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양간지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양간지풍은 강원도 양양군과 간성군 사이에서 부는 강한 바람을 의미하며, 주로 봄철에 발생한다. 1633년 이식이 쓴 《수성지》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조선 순조 4년(1804년)에는 이 바람으로 인해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기도 했다. 양간지풍은 한반도 남쪽에 고기압, 북쪽에 저기압이 위치할 때 태백산맥의 푄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산불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여 2005년 고성 산불, 2019년 고성-속초 산불과 같은 대형 산불 피해를 야기한다. 또한, 강풍으로 인해 해안 지역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푄 현상 - 치누크 바람
    치누크 바람은 푄 현상의 일종으로 산을 넘으며 기온이 상승하는 바람이며, 앨버타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고 기온 상승, 치누크 아치 형성, 해빙 등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 양양군의 지리 - 설악산
    설악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대청봉을 중심으로 내설악, 외설악, 남설악으로 구분되고,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등산 코스를 제공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산이다.
  • 양양군의 지리 - 은비령
    소설가 이순원이 소설 《은비령》을 통해 이름붙인 은비령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과 양양군 사이 한계령 아래 위치한 고개로, 본래 필노령 또는 피래고개로 불리던 군용 도로였으나 포장 후 필례약수, 원대리 자작나무 숲과 함께 관광 명소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기후 - 삼한사온
    죄송합니다. 제공된 본문이 없어 삼한사온에 대한 위키백과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대한민국의 기후 - 서울특별시의 기후
    서울특별시의 기후는 뚜렷한 사계절 변화를 보이며 여름에는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춥고 건조하며 봄에는 황사의 영향을 받는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기상 현상과 기후적 특징을 말한다.
양간지풍
양간지풍
개요
설명늦봄에서 초여름 사이, 태백산맥 서쪽 사면의 강원도 영서 지방에서 불어 넘는 고온 건조한 바람이다.
어원'양(兩)'은 두 개의 고을(양구, 인제)을, '간(間)'은 사이를, '지(之)'는 '~의', '풍(風)'은 바람을 뜻한다.
로마자 표기yangganjipung
특징
시기늦봄 ~ 초여름
지역태백산맥 서쪽 사면의 강원도 영서 지방
영향농작물 피해, 산불 발생 위험 증가
발생 원리
과정푄 현상: 습윤한 공기가 산맥을 넘어 건조해지면서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
고기압: 대기가 안정되어 맑은 날씨가 이어지는 조건
상세 설명동해안으로 불어 들어오는 습한 공기가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수증기를 잃고 건조해진 후, 영서 지방으로 불어 내려오면서 고온 건조한 바람이 된다.
피해
농업농작물 수분 증발 가속화 및 생육 지연
병충해 발생 증가
산림산불 발생 위험 증가, 토양 건조
기타생활 불편 초래 (건조한 환경)
대기 질 악화 가능성

2. 어원과 역사

이식의 《수성지》에 나오는 구절에서 비롯된 양간지풍은 강원도 지역의 기후를 설명하는 말로 쓰였다.[2][3][4] 조선왕조실록순조실록 기록에 따르면 1804년(순조 4년) 3월 3일에는 삼척, 강릉, 양양, 간성, 고성에서 통천에 이르는 여섯 고을에서 양간지풍으로 인한 산불로 민가 2,600여 호가 불타고 61명이 숨지는 큰 피해가 발생했다.[5]

2. 1. 어원

이식이 1633년에 쓴 《수성지》에는 통천군고성군에는 눈이 많이 내리고, 양양군간성군 사이에는 바람이 세게 분다는 구절이 있다.[2] 이 구절에서 비롯된 양간지풍은 《택리지》에서도 쓰였다고 하나 정확하지는 않다.[3] 다만 강원 지역에서는 오래 전부터 강원도의 기후를 설명하는 말로 쓰였다.[4]

通高之雪 襄杆之風 一口之難說|통고지설 양간지풍 일구지난설|통천과 고성에 눈이 많이 내리고 양양과 간성에 바람이 세니 한 마디로 설명하기 어렵다.중국어

조선왕조실록순조실록 기록에 따르면 순조 4년(1804년) 3월 3일, 사나운 바람으로 산불이 크게 번졌는데, 삼척강릉, 양양, 간성, 고성에서 통천에 이르는 여섯 고을에서 민가 2,600여 호가 불타고 숨진 사람이 61명에 달했다고 한다.[5]

2. 2. 역사적 기록

이식이 1633년에 쓴 《수성지》에는 통천군고성군에는 눈이 많이 내리고, 양양군간성군 사이에는 바람이 세게 분다는 구절이 있다.[2] 이 구절에서 비롯된 양간지풍은 《택리지》에서도 쓰였다고 하나 정확하지는 않다.[3] 다만 강원 지역에서는 오래 전부터 강원도의 기후를 설명하는 말로 쓰였다.[4]

> 통고지설 양간지풍 일구지난설

> 통천과 고성엔 눈이 많이 내리고 양양과 간성에 바람이 세니 한 마디로 설명하기 어렵다.

조선왕조실록순조실록 기록에 따르면, 순조 4년(1804년) 3월 3일 사나운 바람으로 산불이 크게 번졌는데, 삼척강릉, 양양, 간성, 고성에서 통천에 이르는 여섯 고을에서 민가 2,600여 호가 불타고 숨진 사람이 61명에 달했다고 한다.[5]

3. 원인

한반도 주변에 남쪽에 고기압, 북쪽에 저기압이 놓이면 기압골이 발달하고 서풍이 불게 된다. 이 서풍은 태백산맥의 영향으로 푄 현상을 겪으며 빠르고 건조한 바람이 되어 영동 지방으로 불게 된다. 이러한 계절적 요인 때문에 봄철에 자주 발생한다.[6]

3. 1. 겨울철 강풍과의 차이

한반도 주변에 남쪽에는 고기압, 북쪽에는 저기압이 놓이면 기압골이 발달하고 서풍이 불게 된다. 이 서풍은 태백산맥의 영향으로 푄 현상을 겪으며 빠르고 건조한 바람이 되어 영동 지방으로 불게 된다. 이러한 계절적 요인 때문에 봄철에 자주 발생한다.[6]

한편, 강원도에는 겨울철에도 종종 강한 바람이 부는데, 이 바람은 서쪽에 고기압, 동쪽에 저기압이 형성되어 부는 것으로 양간지풍과는 형성 원인이 다르다.[7]

4. 재해

양간지풍은 산불 발생 시 매우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진화를 어렵게 하며, 강원도 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힌다.[8][9][10]

4. 1. 주요 피해 사례

양간지풍이 부는 시기에 산불이 나면 매우 빠른 속도로 번져 진화가 어렵다. 1995년에서 2005년 사이 강원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521건으로 약 27,000 ha(27000ha)의 피해를 입혔다. 이는 전국 산불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양간지풍에 의한 빠른 전파가 원인으로 지목된다.[8]

양간지풍으로 삽시간에 산불이 번진 사례로는 낙산사를 불태운 2005년 고성군 산불과 2019년 4월 발생한 고성-속초 산불 등이 있다.[9]

화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강하고 빠른 바람으로 강원도 해안지역에 피해를 입힌다. 1997년 5월 7일 발생한 양간지풍은 양양군속초시 지역에서 초속 20 - 30 m(20m - 30m)를 기록하였다.[10]

4. 2. 산불 외 피해

양간지풍이 부는 시기에 산불이 발생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번져 진화가 어렵다. 1995년에서 2005년 사이 강원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521건으로 약 27000ha의 피해를 입혔다. 이는 전국 산불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양간지풍에 의한 빠른 전파가 원인으로 지목된다.[8]

양간지풍으로 삽시간에 산불이 번진 사례로는 낙산사를 불태운 2005년 고성군 산불과 2019년 4월에 발생한 고성-속초 산불 등이 있다.[9]

화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강하고 빠른 바람으로 강원도 해안 지역에 피해를 입힌다. 1997년 5월 7일 발생한 양간지풍은 양양군과 속초시 지역에서 초속 20m - 30m를 기록하였다.[10]

참조

[1] 웹사이트 동해안 기후의 종류와 환경 http://www.hwandongh[...] 강원도환동해본부
[2] 뉴스 양간지풍 http://www.iusm.co.k[...] 울산매일 2019-04-07
[3] 뉴스 양양·간성지역 예부터 강풍 유명 https://news.naver.c[...] 강원일보 2005-04-07
[4] 웹사이트 국도44호선 명소를 찾아서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8-03-07
[5] 역사기록 순조실록 6권, 순조 4년 3월 12일 신축 4번째기사 - 강원 감사 신헌조가 삼척 등에서 불이났다고 보고하다. 교리 홍석주를 위유 어사로 차임하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6] 뉴스 강원도 산불, 지형적 특성인 '양간지풍'이 확산속도 높여 http://www.gisulin.k[...] 기술인 2019-04-06
[7] 뉴스 한겨울인데 대형 산불 왜?…원인은 바람·양간지풍과 다른 패턴 https://www.msn.com/[...] 연합뉴스 2019-01-02
[8] 뉴스 식목일 산불 - 또 동해안…‘푄현상’으로 고온건조해 산불에 취약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5-04-06
[9] 뉴스 산불 상처 국민적 힘 모을 때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9-04-10
[10] 뉴스 영동북부 해안지방 폭풍경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05-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