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른스트 쿠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른스트 쿠머는 19세기 독일의 수학자이다. 초기하급수 간의 관계를 정립하고, 쿠머 곡면을 정의하는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 기여했다. 또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정수론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소수를 정규 소수와 비정규 소수로 구분하고, 아이디얼 이론의 기초를 다졌다. 쿠머는 탄도학 연구와 윌리엄 로언 해밀턴과 광선 시스템 연구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로로 죽은 사람 - 유억겸
    유억겸은 일제강점기 교육자, 변호사, 체육인으로 조선기독청년회 사회 운동, 연희전문학교 부교장, 조선체육회 회장을 역임했으나, 흥업구락부 사건 이후 친일 활동에 가담했고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 발기인, 미군정 문교부장을 지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과로로 죽은 사람 - 김명헌
    김명헌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81세에 문과 급제 후 정조의 배려로 직부전시에 합격했으나 곧 사망하여 증 대사헌 벼슬을 받았고, 답안지 《탐라빈흥록》이 간행되었으며, 서귀포시에 추모비가 건립되었다.
  • 멘델스존가 -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바흐의 음악 부활에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 멘델스존가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9세기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해석학과 정수론에 공헌했으며,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증명, 푸리에 급수 수렴성 증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등으로 유명하고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정리들이 존재한다.
  • 브레슬라우 대학교 교수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9세기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해석학과 정수론에 공헌했으며,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증명, 푸리에 급수 수렴성 증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등으로 유명하고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정리들이 존재한다.
  • 브레슬라우 대학교 교수 - 빌헬름 딜타이
    빌헬름 딜타이는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 역사가, 교육학자로, 역사주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정신과학'을 정립하려 했으며, '이해'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이론을 구축하여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삶의 철학'으로 불리는 사상을 남겼다.
에른스트 쿠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른스트 쿠머
에른스트 쿠머
본명에른스트 에두아르트 쿠머
출생1810년 1월 29일
출생지프로이센 왕국 소라우 (현재 폴란드 자르)
사망1893년 5월 14일
사망지독일 제국 프로이센 브란덴부르크주 베를린
국적프로이센/독일
거주지독일
학력
모교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Ph.D.)
박사 학위 논문De cosinuum et sinuum potestatibus secundum cosinus et sinus arcuum multiplicium evolvendis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년도1831/1832
지도 교수하인리히 셰르크
경력
직장베를린 대학교
브레슬라우 대학교
게르베 인스티투트
모스크바 대학교
연구 분야
분야수학
알려진 업적베셀 함수
쿠머 이론
쿠머 곡면
영향
영향을 준 사람레오폴트 크로네커
제자
박사 제자고트홀트 아이젠슈타인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
라자루스 푹스
빌헬름 킬링
아돌프 크네저
프란츠 메르텐스
헤르만 아만두스 슈바르츠
게오르크 칸토어
한스 카를 프리드리히 폰 망골트
아돌프 필츠
프리드리히 프림

2. 생애

쿠머는 당시 브란덴부르크 공국의 영토였던 조라우(Soraude, 오늘날 폴란드 자리 Żarypl)에서 태어났다. 조라우는 얼마 지나지 않아 프로이센의 영토가 되었다. 쿠머가 3살이었을 무렵, 의사였던 아버지는 나폴레옹이 러시아에게 패전한 뒤 후퇴하면서 프랑스군 내에서부터 발생하여 독일 전역으로 번진 장티푸스를 치료하다가 과로사로 사망하였다.[3]

1831년 할레 대학교에서 Ph.D.를 취득했다. 박사 논문 "''De cosinuum et sinuum potestatibus secundum cosinus et sinus arcuum multiplicium evolvendis''"는 1년 후에 출판되어 상을 받았다.

응용수학에 뛰어났던 쿠머는 독일군의 장교들에게 탄도학 훈련을 실시했다. 그 후 김나지움에서 10년간 교편을 잡았고, 제자 중 한 명인 레오폴트 크로네커의 수학자로서의 경력에 영향을 주었다.

쿠머의 첫 번째 아내 오틸리에 멘델스존(Ottilie Mendelssohnde)은 작곡가 펠릭스 멘델스존의 사촌이었고, 펠릭스의 여동생 레베카도 저명한 수학자였던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와 결혼하였다. 1855년 쿠머는 디리클레의 후임자로서 베를린 대학의 수학교수가 되었고, 군사학교에서 탄도학 교수를 겸임하였다.[3] 쿠머는 부인과 사별한 뒤 부인의 이종사촌이었던 베르타(Berthade)와 재혼하였다.[4] 쿠머는 모두 13명의 자식을 두었으며, 그 가운데 딸 마리(Marie)는 쿠머의 제자 헤르만 아만두스 슈바르츠와 결혼하였다.[5]

1890년 김나지움 수학 교사직에서 은퇴한 쿠머는 3년 뒤 사망하였다.

3. 업적

쿠머는 초기하급수 사이의 관계를 정리하고, 쿠머 곡면을 정의하는 등 수학의 여러 분야에 기여하였다. 쿠머 방정식, 쿠머 환, 쿠머 합 등의 업적도 남겼다.[2]

쿠머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과정에서 정수론의 기반을 마련하였다.[3] 그는 소수정규 소수와 비정규 소수로 구분하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방정식 x^n+y^n=z^n에서 n이 정규 소수일 때 해가 없음을 증명하였다.[6] 쿠머의 방법은 P진수 발견에 근접한 것이었고, 쿠머 이론은 오늘날 유체론의 기반이 되고 있다.

K3 곡면의 K는 쿠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또한, 쿠머는 탄도학 연구도 수행하였다.[1]

3. 1. 함수론

쿠머는 수학의 여러 분야에 기여하였다. 접속 관계인 서로 다른 초기하급수 사이의 관계를 정리하였고, 19세기에 집중적으로 연구된 초기 오비폴드 가운데 16개의 특이점을 갖는 쿠머 곡면을 정의하였다. 쿠머 곡면은 순환군 \{ 1 , -1 \}에 의한 2차원 아벨 다양체의 비율에 의해 생성되는 대수기하학 다양체이다. 이 외에도 쿠머 방정식, 쿠머 환, 쿠머 합 등의 업적이 있다.

3. 2. 대수적 정수론

쿠머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한 증명 과정에서 근대 정수론의 기반을 마련하였다.[3] 소수정규 소수와 비정규 소수로 구분하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방정식 x^n+y^n=z^n에 대해 n이 정규 소수일 때 를 갖지 않는 다는 것을 증명하였다.[6] 쿠머의 증명 방법은 훗날 아이디얼 이론으로 불리게 된 이론의 기초인 P진수의 발견에 거의 근접한 것이었다. 소수의 n차 단위근에 대해 를 확장한 쿠머 이론은 이차 형식에 대한 탁월한 연구였으며, 오늘날에도 아이디얼 유군을 다루는 유체론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1840년대부터 대수적 정수론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원분체와 그 아이디얼류 및 유수(類數)를 중심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그는 이후의 아이디얼론의 기초가 되는 것을 확립했고, L-함수 값의 p진적 성질을 조사했다.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브리엘 라메가 행한 허수를 포함한 소인수분해에 유일성이 없음을 지적했다. 그러나 쿠머는 유일성 문제에 매달려, 많은 경우에 대해 유일성을 부활시키는 방법으로 이상수를 도입했다. 이 방법은 나중에 리하르트 데데킨트에 의해 정리되어 아이디얼 개념이 탄생했다.

3. 3. 쿠머 곡면

쿠머는 접속 관계인 서로 다른 초기하급수 사이의 관계를 정리하였고, 19세기에 집중적으로 연구된 초기 오비폴드 가운데 하나로 16개의 특이점을 갖는 쿠머 곡면을 정의하였다. 쿠머 곡면은 순환군 \{ 1 , -1 \}에 의한 2차원 아벨 다양체의 비율에 의해 생성되는 대수기하학 다양체이다.

3. 4. 기타 업적

쿠머는 여러 분야에서 수학에 기여했다. 서로 다른 초기하급수 사이의 관계를 정리하였고, 19세기에 집중적으로 연구된 초기 오비폴드 가운데 16개의 특이점을 갖는 쿠머 곡면을 정의하였다. 쿠머 곡면은 순환군 \{ 1 , -1 \}에 의한 2차원 아벨 다양체의 비율에 의해 생성되는 대수기하학 다양체이다.[1] 이 외에도 쿠머 방정식, 쿠머 환, 쿠머 합 등의 업적이 있다.

쿠머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한 증명 과정에서 근대 정수론의 기반을 마련하였다.[3] 쿠머는 소수정규 소수와 비정규 소수로 구분하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방정식 x^n+y^n=z^n에 대해 n이 정규 소수일 때 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였다.[6] 소수의 n차 단위근에 대해 를 확장한 쿠머 이론은 이차 형식에 대한 탁월한 연구였으며, 오늘날에도 아이디얼 유군을 다루는 유체론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쿠머는 탄도학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1]

3. 5. 일화

대학에서 강의하던 중, 갑자기 구구단을 계산하지 못했던 일화가 유명하다. 수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순간적인 숫자 계산 능력은 오히려 낮았던 듯하다.

참조

[1] 논문 Über die Wirkung des Luftwiderstandes auf Körper von verschiedener Gestalt, ins besondere auch auf die Geschosse Mathematische Abhandlungen der Königli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1875
[2] 간행물 Review: Kummer, Collected Papers https://www.ams.org/[...]
[3] 서적 수학을 만든 사람들(하) 미래사 2002
[4] 웹사이트 Ernst Eduard Kummer 1997-12
[5] 웹사이트 Hermann Amandus Schwarz 2001-03
[6] 서적 월경하는 지식의 모험자들 한길사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