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 폰 자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밀 폰 자우어는 독일 출신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음악 교육가이다. 1862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 바이마르에서 프란츠 리스트에게 사사했으며, 1882년부터 1940년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쳤다. 1901년 빈 국립 음악원의 피아노 연주 마이스터슐레 원장으로 임명되어 많은 제자를 양성했으며, 191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귀족 작위를 받았다. 쇼팽, 리스트, 브람스 등의 작품을 교정하고 자서전을 집필했으며, 피아노 협주곡, 소나타, 연습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1942년 빈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피아노 연주자 -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제265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가톨릭 교리를 수호하고 교회 일치와 종교 간 대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보수적인 신념과 스캔들 대처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독일의 피아노 연주자 - 마이클 크레투
루마니아 출신 음악가 마이클 크레투는 솔로 활동과 프로듀서 경력을 거쳐 신비주의 음악 프로젝트 Enigma를 시작, "Sadeness (Part I)"와 "Return to Innocence" 등의 히트곡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독일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바흐의 음악 부활에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 독일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9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고, 유럽 순회 연주 여행과 빈에서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음악가 경력을 쌓았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 1862년 출생 - 우겐 왕축
우겐 왕축은 1907년 부탄의 초대 세습 국왕으로 즉위하여 250여 년간의 이원 통치 체제를 종식시키고 내전을 종식시켜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며, 불교 진흥, 서구식 교육 도입, 영국과의 외교 강화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62년 출생 - 구스타프 클림트
구스타프 클림트는 오스트리아의 상징주의 화가이자 빈 분리파 운동의 주요 인물로서, 빈 분리파 결성 및 초대 회장 역임, 금박을 사용한 작품 활동, 여성 및 에로티시즘 등을 주제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에밀 폰 자우어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862년 10월 8일 |
사망 | 1942년 4월 29일 빈 |
출신지 | 함부르크 자유 한자 도시 |
악기 | 피아노 |
장르 | 기악 성악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악보 교정자 음악 교육자 |
학력 | |
학교 | 모스크바 음악원 |
2. 생애
에밀 폰 자우어는 1862년 10월 8일 자유 한자 도시 함부르크에서 '''에밀 게오르크 콘라트 자우어'''로 태어났다.[2] 어머니에게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2] 1879년부터 1881년까지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에게 사사했다.[2]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안톤 루빈스타인을 만나 연주를 들려준 후 그의 추천서를 받아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을 사사했고, 1884년부터 1885년까지 바이마르에서 프란츠 리스트의 지도를 받았다. 1884년 이탈리아 방문에서 자인데 비트겐슈타인 백작부인을 만났고, 그녀의 추천으로 프란츠 리스트에게 2년간 가르침을 받았으나, 한동안 자신을 리스트의 제자로 여기지 않았다.[2] 1895년 인터뷰에서 그는 "비록 몇 달 동안 그와 함께 있었지만, 나를 리스트의 제자로 여기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그는 그 당시 매우 늙었고 나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줄 수 없었습니다. 나의 주요 스승은 의심할 여지 없이 니콜라스 루빈스타인이었습니다."라고 말하며 리스트의 제자임을 부인했지만, 만년에 리스트가 자신과 음악 전반에 미친 영향을 깨달았다.[2][4]
1882년부터 거장 피아니스트로서 1940년까지 빈번하고 성공적인 연주 활동을 펼쳤다.[5] 1894년 런던, 1899년 뉴욕에서 데뷔 무대를 가졌다.[5] 188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유럽 전역과 미국을 아우르는 국제적인 연주 여행을 실행했다.
1901년 빈 아카데미의 피아노 연주 마이스터슐레 원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907년 4월에 사임했다가 1915년에 복귀했다.[6] 빈 음악원에서 마스터 클래스를 주재하며 사망할 때까지 교육 활동에 종사했다. 웹스터 에이트켄, 스테판 아스케나제, 류프카 콜레사, 엘리 나이 등 저명한 제자들을 배출했다. 두 번째 부인인 안젤리카 모랄레스도 제자이며, 그의 유산을 교육으로 이어갔다.
자우어는 쇼팽, 리스트, 슈만, 브람스의 작품을 포함한 수많은 피아노 곡을 교정했다. 피아노 교재를 출판하고 1900년에는 자서전을 집필하기도 했다. 작품으로는 피아노 협주곡, 피아노 소나타, 연주회용 연습곡, 피아노 곡집, 성악곡이 있다.
191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귀족으로 봉해졌다.[4] 또한, 런던 필하모닉 협회로부터 금메달을 수상했다.
그는 두 번 결혼했다.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안젤리카 모랄레스(폰 자우어)는 그의 유산을 교육으로 이어갔다. 자우어는 모랄레스와의 사이에서 2명의 아들, 훌리오와 프란츠를 두었다.
함부르크 법조 협회에서는 정의와 문화의 연결을 칭송하며 에밀 폰 자우어 상이 창설되었으며, 함부르크-베렌펠트에는 자우어의 이름을 따서 "폰 자우어 거리"라고 명명된 거리가 있다.
그는 1942년 4월 2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에밀 폰 자우어는 1862년 10월 8일 자유 한자 도시 함부르크에서 에밀 게오르크 콘라트 자우어로 태어났다.[2] 어머니에게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2] 1879년부터 1881년까지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에게 사사했다.[2]1884년 이탈리아 방문에서 자인데 비트겐슈타인 백작부인을 만났고, 그녀의 추천으로 프란츠 리스트에게 2년간 가르침을 받았으나, 한동안 자신을 리스트의 제자로 여기지 않았다.[2] 1895년 인터뷰에서 그는 "비록 몇 달 동안 그와 함께 있었지만, 나를 리스트의 제자로 여기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그는 그 당시 매우 늙었고 나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줄 수 없었습니다. 나의 주요 스승은 의심할 여지 없이 니콜라스 루빈스타인이었습니다."라고 말하며 리스트의 제자임을 부인했지만, 만년에 리스트가 자신과 음악 전반에 미친 영향을 깨달았다.[2][4]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안톤 루빈스타인을 만나 연주를 들려준 후 그의 추천서를 받아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을 사사했고, 1884년부터 1885년까지 바이마르에서 프란츠 리스트의 지도를 받았다.
2. 2. 연주 활동 및 교육 활동
에밀 폰 자우어는 1882년부터 거장 피아니스트로서 1940년까지 빈번하고 성공적인 연주 활동을 펼쳤다.[5] 1894년 런던, 1899년 뉴욕에서 데뷔 무대를 가졌다.[5] 188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유럽 전역과 미국을 아우르는 국제적인 연주 여행을 실행했다.1901년 빈 국립 음악원의 피아노 연주 마이스터슐레 원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907년 4월에 사임했다가 1915년에 복귀했다.[6] 빈 음악원에서 마스터 클래스를 주재하며 사망할 때까지 교육 활동에 종사했다. 웹스터 에이트켄, 스테판 아스케나제, 류프카 콜레사, 엘리 나이 등 저명한 제자들을 배출했다. 두 번째 부인인 안젤리카 모랄레스 폰 자우어는 그의 유산을 교육으로 이어갔다.[2]
자우어는 프레데리크 쇼팽, 프란츠 리스트, 로베르트 슈만, 요하네스 브람스의 작품을 포함한 수많은 피아노 곡을 교정했다. 피아노 교재를 출판하고 1900년에는 자서전을 집필하기도 했다.
2. 3. 귀족 서임 및 말년
에밀 폰 자우어는 191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귀족으로 봉해졌다.[4] 또한, 런던 필하모닉 협회로부터 금메달을 수상했다.[4]그는 두 번 결혼했다.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안젤리카 모랄레스(폰 자우어)는 그의 유산을 교육으로 이어갔다. 자우어는 모랄레스와의 사이에서 2명의 아들, 훌리오와 프란츠를 두었다.[4]
함부르크 법조 협회에서는 정의와 문화의 연결을 칭송하며 에밀 폰 자우어 상이 창설되었으며, 함부르크-베렌펠트에는 자우어의 이름을 따서 "폰 자우어 거리"라고 명명된 거리가 있다.
그는 1942년 4월 2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3. 연주 스타일
자우어는 리스트 피아노 연주의 독창적인 접근 방식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리스트 피아노 악파로 알려진 건반을 완벽하게 다루는 능력을 요구하는 음악 기법에 대한 강력한 낭만주의적 접근 방식을 따랐다.[7] 동료 제자 모리츠 로젠탈이 오케스트라적인 힘으로 건반을 압도했다면, 폰 자우어는 세련되고 매끄러운 방식으로 피아노를 어루만지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그의 녹음은 그가 느긋한 템포와 격정보다는 세부 사항의 정확성을 추구하는 부드러운 피아니스트였음을 보여준다.[7] 그의 연주는 때때로 폭이 좁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항상 우아하고 아름답게 마무리되었다.[8]
4. 작품 활동
에밀 폰 자우어는 요하네스 브람스의 피아노 작품 전집을 편집하고, 피쉬나, 플레이디, 쿨라크의 여러 학술 저서를 펴냈다.[9] 그 외에도 피아노 협주곡, 피아노 소나타, 콘서트 에튀드, 피아노 소품, 가곡 등을 작곡했다.[9] 그의 작품은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9] 올레 마르셰프에 의해 그의 피아노 음악 6개의 CD가 녹음되었다.
5. 주요 작품 목록
wikitext
- 피아노 협주곡 2곡
- 피아노 소나타 2곡
- 연주회용 연습곡
- 모던 모음곡
5. 1. 피아노 협주곡
에밀 폰 자우어는 피아노 협주곡 2곡을 작곡했다.5. 2. 피아노 소나타
에밀 폰 자우어는 피아노 소나타 2곡을 작곡했다.5. 3. 기타
wikitext에밀 폰 자우어는 피아노 협주곡 2곡, 피아노 소나타 2곡, 연주회용 연습곡, 모던 모음곡 등을 작곡했다.
6. 음반 목록
https://web.archive.org/web/20050306063111/http://www.rprf.org/Rollography.html 피아노 롤 (https://web.archive.org/web/20100301032625/http://www.rprf.org/ 재현 피아노 롤 재단)
https://web.archive.org/web/20060614001817/http://marstonrecords.com/sauer/sauer_liner.htm ''에밀 폰 자우어 - 완전한 상업 녹음'' (마스턴 레코드)
https://web.archive.org/web/20070701131810/http://www.duttonvocalion.co.uk/proddetail.asp?prod=CDBP9742 ''에밀 자우어, 리스트를 연주하다'' (더튼 보컬리온)
''에밀 폰 자우어 - 완전 상업 녹음''. 3 CD. Marston, 1998. EAN 6 38335 30022 1 (1923-1941년 녹음).
'''연주 음반'''
에밀 폰 자우어는 빌럼 멩겔베르크가 지휘하는 로열 콘세르트헤보우 오케스트라와 함께 쇼팽, 자우어, 슈베르트, 슈만, 스감바티의 작품을 1940년에 라이브로 녹음했다.(Arbiter CD 114). 마스턴 레코드사에서 그의 완전 상업 녹음(3-CD 세트)을 발매했다. 또한 펠릭스 바인가르트너가 지휘하고 오케스트라 데 콘세르 드 콘세르바투아르가 협연한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과 2번 연주 음반이 있다.(Dutton Labs UK B0001DCXLK). 1923-1941년 녹음된 ''에밀 폰 자우어 - 완전 상업 녹음'' 3 CD가 1998년에 발매되었다.(EAN 6 38335 30022 1)
'''작곡 음반'''
- 스티븐 허프가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과 함께 연주하고 로렌스 포스터가 지휘한 피아노 협주곡 1번이 1994년에 녹음되었다. 이 CD에는 자베르 샤르벤카의 피아노 협주곡 4번 F단조, 작품번호 82도 수록되어 있다 (Hyperion no. 66790).
- 올레 마르셰프가 오르후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하고 제임스 로우런이 지휘한 피아노 협주곡 2번 (Danacord DACOCD 596).
- 올레 마르셰프가 연주한 피아노 소나타 2번 외 피아노 작품들 (Danacord DACOCD 534).
- 올레 마르셰프가 연주한 연습곡 (Danacord DACOCD 487).
6. 1. 연주 음반
에밀 폰 자우어는 빌럼 멩겔베르크가 지휘하는 로열 콘세르트헤보우 오케스트라와 함께 쇼팽, 자우어, 슈베르트, 슈만, 스감바티의 작품을 1940년에 라이브로 녹음했다.(Arbiter CD 114). 마스턴 레코드사에서 그의 완전 상업 녹음(3-CD 세트)을 발매했다. 또한 펠릭스 바인가르트너가 지휘하고 오케스트라 데 콘세르 드 콘세르바투아르가 협연한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과 2번 연주 음반이 있다.(Dutton Labs UK B0001DCXLK). 1923-1941년 녹음된 ''에밀 폰 자우어 - 완전 상업 녹음'' 3 CD가 1998년에 발매되었다.(EAN 6 38335 30022 1)6. 2. 작곡 음반
- 스티븐 허프가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과 함께 연주하고 로렌스 포스터가 지휘한 피아노 협주곡 1번이 1994년에 녹음되었다. 이 CD에는 자베르 샤르벤카의 피아노 협주곡 4번 F단조, 작품번호 82도 수록되어 있다 (Hyperion no. 66790).
- 올레 마르셰프가 오르후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하고 제임스 로우런이 지휘한 피아노 협주곡 2번 (Danacord DACOCD 596).
- 올레 마르셰프가 연주한 피아노 소나타 2번 외 피아노 작품들 (Danacord DACOCD 534).
- 올레 마르셰프가 연주한 연습곡 (Danacord DACOCD 487).
7. 참고 문헌
- 앤더슨, 로버트 킨록 편집, 스탠리 세이디, "자우어, 에밀 폰",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First Edition'' (런던: 맥밀란, 1980), 20권.
- 크로커스, 아니타, "에밀 폰 자우어, 리스트의 잊혀진 제자", 전기, 2022년 7월 12일.
- 헬리오테스, 스티븐, Hyperion CDA66790에 대한 노트, ''Scharwenka: 피아노 협주곡 4번; 자우어: 피아노 협주곡 1번''; 스티븐 허프, 피아니스트;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 지휘 로렌스 포스터 (런던: 하이페리온 레코드, 1995).
- 렌프로, 아니타 보일, ''에밀 폰 자우어; 그의 피아노 작품 목록''. 루이빌, KY, 서던 침례 신학 대학교, 학위 논문, 1981.
- 해럴드 C. 숀버그, ''The Great Pianists'' (뉴욕: 사이먼 & 슈스터, 1987, 1963).
참조
[1]
웹사이트
Tchaikovsky Research
http://en.tchaikovsk[...]
2015-06-21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서적
Modern Musicians
T. N. Foulis
1913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웹인용
Tchaikovsky Research
http://en.tchaikovsk[...]
2015-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