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희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희은은 대한민국의 가수, 라디오 DJ, 방송인이다. 1971년 데뷔하여 '아침 이슬'을 발표했으며, 1970~80년대 민주화 운동 시기에 많은 곡들이 저항가요로 불리며 활동했다. 1987년 금지곡 해금 이후 1990년대부터 음반 활동과 방송 활동을 병행하며, 라디오 프로그램 《여성시대》를 진행하고 있다. 2014년부터 후배 뮤지션들과 함께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여자중학교 동문 - 박근령
박근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로, 육영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고, 2022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 경기여자중학교 동문 - 강인숙
강인숙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자 수필가, 번역문학가로, 중등교사로 재직하며 문학 평론가로 등단한 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남편인 이어령의 이름을 딴 영인문학관을 개관하고 미술 관련 저서를 다수 집필했다. - 청주 양씨 - 양정철
양정철은 언론인 출신으로, 학생운동과 언론 활동을 거쳐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으나, 여러 논란에 휩싸인 정치인, 정치평론가, 작가이다. - 청주 양씨 - 양희경
대한민국의 배우 양희경은 1981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배우이자 가수 양희은의 동생이며 배우 한승현의 어머니이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 - 김광석
김광석은 '사랑했지만', '서른 즈음에' 등의 히트곡과 소극장 공연으로 대중과 소통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로, 그의 음악적 영향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사망 원인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 - 서수남
1962년 데뷔한 가수 서수남은 하청일과 듀엣으로 '팔도유람', '수다쟁이', '과수원 길' 등의 히트곡을 내며 1960~70년대 가요계를 풍미했고, '가족오락관' 최다 출연, 솔로 활동과 방송, 광고 출연 등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방송인이다.
양희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양희은 |
출생일 | 1952년 8월 1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
활동 시기 | 1971년 ~ 현재 |
배우자 | 조중문 |
장르 | 발라드 |
가족 | 양희경 (여동생) 양희정 (여동생) 한원균 (이질 조카) 한승현 (이질 조카) |
직업 | 가수 작사가 방송인 배우 |
레이블 | 스톤뮤직 엔터테인먼트 |
소속사 | 옹달샘 엔터테인먼트 |
웹사이트 | 양희은 공식 웹사이트 양희은 인스타그램 양희은 페이스북 |
종교 | 개신교 |
2. 생애
양희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에서 태어나 서울재동초등학교, 경기여자중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했던 아버지는 그녀가 초등학교 6학년 때 세상을 떠났다.[2] 1971년, 대학교 1학년 때 '아침 이슬'로 데뷔한 양희은은 군부독재 시절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노래들을 불렀다.[3]
그녀의 노래는 독재 정권에 의해 금지되기도 했지만, 1987년 6.29 선언 이후 대부분 해금되었다. 1980년대에는 난소암 투병으로 힘든 시기를 보냈으나, 이후 극복하고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4] 1990년대 이후, 양희은은 음반 및 방송 활동과 더불어, 직접 작사에도 참여했다. 대표적인 자작곡으로는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 등이 있다. 2014년부터는 윤종신의 "배낭여행" 작업을 시작으로, 이적, 이상순, 성시경 등 후배 뮤지션들과 함께 "뜻밖의 만남"이라는 앨범을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5]
2. 1. 어린 시절 및 학창 시절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에서 3녀 중 장녀로 태어난 양희은은 서울재동초등학교, 경기여자중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다. 그녀의 아버지는 육사 및 보병학교 졸업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그녀가 초등학교 6학년 때(1964년) 육군 대령 예편 이후 병으로 요절하였다.[2]1971년 대학교 1학년 때 가수로 데뷔하였다. 데뷔곡은 1집 앨범에 수록된 '아침 이슬'이다. 대표곡 〈아침 이슬〉의 작사 및 작곡자 김민기는 당시 작사를 할 때 민주화에 대한 열망 같은 직접적인 내용은 담지 않았다고 했지만, 당시의 민중들은 군부독재로 억압받는 시대상황과 민주화에 대한 열망에 의해 민주화에 어울린다고 해석해 이 곡을 많이 불렀고 70~80년대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곡이 되었다.[3]
2. 2. 가수 데뷔 및 민주화 운동
1971년 대학교 1학년 때 1집 앨범에 수록된 '아침 이슬'로 가수 데뷔하였다. 김민기가 작사 및 작곡한 대표곡 〈아침 이슬〉은 당시 민주화에 대한 열망을 직접적으로 담지는 않았지만, 군부독재로 억압받는 시대상황과 민주화에 대한 열망에 의해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곡으로 해석되어 70~80년대 민주화 운동에서 많이 불렸다.[3]제3공화국, 제4공화국 등 독재정권을 거치며 〈'''아침 이슬'''〉을 비롯한 양희은의 곡들이 민주화 운동에서 많이 불리면서, 그녀의 곡 중 약 30여 곡 이상이 금지곡으로 지정되었다. 〈아침 이슬〉은 1973년 정부가 선정한 건전가요에 선정되었다가, 1974년에 가사 중 "태양은 묘지 위에 붉게 타오르고"라는 부분이 대한민국의 적화 (赤化)를 암시한다며 금지곡이 되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은 단지 왜 사랑이 이루어질 수 없냐라는 이유만으로, 〈'''작은 연못'''〉은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가사 내용이 남한과 북한, 당시의 대권 라이벌이었던 박정희와 김대중, 권력 암투의 주인공이었던 김종필과 이후락 등을 연상시킨다는 소문으로 인해 금지곡이 되었다.[3]
양희은의 금지곡들은 1987년 6.29 선언 직후 대부분 해금되었고,[9] 1990년대 이후에는 음반활동과 더불어 방송활동도 하고 있다.
2. 3. 투병 생활
1981년, 양희은은 한국을 떠나 약 1년간 미국과 유럽을 여행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82년 난소암 진단을 받고 삶의 중대한 기로에 섰다. 두 번의 암 수술을 받았고, 투병 생활과 같은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여동생인 양희경은 그녀를 직접 간호했으며, 언니가 병 때문에 신음 소리조차 겨우 낼 때 정말 죽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 이 때문에 아이를 가질 수 없게 되었지만, 남편과 강아지를 자식처럼 여기며 긍정적인 삶을 살기로 결심했다.[4]2. 4. 1990년대 이후 활동
1987년 6.29 선언 직후 양희은의 금지곡들은 대부분 해금(解禁)되었다.[3] 1990년대 이후에는 음반 활동과 더불어 방송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직접 작사한 곡으로는 1991년 발표한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 등이 있다. 이 곡은 기타리스트 이병우가 미국 또는 한국의 양희은 집에서 4시간 동안 감금된 상태에서 작곡한 멜로디에 양희은이 직접 가사를 붙인 것이다.[2]3. 라디오 DJ 및 방송 활동
양희은은 가수뿐만 아니라 라디오 DJ로도 전설적인 인물이다. 젊은 시절부터 CBS와 TBC에서 팝 음악 프로그램 DJ로 활동하며 풍부한 방송 경험을 쌓았다.[11] 1992년 CBS로 돌아와 "양희은의 정보시대"를, SBS에서 "나는 양희은, 두 개의 시의 친구"를 1998년까지 진행했다.[11]
현재는 MBC 표준FM '''여성시대''' "양희은, 김일중입니다"의 진행을 맡고 있으며, SBS '''생활의 달인'''에서 해설을 하고 있다.
3. 1. 주요 방송 프로그램
- 《노래의 성좌》
- 《우리들의 새 노래》
- 《수요특집》
- 《가족음악》
- 《TV는 사랑을 싣고》
- 《연예가중계》
- 《동창이 밝았느냐》
- 《FM애거진》
- 《오늘같은 밤엔》
- 《조영남쇼》
- 《꿈의 콘서트》
- 《노영심의 작은음악회》
- 《KBS 빅쇼》
- 《고향가는 길》
- 《노영심이 여는 세상》
- 《밤의 이야기쇼》
- 《사람과 사람들》
- 《여성시대》
- 《체험 삶의 현장》
- 《이소라의 프로포즈》
- 《일요일 일요일 밤에》 - 세바퀴
- 《잘먹고 잘사는 법》 - 양희은의 시골밥상
- 《논쟁버라이어티 당신의 결정》
- 《MBC 특집다큐》 한국의 맛, 세계인을 사로잡다 - 내레이션
- 《천하무적 야구단》 - 내레이션
- 《찾아라! 맛있는 TV》
- 《생활의 달인》 - 내레이션
- 《TV 동물농장》 - 스토리텔러
- 《다큐공감》 145회 : 바람의 섬, 여서도 - 내레이션
- 《다큐공감》 155회 : 북에서 온 그녀, 인생 2막을 열다 - 내레이션
- 《2016 희망TV SBS》
- 《다큐공감》 260회 : 야생화 연정 - 내레이션
- 《다큐공감》 296회 : 산유화,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 내레이션
- 《다큐 플러스》 157회 : 디자人 행복 도시를 만들다! - 내레이션
- 《판타스틱 패밀리-DNA 싱어》
- 《라디오 DJ 콘서트》
- 《다큐On》 90회 : 세 할머니의 유쾌한 동거 - 내레이션
- 《다큐On》 119회 : 수돗물을 드시나요? - 내레이션
- 《다큐On》 132회 : 봄의 징검다리를 걷다 - 내레이션
- 《옥탑방의 문제아들》 - 게스트
- MBC 표준FM 《여성시대》 "양희은, 김일중입니다" - 진행
- SBS 《생활의 달인》 - 해설
3. 2. 드라마/영화 출연
- 넝쿨째 굴러온 당신 - 라디오 DJ 역 (특별출연)
- 아내가 뿔났다 - (특별출연)
4. 음반 목록
양희은은 1971년 아침이슬로 데뷔한 이후 다양한 음반을 발표하며 한국 포크 음악계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정규 음반 외에도 여러 싱글 앨범과 컬래버레이션 앨범을 발표했다.
1971년 '양희은 고운노래 모음 - 아침이슬/펍/세노야 세노야'를 시작으로, 1972년 '양희은 고운노래 모음 제2집', '맷돌 밝은노래모음 (실황앨범 중)', '신중현 작•편곡집 - 양희은 - 당신의 꿈/ 나도몰래', '양희은 고운노래 제3집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등을 발표했다. 1970년대에는 '양희은 - 내님의 사랑은 /오너라 비야', '양희은 GREATEST HITS - 아침이슬/사랑의기쁨', '양희은 보고싶은 마음/빗속을 둘이서', '정명규 - 자기 / 영원한 사랑', '양희은 - 한사랑/ 세월이가면' 등의 음반을 발표하며 활동했다.[22]
4. 1. 정규 음반
4. 2. 싱글 앨범
발매 연도 | 앨범 제목 |
---|---|
1971년 | 아침이슬/ 세노야 세노야 |
1972년 | 아름다운 것들/ 서울로 가는 길 |
1974년 | 내 님의 사랑은/ 백구 |
1975년 | 한사람/ 세월이 가면 |
1976년 | 들길을 따라서 |
1978년 | 거치른 들판에 푸르른 솔잎처럼/ 천릿길 |
1980년 | 이름모를 소녀/ 빗속을 둘이서 |
1983년 | 하얀 목련/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
1985년 | 한계령/ 찔레꽃 피면 |
1987년 | 이별 이후 |
1991년 | 그 해, 겨울/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 |
1995년 | 못다한 노래/ 내 나이 마흔 살에는 |
1998년 | 저 하늘 구름따라/ 연인들 |
2002년 | 일곱송이 수선화/ 사랑 당신을 위한 기도 |
2006년 | 인생의 선물/ 당신만 있어준다면 |
2014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배낭여행 (with 윤종신)>, <화병 (with 이적)>[20] |
2015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
2016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
2017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
2018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늘 너 (with 성시경, 심현보)>[20] |
5. 수상 경력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
1995 | 카톨릭가요대상 | 공로상 | |
1995 | 방송프로듀서연합회 | 최고의 라디오 진행자상 | |
1996 | 제23회 한국방송대상 | 가수상 | |
2001 | MBC 연기대상 | 라디오부문 최우수상 | 여성시대 |
2003 | 제18회 골든디스크 시상식 | 공로상 | |
2003 | 제10회 대한민국 연예예술대상 | 대통령상 | |
2004 | MBC 방송연예대상 | 공로상 | |
2008 | MBC 방송연예대상 |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 세상을 바꾸는 퀴즈 |
2010 | 제47회 저축의 날 | 국무총리 표창 | |
2011 | MBC 방송연예대상 | 라디오부문 최우수상 | 여성시대 양희은, 강석우입니다 |
2012 | 제24회 한국PD대상 | 라디오진행자부문 출연자상 | |
2019 | 제10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은관문화훈장 | |
2019 | 제16회 한국대중음악상 | 공로상 | |
2019 | MBC 방송연예대상 | 라디오부문 최우수상 | 여성시대 양희은, 서경석입니다 |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양정길 | ? ~ 1964년, 육사 및 보병학교 졸업, 한국 전쟁 참전, 육군 대령 예편, 지병으로 사망 |
어머니 | 윤순모 | ? ~ 2024년 1월 4일 |
배우자 | 조중문 | 1949년 ~ |
동생 | 양희경 | 1954년 12월 3일 ~ |
동생 | 양희정 | 1959년 ~ |
7. 친분 관계
포크 록 가수 한대수, 포크 팝 가수 겸 뮤지컬 연출가 김민기, 방송인 이상벽과 사적인 친분이 두텁다.[6]
참조
[1]
웹사이트
"[8090 이 노래 이 명반] 양희은의 1, 2집"
http://www.busan.com[...]
2019-12-02
[2]
간행물
https://www.etoday.c[...]
2024-05-29
[3]
뉴스
https://www.insightk[...]
2024-05-29
[4]
웹사이트
https://www.donga.co[...]
2024-05-29
[5]
웹사이트
https://www.mk.co.kr[...]
2024-05-29
[6]
웹사이트
https://www.newsen.c[...]
2024-04-29
[7]
웹사이트
https://kstar.kbs.co[...]
2024-04-29
[8]
뉴스
https://biz.chosun.c[...]
2024-05-29
[9]
웹사이트
https://www.polinews[...]
2024-05-29
[10]
뉴스
https://www.khan.co.[...]
2024-05-29
[11]
뉴스
http://www.heraldpop[...]
[12]
웹사이트
https://news.joins.c[...]
2019-12-02
[13]
웹사이트
2011 MBC Entertainment Awards Winners
http://www.imbc.com/[...]
2011-01-01
[14]
웹사이트
https://www.starnews[...]
2019-12-02
[15]
웹사이트
"'2019대중문화예술상' 김혜자·양희은·염정아·김남길·송가인·NCT 127 등 총28개팀 수상 영예 [종합]"
http://www.etnews.co[...]
2019-12-02
[16]
웹사이트
http://www.kocca.kr/[...]
2019-11-25
[17]
웹사이트
https://news.nate.co[...]
2020-11-23
[18]
웹사이트
2019 MBC Entertainment Awards Winners
http://www.imbc.com/[...]
2020-11-23
[19]
웹사이트
https://www.newsen.c[...]
2024-05-29
[20]
웹사이트
https://search.naver[...]
2024-05-29
[21]
문서
뜻밖의 만남...두 번째
http://www.melon.com[...]
[22]
문서
초반은 유니버샬/ 재반은 같은재킷에 수록곡을 좀 달리하여 서라벌 레코드에서 찍어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현모양처 탈출구’ 대학은 툭하면 휴교…도망자 김민기를 숨겨줬다
70년대부터 현재의 광장까지…김민기는 여전히 우리곁에 있다
산울림·김정미·김추자…‘폭싹 속았수다’ 옛 노래로 되살린 그 시절 감성
상 차리고 물리는 휴일의 상상 [양희은의 어떤 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