略-3)、綏芬 (滿洲實錄-3)
[17]
서적
manju i yargiyan kooli (滿洲實錄)
四庫全書
[18]
문서
転写:yaran, 漢文:雅蘭 (柳邊紀略-3, 滿洲實錄-3)
[19]
서적
manju i yargiyan kooli (滿洲實錄)
四庫全書
[20]
문서
転写:huye, 漢文:戸野 (柳邊紀略-3)、滹野 (柳邊紀略-3)、瑚葉 (滿洲實錄-3)
[21]
서적
manju i yargiyan kooli (滿洲實錄)
四庫全書
[22]
문서
転写:namdulu, 漢文:那木都魯 (滿洲實錄)
[23]
문서
転写:nimaca, 漢文:尼馬察 (滿洲實錄)
[24]
문서
転写:urgucen, 漢文:烏爾古辰 (柳邊紀略-3)、烏爾古宸 (滿洲實錄-3)
[25]
서적
manju i yargiyan kooli (滿洲實錄)
四庫全書
[26]
문서
転写:muren, 漢文:木倫 (滿洲實錄)
[27]
문서
urgucen (烏爾古宸) と同一か。
[28]
문서
転写:sirahin, 漢文:石拉忻 (柳邊紀略-3)、實喇忻 (滿洲實錄-4)
[29]
문서
転写:sahaliyan, 漢文:薩哈連 (柳邊紀略-3、滿洲實錄-3)
[30]
서적
manju i yargiyan kooli (滿洲實錄)
四庫全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