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버스 A320 패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어버스 A320 패밀리는 에어버스가 개발한 협동체(단일 통로) 여객기 계열로, A318, A319, A320, A321 기종으로 구성된다. 1980년대에 개발되어 1988년 첫 운항을 시작했으며, 보잉 737 시리즈와 경쟁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A320 패밀리는 연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플라이 바이 와이어 비행 제어 시스템, 복합 재료 사용 등의 기술을 도입했으며, 다양한 파생 모델과 개선된 기종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2024년 3월 기준으로 350개 이상의 항공사에서 10,803대의 A320 계열 항공기가 운항 중이며, 역사상 가장 많이 판매된 여객기 계열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어버스 A320 패밀리 - 에어버스 A319
에어버스 A319는 A320의 동체를 단축한 협동체 여객기로, 플라이 바이 와이어 제어 시스템과 사이드스틱 조종 장치를 갖춘 A320 패밀리의 일원이며, 다양한 엔진과 비즈니스 제트기, 장거리형 모델 등 여러 파생형이 존재한다. - 에어버스 A320 패밀리 - 에어버스 A318
에어버스 A318은 에어버스 A320 계열의 단거리용 여객기로, A319보다 짧은 동체, 107석의 좌석, 최대 5,950km의 항속거리를 가지며, A319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비즈니스 제트기 버전과 짧은 활주로 접근 능력 개선 등의 추가 개발이 있었으나 2015년 생산이 중단되었다. - 1987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보잉 E-6 머큐리
보잉 E-6 머큐리는 보잉 707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핵전쟁 상황에서 해군 잠수함 부대와의 통신을 유지하고, 필요시 미니트맨 ICBM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미국의 공중 지휘통제기이다. - 1987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수호이 Su-33
수호이 Su-33은 수호이 Su-27을 기반으로 개발된 러시아 해군의 함재기로, 항공모함 운용을 위해 기체 구조를 강화하고 날개를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12개의 하드포인트를 통해 다양한 무장을 탑재할 수 있다. - 상업용 항공기 - 비즈니스 제트기
비즈니스 제트기는 기업 임원, 자산가, 정부 등의 효율적인 이동을 위한 항공기로, 1964년 리어제트 23 양산 이후 터보프롭, 터보제트, 터보팬 엔진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기종이 개발되며 시장이 성장했으나, 최근에는 경제 상황과 환경 규제가 새로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 상업용 항공기 - 에어버스 A340
에어버스 A340은 에어버스가 개발한 4개의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 장거리용 광동체 여객기로, A330과 부품을 공유하며, 1987년에 처음 출시되어 377대가 생산되었으나 낮은 연료 효율성으로 2011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에어버스 A320 패밀리 | |
---|---|
개요 | |
![]() | |
역할 | 협동체 항공기 |
제작 국가 | 다국적 |
제작사 | 에어버스 |
상태 | 운용 중 |
주요 운용사 | 아메리칸 항공 |
기타 운용사 | 중국동방항공 이지젯 인디고 |
생산 대수 | 11,773대 (2024년 11월 기준) |
제작 기간 | 1986년–현재 1986년–2021년 (ceo) 2012년–현재 (neo) |
최초 도입 | 1988년 4월 18일, 에어 프랑스 |
첫 비행 | 1987년 2월 22일 |
개발 기반 | 에어버스 A320neo 패밀리 |
관련 기종 | 에어버스 A318 에어버스 A319 에어버스 A321 |
성능 | |
최대 이륙 중량 | 68 ~ 93.5 톤 |
항속 거리 | 3,100 ~ 3,750 해리 (5,741 ~ 6,945 km) |
가격 (2018년 평균 가격, 사양에 따라 다름) | |
A318 | 7,740만 미국 달러 |
A319 | 9,230만 미국 달러 |
A320 | 1억 100만 미국 달러 |
A321 | 1억 1,830만 미국 달러 |
A319neo | 1억 150만 미국 달러 |
A320neo | 1억 1,060만 미국 달러 |
A321neo | 1억 2,950만 미국 달러 |
2. 개발
에어버스 A320 패밀리의 개발은 1970년대 석유 파동 이후 연료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에어버스는 보잉 727을 대체할 새로운 협동체 항공기 개발에 착수했으며, 이 과정에서 플라이 바이 와이어(fly-by-wire) 비행 제어, 복합 소재 기체, 글래스 칵핏, 2인 조종 시스템 등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했다.[4][5]
1981년 2월, 이 프로젝트는 A320으로 재지정되었고, 150석 규모의 항공기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A320은 경쟁 기종보다 넓은 동체 폭을 가졌으며, 날개는 여러 설계 단계를 거쳐 효율성을 높였다.[11]
A320의 공식 개발은 1984년 3월 2일에 시작되었으며, 이 시점까지 에어프랑스를 포함한 5개 항공사로부터 96대의 수주를 확보했다. 개발 과정에서 서독 정부와 영국 정부의 재정 지원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결국 프랑스, 영국, 서독 정상 회담을 통해 해결되었다.
A320은 여객기로서는 세계 최초로 플라이 바이 와이어 기술을 본격 도입했다.[57] 조종사의 조종 조작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컴퓨터에 입력되고, 컴퓨터는 계산된 결과를 전기 신호로 각 조종익면의 액추에이터에 전달한다. 이로 인해 기체 중량과 정비 부하를 경감할 수 있었다. 또한, 조종실에는 사이드스틱이 채용되었고, 계기류는 6면의 CRT 디스플레이에 집약되었다.[57]
A320의 기체는 저익 주익 아래에 터보팬 엔진을 한 개씩 배치하고, 수직꼬리날개는 일반적인 위치에 배치되었다. 기체 구조는 알루미늄 합금과 티타늄 합금을 중심으로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설계되었다. 주익은 플랩을 장착할 공간 확보를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해석을 활용하여 설계되었고, 동체 단면은 "더블 버블 구조"로 하여 넓은 객실과 화물칸을 확보했다.
A320의 원형기는 최대 이륙 중량 66톤, 항속거리 1,750해리(약 3240킬로미터)였으나, 항공사의 요구에 따라 최대 이륙 중량을 72톤으로 높이고 주익 중앙 날개 안에 연료 탱크를 추가, 윙팁 펜스를 장착하여 항속거리를 3,200해리(약 5,930킬로미터)로 연장하는 기종(A320-200)이 계획되었다.
엔진은 초기에 CFM56-2 엔진을 주 후보로 삼았으나, 이후 CFM56-4, V2500 엔진도 채택되었다. A320의 장착 엔진은 CFM56-5와 V2500 두 종류 중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A320의 생산은 국제적 분업 체제로 이루어졌으며, 주요 부품은 프랑스, 독일, 영국, 스페인, 벨기에 등에서 생산되었다. 최종 조립은 프랑스 툴루즈(Toulouse)에서 이루어졌으며, 기체 내장 조립은 독일 함부르크(Hamburg)에서 수행되었다.
A320 초도기는 1987년 2월 22일 시험 비행에 성공했으며, 1988년 2월 26일 유럽 공동 항공 당국(JAA)으로부터 형식 증명을 받았다. 1988년 3월 26일, 에어프랑스(Air France)에 최초로 인도되었고, 같은 해 4월 18일 상업 운항을 개시했다.
이후 에어버스는 A320의 개량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윙팁 펜스 대신 "샤크릿(Sharklet)"이라는 새로운 익단 장치를 채용하고, 연료 소비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A320neo 개발을 통해 최신 터보팬 엔진을 장착하고, 객실 레이아웃 개선, 조종석에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도입 등 추가적인 개선을 이루었다.
A320neo는 2014년 9월 25일 초도 비행을 했으며, 2015년 11월 24일 형식 증명을 받았다. 2016년 1월 20일, 루프트한자에 최초로 인도되어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
A320 계열의 생산은 프랑스 툴루즈, 독일 함부르크, 중국 톈진, 미국 모빌의 4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2. 1. 배경
A300의 성공 이후, 에어버스는 보잉 727을 대체할 새로운 협동체 항공기 개발에 착수했다. 이 항공기는 보잉 727과 크기는 비슷하지만, 운항 경제성이 더 뛰어나고 다양한 실내 구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3]1970년대 유류 파동을 겪으면서, 에어버스는 연료 소비를 최소화해야 했다. 이를 위해 플라이 바이 와이어(fly-by-wire) 비행 제어, 복합 소재 기체, 무게 중심 제어, 글래스 칵핏, 2인 조종 시스템 등을 도입했다. 그 결과, A320은 보잉 727보다 연료를 절반만 소모하게 되었다.[4][5]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 에어버스는 A300을 설계하면서 보잉이나 더글러스 같은 미국의 항공기 제조사들과 경쟁하기 위해 다양한 여객기 모델을 구상했다. 에어버스는 A300B의 파생 모델 연구를 시작했고, 엔지니어들은 A300B1부터 B9까지 9가지 변형 모델을 확인했다. 1973년에 고안된 A300B10은 장거리 에어버스 A310으로 개발되었다. 이후 에어버스는 737과 DC-9가 주도하던 단일 통로 시장에 집중했다.[6]
몇몇 유럽 항공기 제조사들은 BAC 원-일레븐의 후속 기종을 개발하여 737-200과 DC-9를 대체하려 했다. 독일의 메서슈미트-뵈르켈로프-블롬(Messerschmitt-Bölkow-Blohm), 영국항공, 스웨덴의 SAAB, 스페인의 CASA는 180~200석 규모의 ''유로플레인(EUROPLANE)''을 개발했지만, A310 사양과 충돌하여 중단되었다.[6][7] VFW-폭커, 도르니어, 호커 시들리는 150석 규모의 설계를 진행했다.[8]
JET 연구에서 계속 진행된 설계는 JET2(163명 탑승)였으며, 이후 에어버스 S.A1/2/3 시리즈(단일 통로)가 되기 전에 1984년 출시를 위해 A320이라는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1977년 6월, 영국항공(British Aerospace, BAe), 아에로스파시알(Aerospatiale), 도르니어(Dornier Flugzeugwerke), 포커(Fokker)가 설립한 새로운 유럽 공동 운송(Joint European Transport, JET)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130~188석 규모의 A320의 전신으로 여겨졌으며, 보잉 737보다 빠른 마하 0.84의 순항 속도를 갖도록 설계되었다. 이후 이 프로그램은 에어버스로 이관되었고, 단일 통로(Single-Aisle, SA) 연구로 이어졌다. 이 그룹은 125~180석 규모의 시장을 커버하는 SA1, SA2, SA3 세 가지 변형을 검토했는데, 이는 각각 A319, A320, A321의 설계도가 되었다. 단일 통로 프로그램은 에어버스 내부에 분열을 야기했지만, 결국 독일 항공사는 쌍발 제트기를 주문했다.[9][10][12][6][7]
1981년 2월, 이 프로젝트는 A320으로 재지정되었고, 150석 규모의 항공기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A320은 날개 연료탱크만 사용하여 2,850해리(약 5,278km) 이상을 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0형은 중앙 연료탱크를 추가하여 연료 용량을 늘렸다. 에어버스는 보잉 707과 727의 동체 직경을 고려하여 3.7미터의 내부 폭을 가진 더 넓은 단면을 선택했다. A320의 날개는 여러 설계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33.91미터의 길이를 갖게 되었다.[11]
영국, 프랑스, 서독은 최종 조립과 관련 작업에 대한 책임을 원했다. 독일은 작업 분담을 40% 늘릴 것을 요청했고, 영국은 주요 책임을 바꾸기를 원했다. 결국 영국의 작업 분담은 이전보다 증가했다.[12]
프랑스는 출시 지원을 약속했지만, 독일은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영국 정부는 공구 비용에 대한 자금 지원을 하지 않았으며, 3년 동안 연기되었다. 1984년 3월 1일, 영국 정부와 BAe는 A320 판매에 따른 부과금으로 비용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12]
1984년 당시 프로그램 비용은 20억 파운드(28억 달러)로 추산되었다.[13]
한편, 단일 통로기 시장에서는 150석급의 신형 여객기가 요구되고 있었다. 보잉 727, 보잉 737-200, 더글러스 DC-9, BAC 1-11, 슈드 카라벨 등 중·단거리용 중소형기를 교체할 시기가 다가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 제조업체의 와해 전술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제조업체는 1977년에 새로운 공동 개발 프로젝트인 JET(Joint European Transport)를 시작했다. JET 계획은 에어버스와는 별도의 프로젝트였지만, 참가 멤버의 대부분은 에어버스 구성 멤버였고, BAe(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사도 1979년에 에어버스에 가입했다. 이에 따라 JET 계획은 에어버스 컨소시엄에 계승되어 SA(Single Aisle) 계획이라고 명명되었다.
항공사의 반응을 고려하여 에어버스는 150석급의 SA2에 주력하기로 결정하고 1981년 2월에 기체명을 A320으로 정했다. 이 무렵 1979년의 석유 파동으로 인해 연료 가격이 급등하여 항공사는 연비 대책에 몰두하고 있었다.
에어프랑스(Air France)는 A320 계획을 환영하며 1981년 6월 파리 에어쇼(Paris Air Show)에서 옵션을 포함해 50대를 주문한다고 발표했다. 프랑스 정부도 A320 개발비 부담을 약속했다.
에어프랑스가 일찍 주문을 결정하고 잠재 수요도 확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A320의 공식 개발이 결정될 때까지 3년이 걸렸다. 어려운 재정 상황에 있던 서독 정부와 영국 정부가 개발비 부담에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1984년 초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 영국의 대처 수상, 서독의 콜 수상이 회담하여 A320에 대한 금융 지원을 실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침내 자금 조달이 마무리됨에 따라 1984년 3월 2일, 에어버스는 A320의 공식 개발·생산을 결정했다. 이 시점까지 에어프랑스 외에 에어인터(Air Inter), 브리티시 캘리도니안 항공(British Caledonian Airways), 아드리아 항공(Adria Airways), 키프로스 항공(Cyprus Airways)의 5개사로부터 옵션 포함 96대의 수주를 확보했다.
2. 2. 설계
에어버스 A320 계열은 협동체(단일 통로) 항공기로, 접이식 삼륜 착륙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날개 파일런에 장착된 두 개의 터보팬 엔진으로 추진된다.1970년대 유가 급등 이후, 에어버스는 A320의 항공유 비용을 최소화해야 했다. 이를 위해 복합재를 수직꼬리날개의 주요 구조물에 채택하여 일반형 수직꼬리날개 구성을 사용하고, 연료를 사용한 중심 위치 제어, 유리 조종석(EFIS)과 사이드스틱 조종 장치, 2인 조종석을 채택했다.[60]
에어버스는 보잉 737-300이 V2500 엔진을 장착한 A320보다 연료 소비량이 35% 더 많고 좌석당 운영 비용이 16% 더 높다고 주장했다.[60] 150석 규모의 A320은 로스앤젤레스와 뉴욕시 간 2151nmi 구간에서 11608kg의 항공유를 소비하거나, 0.8 kg/L의 연료 밀도에서 좌석당 2.43L/100 km를 소비한다.[61] 날개는 길고 얇아 경쟁 기종인 737과 MD-80보다 높은 측면비로 인해 공기역학적 효율이 더 우수하다.

에어버스 A320 계열은 단일 수직 안정판과 방향타를 갖춘 기존의 수평꼬리면을 가진 저익 캔틸레버 단엽기이다. 날개 후퇴각은 25도이다. 같은 종류의 다른 여객기와 비교하여 A320은 3.95m의 외경을 가진 더 넓은 단일 통로 객실을 특징으로 한다.[127] 이는 보잉 737 또는 757의 약 375.92cm와 비교된다. 그리고 더 큰 짐칸을 가지고 있다. 화물칸에는 유닛 로드 디바이스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다.
A320 동체에는 무게를 줄이고 부품의 총 수를 줄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복합 재료와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된다.[62] 꼬리 조립체는 CASA에서 거의 전적으로 복합 재료로 제작되며, 승강타, 주착륙장치 도어 및 후방 동체 부품도 제작한다.[7]

A320 조종석은 이전 여객기에서 볼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아닌 완전한 유리 조종석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이드 스틱 조종 장치가 있는 전자식 비행 계기 시스템(EFIS)을 갖추고 있다. A320은 항공기의 모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조종사에게 제공하는 전자식 중앙 항공기 모니터(ECAM)를 가지고 있다. 아날로그 계기는 무선 자기 지시기와 브레이크 압력 지시기뿐이었다.
2003년부터 A320은 원래의 브라운관(CRT) 디스플레이 대신 조종석에 액정 디스플레이(LCD) 장치를 사용해 왔다. 여기에는 주 디스플레이와 이전에는 아날로그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던 백업 인공 지평선이 모두 포함된다.[63]
에어버스는 구형 A320 항공기의 항전 장비 업그레이드인 운용 개선 패키지를 제공하여 항공기를 최신 상태로 유지한다.[64] 디지털 헤드업 디스플레이도 사용 가능하다.[65]
A320은 항공기 기장 없이 운용하도록 설계된 최초의 광폭 동체 항공기인 A310에서 유래한 "다크 조종석"(시스템이 작동 중일 때 지시등이 꺼져 있고 지시등이 켜질 때 오작동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데 유용함)을 유지했으며, 에어버스 최초의 CEO인 앙리 지글러의 아들인 베르나르 지글러의 영향을 받았다.[66]
A320은 디지털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FBW) 비행 제어 시스템을 갖춘 세계 최초의 여객기이다. 사이드스틱을 통한 조종 입력은 비행 제어 컴퓨터에 의해 해석되어 비행 영역 보호 내에서 비행 제어면으로 전달된다. 1980년대 다쏘 미라주 2000 전투기의 컴퓨터 제어 동적 시스템은 에어버스 팀에 기술 이전되어 A300에서 FBW를 테스트했다.[67] 도입 당시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과 비행 영역 보호는 많은 조종사에게 새로운 경험이었다.
이후 모든 에어버스 기종은 최소한의 훈련으로 기종 간 자격을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유사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와 시스템 제어 철학을 공유한다. 당시 에어버스 사장이었던 로제르 베테유는 비행 영역 보호 기능을 갖춘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그가 내린 가장 어려운 결정 중 하나였다고 설명하며, "새로운 기술로 선두를 달리거나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67]
초기 A320에는 인텔 80186과 모토롤라 68010을 사용했다.[68] 1988년, 비행 관리 컴퓨터에는 3개의 논리적 쌍으로 실행되는 6개의 인텔 80286 CPU와 2.5MB의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었다.[69]
A320ceo 계열에는 CFM 인터내셔널(CFM International)의 CFM56 엔진, IAE 인터내셔널 에어로 엔진(International Aero Engines)의 V2500 엔진, 그리고 A318에만 사용 가능한 프랫 앤 휘트니(Pratt & Whitney)의 PW6000 엔진이 공급되었다.[70] A320neo 계열에는 CFM 인터내셔널의 LEAP-1A 엔진 또는 프랫 앤 휘트니의 PW1000G 엔진이 사용된다. A320 계열 항공기는 저고도 비행이나 활주시 특유의 이중 음색 드론 소리를 낸다.

A320의 기체 구성은 전형적인 여객기와 마찬가지로 저익(低翼) 주익 아래에 터보팬 엔진을 한 개씩 배치하고, 수직꼬리날개도 일반적인 위치에 배치되었다. A320의 기체 구조는 A300과 A310의 개발을 통해 얻은 데이터와 노하우를 활용하여 설계되었다. 그리고 중단거리 운항에 적합한 구조 강도를 갖추고, 부식 방지, 구조 품질의 장기 보증, 정비성 향상, 부품 수 감소를 도모하였다. 부재에는 개량형 알루미늄 합금과 티타늄 합금이 채택되었고, 복합재료의 사용 범위도 확대되었다.
주익 설계는 영국의 BAe사가 담당했다. A320의 설계상 순항 속도는 A300이나 A310보다 약간 낮은 마하 0.79에서 0.8로 설정되었다. 항속거리는 3000nmi로 설정되었는데, 이 크기의 여객기로서는 짧지 않은 값이었다.
주익의 두께는 공력적으로는 얇은 것이 좋지만, 한편으로는 날개 안 연료 탱크 용량과 구조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려면 두꺼운 것이 좋다. 에어버스가 A300에서 실용화한 리어 로딩(rear-loading)익형은 다양한 장점이 있었지만, 날개 후부가 얇기 때문에 A320의 기체 크기에서는 플랩을 장착할 공간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과제가 되었다.[145]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도록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해석을 활용하여 주익이 설계되었다. 완성된 A320의 주익은, 날개 두께비는 A310과 비슷한 값이었지만, 익형은 크게 달랐고 후연(後緣) 측의 두께가 확보되었다. 주익의 평면형은 얕은 후퇴각과 큰 종횡비를 갖게 되었다. 플랩은 단순한 1단 파울러 플랩으로 하고, 동익에는 복합재료를 다량 사용하여 경량화를 도모하였다.
동체 단면은 두 개의 원형 구조를 결합한 "더블 버블 구조"로 하여, 단일 통로기로서는 가장 두꺼운 동체 폭이 되었다. 이로 인해 기체 무게가 증가했지만, 경쟁 기종보다 여유 있는 객실과 화물칸이 실현되었다. 더욱이 화물칸의 문을 대형 외개형으로 하여 항공 화물 컨테이너를 탑재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물 운송 면에서도 경쟁 기종과 차별화를 도모하였다.
A320의 원형기는 최대 이륙 중량이 66톤이고, 승객 164명이 탑승했을 경우의 항속거리는 1750nmi라는 사양이었다. 이에 대해 항공사는 항속거리를 조금 더 늘리도록 요구했다. 그래서 최대 이륙 중량을 72톤으로 높이고 주익 중앙 날개 안에 연료 탱크를 추가하는 동시에 주익 끝에 윙팁 펜스를 장착하여 항속거리를 3200nmi로 연장하는 기종이 계획되었다. 원형기는 A320-100, 중량 증가형은 A320-200으로 명명되었다.
A320-200이 처음 등장했을 때 최대 이륙 중량은 72톤이었지만, 이후 단계적으로 증가하여 73.5톤, 77톤, 78톤 등의 사양이 설정되었다. 이륙 중량 증가분은 연료 탑재량 증가에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표준 항속 거리가 연장되었다. 엔진도 개량되어 연비 및 환경 성능이 향상되었다. 계산유체역학 기술을 이용하여 공기역학적 개선도 이루어졌으며, 날개와 동체를 연결하는 페어링과 엔진 파일런의 형상 등이 변경되었다. 비행 시스템도 개량되어 연속 강하 접근(CDA) 방식 및 광역 항법에 대응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더욱 효율적인 운항이 가능해졌다. 객실 또한 상단 수하물 수납 공간이 개선되어 용적 효율이 향상되었고, 내장재 갱신을 통해 실내 공간이 확장되었다. 객실 승무원용 업무 시스템도 도입되어 객실 조명 및 냉난방을 관리하고 메시지 방송을 하는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대체 활주로에서 먼 경로를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ETOPS 적용 범위도 순차적으로 확대되어, 2004년 3월 유럽항공안전기구(EASA)로부터, 2006년 5월에는 미국 연방항공청(FAA)으로부터 A319, A320, A321에 대해 180분 ETOPS가 승인되었다. 이어 2006년 11월에는 A318에 대해서도 EASA로부터 180분 ETOPS가 승인되었다.

그 후에도 연료 소비량 감소를 더욱 추진하여, 2009년 11월에는 윙팁 펜스 대신 새로운 익단 장치를 채용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이 익단 장치는 주익 끝이 위쪽으로 구부러져 큰 지느러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샤크릿(Sharklet)"이라고 명명되었다. 에어버스는 비행 거리가 약 2000nmi인 경우 샤크릿을 장착함으로써 연료 소비량을 3.5%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2010년부터 2011년에 걸쳐 샤크릿의 개발 및 시제작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A320 초도기에 샤크릿이 장착되어 2011년 11월 30일에 비행 시험을 시작했다. 샤크릿 장착 사양은 2012년 11월 30일에 EASA로부터 최초의 형식 증명을 취득하고, 다음 달 21일에 에어아시아에 최초로 인도되었다.[163] 샤크릿은 A318을 제외한 A320 계열 항공기에 설정되었으며, 2014년부터 인도된 항공기부터 샤크릿이 표준 사양이 되었다.


A320neo는 이름 그대로 장착 엔진이 최신 터보팬 엔진으로 일신되었다. 설정된 엔진은, 프랫앤휘트니(P&W)사의 퓨어파워 PW1100G 시리즈와, CFM 인터내셔널의 LEAP-1A 시리즈의 2종류이다. 두 엔진 모두 직경이 큰 팬을 갖추고 바이패스비를 높임으로써 연료 효율 향상을 도모했다.
PW1100G는 퓨어파워 PW1000G 시리즈 중 하나의 타입이다. PW1100G는 팬의 회전수를 최적화하기 위해 감속기를 갖추고 있으며 기어드 터보팬 엔진이라고도 불린다. 이로 인해 12:1이라는 매우 높은 바이패스비를 실현했다. 에어버스는 2008년 10월에 개발 중인 PW1000 엔진을 에어버스 자사의 A340-600에 장착하여 비행 시험을 실시하고 P&W사의 개발 작업을 지원했다.[165] 이 시점에서 에어버스는 PW1000 엔진의 도입은 미정이라고 했지만, 결과적으로 A320neo에 채용되었다.
LEAP-1A는 CFM56의 후계 엔진으로 2008년 7월에 공식 개발이 시작되었다. 팬의 감속기를 갖고 있지 않지만, 최신 재료 기술과 공력 설계 기술에 의해 엔진 코어를 소형화·고효율화하거나 팬을 최적화한 것 외에 시스템에도 개량을 더함으로써 연료 효율 향상을 도모했다.[166]
A320neo의 두 엔진은 A320ceo의 엔진과 비교하여 팬의 직경이 수십 센티미터 정도 확대되었지만, 에어버스는 카울링 하단과 지면 사이에 필요한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고 하여 착륙장치의 연장 등은 실시되지 않았다. 제한된 기간에 개발하기 위해, 신 엔진의 카울 설계에는 3차원 모델에 의한 디지털 목업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엔진 이외의 기본적인 기체 설계는 A320ceo 계열의 것이 계승되어 설계의 95%가 공통으로 되었다. A320neo에서는 주익의 샤크렛이 표준 장비가 되었다.
에어버스는 A320neo의 개발과 함께 A320ceo의 더욱 개량도 실시하고 있었다. neo와 ceo 양쪽에 적용된 개량으로 스페이스 플렉스(Space-Flex)라고 명명된 신객실 레이아웃이나 객실 조명의 완전 LED화, 조종석에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도입이 있다. 스페이스 플렉스에서는 기체 후부의 갤리와 화장실의 공간을 압축함으로써 좌석수를 6석 늘리는 것이 가능해졌다.[167]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기장석과 부조종석에 각각 장착할 수 있으며, 신조기에 옵션 설정된 것 외에 기존기에 대한 장착 개조도 가능해졌다.
A320neo의 초도기는 PW1100G 엔진 장착형으로 2014년 9월 25일에 툴루즈에서 초도 비행을 했다.[168] 이듬해 2015년 5월 19일에는 LEAP-1A 장착형도 초도 비행을 했다.[169] 같은 해 11월 24일, 우선 PW1100G 사양에 대해 A320neo의 첫 번째 형식 증명이 EASA와 FAA로부터 교부되었다.
당초는 2015년 중에 카타르항공이 첫 A320neo를 인수할 계획이었지만, PW1100G 엔진의 성능상의 문제로 연기되었다. 그 결과, 이듬해 1월 20일 루프트한자에 대한 A320neo의 첫 인도가 이루어졌다. 루프트한자는 1월 중에 독일 국내선에서 A320neo의 노선 취항을 시작하여 같은 해 4월에는 런던과 프랑크푸르트를 잇는 국제선에도 투입했다.
2016년 5월 31일에는 LEAP-1A 장착 사양에 대해서도 EASA와 FAA로부터 형식 증명이 교부되어 7월 19일에 터키의 페가수스항공에 대해 첫 인도가 이루어졌다.
PW1100G 초기 버전에서는 엔진 시동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어 P&W사는 개량에 매달렸다.[170] 그 외에도 A320neo의 운항 개시 후 초기에는 PW1100G 엔진과 LEAP-1A 엔진 모두 몇 가지 문제가 발견되어 각 제조사에 의한 개량과 대책이 실시되었다.



A320의 기체 구조는 일반적인 여객기와 같다. 단엽기(단익기)로, 주익(날개)은 저익(하익)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좌우 주익 하부에 각각 터보팬 엔진을 1기씩 장착하고 있다. 꼬리날개는 일반적인 배치이며, 수직꼬리날개와 수평꼬리날개는 모두 동체 후미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착륙장치는 전륜식 배치로, 기수에 전방 착륙장치, 좌우 주익 기근에 주착륙장치가 있다. 전체 길이는 37.57미터, 전체 높이는 11.76미터, 전체 너비는 윙팁 펜스 장착형이 34.10미터, 샤크릿 장착형이 35.80미터이다.
기체 구조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과 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이 중심이지만, 구조 중량의 15%는 복합재료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복합재료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아라미드섬유강화플라스틱(AFRP),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이며, AFRP와 GFRP는 2차 구조 부재에, CFRP는 2차 구조 부재 외에 주요 구조 부재에도 사용된다.
주익은 테이퍼가 적용된 후퇴익이며, 날개 면적은 122.6m2이다. 25% 날개 현에서의 후퇴각은 25도이며, 종횡비는 약 9.5로, 후퇴각이 얕고 날개폭이 큰 날개이다. 익형비는 10.8%로 A310과 비슷한 값이지만, 단면 형상은 상당히 다르며 A320의 날개는 후반부가 비교적 두껍다. 주익 구조는 동체와 일체화된 중앙익 구조와 좌우의 외팔보 구조로 구성된다.
2. 3. 생산
A320 프로그램은 1984년 3월 2일에 시작되었으며,[14] 당시 에어버스는 96대의 주문을 받았다.[17] 에어프랑스는 1981년 파리 에어쇼에서 25대의 A320에 대한 "의향서"와 25대의 추가 옵션을 체결한 최초의 고객이었다.[15] 1983년 10월, 브리티시 캘리도니안이 7대를 확정 주문하여 총 주문량이 80대를 넘었다.[16] 키프로스항공은 1984년 11월 V2500 엔진을 탑재한 A320을 주문한 최초의 고객이 되었고, 이어 1985년 1월 팬암이 16대의 확정 주문과 34대의 옵션을 주문했으며, 그 뒤를 이넥스 아드리아가 이었다.[17] 가장 중요한 주문 중 하나는 노스웨스트 항공이 1986년 10월 CFM56 엔진을 탑재한 100대의 A320을 주문한 것이었으며, 이는 1990년 파르나보로 에어쇼에서 확정되었다.[17]A320 개발 중 에어버스는 루프트한자가 지원한 프롭팬 기술을 고려했다.[12] 당시에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엔진 나셀 외부에 팬을 배치하여 터보팬 속도와 터보프롭의 경제성을 제공하는 것이었고; 결국 에어버스는 터보팬을 고수했다.
A320의 동력은 두 개의 CFM56-5-A1 엔진으로 공급될 예정이었다.[11] IAE V2500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유일하게 사용 가능한 엔진이었다. IAE V2500은 롤스로이스, 프랫 앤 휘트니, 일본항공기관주식회사, 피아트, MTU로 구성된 인터내셔널 에어로 엔진 그룹이 제공했다. 최초의 V2500 변형인 V2500-A1은 의 추력을 갖는다.[18] 따라서 그 이름이 붙었다. CFM56보다 4% 더 효율적이며, -A5의 순항 추력 비추력 연료 소비량은 CFM56-5A1의 16.3g/kN/s에서 16.9g/kN/s이다.[19]

당시 프랑스 총리였던 자크 시라크와 찰스 왕세자 및 다이애나비의 참석하에, 첫 A320은 1987년 2월 14일 툴루즈 최종 조립 라인에서 출고되었고, 2월 22일 3시간 23분 동안 초도 비행을 실시했다.[20] 시험 비행 프로그램은 530회의 비행에 걸쳐 1,200시간이 소요되었다. 유럽 공동항공당국(JAA) 인증은 1988년 2월 26일에 부여되었다.[17] 첫 A320은 3월 28일에 에어프랑스에 인도되었으며,[21] 파리와 베를린 간 뒤셀도르프 경유 항공편으로 4월 8일부터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22] 1988년, 이 신규 항공기 프로그램의 비용은 54억 8,600만 프랑스 프랑이었다.[23]
A320ceo 계열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가장 빠르게 판매된 여객기였다.[103] 후속 기종인 A320neo 계열은 2011년 1년도 안 되는 기간에 1,420대의 주문과 계약을 달성하며 이 기록을 뛰어넘었다.[104] 2013년 11월, A320 계열 항공기의 주문량이 1만 대에 도달했다.[105] 2019년 10월, A320 계열은 15,193대의 주문을 기록하며 보잉 737의 총 주문량 15,136대를 넘어서 역대 최다 판매 여객기 계열이 되었다.[106] 2021년 8월, A320 계열은 도입 33년 만에 1만 대 인도 기록을 달성했다.[107] 이는 보잉 737이 2018년 3월 1만 대 인도 기록을 달성한 50년과 비교된다.[108] 2021년 12월 16일, A320ceo 계열의 마지막 기종인 A321ceo(MSN 10315)가 앨러배마주의 에어버스 모빌 조립 라인에서 델타항공에 인도되었으며, 등록 번호는 N129DN이다.[109] 2022년 7월, A320neo 계열의 총 주문량은 8,502대에 달하며 A320ceo 계열의 총 주문량 8,120대를 넘어섰다.[1] 2023년 6월, A321neo의 총 주문량은 5,163대에 달하며 A320ceo의 총 주문량 4,763대를 넘어서 A320 계열에서 가장 많이 주문된 기종이 되었다.[1][110] 2023년 7월, A321neo의 총 주문량은 5,259대에 달하며 보잉 737-800의 기존 최다 주문 기록인 5,205대를 넘어서 역사상 가장 많이 주문된 여객기 기종이 되었다.[1][112][111] 2023년 12월, A320neo 계열은 최초로 주문량 1만 대와 7,000대의 주문 잔고를 기록했다.[1]
2024년 11월 기준, 총 11,773대의 A320 계열 항공기가 인도되었으며, 6대의 A320ceo(2대의 A319와 2개의 파산 항공사의 4대의 A320)가 잔고에 남아 있다. 2024년 11개월 동안 에어버스는 6대의 A319neo, 198대의 A320neo, 306대의 A321neo를 포함하여 510대의 A320neo 계열 항공기를 인도했다. A320 계열의 잔고는 7,000대를 넘었으며, A321이 60%를 차지하고 총 주문량은 19,000대에 달했다.[1][72] 한편, 보잉 737의 총 주문량은 16,725대로 소폭 증가했으며, 이 중 11,907대가 인도되었다.[112]
기종 | 주문 | 인도 | ||||||||||
---|---|---|---|---|---|---|---|---|---|---|---|---|
총계 | 잔고 | 총계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
A318 | 80 | – | 80 | – | – | – | – | – | – | – | – | 1 |
A319 | 1,486 | 2 | 1,484 | – | – | – | 2 | 3 | 4 | 8 | 10 | 4 |
A320 | 4,756 | 4 | 4,752 | – | – | – | – | 3 | 49 | 133 | 184 | 251 |
A321 | 1,784 | – | 1,784 | – | – | – | 22 | 9 | 38 | 99 | 183 | 222 |
-- A320ceo -- | 8,106 | 6 | 8,100 | – | – | – | 24 | 15 | 91 | 240 | 377 | 477 |
A319neo | 57 | 34 | 23 | 6 | 7 | 6 | 2 | – | 2 | – | – | – |
A320neo | 4,043 | 1,947 | 2,096 | 198 | 247 | 246 | 258 | 253 | 381 | 284 | 161 | 68 |
A321neo | 6,794 | 5,240 | 1,554 | 306 | 317 | 264 | 199 | 178 | 168 | 102 | 20 | – |
-- A320neo -- | 10,894 | 7,221 | 3,673 | 510 | 571 | 516 | 459 | 431 | 551 | 386 | 181 | 68 |
(A320 계열) | (19,000) | (7,227) | (11,773) | (510) | (571) | (516) | (483) | (446) | (642) | (626) | (558) | (545) |
기종 | 인도 | |||||||||||||||
---|---|---|---|---|---|---|---|---|---|---|---|---|---|---|---|---|
2015 | 2014 | 2013 | 2012 | 2011 | 2010 | 2009 | 2008 | 2007 | 2006 | 2005 | 2004 | 2003 | 2002 | 2001 | 2000 | |
A318 | – | 1 | 2 | 2 | 2 | 6 | 13 | – | 17 | 8 | 9 | 10 | 9 | – | – | – |
A319 | 24 | 34 | 38 | 38 | 47 | 51 | 88 | 98 | 105 | 137 | 142 | 87 | 72 | 85 | 89 | 112 |
A320 | 282 | 306 | 352 | 332 | 306 | 297 | 221 | 209 | 194 | 164 | 121 | 101 | 119 | 116 | 119 | 101 |
A321 | 184 | 150 | 102 | 83 | 66 | 51 | 87 | 66 | 51 | 30 | 17 | 35 | 33 | 35 | 49 | 28 |
-- A320ceo -- | 490 | 491 | 493 | 455 | 421 | 401 | 402 | 386 | 367 | 339 | 289 | 233 | 233 | 236 | 257 | 241 |
-- A320ne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320 계열) | (490) | (491) | (493) | (455) | (421) | (401) | (402) | (386) | (367) | (339) | (289) | (233) | (233) | (236) | (257) | (241) |
기종 | 인도 | |||||||||||
---|---|---|---|---|---|---|---|---|---|---|---|---|
1999 | 1998 | 1997 | 1996 | 1995 | 1994 | 1993 | 1992 | 1991 | 1990 | 1989 | 1988 | |
A318 | – | – | – | – | – | – | – | – | – | – | – | – |
A319 | 88 | 53 | 47 | 18 | – | – | – | – | – | – | – | – |
A320 | 101 | 80 | 58 | 38 | 34 | 48 | 71 | 111 | 119 | 58 | 58 | 16 |
A321 | 33 | 35 | 22 | 16 | 22 | 16 | – | – | – | – | – | – |
-- A320ceo -- | 222 | 168 | 127 | 72 | 56 | 64 | 71 | 111 | 119 | 58 | 58 | 16 |
-- A320neo -- | – | – | – | – | – | – | – | – | – | – | – | – |
(A320 계열) | (222) | (168) | (127) | (72) | (56) | (64) | (71) | (111) | (119) | (58) | (58) | (16) |
'''''데이터 ''[1][76]'''
A320 계열의 연간 인도량은 대체로 증가세를 유지하여 2006년에는 300대를 넘었고, 2009년에는 400대를 초과했다. A320 단독의 연간 인도량도 마찬가지로 2008년에 200대를 넘어섰고, 2011년에는 300대를 초과했다. A320 계열의 누적 인도량은 계속 증가하여 2012년 2월에 5,000대, 2014년 3월에는 6,000대에 달했다.
이 기간 동안 A320 계열 내에서 수요의 중심이 대형기로 이동하고 있다. 2006년 계열 내 인도량 점유율은 A321이 10% 미만, A320이 43%, A319가 73%였다. 2010년을 기점으로 A319와 A321의 인도량이 역전되었고, 2016년에는 A321이 44%, A320이 53%, A319는 3%가 되었다.
A320neo 계열 개발과 병행하여 단계적으로 생산 체제가 강화되어 왔다. 에어버스는 2012년 7월 A320 계열의 최종 조립을 미국에서도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알라바마주모빌에 공장을 건설했다. 알라바마 공장은 2013년 4월에 착공하여 2015년 9월부터 본격 가동되고 있다. 미국산 첫 번째 기체는 2016년 3월에 초도비행을 했고, 4월에 고객에게 인도되었다.
2008년 2월 1일 A320 계열 전체의 누적 인도량이 8,000대에 도달했고, 2019년 10월 11일에는 A320 "neo" 계열의 누적 인도량이 1,000대에 도달했다.
2019년 현재 A320의 최종 조립은 프랑스 툴루즈, 독일 함부르크, 중국 톈진, 미국 모빌의 4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A319는 함부르크, 톈진, 모빌의 3곳, A321은 함부르크와 모빌의 2곳에서 최종 조립되고 있다. A318은 2015년을 끝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3. 경쟁
A320 패밀리는 보잉 737 클래식 (보잉 737-300/400/500)과 맥도넬 더글러스 맥도넬더글러스 MD-80/맥도넬더글러스 MD-90과 경쟁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출시 약 20년 후에 보잉 737-NG(보잉 737-600/700/800/900)과 보잉 717과의 경쟁에 직면하게 된다.[73] 2011년 8월 기준으로, 에어버스 A320 패밀리와의 주요 경쟁상대는 보잉 737-NG이고, 각 기종별 경쟁 상대로는 A318은 엠브라에르 E195, A319는 봄바디어 C시리즈가 있다.
2018년 9월까지 A320ceo 계열 항공기 7,251대가 운용 중인 반면 737NG는 6,757대였다. 에어버스는 2022년까지 3,174대의 A320neo를 인도할 것으로 예상했고, 보잉은 보잉 737 맥스 2,999대를 인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에어버스는 저비용 항공사 신생 기업에 A320을 성공적으로 판매했으며, 엔진 선택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단일 공급원인 737보다 항공사와 리스사에게 더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었다. 하지만 CFM 엔진은 매우 신뢰할 수 있다. A320neo는 6개월 먼저 출시되어 보잉이 MAX를 발표하기 전에 1,000대의 주문을 확보할 수 있었다. A321은 737-900보다 3대 1의 비율로 판매량이 더 많았으며, A321neo는 다시 737-9 MAX를 압도하고 있고, 737-10 MAX도 합류할 예정이다.[75]
4. 파생형
기본 A320은 A318의 100명[125]에서 A321의 220명[128]까지 다양한 탑승객 수용 능력을 가진 항공기 계열을 탄생시켰다. 이들은 737, 757 및 717과 경쟁한다. 네 가지 A320 변형은 동일한 조종석을 공유하므로 모두 동일한 조종사 자격증명을 갖는다. 현재 모든 변형은 기업용 제트기로도 제공된다. A319 MPA와 같은 군용 버전도 존재한다. 아메리칸 항공은 2017년 9월 30일 기준으로 392대의 항공기를 운영 중인 A320 계열 항공기의 최대 운영 항공사이다.[1]
기술적으로 "A320"이라는 이름은 원래 중형 항공기만을 가리키지만, 종종 비공식적으로 A318/A319/A320/A321 계열 중 어느 것이든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모든 변형은 2004년 (EASA) 및 2006년 (FAA)부터 180분 ETOPS(장거리 이중 엔진 운항 성능 기준) 인증 용량을 갖추고 있다.[78]
A320의 첫 번째 파생 모델은 에어버스 A321이며, ''연장형 A320'', ''A320-500'', ''A325''로도 알려져 있다.[7][24] 1988년 11월 24일 10개 고객사로부터 183대의 주문을 확보한 후 출시되었다.[7][27] A321은 날개의 사소한 수정과 동체 연장을 제외하고는 최소한의 변경이 이루어진 파생 모델이었다. 날개에는 이중 슬롯 플랩이 장착되고, 사소한 후미익 수정이 이루어졌으며,[7] 날개 면적은 124m2에서 128m2로 증가했다.[25] 동체는 네 개의 부분(날개 앞뒤로 두 개씩)을 연장하여 A320보다 6.94m 더 길어졌다.[7][127][128] 길이 증가로 인해 날개 위 출구가 확장되었고, 날개 앞뒤로 위치가 변경되었다.[11] 증가된 9600kg의 최대이륙중량을 수용하기 위해 중앙 동체와 랜딩기어가 보강되어 총 83000kg이 되었다.[7]
A321의 최종 조립은 에어버스 최초로 독일(당시 서독)에서 이루어졌다.[26] 이는 새로운 공장과 관련된 1억 5천만 달러(1억 3,500만 유로)의 불필요한 지출이 발생한다는 프랑스 측의 주장[7]과 장기적으로 에어버스에 더 생산적일 것이라는 독일 측의 주장 사이의 분쟁 이후 결정된 것이다. 두 번째 생산 라인은 함부르크에 위치했으며, 이후 소형 에어버스 A319와 A318도 생산하게 되었다. 에어버스는 최초로 채권 시장에 진출하여 개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4억 8천만 달러(4억 7,500만 유로)를 조달했다.[27] 유럽투자은행과 민간 투자자들로부터 추가로 1억 8천만 달러(1억 7,500만 유로)를 차입했다.[7]
루프트한자와 알이탈리아가 각각 20대와 40대의 연장형 에어버스를 처음 주문했으며, A321의 첫 비행은 1993년 3월 11일에 이루어졌다. 루프트한자의 V2500-A5 장착 A321은 1994년 1월 27일에 도착했고, 알이탈리아는 3월 22일에 첫 CFM56-5B 장착 항공기를 받았다.
2006년, 에어버스는 4~5%의 효율 향상을 목표로 하는 A320 개선형(A320E)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여기에는 대형 윙렛(2%), 공기역학적 개선(1%), 중량 감소 및 새로운 항공기 기내가 포함된다.[42] 2007년에는 CFM56 기술 삽입[43]을 통해, 2008년에는 V2500Select (One)을 통해 연료 소비량을 1% 줄이는 엔진 개선이 이루어졌다.[44]
싱가포르 대형 MRO 기업 ST Aerospace와 에어버스는 A320과 A321에 대한 여객기 개조 화물기(Passenger to Freighter: P2F) 개발에 합의하고, P2F 개조기의 개조, 판매, 관리를 독일의 에어버스와 ST Aerospace의 합작 항공우주 제조업체인 엘베 플루크초이크베르케(Elbe Flugzeugwerke: EFW)에 위탁하기로 하였다.[181] 기존의 하부(로어 데크) 화물칸에 추가하여 메인 데크에 A320 최대 10개, A321 최대 14개의 탑재 보조 용기(유닛 로드 디바이스)를 적재하여, 화물을 A320 최대 21.9t, A321 최대 27.9t까지 적재할 수 있다.[182] 2020년 2월 25일 유럽항공안전청(EASA)으로부터 추가 형식 증명(STC)을 취득하였고,[183] 보잉 757 화물기 등의 교체 수요를 포함하여 COVID-19로 인한 전자상거래 성장을 활용할 전망이다.[184] en[185] 및 루프트한자 카고[186] 등이 운용하고 있다.
4. 1. A318
에어버스 A318은 최대 132명의 승객을 수용하며 최대 항속거리는 5,741km이다.[88] 2003년 7월 프론티어 항공에서 처음으로 운항을 시작했으며, 다른 모든 에어버스 A320 계열 기종과 공통적인 형식등급을 공유하여 기존 A320 계열 조종사는 추가 훈련 없이도 이 항공기를 운항할 수 있다. 런던 시티 공항과 같은 공항에서의 운항을 허용하는 급강하 접근 운항에 대해 유럽 항공 안전청으로부터 인증받은 가장 큰 상업용 항공기이다. 다른 에어버스 A320 계열 기종에 비해 A318은 판매량이 매우 적으며, 2015년 10월 31일 기준으로 총 주문량은 80대에 불과하다.
4. 2. A319
A319는 기본형 A320의 후속 파생 모델로, 동체를 단축하고 엔진 추력을 감소시킨 기종이다. A320M-7이라고도 불리며, 보잉 737-300/-700과의 직접 경쟁을 목표로 개발되었다.[7] A320 패밀리 중 항속거리가 가장 길며, 상업 운항용보다 전용기(ACJ)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A319는 날개 앞쪽에서 4개, 뒤쪽에서 3개의 동체 프레임을 제거하여 전체 길이를 3.73m 단축했다.[127][28][126] 이에 따라 날개 위 비상구 수가 4개에서 2개로 줄었고, 대형 화물 문은 후방 컨테이너 문으로 대체되었다.[28] 2클래스 구성으로 124명의 승객을 태울 경우 항속거리는 6650km이며, 샤클릿(Sharklets) 장착 시 6850km까지 늘어난다.[126]
1992년 5월부터 에어버스는 A319 모델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1993년 6월 10일에 공식 출시되었다.[28][7][4] 첫 고객은 ILFC였으며, 1995년 3월 23일 첫 A319가 함부르크에 있는 에어버스 독일 공장에서 최종 조립을 거쳐 8월 24일에 공개되었다.[11] 1996년 4월 25일, 스위스에어에 첫 A319가 인도되어 운항을 시작했다.[7]
A319는 유나이티드 항공, 이지젯 등 미주 및 유럽권 항공사에서 널리 운용되고 있다. 1997년 1월에는 A319가 함부르크에서 매니토바주 위니펙까지 3588nmi를 9시간 5분 만에 비행하며 배달 비행 중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7]
2017년 9월 30일 기준으로 A319ceo 모델 1,460대가 인도되었고 24대가 주문 중이다.[1]
4. 2. 1. ACJ319
A319의 기업용 제트기 버전인 A319CJ는 2014년부터 ACJ319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항공기는 화물칸에 최대 6개의 추가 중앙 연료 탱크를 장착할 수 있으며, 운항 고도가 12500m로 향상되었다.[81] 8명의 승객과 보조 연료 탱크(ACT)를 탑재했을 때 최대 11112km까지 비행 가능하다.[82][83] 재판매 시에는 추가 연료 탱크와 기업용 기내 설비를 제거하여 표준 A319로 재구성할 수 있어 재판매 가치를 높일 수 있다.
ACJ319는 최대 39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지만,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설계 가능하다. 티롤리안 제트 서비스(Tyrolean Jet Services), MJET,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Reliance Industries) 등이 이 항공기를 사용하고 있다. ACJ319는 보잉 737-700 기반 보잉 비즈니스 제트(Boeing Business Jet)(BBJ), 엠브라에르(Embraer) 리니지 1000(Lineage 1000)과 같은 초대형 기업용 제트기뿐만 아니라, 걸프스트림 G650(Gulfstream G650), 걸프스트림 G550(Gulfstream G550), 봄바르디어 글로벌 6000(Global 6000)과 같은 대형 및 초장거리 제트기와도 경쟁한다. A320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한다. 프랑스 고위 관리들의 수송을 담당하는 ''수송, 훈련 및 교정 비행대대(Escadron de Transport, d'Entraînement et de Calibration)''와 독일 고위 관리들의 수송을 담당하는 독일 공군(German Air Force)의 Flugbereitschaft에서 사용되었다. 아르메니아,[84] 아제르바이잔, 브라질, 불가리아, 체코, 독일, 이탈리아,[85] 말레이시아, 슬로바키아, 태국, 터키, 우크라이나, 베네수엘라에서 대통령 또는 공식 항공기로 사용되고 있다.
4. 3. A320
에어버스 A320은 1987년 2월 22일에 최초로 취항했으며 이후 날개 중앙에 연료 탱크를 증가했다. A320-200에 주문이 집중되었기 때문에 A320-100 항공기는 21대만 생산한 후 사실상 단종되었다. 국내에서는 에어부산과 에어로케이항공이 있으며, 이 외에도 델타 항공, 아메리칸 항공, 중국남방항공 등 여러 항공사에서 흔히 볼 수 있다.[7]
A320 시리즈는 A320-100과 A320-200의 두 가지 변형이 있다. A320-100은 단 21대만 생산되었다.[7] 최초로 생산된 이 항공기들은 에어 인터(Air Inter)로 인도되었으며, 에어프랑스(Air France)가 인수한 후 영국항공(British Airways)에도 인도되었다. 이는 브리티시 캘레도니언(British Caledonian)이 인수되기 전에 주문한 결과였다. -100과의 주요 차이점은 -200의 날개 끝 펜스와 증가된 연료 용량으로, 항속거리가 증가했다.
CFM56-5 또는 IAE V2500 엔진 두 개를 장착하고, 추력은 98kN에서 120kN이다. 승객 150명을 태우고 운항할 때 A320의 일반적인 항속거리는 이다.[127] 2017년 9월 30일 기준으로 A320ceo 모델은 총 4,512대가 인도되었고, 220대가 추가 주문되었다.[1] 가장 가까운 보잉 경쟁 기종은 보잉 737-800이다.[86]
1988년 신형 A320의 가격은 3천만 달러였고, 1990년대 말에는 4천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물가상승률보다 30% 낮은 증가율이다. 2001년 이후에는 3700만 달러로 하락했고, 2008년에는 4700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A320neo로 전환될 때까지 4000만~4200만 달러로 안정되었다.[87] 2018년 목록 가격은 1억 100만 달러였다.[88]
에어버스는 1987년에 A320의 파생 기종 개발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기본이 되는 A320을 기준으로 동체를 연장하는 유형과 단축하는 유형이 연구되었다. 이미 A340과 A330의 동시 개발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A320의 파생 기종 개발에는 최소한의 엔지니어만 투입되었다.
A320 계열은 세대에 따라 초기 모델인 A320ceo 계열과 신형 엔진으로 개량된 A320neo 계열로 나뉜다. A320ceo 계열은 기본형 A320, 동체가 긴 A321, 동체가 짧은 A319와 A318의 4가지 기종으로 구성된다. A320neo 계열은 A319neo, A320neo, A321neo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주로 기본형 A320에 대해 설명한다. 각 기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개별 페이지(A321#기체, A319#기체, A318#기체)를 참조하라. A320neo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320neo 항목도 참조하라. 또한, 기업용 제트기 사양에 대해서는 에어버스 코퍼레이트 제트 항목도 참조 바란다.
A320의 기체 구조는 일반적인 여객기와 같다. 단엽기(단익기)로, 주익(날개)은 저익(하익)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좌우 주익 하부에 각각 터보팬 엔진을 1기씩 장착하고 있다. 꼬리날개는 일반적인 배치이며, 수직꼬리날개와 수평꼬리날개는 모두 동체 후미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착륙장치는 전륜식 배치로, 기수에 전방 착륙장치, 좌우 주익 기근에 주착륙장치가 있다. 전체 길이는 37.57미터, 전체 높이는 11.76미터, 전체 너비는 윙팁 펜스 장착형이 34.10미터, 샤크릿 장착형이 35.80미터이다.
기체 구조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과 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이 중심이지만, 구조 중량의 15%는 복합재료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복합재료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아라미드섬유강화플라스틱(AFRP),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이며, AFRP와 GFRP는 2차 구조 부재에, CFRP는 2차 구조 부재 외에 주요 구조 부재에도 사용된다.
주익은 테이퍼가 적용된 후퇴익이며, 날개 면적은 122.6제곱미터이다. 25% 날개 현에서의 후퇴각은 25도이며, 종횡비는 약 9.5로, 후퇴각이 얕고 날개폭이 큰 날개이다. 익형비는 10.8%로 A310과 비슷한 값이지만, 단면 형상은 상당히 다르며 A320의 날개는 후반부가 비교적 두껍다. 주익 구조는 동체와 일체화된 중앙익 구조와 좌우의 외팔보 구조로 구성된다. 좌우의 주익은 상자형 응력 외피 구조(박스 구조)이며, 전연, 후연, 리브(작은 뼈대), 스트링거(세로재), 그리고 상하의 외판 등으로 구성된다. 중앙익 구조는 트러스로 보강된 박스 구조이며,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 등을 동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주익에는 고양력장치로서 전연에 슬랫, 후연에 플라워 플랩을 갖추고 있다. 슬랫은 날개당 6개이며, 거의 전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엔진 파일론의 뿌리를 경계로 플랩은 내익과 외익으로 2분할되어 있으며, 그 바깥쪽에 보조익이 있다. 주익 상면에는 날개당 5개의 스포일러가 있다. 스포일러는 롤 조종에도 사용된다. 동익에는 복합재료를 다량 사용하여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익단장치로서 유도항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윙팁 펜스 또는 샤크릿을 갖추고 있다. 윙팁 펜스는 화살촉 모양의 유동 조절판이며, 샤크릿은 윙렛처럼 날개 끝을 위로 구부린 형상을 갖는다. 개발 초기에는 윙팁 펜스가 표준 장비였지만, 나중에 샤크릿 사양이 개발되었고, A320neo에서는 샤크릿이 표준 장비가 되었다. 또한, 기존 기체에 샤크릿을 후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익의 박스 구조 내부는 연료 탱크이다. 탱크는 좌우 각각 2분할되어 중앙 1구획과 함께 5구획으로 나뉘어 있으며, 양 끝은 서지탱크가 되어 있다.
A320의 동체 단면은 직경이 다른 두 개의 원형 구조를 결합한 “더블 버블 구조”이다. 동체 길이는 전체 길이와 같으며 37.57미터이다. 객실 부분의 너비를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후미의 평면 형태를 조절하는 등 저항을 줄이도록 설계되었다. 동체 구조는 세미 모노코크 구조이며, 프레임(원주 방향의 구조재), 스트링거(전후 방향으로 뻗는 종통재), 외판, 빔(좌우 방향의 보강재), 격벽 등으로 구성된다. 동체 최하단에서 1.679미터 위에 빔 구조가 있으며, 객실의 바닥을 지지한다. 동체는 후미를 제외하고 가압 구조이다.
수평꼬리날개의 날개폭은 12.45미터, 수직꼬리날개의 높이는 5.87미터이다. 수평꼬리날개와 수직꼬리날개 모두 앞전과 뒷전, 외판, 늑골로 구성된 박스형 구조이며, 대부분 복합재료로 제작되었다.
수평꼬리날개는 수평 안정판과 승강타로 구성된다. 수평꼬리날개는 기존 항공기와 같은 중앙 날개 구조를 가지지 않고, 좌우 날개가 동체 내부에서 금구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부 앞쪽에는 잭 스크류가 장착되어 있어 수평 안정판의 각도를 변경하여 트림을 조정할 수 있다. 수평꼬리날개와 동체의 결합은 뒷전에 좌우 각각 한 곳씩 설치된 금구와 베어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좌우 승강타는 각각 2곳의 액추에이터를 갖추고 있으며, 좌우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수직꼬리날개는 수직 안정판과 방향타로 구성된다. 수직꼬리날개는 가장 아랫부분에서 동체에 결합되어 있다. 방향타는 수직 안정판의 뒷전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된다.
좌우의 주착륙장치와 앞착륙장치는 각각 2륜식이다. 앞착륙장치와 주착륙장치 모두 수납식이며, 상승 및 하강은 일반적으로 유압에 의해 이루어지고, 비상용 착륙장치 내리기 장치만 다른 기종과 마찬가지로 케이블이 사용된다. 휠은 알루미늄 합금제, 타이어는 라디알 타이어이다. 브레이크는 다판식 디스크 브레이크이며, 디스크에는 탄소가 사용된다. 브레이크는 유압으로 작동하며, 안티스키드 및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앞착륙장치는 유압 구동의 조향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지상에 있을 때만 회전이 가능하다.
A320의 엔진은 A320ceo와 A320neo로 세대로 나뉘며, 모두 고바이패스비 터보팬 엔진이다.
A320ceo의 엔진은 CFM 인터내셔널(CFMI)의 CFM56과 IAE의 V2500 중 선택할 수 있다. CFM56 엔진은 A320 패밀리 전체에 적용되며, V2500 엔진은 A318을 제외한 A319, A320, A321에 적용된다. 기체 길이(무게)에 따라 추력 증강형과 억제형이 준비되어 있다.
A320neo의 엔진은 신세대 터보팬 엔진으로, CFM 인터내셔널의 LEAP-1A 또는 P&W의 PW1100G-JM 중 선택할 수 있다. 두 엔진 모두 A320neo 패밀리 전체에 적용되며, 역시 기체 길이에 따라 추력 증강형과 억제형이 준비되어 있다.
엔진 제어는 디지털 방식의 전자 제어 장치(FADEC)에 의해 이루어진다. FADEC은 엔진 버전의 플라이바이와이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스러스트 레버의 입력과 비행 상황에 따라 컴퓨터에 의해 엔진 추력을 자동 제어한다.
보조 동력 장치(APU)로 가스터빈 엔진 1기를 갖추고 있으며, 동체 후부의 테일 콘 내에 장착되어 있다. A320의 APU는 지상에서 주 엔진 정지 중에 전력과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지만, 비상시에는 공중에서도 시동이 가능하다.
A320의 특징으로는 여객기 최초로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fly-by-wire) 기술을 전면적으로 채택한 것을 들 수 있다. 에어버스는 A320의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을 EFCS(Electronic Flight Control System)라고 부른다.
A320의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에서는 조종사의 조종 조작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컴퓨터로 전송된다. 컴퓨터에서는 조종 입력과 각종 센서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 처리가 이루어진다. 계산된 지령값은 전기 신호로 각 조종면과 착륙 장치의 액추에이터에 전달된다.
에어버스는 A320의 시스템을 개발할 당시, 마차를 모는 것처럼 여객기를 조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목표로 했다. 마차의 경우, 마부는 말에게 지시를 내리고, 말은 지시를 바탕으로 도로 상황에 따라 달릴 수 있다. 마부가 말의 한 걸음 한 걸음의 발걸음까지 지시하는 것은 아니며, 명백한 위험이 있으면 말은 자신의 판단으로 회피할 수도 있다. A320도 마찬가지로 조종사의 지시와 상황에 따라 시스템이 동익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A320의 비행 제어 시스템에는 조종사의 조종을 보조하는 기능 외에도 기체 및 비행의 안전을 지키는 보호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자동 비행 제어 시스템(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 AFCS)으로서, 자동 조종 장치와 자동 추력 제어 장치, 그리고 항법 등을 담당하는 비행 관리 장치도 통합되어 있다.
시스템의 설계 사상을 대비하여 기계 우선의 에어버스와 인간 중심의 보잉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편, 기계가 잘하는 부분은 기계에 맡기는 것이 에어버스 기의 사고방식이며, 어디까지나 인간이 중심인 시스템이라는 평가도 있다. 시스템을 잘 활용하는 것이 A320을 잘 조종하는 요령이라고도 한다. 또한, 에어버스와 보잉은 서로의 우수한 기능을 서로 도입하여 시스템 개선을 거듭하고 있다.
A320의 시스템에서 각종 입력을 받아 조종면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비행 제어 규칙"이라고 한다. 비행 제어 규칙은 3가지가 있으며, 각각 노멀(일반), 얼터네이트(대체), 다이렉트(직접)라고 명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노멀 제어 규칙으로 운항되며, 시스템의 장애 정도에 따라 얼터네이트 제어 규칙이나 다이렉트 제어 규칙으로 전환된다. 노멀 제어 규칙에는 비행 단계에 따른 모드가 있으며, 지상 모드에서 비행 모드, 착륙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마지막으로 지상 모드로 돌아온다.
노멀 제어 규칙에서는 보호 기능에 의해 기체 자세, 하중, 비행 속도 등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기체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기체가 실속 상태에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엔진을 최대 추력으로 하고, 받음각이 더 이상 커지지 않도록 조종면이 제어된다. 또한, 노멀 제어 규칙에는 조종사의 조종을 보조하는 기능이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림은 시스템에 의해 자동 조정된다. 시스템에 2개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 얼터네이트 제어 규칙으로 전환된다. 얼터네이트 제어 규칙에서는 조종 특성은 노멀 제어 규칙과 변함없지만, 일부 보호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승무원은 조종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대처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에 3개 이상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다이렉트 제어 규칙으로 전환되고, 트림 조정도 승무원이 수행할 필요가 있다.
주 조종면(승강타·보조익·방향타)을 제어하는 컴퓨터는 총 7대이며, 그 외에도 이차 조종면(고양력 장치 등)을 제어하거나 자동 조종 처리를 하는 각종 컴퓨터를 더하여 시스템 전체가 구성된다. 컴퓨터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상호 감시 기능도 갖추고 있다.
A320의 조종 시스템은 조종 불능이 되는 것은 109시간에 1회 이내, 조종 성능 저하는 105시간에 1회 이내라는 목표로 설계되었다. 시스템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컴퓨터에 의한 중복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더욱 단순한 다중화가 아니라 이종 중복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이종 중복이란 동일한 결함이나 고장으로 시스템 전체가 기능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념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화에 있어 제조업체, 프로세서, 그리고 프로그래밍 언어가 다른 컴퓨터를 조합하거나, 컴퓨터 내부의 명령부와 감시부를 완전히 독립시키는 등의 방책이 취해지고 있다. 전원 분리 및 신호선 분리 배치 등의 대책도 취해지고 있다.
유압계는 독립된 3개의 계통으로 구성된다. 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유압은 조종 계통, 착륙 장치, 브레이크, 그리고 엔진의 역추력 장치에 공급된다. 모든 조종면은 유압으로 구동된다. 각 면에는 여러 개의 액추에이터가 장착되어 중복화되어 있다. 착륙 장치의 출입, 브레이크, 조향도 유압 구동이다.
A320의 전원은 좌우 엔진과 APU에 있는 발전기에서 공급된다. 지상에서는 지상 설비의 외부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원계에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는 동체에서 램에어 터빈을 전개하여 발전 및 유압 가압을 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모든 전원이 상실된 경우에 대비하여 수평미익과 수직미익의 트림 조작에는 기계식 조종계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착륙 장치도 비상시에 케이블식 다리 내림 장치를 갖추고 있다. 기계식 조종계가 남아 있는 것은 모든 전원이 상실되는 확률이 109시간(약 11만 년)에 1회 이내라는 것을 검증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운항에 필요한 조종사는 기장과 부기장 2명이다. 조종실에는 기장석과 부기장석 외에 옵서버석이 2석 있다. 거주성을 중시한 합리적인 디자인이며, 포르쉐 디자인 부서가 설계에 참여하여 포르쉐 조종석이라고도 불린다.
A320의 조종석은 이른바 글래스 조종석화되어 있으며, 종래 기종과 같은 조종륜이 없고 사이드스틱으로 조종한다.
디스플레이는 좌우 조종석에 각 2개, 중앙에 2개의 총 6개가 있으며, 모두 컬러 표시이다. 예비 계기 외의 표시는 모두 디스플레이에 집약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에는 각각 역할이 할당되어 있지만, 상호 호환성이 있으며 전환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가 고장난 경우, 비행의 지속에 지장이 없도록 자동으로 표시 레이아웃이 전환된다. 디스플레이에는 초기에 브라운관이 사용되었지만, 기술혁신과 함께 액정 디스플레이로 교체되었다. 2014년부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장비가 추가되어 신조기에 옵션 설정되어 있으며, 기존기기에 장착도 가능하다.
사이드스틱은 피치와 롤의 주 조종에 사용되며, 왼쪽 기장석에는 왼쪽에, 오른쪽 부기장석에는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 사이드스틱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어느 한쪽의 사이드스틱으로 조종한다. 양쪽 사이드스틱을 동시에 조작한 경우, 각각의 지령의 산술합이 시스템에 대한 입력이 되지만, 불의의 사태에 대비하여 다른 한쪽 스틱의 입력을 무효화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오토파일럿 작동 중의 사이드스틱은 종래의 조종륜과 같이 자동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조종륜이 없어짐으로써 각 조종석의 전면에는 수납식 테이블이 설치되어 로그를 쓰거나 식사를 할 수 있다.
조종석 및 비행 시스템은 A320 패밀리에서 공통화되어 있으며, 조종 자격도 공통이다. 동시에 에어버스의 상호 승무원 자격(CCQ)의 대상이기도 하므로, CCQ 대상이 되는 에어버스기와의 경우, 단시간의 훈련으로 다른 기종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A320 동체는 중앙 부근 바닥면을 경계로 상층에 객실, 하층에 화물칸이 배치되어 있다. 엔진 또는 APU의 컴프레서를 이용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객실의 냉난방 및 기압조절이 이루어진다. 냉난방 및 기압 조절의 제어 및 감시도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객실에는 비상시를 위한 산소 마스크가 비치되어 있으며, 산소 발생 장치에서 화학 반응을 통해 산소를 생성하여 공급한다. 또한, 조종석에는 승객용과 별도로 산소 공급 계통이 있다.
조종석을 제외한 객실 전장은 27.5미터이며, 객실 최대 너비는 약 3.6미터, 최대 높이는 약 2.1미터이다. 2클래스 구성의 표준 좌석 수는 A320ceo가 150석, A320neo는 160석에서 190석이다. 최대 정원은 일반 사양으로 180석이며, 비상 탈출구 옵션에 따라 195석까지 확장 가능하다. 객실에는 중앙에 통로가 하나 있으며, 이코노미 클래스의 좌석 배치는 통로를 사이에 두고 3-3석의 6어브레스트, 상급 클래스는 2-2석의 4어브레스트이다. 좌석 위에는 수하물을 수납하는 오버헤드 스토리지 빈이 있다. 단일 통로 항공기로서는 동체폭이 넓기 때문에, 3열 좌석 중 중앙석은 양옆 좌석보다 수 센티미터 넓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단거리 노선을 위해 승하차 시간 단축을 위해 좌석폭을 줄이고 통로폭을 넓힌 인테리어 안도 준비되어 있다.
객실 출입문 배치는 좌우 대칭이다. 승하차용 도어로 객실 최전방과 최후방에 타입 I 도어가 각각 1개씩 있다. 이 출입문은 바깥쪽으로 여는 플러그식이며, 비상 탈출용 슬라이드를 갖추고 있다. 비상 탈출구로 주익 위에 한쪽당 2개의 타입 III 도어가 있다. 이 비상 탈출구와 연동하여 전개되는 탈출용 슬라이드는 날개 동체 페어링 내에 있다.
동체 하부의 화물칸은 주익을 사이에 두고 전후 2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화물칸에는 LD-3-46 또는 LD-3-46W 항공 화물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다. LD-3-46/-46W 컨테이너는 대형기용 LD-3 컨테이너와 같은 너비이며, 단일 통로 항공기용으로 높이를 낮춘 것이다. LD-3-46은 원래 LD3 컨테이너와 같은 지상 장비로 취급이 가능하며, 그대로 대형기에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LD-3-46W의 경우 전방 화물칸에 3개, 후방 화물칸에 4개까지 수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작업 부하를 줄이기 위해 화물칸 바닥을 전동으로 슬라이드하는 옵션도 있다. 후방 화물칸은 생물을 수송할 수 있도록 환기 및 난방이 가능하다. 또한, 후방 화물칸 후미 쪽은 벌크 화물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어 있다.
화물칸 문은 모두 우현에 있다. 각 화물칸에는 LD-3-46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문이 각각 1곳씩 설치되어 있다. 이 문은 바깥쪽으로 여는 형식이며, 개구부 높이는 1.24미터, 너비는 1.82미터이다. 또한, 벌크 화물용으로 안쪽으로 여는 문이 후미에 있다.
싱가포르 대형 MRO 기업 ST Aerospace와 에어버스는 A320과 A321에 대한 여객기 개조 화물기(Passenger to Freighter: P2F) 개발에 합의하고, P2F 개조기의 개조, 판매, 관리를 독일의 에어버스와 ST Aerospace의 합작 항공우주 제조업체인 엘베 플루크초이크베르케(Elbe Flugzeugwerke: EFW)에 위탁하기로 하였다. 기존의 하부(로어 데크) 화물칸에 추가하여 메인 데크에 A320 최대 10개, A321 최대 14개의 탑재 보조 용기(유닛 로드 디바이스)를 적재하여, 화물을 A320 최대 21.9t, A321 최대 27.9t까지 적재할 수 있다. 2020년 2월 25일 유럽항공안전청(EASA)으로부터 추가 형식 증명(STC)을 취득하였고, 보잉 757 화물기 등의 교체 수요를 포함하여 COVID-19로 인한 전자상거래 성장을 활용할 전망이다. en 및 루프트한자 카고 등이 운용하고 있다.
4. 4. A321
에어버스 A321은 A320 패밀리의 일원으로, 기존 A320의 동체를 연장한 파생형이다. 보잉 757-200을 대체하고 보잉 737-900ER과 경쟁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A320에 비해 동체가 날개 전후 두 곳에서 연장되었고, 엔진 추력이 증가되었다. 비상 탈출을 쉽게 하기 위해 기체 비상구 구조를 재설계하고 착륙 장치 구조의 일부를 강화했다.[4]
대한민국에서는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에서 운용하고 있다. 최초 인도 업체는 루프트한자이며, 델타 항공을 마지막으로 1세대 A320 라인업은 단종되고 A320neo로 완전히 이관됐다.
A321은 1988년 A320 운항과 함께 첫 파생 모델로 출시되었다.[7] 동체는 6.93m 연장되었는데, 날개 바로 앞에 4.27m 길이의 전면 부분과 2.67m 길이의 후면 부분이 추가되었다.[4] A321-100의 최대 이륙 중량은 9600kg 증가한 83000kg이다.[7] 성능 유지를 위해 이중 슬롯 플랩을 추가하고 날개 면적을 4m2 늘려 128m2로 확장했다.[25] 1993년 3월 11일 두 대의 시제기 중 첫 번째 기체가 첫 비행을 했고,[11] 1994년 1월 루프트한자를 통해 운항을 시작했다.
A321-100의 항속거리가 A320보다 짧아, 1995년 더 무겁고 항속거리가 긴 A321-200 개발이 시작되었다. 더 높은 추력의 엔진(V2533-A5 또는 CFM56-5B3), 약간의 구조 강화, 후방 하부 화물칸에 2990L 용량의 추가 연료 탱크 1개 또는 2개 설치를 통해 항속거리를 늘렸다.[4] 연료 용량은 30030L로 증가했고, 최대 이륙 중량은 93000kg로 증가했다. 1996년 12월 첫 비행을 마쳤고, 1997년 4월 모나크 항공을 통해 운항을 시작했다.
A321의 가장 큰 경쟁 기종은 보잉 737-900/900ER[86]과 757-200이다.[25] 2018년 A321의 목록 가격은 1억 1,830만 달러였다.[88] 2023년 9월 30일 기준으로 A321ceo 모델은 총 1,784대가 인도되었고, 7대가 주문 대기 중이다.[1]
에어버스는 1987년에 A320의 파생 기종 개발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A340과 A330의 동시 개발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최소한의 엔지니어만 투입되었다.
1988년 5월 장동형의 공식적인 수주 활동이 시작되었다.[150] 1989년 6월 ILFC가 16대 발주를 결정하여 첫 수주를 기록했다. 같은 해 9월 22일 루프트한자가 옵션을 포함하여 42대를 발주[151], 11월 24일에 장동형을 A321로 명명하고 공식 개발이 결정되었다.
A321에서는 동체가 4.27미터 연장되었고, 2클래스 구성의 표준 좌석 수는 185석으로 설정되었다. 동체 연장과 기체 중량 증가에 따라 양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익의 플랩이 신규 설계되어 더블 슬롯티드 플랩(이중 틈새 플랩)으로 교체되었다. 엔진은 A320과 마찬가지로 CFM 인터내셔널사의 CFM56과 IAE사의 V2500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고, 기체의 대형화에 맞춰 양 엔진 모두 추력 증강형이 설정되었다. 주익의 대부분, 후부, 동체 단면은 A320과 공통화되었다. 비행 시스템은 A320의 것을 기본으로 하여, 공력 특성에 맞춰 약간의 수정이 가해졌다.
A321의 최종 조립지는 에어버스 기종으로서는 처음으로 프랑스를 떠나 독일 함부르크로 결정되었다.[152] 또한, A321은 각국 정부의 자금 지원 없이 개발된 최초의 에어버스 기종이 되었다.
A321의 초도 비행은 1993년 3월 11일에 이루어졌고, 같은 해 12월 17일에 최초의 형식 증명이 JAA(당시 유럽항공안전청)로부터 교부되었다. A321은 이듬해 1월에 고객 인도가 시작되었고, 같은 해 3월에 루프트한자 항공과 알이탈리아 항공에 의해 노선 취항을 시작했다.[153][154] 초기 사양은 A321-100, 항속거리 연장형은 A321-200으로 명명되었다.
4. 4. 1. A321LR
A321LR은 A321neo의 항속거리를 연장한 파생형으로, 대한민국에서는 2020년에 에어부산이 최초로 도입하였다.[150]
4. 4. 2. A321XLR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A321XLR'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4. 5. A320neo 패밀리
2006년, 에어버스는 A320 시리즈의 후속 기종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가칭 "NSR"(New Short-Range aircraft, 신형 단거리 항공기)로 불렸다.[57] A320을 대체할 후속 항공기는 'A30X'로 명명될 예정이었다. 2007년, 에어버스 북미 사장 배리 에클레스톤(Barry Eccleston)은 해당 항공기가 가장 빠르더라도 2017년에나 출시될 수 있다고 말했다.[58] 2010년 1월, 에어버스의 최고 운영 책임자(고객 담당) 존 리히(John Leahy)는 새로운 단일 통로 항공기가 2024년이나 2025년 이전에 건설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59]
A320 개량과 병행하여 에어버스는 A320의 후속 기종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159][160] 후속기에 대한 구상은 크게 두 가지로, 완전히 새로운 설계를 하는 방안과 A320에 신형 엔진을 탑재하여 차세대 항공기로 개량하는 방안이었다.[159][160]
새로운 설계 방안은 NSR (New Short Range)로 명명되었고, 주익과 동체 구조에 복합재료를 채용하고, 최신 공력 설계, 향상된 시각 시스템과 같은 최신 항공 전자 장비를 도입하는 것 등이 검토되었다.[161] 이 무렵, A320과 737 크기의 여객기용 차세대 엔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162][163] 이러한 차세대 엔진은 개방형 로터 또는 대구경 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기체 설계가 필요했다.[162][163] 차세대 엔진의 실용화 시기는 빠르면 2025년경으로 예상되었지만, 이는 2010년대 취항을 목표로 했던 NSR 계획에는 맞지 않았고, 기존 엔진으로 NSR을 개발할 경우 차세대 엔진의 등장으로 NSR이 곧 구식이 되어버릴 우려가 있었다.[160][162][163]
이러한 상황에서 에어버스는 많은 개발비가 필요한 신규 개발 대신 A320을 차세대 항공기로 개량하기로 결정했다.[162][163] 구체적으로 A320의 기체 설계를 그대로 활용하고 당시 최신 고효율 엔진으로 교체하기로 했다.[162] 에어버스는 이 개량형을 A320neo로 명명하고 2010년 12월 1일에 공식 개발 결정을 발표했다.[160] 「neo」는「'''N'''ew '''E'''ngine '''O'''ption」(신형 엔진 선택형)의 두문자어이자 "새로운"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neo」를 곁들인 것이다.[160] neo의 등장과 함께 기존 A320 패밀리는 A320ceo('''C'''urrent '''E'''ngine '''O'''ption; 현행 엔진 선택형)로 불리며 구분되었다.[160]
A320과 경쟁하는 737도 후속기 문제를 안고 있었다.[162] 보잉은 새로운 설계의 단일 통로 항공기를 연구했지만, 최종적으로 기존 항공기 개량을 선택하여 2011년 8월 30일에 737 MAX 개발을 결정했다.[161][164] 이로써 단일 통로 항공기 시장 경쟁은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9개월 먼저 출시된 A320neo는 737 MAX 발표 전까지 리스 회사를 포함한 14개 사로부터 900대가 넘는 대량 주문을 받았다.[162]
A320neo는 이름 그대로 최신 터보팬 엔진을 장착했다.[162][160] 프랫앤휘트니(P&W)사의 퓨어파워 PW1100G 시리즈와 CFM 인터내셔널의 LEAP-1A 시리즈 두 종류가 제공된다.[162] 두 엔진 모두 직경이 큰 팬을 갖추고 바이패스비를 높여 연료 효율 향상을 꾀했다.[165]
PW1100G는 퓨어파워 PW1000G 시리즈 중 하나이다.[160] 팬 회전수를 최적화하기 위해 감속기를 갖춘 기어드 터보팬 엔진이다.[162][160] 이로써 12:1의 매우 높은 바이패스비를 실현했다.[160] 에어버스는 2008년 10월 개발 중인 PW1000 엔진을 자사 A340-600에 장착해 비행 시험을 실시, P&W사 개발 작업을 지원했다.[165] 당시 에어버스는 PW1000 엔진 도입은 미정이라 했지만, 결과적으로 A320neo에 채용되었다.[160]
LEAP-1A는 CFM56의 후계 엔진으로 2008년 7월 공식 개발이 시작되었다.[160][165] 팬 감속기는 없지만, 최신 재료 기술과 공력 설계 기술로 엔진 코어를 소형화·고효율화하고 팬을 최적화했으며, 시스템 개량을 통해 연료 효율 향상을 꾀했다.[160][162][166]
A320neo의 두 엔진은 A320ceo 엔진보다 팬 직경이 수십 센티미터 커졌지만, 에어버스는 카울링 하단과 지면 사이 필요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고 판단, 착륙장치 연장 등은 실시하지 않았다.[160][162] 제한된 개발 기간 내에 신 엔진 카울 설계에는 3차원 모델을 이용한 디지털 목업이 적극 활용되었다.[156]
엔진 외 기본 기체 설계는 A320ceo 계열의 것을 계승, 95%가 공통이다.[160][157] A320neo에서는 주익 샤크렛이 표준 장비가 되었다.[160]
에어버스는 A320neo 개발과 함께 A320ceo 추가 개량도 실시했다. neo와 ceo 양쪽에 적용된 개량으로는 스페이스 플렉스(Space-Flex)로 명명된 신형 객실 레이아웃, 객실 조명 완전 LED화, 조종석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도입 등이 있다.[158] 스페이스 플렉스는 기체 후방 갤리와 화장실 공간을 압축, 좌석 6석을 추가할 수 있게 했다.[167]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기장석과 부조종석에 각각 장착 가능하며, 신조기 옵션 설정 외에 기존 기체 장착 개조도 가능하다.[158]
A320neo 초도기는 PW1100G 엔진 장착형으로 2014년 9월 25일 툴루즈에서 초도 비행을 했다.[157][168] 이듬해 2015년 5월 19일 LEAP-1A 장착형도 초도 비행을 했다.[169] 같은 해 11월 24일, PW1100G 사양에 대해 A320neo 첫 형식 증명이 EASA와 FAA로부터 교부되었다.[157]
당초 2015년 중 카타르 항공이 첫 A320neo를 인수할 계획이었으나, PW1100G 엔진 성능 문제로 연기되었다.[157] 그 결과, 이듬해 1월 20일 루프트한자 독일항공에 A320neo 첫 인도가 이루어졌다.[157] 루프트한자는 1월 중 독일 국내선에서 A320neo 운항을 시작, 4월에는 런던-프랑크푸르트 국제선에도 투입했다.[157]
2016년 5월 31일 LEAP-1A 장착 사양도 EASA와 FAA로부터 형식 증명을 받았고,[157] 7월 19일 터키 페가수스 항공에 첫 인도되었다.[157]
PW1100G 초기 버전은 엔진 시동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어 P&W는 개량에 매달렸다.[170] 그 외에도 A320neo 운항 초기 PW1100G 엔진과 LEAP-1A 엔진 모두 몇 가지 문제가 발견되어 각 제조사별 개량 및 대책이 실시되었다.[170]
2010년 12월 A320neo 개발 결정 당시, A321과 A319에 대한 neo 개발도 결정되었다.[160] 가장 작은 기종인 A318은 2003년부터 2010년까지 누적 인도 대수가 74대에 그쳐 향후 수요가 기대되지 않아 neo 개발은 보류되었다.[160] A321과 A319는 모두 PW1100G 엔진과 LEAP-1A 엔진을 장착할 수 있으며, 기체 크기에 따라 각 엔진에는 추력 증강형과 억제형이 준비되었다.[160] 2015년 5월 19일 A320neo 기반 에어버스 코퍼레이트 제트 개발도 결정되어 ACJ320neo로 명명되었다.[171][172]
A321neo 초도기는 LEAP-1A 엔진 장착형으로 2016년 2월 9일 첫 비행을 했다.[157] 다음 달 PW1100G 장착 A321neo도 첫 비행을 했다.[157] 이후 A321neo는 시험 비행을 거쳐 2016년 12월 15일 PW1100G 사양, 이듬해 3월 1일 LEAP-1A 사양에 대해 각각 형식 증명이 발급되었다.[157] 2017년 4월 20일 LEAP-1A 사양 A321neo가 버진 아메리카 항공에 첫 인도되었고, 같은 해 9월 5일 PW1100G 엔진 장착기도 전일본공수(ANA)에 첫 인도되었다.[157]
장동형 A321은 보잉 757 후속 기종 시장에도 진출했지만, 본격적인 757 대체를 위해서는 항속거리 강화가 필요했다.[157] 이에 에어버스는 2015년 1월 13일 A321neo 항속거리 연장형인 A321LR ('''L'''ong '''R'''ange, 장거리) 개발을 결정했다.[157] A321LR은 2018년 1월 31일 첫 비행, 10월 2일 형식 증명을 취득했고, 11월 14일 알키아 이스라엘 항공에 첫 인도되었다.[157] 2019년 6월 17일 에어버스는 A321 항속거리를 더욱 강화한 A321XLR ('''X'''tra '''L'''ong '''R'''ange) 개발을 발표했다.[173] A321XLR은 아메리칸 항공, 콴타스 항공, 이베리아 항공과 에어링거스를 자회사로 둔 인터내셔널 에어라인스 그룹(IAG) 등으로부터 수주를 받아 2023년 인도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173][174]
이 기간 A319neo 초도기도 LEAP-1A 엔진 사양으로 제작, 2017년 3월 31일 첫 비행을 했다.[157] 시험 비행 후 2018년 12월 LEAP-1A 사양 A319neo 형식 증명이 발급되었다.[157] 이후 A319neo 초도기는 엔진을 PW1100G로 교체, 2019년 4월 25일 동일 엔진으로 첫 비행을 했다.[157] 2019년 현재 PW1100G 사양 A319neo는 형식 증명 취득을 위한 시험 비행 중이다.[157] A319neo 첫 인도기는 2019년 7월 16일 개인 고객에게 인도되었다.[157]
5. 운용 현황
2024년 10월 기준으로 350개 이상의 항공사에서 10,803대의 A320 계열 항공기가 상업 운항 중이다.[1] 가장 큰 5개 운용사는 미국항공(479대), 중국동방항공(388대), 이지젯(358대), 인디고(343대), 중국남방항공(329대)이다.[1] 운용 중인 항공기는 A318 42대, A319 1,279대(ceo 1,257대, neo 22대), A320 6,266대(ceo 4,192대, neo 2,074대), A321 3,216대(ceo 1,705대, neo 1,511대)이다.[1] 또한, 38대의 A318, 227대의 A319, 560대의 A320, 79대의 A321 등 A320ceo 계열 항공기 904대가 퇴역 또는 손상으로 운항에서 제외되었다.[1]
에어프랑스, 영국항공, 프론티어항공은 A320ceo 계열의 4가지 모든 기종을 운용한 유일한 항공사이다.[1] 중동항공은 두 대의 중요한 항공기를 인수했는데, 첫 번째는 2012년 1월 20일에 제조업체 일련번호(MSN) 5,000번의 A320ceo였다.[100] 8년 후인 2020년 10월 9일, 창립 75주년을 기념하여 MSN 10,000번의 A321neo를 인수했다.[101][102]
2024년 3월 기준으로, 전 세계 A320 기단은 지난 12개월 동안 99.7%의 운항 신뢰도를 기록했으며, 서비스 개시 이후 3억 2,800만 블록 시간 동안 1억 7,600만 회 이상의 운항을 완료했다.[72]
일본 항공사 중 A320을 처음으로 도입한 곳은 전일본공수(ANA)이다.[189] 전일본공수는 일본 국내선용으로 737의 후속 기종으로 A320을 도입하여 1991년 3월부터 운항을 시작했다.[189] 전일본공수의 A320은 나중에 계열사인 에어니폰과의 공동 사업 기재로 운용되었다.[189] 이어 전일본공수는 A321도 도입하여 1998년 4월부터 취항시켰으나, 당시에는 동사의 노선 수요에 맞지 않아 2008년 2월에 모든 기체를 퇴역시켰다.[189]
A320에 대해서도 737로 교체할 계획을 세웠으나, 다시 A320의 운항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190] 2016년 12월에는 새롭게 A320neo의 운항도 시작하여 일본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에 투입했다.[191][192] 더불어 A321도 재도입을 결정하여 2016년 11월에 A321ceo,[193] 그리고 2017년 9월에는 A321neo[194]가 취항했다.
2006년 3월에 상업 운항을 시작한 스타플라이어는 운항 기재로 A320을 선정했다.[195] 초기에는 리스 도입이었지만, 나중에 자체 구매로도 A320을 도입했다.[195] 2012년 3월에 취항한 피치 항공과 같은 해 7월에 취항한 젯스타 재팬을 비롯하여 일본 저비용 항공사에서도 A320이 채택되었다.[196][197][198]
6. 사건 및 사고
2024년 6월 현재, 에어버스 A320 계열 항공기는 총 180건의 주요 항공 사고 및 사건에 연루되었으며,[113] 이 중 38건은 기체 손실 사고였다.(가장 최근 사고는 2022년 11월 18일에 발생한 LATAM 페루 2213편 추락 사고이다.)[114] 이 사고들로 인해 총 명이 사망했다.[115] 또한, A320 계열 항공기에서는 여러 개의 항공기 표시 장치가 손실된 사고가 50건 발생했다.[116]
2015년 기준으로 에어버스 A320 계열 항공기의 사고율은 100만 회 이륙 당 치명적인 기체 손실 사고 0.12건, 총 기체 손실 사고 0.26건이었다.[117] 2023년 기준으로는 100만 회 이륙 당 치명적인 기체 손실 사고 0.095건(A320ceo는 0.08건, A320neo는 0.11건), 총 기체 손실 사고 0.14건(A320ceo는 0.17건, A320neo는 0.11건)으로 감소했다.[118]
항공안전네트워크(Aviation Safety Network, ASN) 통계에 따르면 2019년 10월까지 A320 패밀리가 관련된 항공 사고 및 사건은 153건이며, 이 중 기체 손실로 이어진 것은 항공 사고 30건, 테러 등 사건 7건, 기타 지상 주기 중 화재나 자연재해 등 7건이다. 이 사고들로 인해 951명, 사건들로 인해 441명, 하이재킹으로 인해 1명(범인)이 사망했다.
2019년 10월까지 A320ceo 관련 사고는 93건, A320neo 관련 사고는 보고되지 않았다. A320ceo 관련 기체 손실 사고는 항공 사고 25건, 테러 등 사건 5건, 기타 6건이다. 이 사고들로 인해 총 816명, 사건들로 인해 총 216명이 사망했으며, 하이재킹 1건으로 범인 1명이 사살되었다.[199]
A320의 첫 사망 사고는 1988년 6월 26일 에어프랑스 296편 사고이다. 시범 비행 중 활주로를 저공 비행하던 A320이 활주로 끝 나무에 접촉하여 추락, 탑승자 136명 중 3명이 사망했다.[200]
이후 두 건의 사망 사고는 인적 요인과 A320 비행 시스템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 1990년 2월 14일, 인디안 항공 605편 추락 사고: 인도 방갈로르 공항 착륙 중 A320이 공항 직전에 추락, 탑승자 148명 중 92명 사망.[201] 조종사가 하강률 변경 중 실수로 고도 설정 노브를 조작, 비행 시스템이 엔진 추력을 줄여 하강 경로와 속도를 유지하지 못했고, 승무원의 늦은 인지로 복구 조작이 늦어져 추락했다.
- 1992년 1월 20일, 에어 인터 148편 추락 사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국제공항 착륙 중 A320이 공항 직전 산에 추락, 탑승자 96명 중 87명 사망.[202] 비정상적인 하강 원인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조종사의 하강각/하강률 모드 선택 오류 가능성이 지적되었다. 에어버스는 사고 후 오인을 방지하도록 표시를 개선했다.
A320 최다 사망자 사고는 2007년 7월 17일 TAM 항공 3054편 활주로 이탈 사고이다. 브라질 콩고냐스 공항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 건물과 주유소에 충돌하여 화재가 발생했다.[203] 탑승자 187명 전원과 지상 12명이 사망했다. 복합적 요인으로 인한 조종사의 착륙 시 조작 실수로 추정된다.
100명 이상 사망 사고:
- 2000년 걸프에어 072편 추락 사고
- 2006년 알마비아 967편 추락 사고
- 2014년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 8501편 추락 사고
2009년 1월 15일, US 에어웨이즈 1549편 불시착 사고: 뉴욕 라과디아 공항 이륙 직후 조류 충돌로 양쪽 엔진 추력 상실, 허드슨 강에 불시착.[204] 탑승자 155명 전원 생존하여 "허드슨 강의 기적"으로 불린다.
2015년 3월 24일, 저먼윙스 9525편 추락 사고: 부조종사의 자살로 추정.[206] 바르셀로나에서 뒤셀도르프로 가던 중 부조종사의 고의적 조작으로 알프스 산중에 추락, 탑승자 150명 전원 사망.
2020년 5월 22일, 파키스탄 국제항공 8303편 추락 사고: 진나 국제공항 착륙 중 4km 직전 주택가 추락. 탑승자 99명 중 97명, 주택가 주민 1명, 총 98명 사망. 조종사, 관제사 모두에게 문제 있었다는 예비 보고서가 나왔다.[207]
7. 제원
하위 기종 | A318[125] | A319[126] | A320[127] | A321[128] | |
---|---|---|---|---|---|
조종실 승무원 | 2명 | ||||
탈출 한계 (유럽 항공 안전청(EASA)[139]/미 연방 항공청(FAA)[129]) | 136 | 160 | 190 | 236 | |
단일 등급 최대 좌석 수[132] | 132석 (좌석 간격 약 73.66cm~약 76.20cm) | 156석 (좌석 간격 약 71.12cm~약 76.20cm) | 186석 (좌석 간격 약 73.66cm)[130] | 230석 (좌석 간격 약 71.12cm)[131] | |
단일 등급 (일반)[132] | 117석 (좌석 간격 약 81.28cm) | 134석 (좌석 간격 약 81.28cm) | 164석 (좌석 간격 약 81.28cm) | 199석 (좌석 간격 약 81.28cm) | |
이중 등급 (일반)[132] | 107석 (일등석 8석, 38인치 간격, 이코노미 99석, 32인치 간격) | 124석 (일등석 8석, 38인치 간격, 이코노미 116석, 32인치 간격) | 150석 (일등석 12석, 36인치 간격, 이코노미 138석, 32인치 간격) | 185석 (일등석 16석, 36인치 간격, 이코노미 169석, 32인치 간격) | |
화물칸 용량 | 21.2m3 | 27.7m3 | 37.4m3 | 51.7m3 | |
유닛로드 디바이스 | 4× LD3-45 | 7× LD3-45 | 10× LD3-45 | ||
길이 | 31.44m | 33.84m | 37.57m | 44.51m | |
날개폭 | 34.1m | 35.8m | |||
날개 면적[25] | 122.4m2, 종횡비 9.5[133] | 124m2, 종횡비 10.3 | 128m2, 종횡비 10 | ||
날개 후퇴각 | 25도[133] | ||||
높이 | 12.56m | 11.76m | |||
동체 | 높이 4.14m, 폭 3.95m, 객실 폭 3.7m | ||||
최대 이륙 중량(MTOW) | 68ton | 75.5ton | 78ton | 93.5ton | |
최대 페이로드 | 15ton | 17.7ton | 19.9ton | 25.3ton | |
항공유 적재량 | 24210L | 24210L~30190L | 24210L~27200L | 24050L~30030L | |
자체 중량(OEW)[132] | 39.5ton | 40.8ton | 42.6ton | 48.5ton | |
최소 중량[139] | 34.5ton | 35.4ton | 37.23ton | 47.5ton | |
속도 | 순항 속도: 0.78Mach[134], 최대 운용 마하수(MMO): 0.82Mach[134] | ||||
항속거리 | 3100nmi | 3750nmi | 3300nmi | 3200nmi | |
이륙 거리 (MTOW, 해면, 표준 대기(ISA)) | 1780m[135] | 1850m[136] | 2100m[137] | ||
착륙 거리 (MLW, 해면, 표준 대기(ISA)) | 1230m[135] | 1360m[136] | 1500m[137] | ||
고도 | 약 11.89m~약 12.50m[139] | ||||
엔진 (×2) | CFM 인터내셔널 CFM56-5B, 팬 직경 약 173.48cm | ||||
PW6000A, 팬 직경 약 143.51cm | IAE V2500-A5, 팬 직경 약 161.29cm | ||||
추력 (×2) | 96kN~106kN | 98kN~120kN | 133kN~147kN | ||
ICAO 코드[138] | A318 | A319 | A320 | A321 |
A320neo | A320ceo | A321ceo | A319ceo | A318 | ||
---|---|---|---|---|---|---|
운항 승무원 수 | 2명 | |||||
표준 좌석 수 | 160~190석 | 150석 | 185석 | 124석 | 107석 | |
최대 좌석 수 | 194석 | 180석 | 220석 | 156석 | 136석 | |
전장 | 37.57m | 44.51m | 33.84m | 31.45m | ||
전폭 | 34.1m (샤크릿 장착기는 35.8m) | |||||
전고 | 11.76m | 12.79m | ||||
동체폭 | 3.95m | |||||
동체고 | 4.14m | |||||
최대이륙중량 (MTOW) | 71.5ton~79ton | 66ton~77ton | 78ton~93.5ton | 64ton~76.5ton | 56ton~68ton | |
최대착륙중량 (MLW) | 66.3ton~67.4ton | 64.5ton~66ton | 73.5ton~77.8ton | 61ton~62.5ton | 56ton~57.5ton | |
최대 무연료 중량 (MZFW) | 55.3ton~64.3ton | 60.5ton~62.5ton | 69.5ton~73.8ton | 52ton~58.5ton | 53ton~54.5ton | |
화물실 유효 용적 | 37.42m3 | 51.72m3 | 27.66m3 | 21.3m3 | ||
엔진 (x2) | CFMI LEAP-1A 또는 PW1100G-JM | CFMI CFM56 또는 IAE V2500 | ||||
엔진 추력 (x2) | ~130.29kN | 97.86kN~ | ~142.34kN | 97.86kN~ | 96.08kN~105.87kN | |
최대 순항 속도 | 마하 0.82 | |||||
항속 거리 | 6400km | 6200km | 5950km | 3750km | 5950km | |
colspan="6" style="text-align:left; font-size:90%;" | |
기종 | 엔진 | 형식 증명 취득 |
---|---|---|
A320-211 | CFMI CFM56-5A1 CFMI CFM56-5A1/F | 1988년 11월 8일 |
A320-212 | CFMI CFM56-5A3 | 1990년 11월 20일 |
A320-214 | CFMI CFM56-5B4 CFMI CFM56-5B4/P CFMI CFM56-5B4/2P CFMI CFM56-5B4/P1 CFMI CFM56-5B4/2P1 CFMI CFM56-5B4/3 CFMI CFM56-5B4/3B1 | 1995년 3월 10일 |
A320-215 | CFMI CFM56-5B5 | 2006년 6월 22일 |
A320-216 | CFMI CFM56-5B6 CFMI CFM56-5B6/3 | 2006년 6월 14일 |
A320-231 | IAE V2500-A1 | 1989년 4월 20일 |
A320-232 | IAE V2527-A5 | 1993년 9월 28일 |
A320-233 | IAE V2527-A5 | 1995년 10월 26일 |
A320-251N | CFMI LEAP-1A26 | 2016년 5월 31일 |
A320-252N | CFMI LEAP-1A24 | 2017년 12월 18일 |
A320-253N | CFMI LEAP-1A29 | 2019년 2월 5일 |
A320-271N | P&W PW1127G-JM P&W PW1127GA-JM | 2015년 11월 24일 |
A320-272N | P&W PW1124G1-JM | 2018년 10월 17일 |
A320-273N | P&W PW1129G-JM | 2019년 6월 30일 |
colspan="6" style="text-align:left; font-size:90%;" | |
참조
[1]
웹사이트
Airbus Orders and Deliveries
https://www.airbus.c[...]
2024-12-06
[2]
간행물
A320 in service: an ordinary aeroplane
http://www.flightglo[...]
Reed Business Publishing
1988-09-03
[3]
서적
Air Transportation: A Management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07-01-01
[4]
서적
Airbus: The Complete Story
Haynes Publishing
[5]
서적
Airbus A340 and A330
https://archive.org/[...]
MBI Publishing
[6]
간행물
A320 family
http://www.flightglo[...]
[7]
서적
Airbus
https://archive.org/[...]
MBI Publishing
[8]
웹사이트
Hawker Siddeley Trident
https://web.archive.[...]
Century of Flight
[9]
서적
The world's most powerful civilian aircraft
Rosen Publishing
2016-12-15
[10]
서적
Stuck on the Drawing Board: Unbuilt British Commercial Aircraft Since 1945
The History Press Ltd
[11]
서적
Civil Aircraft Today
https://archive.org/[...]
Amber Books
[12]
서적
Close to the Sun
Aurum Press Ltd
[13]
뉴스
A320 has repaid faith of Airbus and governments
https://www.flightgl[...]
2018-03-29
[14]
보도자료
A320 launch and first delivery of A300-600
https://web.archive.[...]
Airbus
1984-03-02
[15]
보도자료
Air France: launch customer of the A320
https://web.archive.[...]
Airbus
1981-06-10
[16]
보도자료
More than 80 orders for the planned A320
https://web.archive.[...]
Airbus
1983-10-01
[17]
서적
Airbus
https://books.google[...]
MBI Publishing Company
1999
[18]
웹사이트
V2500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Civil jet aircraft design
https://booksite.els[...]
Elsevier
2001
[20]
보도자료
A320 roll-out and first flight
https://web.archive.[...]
Airbus
1987-02-22
[21]
보도자료
A320 first delivery
https://web.archive.[...]
Airbus
1988-03-28
[22]
보도자료
The A320 turns thirty
https://corporate.ai[...]
Air France
2018-04-17
[23]
간행물
La transformation des modes d'action de l'État à travers l'histoire du programme Airbus
http://www.persee.fr[...]
[24]
서적
Airbus A320
https://books.google[...]
Zenith Imprint
[25]
간행물
A321: Taking on the 757
https://www.flightgl[...]
1993-03-17
[26]
뉴스
A321 victory for West Germany
http://www.flightglo[...]
1990-02-07
[27]
서적
Airbus: Europe's High Flyer
Norden Publishing House
[28]
간행물
Meeting demands
http://www.flightglo[...]
1995-08-30
[29]
간행물
A319 flight test
http://www.flightglo[...]
[30]
간행물
Time out in asia
http://www.flightglo[...]
1997-11-05
[31]
웹사이트
Flights that made Airbus' history
http://events.airbus[...]
[32]
간행물
The Minibus Arrives
http://www.flightglo[...]
2003-06-10
[33]
웹사이트
How Is An Aircraft Built > Final Assembly And Tests
https://www.airbus.c[...]
Airbus
[34]
뉴스
Analysts Flag Potential Airliner Glut
http://aviationweek.[...]
2015-03-02
[35]
뉴스
Tianjin becomes eastern cousin of Toulouse
https://www.flightgl[...]
2017-02-23
[36]
press release
Airbus inaugurates Hamburg's fourth A320 Family production line
https://www.airbus.c[...]
Airbus
2018-06-14
[37]
news
Airbus A320, A220 Evolution Considered As Mobile Expands
http://aviationweek.[...]
Aviation Week Network
2019-01-17
[38]
press release
Airbus inaugurates new A320 structure assembly line in Hamburg
https://www.airbus.c[...]
2019-10-01
[39]
news
A320 family embarks on approach to 10,000 deliveries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com
2019-09-17
[40]
news
More aircraft production rate cuts coming? Perhaps, analysts say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
2020-10-27
[41]
news
Airbus delivers 500th China-built A320 to China Southern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
2020-10-30
[42]
news
Pictures: Airbus aims to thwart Boeing's narrowbody plans with upgraded 'A320 Enhanced'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2006-06-20
[43]
web
Skybus Becomes First North American Operator of Advanced CFM56-5B Tech insertion Engine
http://www.geaviatio[...]
GE Aviation
2007-12-03
[44]
news
A320 completes first IAE V2500 SelectOne
https://www.flightgl[...]
Flight International
2008-02-27
[45]
web
Projects and Results : Aircraft wing advanced technology operations
http://cordis.europa[...]
European Commission
2006-06-13
[46]
news
Airbus rethinks plan to put winglets on A320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2006-10-10
[47]
web
Airbus undertakes Blended-Winglet evaluation on A320
http://www.airbus.co[...]
Airbus
2008-12-17
[48]
news
Dubai 09: A320s sharklets to deliver 3.5% lower fuel burn from 2012
https://www.flightgl[...]
Flight International
2009-11-15
[49]
news
Airbus says wingtip change to save fuel
http://uk.reuters.co[...]
Reuters
2009-11-15
[50]
press release
Korean Air Aerospace to manufacture and distribute Sharklets
http://www.airbus.co[...]
Airbus
2010-05-31
[51]
news
Airbus lawsuit details sharklet patent abuse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
2011-12-14
[52]
press release
AirAsia becomes first operator of Airbus' Sharklet equipped A320
http://www.airbus.co[...]
Airbus
2012-12-21
[53]
press release
Airbus drives cabin efficiency at Aircraft Interiors Expo
http://company.airbu[...]
Airbus
2009-03-30
[54]
web
On board well-being
http://www.airbus.co[...]
Airbus
[55]
press release
Condor launch the A320 Enhanced Cabin Retrofit programme
http://www.airbus.co[...]
Airbus
2009-06-17
[56]
video
Enhanced Fap—Airbus 320
https://www.youtube.[...]
Youtube
2007-09-12
[57]
news
The 737 Story: Smoke and mirrors obscure 737 and Airbus A320 replacement studies
https://www.flightgl[...]
Flight International
2006-02-07
[58]
magazine
A30X Isn't Coming Soon
https://aviationweek[...]
Aviation Week and Space Technology
2007-11-05
[59]
web
Airbus sees lifespan of at least 10 years for re-engined A320
https://www.flightgl[...]
Flight International
2010-01-14
[60]
magazine
A320: fly-by-wire airliner
https://www.flightgl[...]
Flight International
1986-08-30
[61]
news
Carbon Offset Calculators for Air Travel
http://terrapass.com[...]
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
2008-05-01
[62]
web
A320 Family / Technology
http://www.airbus.co[...]
Airbus
[63]
news
Product Focus: Cockpit Displays: LCDs vs. CRTs
http://www.aviationt[...]
Avionics magazine
2003-01-01
[64]
press release
Airbus launches a new systems Enhancement Package for In-Service A320 Family aircraft
http://www.airbus.co[...]
Airbus
2007-09-24
[65]
web
Digital head-up display system
https://www.thalesgr[...]
Thales
2012-01-01
[66]
news
Airbus's fly-by-wire pioneer Bernard Ziegler wins Flightglobal Lifetime Achievement Award
http://www.flightglo[...]
Flight Daily News
2012-07-11
[67]
news
How A320 changed the world for commercial pilots
https://www.flightgl[...]
Flight International
2017-02-20
[68]
book
FTCS-23 the Twenty-Thi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Fault-Tolerant Computing
IEEE
1993-06-22
[69]
news
Keeping the Complex Simple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1988-02-13
[70]
web
P&W Main Website
http://www.pw.utc.co[...]
[71]
간행물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2007-10-29
[72]
뉴스
A320 FAMILY: the most successful aircraft family ever
https://www.airbus.c[...]
Airbus
2024-03-31
[73]
뉴스
A New Bombardier Jet Draws Only Tepid Demand
https://www.nytimes.[...]
2008-07-14
[74]
웹사이트
Boeing Orders & Deliveries
http://www.boeing.co[...]
Boeing Press Calculations
2020-08-31
[75]
웹사이트
How The A320 Overtook The 737, And MRO Implications
http://aviationweek.[...]
2018-08-29
[76]
웹사이트
Historical Orders and Deliveries 1974–2009
http://www.airbus.co[...]
2010-01-01
[77]
웹사이트
Historical Deliveries
http://active.boeing[...]
Boeing
2015-12-01
[78]
웹사이트
Airbus A320 Family approved for 180 minute ETOPS by the FAA
http://www.airbus.co[...]
[79]
뉴스
The Real Owner of All Those Planes
https://www.nytimes.[...]
2007-05-10
[80]
뉴스
Values of A319 Continue to Taper Down
http://www.aircraftv[...]
2019-01-21
[81]
웹사이트
Aircraft Families – Airbus Executive and Private Aviation – ACJ Family
http://stagev4.airbu[...]
Stagev4.airbus.com
[82]
웹사이트
ACJ Specifications
http://www.airbus.co[...]
[83]
간행물
ACJ Analysis
2002-07-01
[84]
웹사이트
– Government of Armenia A319CJ
http://www.airliners[...]
Airliners.net
2010-04-11
[85]
웹사이트
Il portale dell'Aeronautica Militare – Airbus A319CJ
http://www.aeronauti[...]
[86]
웹사이트
The Airbus A320 family vs the Boeing 737 family: Who's got the muscle?
http://theflyingengi[...]
2010-05-30
[87]
뉴스
Prices of New A320s Hardly Changed in 20 Years
http://www.aircraftv[...]
2019-01-21
[88]
웹사이트
AIRBUS AIRCRAFT 2018 AVERAGE LIST PRICES* (USD millions)
http://www.airbus.co[...]
Airbus
2018-01-01
[89]
보도자료
Strong demand for used Airbus A320 aircraft drives joint decision to stop freighter conversion programme
https://www.airbus.c[...]
Airbus
2011-06-03
[90]
보도자료
ST Aerospace, Airbus and EFW to launch A320 and A321P2F conversion programme
https://www.stengg.c[...]
ST Aerospace
2015-06-17
[91]
뉴스
Qantas to be launch operator for A321P2F
https://www.flightgl[...]
2019-08-12
[92]
보도자료
Titan Airways takes delivery of first Airbus A321 freighter
https://www.titan-ai[...]
2020-01-14
[93]
웹사이트
Three A321 freighters join Titan Airways fleet
https://www.titan-ai[...]
2020-01-06
[94]
뉴스
A321 converted freighter secures EASA certification
https://www.flightgl[...]
2020-02-25
[95]
뉴스
World's first A321P2F enters service
https://airwaysmag.c[...]
2020-10-27
[96]
뉴스
First A320P2F completes maiden test flight from Singapore
https://www.flightgl[...]
2021-12-09
[97]
뉴스
First A320P2F to enter service with African cargo carrier Astral Aviation
https://www.flightgl[...]
2022-02-14
[98]
뉴스
EFW clinches European type certification for A320P2F
https://www.flightgl[...]
2022-03-24
[99]
뉴스
def-min-approves-rs-10500-cr-eyes-in-the-sky-project-how-drdos-awacs-will-boost-indias-border-vigilance
https://www.timesnow[...]
2020-12-18
[100]
뉴스
Airbus delivers A320 MSN5000 to Middle East Airlines
https://www.airbus.c[...]
2012-01-20
[101]
뉴스
Airbus delivers A320 Family MSN10,000 to Middle East Airlines
https://www.airbus.c[...]
2020-10-09
[102]
뉴스
A320neo line adapts to five digits for MSN10000 delivery
https://www.flightgl[...]
2020-10-09
[103]
웹사이트
Airbus steals the Paris air show
http://www.hellocomp[...]
Hellocompany.org
2007-06-19
[104]
보도자료
Airbus wins 211 orders and commitments worth US$20.5 billion
http://www.airbus.co[...]
Airbus
2011-11-16
[105]
뉴스
JetBlue Orders 35 A321s, Upsizes 18 A350 Models
https://www.aerospac[...]
2013-11-01
[106]
뉴스
A320's order total overtakes 737's as Max crisis persists
https://www.flightgl[...]
2019-11-15
[107]
뉴스
Airbus A320-family deliveries pass 10,000 mark
https://www.flightgl[...]
2021-09-07
[108]
뉴스
Airbus A320 reaches 10,000 aircraft delivered
https://www.airway1.[...]
2021-09-08
[109]
뉴스
World's last A320ceo Family jet delivered - to Delta
https://www.ch-aviat[...]
2021-12-30
[110]
뉴스
A321neo overtakes original A320 as Airbus's most-ordered model
https://www.flightgl[...]
2023-07-07
[111]
웹사이트
Inside MRO: Boeing 737-800 Not Expected To Peak Until 2021
https://www.mro-netw[...]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2018-06-14
[112]
웹사이트
Boeing Orders and Deliveries (737)
http://www.boeing.co[...]
Boeing
2024-11-30
[113]
웹사이트
hull-loss and repairable damage occurrences
http://aviation-safe[...]
Flight Safety Foundation
[114]
웹사이트
hull-loss occurrences
http://aviation-safe[...]
Flight Safety Foundation
[115]
웹사이트
Airbus A320 Statistics
http://aviation-safe[...]
Flight Safety Foundation
[116]
웹사이트
Safety Recommendation A08-53
https://www.ntsb.gov[...]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2008-07-22
[117]
웹사이트
Statistical Summary of Commercial Jet Airplane Accidents
http://www.boeing.co[...]
Boeing
2016-07
[118]
웹사이트
Statistical Summary of Commercial Jet Airplane Accidents
http://www.boeing.co[...]
Boeing
2023-09
[119]
뉴스
'Miracle on Hudson' plane up for auction
http://www.cnn.com/2[...]
2010-01-22
[120]
간행물
USAir Flt.1549 Coming to Charlotte
http://www.carolinas[...]
2011-02
[121]
뉴스
Applauding the airliner on which lives changed
http://www.charlotte[...]
2011-06-12
[122]
뉴스
'Miracle On The Hudson' Plane Bound For NC
http://www.kfoxtv.co[...]
2011-06-04
[123]
뉴스
Flight 1549 wings arrive in Charlotte
http://triad.news14.[...]
2011-09-15
[124]
뉴스
Aviation Museum lands flight 1549 engines
http://www.charlotte[...]
2012-06-29
[125]
웹사이트
A318 Dimensions & key data
http://www.airbus.co[...]
Airbus
[126]
웹사이트
A319 Dimensions & key data
http://www.airbus.co[...]
Airbus
[127]
웹사이트
A320 Dimensions & key data
http://www.airbus.co[...]
Airbus
[128]
웹사이트
A321 Dimensions & key data
http://www.airbus.co[...]
Airbus
[129]
웹사이트
Type Certificate Data Sheet
http://www.airweb.fa[...]
FAA
2016-08-12
[130]
뉴스
High-density A320s for easyJet will retain seat pitch, assures airline
https://www.runwaygi[...]
2016-03-01
[131]
뉴스
Airbus Studies 236-Seat A321
http://aviationweek.[...]
2012-12-10
[132]
웹사이트
All About the Airbus A320 Family
https://fr.scribd.co[...]
Airbus
2009
[133]
웹사이트
Airbus Aircraft Data File
http://booksite.else[...]
Elsevier
1999-07
[134]
웹사이트
A320 Family Technology
http://www.airbus.co[...]
Airbus
[135]
웹사이트
ACJ318
http://www.airbus.co[...]
Airbus
[136]
웹사이트
ACJ319
http://www.airbus.co[...]
Airbus
[137]
웹사이트
ACJ320
http://www.airbus.co[...]
Airbus
[138]
웹사이트
Document 8643
http://www.icao.int/[...]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139]
웹사이트
Type certificate data sheet No. EASA.A.064 for AIRBUS A318 – A319 – A320 – A321
https://www.easa.eur[...]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
2022-05-03
[140]
보도자료
Airbus 2018 Price List Press Release
https://www.airbus.c[...]
Airbus
2018-01-15
[141]
서적
Airbus history
http://www.flightglo[...]
2019-09-28
[142]
서적
Close to the Sun
Aurum Press Ltd
[143]
웹사이트
Aircraft By Type
http://www.deltamuse[...]
2019-09-09
[144]
서적
平成19年度版 世界の航空宇宙工業
日本航空宇宙工業会
[145]
간행물
今だからこそ分かるA300の革新性 (特集 We Love エアバス)
酣燈社
[146]
간행물
'It's quicker by rail' for A320 parts
https://www.flightgl[...]
2019-09-30
[147]
웹사이트
A320 family embarks on approach to 10,000 deliveries
https://www.flightgl[...]
2019-11-09
[148]
간행물
World Airline Directory
https://www.flightgl[...]
2019-10-04
[149]
간행물
V2500-powered A320 enters service
https://www.flightgl[...]
2019-09-11
[150]
간행물
Airbus offers A320 stretch
https://www.flightgl[...]
2019-06-12
[151]
문서
Lufthansa Technik The History
https://www.lufthans[...]
Lufthansa Technik AG
2019-06-25
[152]
간행물
A321 victory for West Germany
https://www.flightgl[...]
1990-02-07/13
[153]
간행물
Airbus delivers first production A321
https://www.flightgl[...]
2019-06-11
[154]
간행물
Speed Limit
https://www.flightgl[...]
2019-07-01
[155]
간행물
A319 receives go-ahead
https://www.flightgl[...]
2019-07-31
[156]
간행물
Eurowings boosts charter business with A319 order
https://www.flightgl[...]
2019-07-06
[157]
간행물
Uncharted territory
https://www.flightgl[...]
2019-04-12
[158]
웹사이트
DUBAI: Airbus secures order for first ACJ321
https://www.flightgl[...]
2019-11-01
[159]
간행물
Airbus Industrie and AVIC abandon AE31X
https://www.flightgl[...]
2019-04-12
[160]
간행물
年間展望 (1999) —航空関係・宇宙関係—
[161]
논문
Optimization of RNAV noise abatement arrival trajectories
National Aerospace Laboratory NLR
[162]
논문
Evaluation of Aircraft Descent Profile
[163]
웹사이트
エアアジア、シャークレット付きA320初号機を受領
https://www.aviation[...]
2019-10-17
[164]
웹사이트
Boeing firms up 737 replacement studies by appointing team
https://www.flightgl[...]
2019-10-17
[165]
웹사이트
Airbus-owned A340 flies P&W geared turbofan engine
https://www.flightgl[...]
2019-10-23
[166]
문서
EASA Type-Certificate Data Sheet No. E.110
https://www.easa.eur[...]
EASA
2019-06-21
[167]
웹사이트
INTERIORS: Airbus gains traction with Space-Flex concept
https://www.flightgl[...]
2019-10-23
[168]
웹사이트
エアバス、A320neoの初飛行成功
https://www.aviation[...]
2019-09-16
[169]
웹사이트
A320neo、LEAP-1A搭載機が初飛行 CFMの新エンジン
https://www.aviation[...]
2019-09-16
[170]
웹사이트
New P&W President Has ‘Nothing To Hide' On GTF Starting Issue | Commercial Aviation content from Aviation Week
https://aviationweek[...]
2019-11-05
[171]
웹사이트
A320neoビジネスジェット、6月生産開始
https://www.aviation[...]
2019-08-28
[172]
웹사이트
エアバス、A320neoのビジネスジェット投入 英社から受注
https://www.aviation[...]
2019-09-16
[173]
웹사이트
エアバス、パリ航空ショーで363機受注 A321XLRやA220好調
https://www.aviation[...]
2019-06-29
[174]
웹사이트
英IAG、A321XLRを14機発注 イベリア航空とエアリンガス向け
https://www.aviation[...]
2019-06-29
[175]
보도자료
エアバス、5,000 機目の A320 をミドル・イースト航空に引き渡し
http://www.marinavi.[...]
エアバス・ジャパン
2019-11-02
[176]
보도자료
The A320 Family: 6,000 deliveries and counting
https://www.airbus.c[...]
Airbus
2019-11-02
[177]
웹사이트
Airbus completes 8,000th A320 family delivery
https://www.flightgl[...]
2019-11-09
[178]
논문
항공기용 알루미늄 주물의 동향
고베제강소
2005-12
[179]
서적
탄소섬유의 응용과 시장
シーエムシー출판
2008-06
[180]
웹사이트
에어버스, 타이거에어의 A320에 샤크렛 후착け 아시아 최초의 개수
https://www.aviation[...]
2019-09-17
[181]
웹사이트
에어버스, EFW, ST에어로스페이스와 A320/A321화물기 개수로 서명
https://flyteam.jp/n[...]
[182]
웹사이트
A320/A321 P2F Download Product Brochure
https://www.elbeflug[...]
[183]
웹사이트
A321의 화물기 개수 프로그램, EASA로부터 추가 형식 증명을 취득
https://flyteam.jp/n[...]
[184]
웹사이트
ST에어로스페이스, A321여객기 10기의 개조 계약을 획득
https://www.edb.gov.[...]
[185]
웹사이트
콴타스항공, 세계 최초의 화물 전용기 A321 P2F 운항 개시
https://flyteam.jp/n[...]
[186]
웹사이트
루프트한자 카고, A321여객기를 화물기로 2기 개수
https://flyteam.jp/n[...]
[187]
웹사이트
스위스 VIP차터사, ACJ320neo초호기 수령 A320neo비즈니스제트
https://www.aviation[...]
2019-11-11
[188]
웹사이트
PICTURE: Ex-Lufthansa A321 joins Luftwaffe
https://www.flightgl[...]
2019-06-25
[189]
웹사이트
각석에 개인 모니터나 전원 장비 사진 특집・ANA A321neo초호기(기내편)
https://www.aviation[...]
2019-06-30
[190]
웹사이트
ANA VISION 2006(제56기 제3사분기 보고서)
https://www.ana.co.j[...]
전일본공수
2019-11-11
[191]
웹사이트
대형기 납득 장비의 비즈니스 클래스 사진 특집・ANA A320neo초호기 취항(1)
https://www.aviation[...]
2019-11-11
[192]
웹사이트
ANA의 A320neo, 국제선에 첫 취항 나리타에서 상하이에
https://www.aviation[...]
2019-11-11
[193]
웹사이트
전동 시트의 프리미엄 클래스 사진 특집・ANA A321ceo국내선 사양(전편)
https://www.aviation[...]
2019-11-11
[194]
웹사이트
ANA, A321neo국내 첫 취항 전원과 개인 모니터 장비
https://www.aviation[...]
2019-06-22
[195]
웹사이트
박형 시트로 더욱 편안하게 사진 특집・스타 플라이어 14기째의 A320
https://www.aviation[...]
2019-11-11
[196]
웹사이트
피치 초호기가 퇴역 지구 325주분, 취항 첫날의 파일럿과 CA도 승무
https://www.aviation[...]
2019-11-11
[197]
웹사이트
젯스타, 탑승자 수 800만 명 돌파 취항부터 2년 9개월
https://www.aviation[...]
2019-11-11
[198]
논문
신형 기재 에어버스 A320neo의 항속 거리와 신규 취항 가능 공항의 특정
[199]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20 registration unknown Amman-Queen Alia International Airport (AMM)
https://aviation-saf[...]
2019-10-31
[200]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20-111 F-GFKC Mulhouse-Habsheim Airport
https://aviation-saf[...]
2019-10-30
[201]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20-231 VT-EPN Bangalore-Hindustan Airport (BLR)
https://aviation-saf[...]
2019-10-30
[202]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20-111 F-GGED Strasbourg-Entzheim Airport (SXB)
https://aviation-saf[...]
2019-10-30
[203]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20-233 PR-MBK São Paulo-Congonhas Airport, SP (CGH)
https://aviation-saf[...]
2019-10-31
[204]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20-214 N106US Weehawken, NJ [Hudson River, NY]
https://aviation-saf[...]
2019-10-31
[205]
서적
The Mammoth Book of Air Disasters and Near Misses
Robinson
[206]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20-211 D-AIPX Prads-Haute-Bléone
https://aviation-saf[...]
2019-10-31
[207]
웹사이트
Preliminary Investigation Report Into Accident of PIAC Flight Pk8303 Airbus A320-214 Reg No AP-BLD Crashed Near Karachi Airport On 22-05-2020
https://www.caapakis[...]
Pakistan Civil Aviation Authority
2020-06-24
[208]
웹사이트
TYPE-CERTIFICATE DATA SHEET No.EASA A.064 for AIRBUS A318-A319-A320-A320 Issue 45
https://www.easa.eur[...]
EASA
2020-03-16
[20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airbus.co[...]
2015-03-07
[2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airbus.co[...]
2015-03-07
[2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5-03-07
[212]
웹사이트
http://www.airbu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