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보 표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보 표지는 운전자가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우선 통행권을 양보해야 함을 나타내는 교통 표지판이다. "Give way"와 "Yield"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국가별로 선호하는 용어가 다르다. 검은색 삼각형 모양은 1925년경부터 독일에서 사용되었으며, 1930년대에 덴마크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적색과 백색 또는 파란색과 흰색으로 도입되었다. 1950년 미국 오클라호마주 털사에 최초로 설치되었으며, 이후 뒤집힌 정삼각형 모양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국가별로 표지판의 디자인과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자국어로 표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양보 표지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삼각 표지 (Triangle sign) Give way |
사용 목적 | 교차로 또는 합류 지점에서 다른 교통 흐름에 양보해야 함을 알림 |
설계 | 삼각형 흰색 또는 노란색 배경 빨간색 테두리 텍스트 또는 기호 포함 가능 |
역사 | |
최초 사용 | 1950년대 미국 |
국제 표준 | 도로 표지 및 신호에 관한 빈 협약 |
국가별 변형 | |
![]() | |
![]() | |
![]() | |
![]() | |
![]() | |
![]() | |
![]() | |
의미 및 사용법 | |
우선 순위 | 양보 표지가 설치된 도로는 다른 도로에 비해 우선 순위가 낮음 |
운전자 의무 | 다른 도로의 차량, 자전거, 보행자에게 양보해야 함. 필요한 경우 정지해야 함 |
설치 위치 | 교차로 합류 지점 로터리 진입로 |
주의 사항 | 양보 표지를 무시하면 교통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추가 정보 | |
관련 법규 | 국가별 도로 교통 법규에 따름 |
유사 표지 | 정지 표지 |
2. 용어
"양보"와 yield영어는 동일한 문맥으로 사용되지만, 여러 국가에서 둘 중 하나에 대해 분명한 선호도가 존재한다.[1]
Give way영어 | Yield영어 |
---|
2. 1. 용어 사용 국가
"Give way"와 "Yield"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지만, 국가별로 선호하는 용어가 다르다."Give way" 사용 국가 | "Yield" 사용 국가 |
---|---|
3. 역사
1925년경부터 독일에서 검은색 삼각형(정지 표지판의 표준 아래쪽 화살표 모양 내부에 있음)이 "모든 차량에 대한 정지" 기호로 사용되었다. 삼각형 양보 표지판은 1937년 이전에 사용되었는데, 덴마크에서 덴마크 국기와 일치하는 적색 및 백색으로 도입되었고,[1] 1938년에는 단어가 없는 파란색과 흰색 변형으로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법제화되었다.[2] 1939년에는 보헤미아 보호령 및 모라비아에서 현재의 적색-백색 변형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3]
미국에서 최초의 양보 표지판은 1950년 오클라호마주 털사에 설치되었으며, 털사 경찰관 클린턴 리그스(Clinton Riggs)가 디자인했다.[4][5] 리그스는 규칙이 이미 시행되고 있었지만, 표지판만 발명했다.[6] 리그스의 원래 디자인은 아치석과 같은 모양이었으며, 이후 버전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뒤집힌 정삼각형 모양을 갖게 되었다. 뒤집힌 정삼각형은 이후 도로 표지 및 신호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의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4. 국가별 특성
1930년 도로 교통법(영국)은 양보 규칙이 적용되는 교차로에 '''Give Way|기브 웨이영어''' 표지판과 노면 표시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3] 웨일스에서는 일부 표지판에 Give Way|기브 웨이영어 위에 웨일스어 Ildiwch|일디우흐cy가 표기된 이중 언어 표지판이 사용된다. 영국에서는 정지 또는 양보 표지판 앞에 Give Way 100 yards|기브 웨이 100 야드영어와 같이 빈 역삼각형 표지판에 안내 문구가 함께 표시되기도 한다.[14]
오스트레일리아의 양보 표지는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원형에 노란색 표지였다가 1964년에 빨간색 삼각형 표지로 바뀌었고, 1980년대에 현대적인 디자인을 채택했다.
아일랜드의 교통 표지에서 양보 표지판은 대부분 지역에서 "Yield"로 표기되어 있지만, 게일타흐트(아일랜드어|아일랜드어 사용 지역ga)에서는 Géill Slí|양보ga)로 표기된다.[7][8][9] 1962년과 1997년 사이에 설치된 표지판에는 "Yield Right of Way"라고 적혀 있으며, 이는 여전히 법적으로 허용된다.[9]
뉴질랜드의 양보 표지판은 원래 미국과 같은 키스톤 모양이었으나, 검은색 바탕에 빨간색 테두리를 사용했고, 1980년대에 현재의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텍스트 없이 빨간색과 흰색의 역삼각형 모양 양보 표지판을 사용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자국어로 양보 표지판에 문구를 표기하기도 한다.국가 파일 오스트레일리아 -- 영국 나이지리아 -- 아일랜드 -- 자메이카 -- 라이베리아 -- 말라위, 잠비아, 짐바브웨 -- 피지, 나우루, 뉴질랜드, 사모아, 투발루 -- 필리핀 -- 통가 -- 미국, 북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 에스파냐,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에콰도르, 멕시코,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 -- 칠레, 도미니카 공화국, 파나마,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코스타리카 -- 쿠바 -- 푸에르토리코 (미국) -- 브루나이 -- 중화인민공화국 -- 중화민국 -- 프랑스, 코트디부아르, 모나코, 세네갈 -- 아이티 -- 홍콩 -- 아일랜드 (게일타흐트)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필리핀 -- 대한민국 -- 태국 -- 웨일스 --
4. 1. 미국
교통 통제 장치 통일 매뉴얼에 따르면, 양보 표지판은 다음의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15]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이 엔지니어링 판단에 의해 존재하는 경우:
이 표지판은 초기 디자인부터 오늘날 사용되는 표지판까지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다. 1950년에 처음 발명되어 1954년에 MUTCD에 추가된 이 표지판은 더 쉽게 인식되는 삼각형 모양을 채택하기 전에 "키스톤" 모양을 사용했다. 1971년, 이 표지판은 현대 버전으로 진화하여 노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는 이전에 '''정지''' 표지판에서 이루어진 것과 동일한 변화와 유사하다.
4. 2. 영국
영국의 1930년 도로 교통법은 양보 규칙이 적용되는 교차로에 '''Give Way영어''' 표지판과 노면 표시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양보 표지판과 함께 사용되는 도로 표시는 양보해야 할 지점 바로 앞에 그려진 큰 역삼각형이며, 이는 도로를 가로지르는 흰색 파선으로 표시된다.[13]
웨일스에서는 일부 표지판에 이중 언어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Give Way|기브 웨이영어 위에 웨일스어 Ildiwch|일디우흐cy가 표기된다.
영국에서는 정지 또는 양보 표지판 앞에 Give Way 100 yards|기브 웨이 100 야드영어와 같이 빈 역삼각형 표지판에 안내 문구가 함께 표시되기도 한다.[14]
4. 3. 호주
오스트레일리아의 양보 표지는 미국의 표지와 유사하게 발전했다.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원형에 노란색 표지였다. 1964년에 빨간색 삼각형 표지로 바뀌었다. 1980년대에 현대적인 디자인을 채택했고, 로터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표지도 생겼다.
4. 4. 아일랜드
아일랜드의 교통 표지에서 양보 표지판은 대부분 지역에서 "Yield"로 표기되어 있지만, 게일타흐트(아일랜드어|아일랜드어 사용 지역ga)에서는 Géill Slí|양보ga)로 표기된다.[7][8][9] 1962년과 1997년 사이에 설치된 표지판에는 "Yield Right of Way"라고 적혀 있으며,[10] 이는 여전히 법적으로 허용된다.[9] 1956년부터 1962년까지의 표지판은 하얀색 바탕이었다.[11]
4. 5.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양보 표지판은 원래 미국과 같은 키스톤 모양이었으나, 검은색 바탕에 빨간색 테두리를 사용했다. 1980년대에 현재의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도로 사용자가 양보 표지판이 가려지거나 없더라도 규칙을 알 수 있도록, 도로에는 항상 흰색 선 표시가 함께 그려진다.[12]
4. 6. 기타 국가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텍스트 없이 빨간색과 흰색의 역삼각형 모양 양보 표지판을 사용한다. 쿠바, 핀란드, 그리스, 아이슬란드, 쿠웨이트, 나이지리아, 폴란드, 스웨덴, 베트남에서는 빨간색과 노란색 버전의 표지판을 사용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자국어로 양보 표지판에 문구를 표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Ceda el Paso" (세다 엘 파소)라고 표기한다.
5. 디자인
양보 표지는 국가별로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하위 섹션에서 국제 표준과 언어별 표기에 따른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다.
5. 1. 국제 표준
5. 2. 언어별 표기
국가 | 표지판 |
---|---|
오스트레일리아, 가나, 파푸아뉴기니 | -- |
앤티가 바부다, 바하마, 바베이도스, 부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에티오피아, 그레나다, 인도, 맨섬, 몰타, 모리셔스,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이셸, 싱가포르, 스리랑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우간다, 영국 | -- |
나이지리아 | -- |
아일랜드 | -- |
자메이카 | -- |
라이베리아 | -- |
말라위, 잠비아, 짐바브웨 (2016년에 국제 표준으로 변경) | -- |
피지, 나우루, 뉴질랜드, 사모아, 투발루 | -- |
필리핀 | -- |
통가 | -- |
미국, 북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 -- |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에콰도르, 멕시코,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 | -- |
칠레, 도미니카 공화국, 파나마, 베네수엘라 | -- |
콜롬비아 | -- |
코스타리카 | -- |
쿠바 | -- |
푸에르토리코 (미국) | -- |
브루나이 | -- |
중화인민공화국 | -- |
중화민국 | -- |
프랑스, 코트디부아르, 모나코, 세네갈 | -- |
아이티 | -- |
홍콩 | -- |
아일랜드 (게일터흐트) | -- |
말레이시아 | -- |
몰디브 | -- |
필리핀 | -- |
대한민국 | -- |
태국 | -- |
웨일스 | -- |
참조
[1]
간행물
Bekendtgørelse om Hovedfærdselsaarer
Denmark
1937-03-27
[2]
간행물
Government ordinance No. 100/1938 Sb. n. a z.
Czechoslovakia
[3]
간행물
Government ordinance No. č. 242/1939 Sb.
Protectorate of Bohemia and Moravia
[4]
뉴스
Inventor of 'Yield' Sign Dies At 86
https://www.spokesma[...]
2022-04-29
[5]
뉴스
Yield Sign Invented by Tulsa Police Captain in 1950s
https://www.kjrh.com[...]
2022-04-29
[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Yield Signs
http://www.roadtraff[...]
2012-06-26
[7]
웹사이트
géill
http://www.teanglann[...]
2016-06-07
[8]
서적
Rules of the Road
https://www.rsa.ie/d[...]
Road Safety Authority
[9]
웹사이트
"S.I. No. 181/1997 – Road Traffic (Signs) Regulations, 1997."
http://www.irishstat[...]
2016-06-07
[10]
웹사이트
"S.I. No. 171/1962 – Road Traffic (Signs) Regulations, 1962."
http://opac.oireacht[...]
Stationery Office
2016-06-07
[11]
웹사이트
"S.I. No. 284/1956 – Traffic Signs Regulations, 1956."
http://opac.oireacht[...]
Stationery Office
2016-06-07
[12]
웹사이트
What Colour Line Marks Sealed Road at a Give Way Sign?
https://www.drivingt[...]
2022-04-29
[13]
웹사이트
The Highway Code – Road Markings
https://www.gov.uk/g[...]
2022-04-29
[14]
웹사이트
The Highway Code – Traffic Signs
https://www.gov.uk/g[...]
2022-04-29
[15]
웹사이트
FHWA – MUTCD – 2003 Edition Revision 1 Chapter 2B
https://mutcd.fhwa.d[...]
[16]
웹사이트
Vocabulaire du Code de la route
https://www.fr.brezh[...]
2023-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