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엑시비션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엑시비션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위치한 기차역으로, GO 트랜싯의 레이크쇼어 웨스트선과 토론토 교통국(TTC)의 노면 전차 및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1910년에서 1912년 사이에 선로 개량으로 역이 재건축되었으며, 1916년에는 노면 전차 종점이 설치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1967년 GO 트랜싯 개통 이후 승강장 확장 및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가 이루어졌으며, 2019년에는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이 발표되어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엑시비션역은 현재 무인역으로 운영되며, 온타리오 선의 남서쪽 종착역으로 계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론토의 철도역 - 블루어역
    블루어역은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의 역으로, 4호선 셰퍼드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하는 토론토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토론토의 철도역 - 롱브랜치역
    롱브랜치역은 1967년에 개통되어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 열차가 운행하며, 토론토 교통국 대중교통과 미시사가의 버스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GO 트랜싯 철도역이다.
  • GO 트랜싯 - 블루어역
    블루어역은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의 역으로, 4호선 셰퍼드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하는 토론토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GO 트랜싯 - 롱브랜치역
    롱브랜치역은 1967년에 개통되어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 열차가 운행하며, 토론토 교통국 대중교통과 미시사가의 버스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GO 트랜싯 철도역이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엑시비션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엑시비션
역 종류GO 트랜싯
스타일GO 트랜싯
엑시비션 GO 역
주소매니토바 드라이브, 토론토, 온타리오 주, 캐나다
좌표43° 38′ 09″ N, 79° 25′ 08″ W
개업일1968년
접근성지원
GO 트랜싯 코드EX
구역02
2019년 승객 수966,400명
구조
승강장2면 상대식 승강장
선로 수2 + 2 (중앙 우회 선로)
자전거 보관소
연결
스트리트카Exhibition Loop
버스TTC 버스
서비스
노선GO 트랜싯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
인접 역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전역: 미미코
후역: 토론토
인접 역 (나이아가라 지선)전역: 포트 크레딧
후역: 토론토
미래 서비스
노선토론토 교통국 온타리오 선
인접 역 (온타리오 선)후역: 킹-배서스트 역

2. 역사

엑시비션역은 더퍼린 스트리트 동쪽, 선로 남쪽에 위치한 나무 판자 건물로 개통하였다. 1910년과 1912년 사이에 선로가 평면교차에서 입체교차로 바뀌면서 기존 역은 철거되었다. 이와 동시에 Exhibition Place 입구에 더퍼린 게이트가 새로 지어졌고, 새로 지어진 다리로부터 계단을 통해 역 승강장으로 이어졌다.[10] 여객 취급은 이곳에서 1960년대까지 이루어졌다.

1912년 더퍼린 게이트의 그랜드 트렁크 역


1916년 8월 25일에는 배서스트 / 스트론에서 포트요크를 따라 엑시비션 플레이스를 잇는 노면 전차 종점이 엑시비션역 근처에 개통되어 여객 철도와 노면 전차가 정차하는 환승역이 되었다.[11]

1967년 5월 23일, GO 트랜싯의 레이크쇼어 웨스트선이 개통하면서 통근열차가 오늘날의 역 승강장에 정차하게 되었다.[12] 1967년 통근열차 개통 이후로 엑시비션역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는데, 2012년 가을부터 2016년까지 승강장을 넓히고 교통약자를 위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제설 시스템 및 플랫폼 캐노피를 추가하는 공사가 이루어졌다.[12][5]

2019년 4월,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5호선 에글린턴 경전철의 사이언스 센터역에서 2호선 블루어-댄포스페이프역, 1호선 영-유니버시티, 오스구드역을 지나 엑시비션역까지 이어지는 지하철 노선인 온타리오선 건설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노선은 1910년대부터 거론되었던 다운타운 릴리프선의 일환으로 제기되었으며, 2022년 4월에 착공하여 2030년 개통을 앞두고 있다.[13]

2. 1. 초기 역사 (1910년 이전)

최초의 엑시비션역은 그랜드 트렁크 철도(Grand Trunk Railway)에 의해 더퍼린 스트리트 동쪽, 선로 남쪽에 목재 건물로 지어졌다.[10] 1910년에서 1912년 사이에 선로가 평면교차에서 입체교차로 바뀌면서 기존 역은 철거되었고, 엑시비션 플레이스 입구에 새로운 더퍼린 게이트가 건설되었다. 새로 지어진 다리로부터 계단을 통해 역 승강장으로 이어졌다.[4] 여객 취급은 이곳에서 1960년대까지 이루어졌다.[4]

2. 2. 입체 교차 및 역 재건축 (1910년 ~ 1912년)

1910년에서 1912년 사이에 선로가 평면 교차에서 입체 교차로 변경되면서 기존 역은 철거되었다.[10] 이는 절개지 남쪽에 옹벽을 건설해야 했기 때문이다. Exhibition Place 입구에 더퍼린 게이트가 새로 지어졌고, 선로 위 새 다리 서쪽에 있는 두 개의 측면 플랫폼으로 내려가는 콘크리트 계단이 설치되었다.[4] 1960년대까지 여객 서비스가 계속 운행되었다.[4][10]

2. 3. TTC 노면 전차 연결 (1916년)

1910년과 1912년 사이에 선로가 평면교차에서 입체교차로 바뀌면서 기존 역은 철거되었고, 엑시비션 플레이스 입구에 더퍼린 게이트가 새로 지어졌다. 새로 지어진 다리로부터 계단을 통해 역 승강장으로 이어졌다.[10] 1916년 8월 25일에는 배서스트 / 스트론에서 포트요크를 따라 엑시비션 플레이스를 잇는 노면 전차 종점이 엑시비션역 근처에 개통되어 여객 철도와 노면 전차가 정차하는 환승역이 되었다.[11] 1960년대까지 여객 취급이 이루어졌다.

2. 4. GO 트랜싯 개통 및 현대화 (1967년 ~ 현재)

1967년 5월 23일, GO 트랜싯의 레이크쇼어 웨스트선이 개통하면서 통근열차가 오늘날의 역 승강장에 정차하게 되었다.[12] 1910년에서 1912년 사이에 선로가 입체교차로 바뀌면서 기존 역은 철거되었고, 엑시비션 플레이스 입구에 더퍼린 게이트가 새로 지어졌다. 이 다리로부터 계단을 통해 역 승강장으로 이어졌다.[10] 여객 취급은 이곳에서 1960년대까지 이루어졌다.[10][4]

1967년 통근열차 개통 이후로 엑시비션역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12] 2012년 가을부터 2016년까지 승강장을 넓히고 교통약자를 위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제설 시스템 및 플랫폼 캐노피를 추가하는 공사가 이루어졌다.[12][5]

2. 5. 온타리오 선 계획 (2019년 ~ 현재)

2019년 4월,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5호선 에글린턴 경전철의 사이언스 센터역에서 2호선 블루어-댄포스페이프역, 1호선 영-유니버시티, 오스구드역을 지나 엑시비션역까지 이어지는 지하철 노선인 온타리오선 건설 계획을 발표하였다.[13] 이 노선은 1910년대부터 거론되었던 다운타운 릴리프선의 일환으로 제기되었으며, 2022년 4월에 착공하여 2030년 개통을 앞두고 있다.[13]

엑시비션 역은 제안된 온타리오 선의 남서쪽 종착역이다.[6] 온타리오 선 플랫폼은 현재의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 철로 북쪽에 위치할 예정이다.[6] 이 노선은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7] 이 작업의 일환으로 훨씬 더 큰 규모의 역 구조물이 계획되어 있으며, 그 결과 2023년 말에 건설 기간 동안 승객 수를 처리하기 위한 임시 보행자 육교 공사가 시작되었다.[8]

3. 역 구조 및 시설

엑시비션역은 매표소에 직원이 상주하지 않는 무인역이다. 이에 따라 통근열차에 타려면 역에 있는 자동판매기에서 프레스토 카드를 구매 및 충전하거나 표를 구매해야 한다.[14] 역 승강장에는 버스 정류장같은 정류 시설과 공중전화,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다.[14] 이 역은 엘리베이터를 통해 교통약자도 이용할 수 있다.[14]

4. 운행 계통

토론토와 올더숏, 해밀턴웨스트하버역을 잇는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열차가 하루에 적어도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15] 올더숏과 웨스트하버 방면 열차가 번갈아 도착하며, 해밀턴 GO 센터, 웨스트하버역, 브록 대학교까지 가고자 하는 경우 버스로 갈아탈 수 있다.[15] 평일 아침에는 나이아가라폴스발 열차가 이 역에 1회 정차하며, 평일 퇴근 시간대에는 나이아가라폴스 방면 열차가 1회 정차한다.[15] 나머지 시간대에는 벌링턴역에서 버스로 갈아타거나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에서 나이아가라 폭포로 가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15]

5. 대중교통 연결편

토론토 교통국(TTC)의 29C번 더퍼린 버스와 509번 하버프론트, 511번 배서스트 노면 전차가 역 밖 엑시비션 루프에 정차한다.[3] 심야 버스로는 307번 배서스트, 329번 더퍼린, 363번 오싱턴 버스가 운행한다.[3]

노선종점경유지비고
29C 더퍼린윌슨역 ↔ 프린시스 게이트매일 상시 운행
307 배서스트스틸즈 / 배서스트 ↔ 엑시비션역심야 버스
329 더퍼린더퍼린 / 스틸즈 ↔ 프린시스 게이트심야 버스
363 오싱턴에글린턴역 ↔ 엑시비션역심야 버스
509 하버프론트엑시비션역 ↔ 유니언역{{Routemap매일 상시 운행
511 배서스트배서스트역 ↔ 엑시비션역{{Routemap매일 상시 운행



2013년, 리버티 빌리지 주민들은 GO 열차와 TTC 서비스 간 환승 시 요금을 다시 지불하지 않도록 요금 통합을 제안했다. 이는 504번 킹 노면 전차 혼잡 완화 방안으로도 여겨졌다.[3]

6. 인접한 역

엑시비션역은 캐나다 내셔널 철도와 캐나다 태평양 철도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토론토 터미널 철도 소유의 유니언역 진입 선로에서 3.2km 지점에 위치해있다.[9] 미미코와 유니언역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선로 동쪽으로는 CP 골트, 맥티어선과 메트로링스의 웨스턴 및 뉴마켓선이 합류한다.


7. 향후 계획

엑시비션역은 제안된 온타리오 선의 남서쪽 종착역이 될 예정이다.[6] 온타리오 선 플랫폼은 현재의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 선로 북쪽에 위치할 예정이다.[6] 이 노선은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7] 이 작업의 일환으로 훨씬 더 큰 규모의 역 구조물이 계획되어 있으며, 그 결과 2023년 말에 건설 기간 동안 승객 수를 처리하기 위한 임시 보행자 육교 공사가 시작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Getting Here (Select "Public Transit") https://www.explace.[...] Exhibition Place 2019-02-22
[2] 웹사이트 Condo Showdown: Five Liberty Village Units for Under $550,000 http://www.torontoli[...] Toronto Life 2013-06-11
[3] 웹사이트 Integrated TTC-GO fare urged for Liberty Village riders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14-02-28
[4] 웹사이트 Grand Trunk Grade Separation in Toronto http://www.trainweb.[...] Railway Age Gazette 2014-03-03
[5] 웹사이트 Modernizing Stations – Exhibition GO Station http://www.gotransit[...] GO Transit
[6] 간행물 Ontario Line Preliminary Design Business Case http://www.metrolinx[...] 2020-12-27
[7] 웹사이트 GTA $11-billion Ontario Line may not open until 2030, three years later than Ford's initial promise https://www.thestar.[...] Torstar 2020-12-17
[8] 뉴스 Ontario Line construction progressing, new bridge opening at Exhibition Station in 2024 https://www.youtube.[...] YouTube 2023-12-26
[9] 웹인용 Appendix 3: Baseline/Reference Case https://www.metrolin[...] 2022-04-06
[10] 웹인용 Grand Trunk Grade Separation in Toronto http://www.trainweb.[...] Railway Age Gazette 2022-04-06
[11] 웹인용 Exhibition Loop https://transittoron[...] 2022-04-05
[12] 웹인용 Modernizing Stations - Exhibition GO Station http://www.gotransit[...] 2022-04-06
[13] 웹인용 Ontario Line - Projects https://www.metrolin[...] 2022-04-06
[14] 웹인용 Exhibition GO https://www.gotransi[...] 2022-04-06
[15] 웹인용 Lakeshore West: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www.gotransi[...] 2022-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