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이프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프역은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의 역으로, 과거 할보드 노면전차의 종점인 립튼 루프가 있던 자리에 건설되었다. 1966년 지하철 개통과 함께 립튼 루프는 폐지되었고, 1985년 다운타운 릴리프 선 계획이 발표되었으나 예산 문제로 철회되었다. 이후, 토론토 시내의 인구 증가와 유니언역의 승객 증가로 인해 다운타운 릴리프 선 계획이 다시 논의되었고, 2012년에는 영-유니버시티-스파다이나 선의 포화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검토되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역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19년에는 온타리오 라인 계획이 발표되어 페이프역이 환승역으로 계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세인트조지역
    세인트조지역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토론토 대학교 인근에 위치하여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며, 폴 아서가 디자인한 표지판과 접근성 및 승객 흐름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아이온뷰역
    아이온뷰역은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의 역으로, 5호선 개통 시 34번 에글린턴 버스와 연결되어 마운트데니스역과 케네디역을 잇고, 동쪽으로는 로렌스 파크 역, 서쪽으로는 데이비스빌 역과 인접해 있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미조노쿠치역
    미조노쿠치역은 1927년 다마가와 전기철도 미조노쿠치선의 역으로 개업하여 고가화와 역명 변경을 거쳐 덴엔토시선과 오이마치선이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역이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페이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페이프역
페이프역
주소토론토, 온타리오, 페이프 애비뉴 743번지
좌표북위 43° 40′ 48″ 서경 79° 20′ 42″
운영 기관토론토 교통국
구조지하
승강장상대식 승강장
승강장 수2개
선로 수2개
개업일1966년 2월 26일
재건축2009년 ~ 2013년
접근성지원
승객 수"}}" ()
웹사이트[ –]
주차 및 자전거
자전거잠금 공간 36개, 링 및 포스트 5개
버스 환승
버스 노선돈 밀스
페이프
손클리프 파크
" 블루어 - 댄포스"
" 돈 밀스"
돈 밀스 급행
철도 노선
미래 서비스

2. 역사

페이프역은 토론토 지하철 블루어-댄포스선 개통 이전인 1927년부터 할보드 노면전차와 56번 리사이드 버스의 종점인 립튼 루프(Lipton Loop)가 있던 자리였다.[2][11][3] 할보드 노면전차는 페이프 애비뉴를 따라 남쪽 다운타운까지 운행했다.[2]

1966년 2월 25일, 블루어-댄포스선 지하철이 개통하면서 페이프역이 영업을 시작했고, 이와 동시에 하보드 노면전차는 운행을 중단했다.[11] 이후 56번 리사이드 버스는 돈랜즈역으로 기점을 옮겼다.[3]

개통 이후 역 자체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1985년 토론토 교통국(TTC)은 영 스트리트 지하철의 혼잡 완화를 위해 페이프역과 도심을 잇는 다운타운 릴리프 선(DRL) 건설 계획을 처음 발표했다.[12] 이 계획은 예산 문제로 철회되었으나, 토론토의 인구 증가와 교통 혼잡 심화로 인해 2012년경 다시 주요 논의 대상으로 부상했다.[13][14][15][16] 이 계획은 이후 온타리오선 계획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1966년 개통 이후 노후된 역 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대대적인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공사를 통해 역 내부 시설이 현대화되고 휠체어 이용객을 위한 엘리베이터와 두 번째 출입구가 설치되는 등 접근성이 개선되었다.[17][18]

2. 1. 초기 역사 (1966년 이전)

1931년 립튼 루프


페이프역이 들어서기 전, 이 자리에는 1927년에 개통된 립튼 루프(Lipton Loop)가 있었다.[2] 립튼 루프는 당시 운행했던 할보드 노면전차(Harbord streetcar)와 56번 리사이드 버스(Leaside bus)의 종점 역할을 했다.[11][3] 할보드 노면전차는 페이프 애비뉴(Pape Avenue)를 따라 남쪽으로 다운타운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다.[2]

1966년 2월 25일, 토론토 지하철 블루어-댄포스선이 개통하면서 페이프역이 영업을 시작했고, 이에 따라 할보드 노면전차는 운행을 중단하게 되었다.[11] 56번 리사이드 버스 노선 역시 이후 기점을 돈랜즈역으로 변경하였다.[3]

2. 2. 지하철 개통과 다운타운 릴리프 선 계획 (1966년 ~ 2012년)

지하철 개통 이전 페이프역 부지에는 하보드 노면 전차와 리사이드 버스의 종점인 립튼 루프가 위치해 있었다. 1966년 2월 25일, 2호선 블루어-댄포스 지하철이 개통하면서 이 노선과 접속하는 하보드 노면 전차는 운행을 중단했다. 대신 94번 웰즐리 버스가 캐슬프랭크역에서 웰즐리역을 거쳐 오싱턴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11]

1966년 개통 이후 역 자체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1985년 토론토 교통국(TTC)은 '네트워크 2011' 계획의 일환으로 중요한 구상을 내놓았다. 당시 포화 상태에 이르던 영 스트리트 지하철과 블루어-영역역의 승객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페이프역과 도심을 직접 잇는 다운타운 릴리프 선(DRL, Downtown Relief Line) 건설 계획을 발표한 것이다.[12] 그러나 이 계획은 주정부로부터 예산 지원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결국 백지화되었다.

하지만 토론토 시내의 지속적인 아파트 개발과 유니언역의 이용객 급증으로 인해 DRL 건설의 필요성은 다시 부각되었다.[13] 2012년 3월, 당시 TTC의 CEO였던 앤디 바이포드는 토론토의 급격한 인구 성장으로 1호선 영-유니버시티이 한계에 다다랐다며, DRL 건설에 대한 검토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14] 같은 해 9월, TTC는 1호선 영-유니버시티GO 트랜싯 노선의 승객 증가 문제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이 보고서는 기존 노선의 혼잡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영 노선을 연장하기 전에 DRL을 먼저 건설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15]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12년 11월 29일,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의 교통 계획을 담당하는 메트로링스의 CEO 브루스 매쿠에이그는 DRL 건설을 영 지하철 연장안과 함께 '빅 무브'(The Big Move) 2단계 계획으로 공식 확정했다.[16]

한편, 페이프역은 1966년 개통 이후 노후화된 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했다. 이 공사를 통해 바닥, 벽, 천장, 조명이 새롭게 교체되었고, 안내 표지판 개선 및 역 주변 조경 작업도 함께 이루어졌다. 특히 교통 약자를 위해 휠체어 전용 출입구, 엘리베이터, 자동문 등이 설치되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두 번째 출입구도 신설되었다.[17] TTC는 공사 기간 단축을 위해 2013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12일간 역을 임시 폐쇄하기도 했으며, 모든 공사는 같은 해 12월에 완료되었다.[18]

2. 3. DRL 계획 재부상과 빅 무브 (2012년 이후)

1985년에 처음 제안되었으나 예산 문제로 철회되었던 다운타운 릴리프 선 (DRL) 계획은 토론토 시내 아파트 수 증가와 유니언역의 승객 혼잡 심화로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13] 2012년 3월, 토론토 교통국(TTC) CEO 앤디 바이포드는 토론토의 급속한 인구 성장으로 영-유니버시티-스파다이나 선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며, DRL 건설 검토가 시급하다고 밝혔다.[14] 같은 해 9월, TTC는 영-유니버시티-스파다이나 선과 고 트랜싯 노선의 승객 증가에 대비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기존 노선의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영 노선 연장보다 DRL 건설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15] 결국 2012년 11월 29일, 메트로링스 CEO 브루스 매쿠에이그는 DRL 건설을 영 지하철 연장안과 함께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 교통 발전 계획인 '빅 무브' (The Big Move)의 2단계 계획으로 확정하였다.[16]

한편, 페이프역 자체도 1966년 개통 이후 노후된 시설 개선을 위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했다. 이 공사를 통해 바닥, 벽, 천장, 조명이 교체되었고, 새로운 표지판 설치 및 조경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휠체어 이용객을 위한 전용 출입구, 엘리베이터, 자동문이 설치되었으며, 두 번째 출입구도 신설되었다.[17] TTC는 공사 속도를 높이기 위해 2013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12일간 역 운영을 중단했으며, 모든 공사는 같은 해 12월에 마무리되었다.[18]

2. 4. 역 개보수 공사 (2009년 ~ 2013년)

페이프역은 토론토 교통국(TTC)의 새로운 현대화 프로그램에 따라 개조된 첫 번째 역이다. 이 프로그램은 오래된 역들의 시각적 측면, 안전, 기반 시설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5] 개조 공사는 2008년에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지연되어, 시공업체는 2009년 9월 28일에 현장에 투입되었다.

공사는 2013년까지 진행되었으며, 바닥, 벽, 천장, 조명을 교체하고 표지판 교체 및 조경 개선 작업도 이루어졌다. 또한, 휠체어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전용 출입구, 엘리베이터, 자동문 설치와 함께 두 번째 출입구도 새로 만들어졌다.[17] 이 외에도 공공 예술 작품 설치, 플랫폼 벽 개조, 조명 개선, 환기 및 화재 안전 시스템 향상 등이 포함되었다.[5]

개보수 공사 후 플랫폼 타일 벽 (2022년 모습)


공사 속도를 높이기 위해 TTC는 2013년 봄, 이용객들에게 역 폐쇄 관련 의견 조사를 실시했다. 기존 일정 유지, 6주 연속 폐쇄로 3개월 단축, 12일 연속 폐쇄로 공사 기간 단축의 세 가지 선택지 중, 2,842명의 응답자 대다수가 12일 연속 폐쇄를 선호했다.[6] 이에 따라 TTC는 역 폐쇄를 계획했으나, 온타리오 테라조, 타일 및 대리석 길드의 파업으로 인해 원래 6월 15일부터 26일까지 예정되었던 폐쇄가 연기되었다. 노동 분쟁이 해결된 후, 2013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12일간 역이 폐쇄되었다.[6][18]

엘리베이터는 2013년 10월 31일에 운영을 시작하여 역의 접근성이 완전히 개선되었으며,[7] 새로운 두 번째 출입구 건물은 2013년 12월 23일에 개장했다.[5][8] 전체 개보수 공사는 2013년 12월에 마무리되었다.[18]

2. 5. 온타리오 선 계획 (2019년 ~ 현재)

토론토 교통국(TTC)은 오랫동안 1호선 영-유니버시티 남부와 2호선 블로어-단포스 동부를 잇는 릴리프 라인 건설을 계획해왔다. 이 노선은 페이프역과 오스구드역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향후 연장 시 페이프역은 토론토 지하철의 주요 환승 거점이 될 예정이었다.

과거 데이비드 밀러 전 시장 시절에는 교통 도시 계획의 일환으로 돈 밀스 로드를 따라 돈 밀스역과 페이프역을 잇는 돈 밀스 경전철 노선이 구상되기도 했으나, 후임 시장인 롭 포드에 의해 다른 계획들과 함께 폐기되었다.

2019년 9월, 온타리오 주 정부는 릴리프 라인을 대체하는 새로운 온타리오 라인 계획을 발표했다. 이 노선 역시 페이프역을 지나도록 계획되었다. 초기 완공 목표는 2027년으로 설정되었으나, 2020년 7월 기준으로 페이프역에서의 구체적인 건설 시기와 영향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온타리오 라인은 5호선 에글린턴의 과학 센터역에서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의 전시 GO역까지 이어지는 급행 노선이다. 2호선 블로어-단포스와의 환승은 페이프역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9] 새로운 온타리오 선 승강장과 선로는 공사 중 교통 및 시설물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2호선 승강장 아래, 페이프 애비뉴 약간 동쪽에 수직으로 건설될 계획이다.[9] 2020년 12월 기준으로 온타리오 라인의 예상 완공 시점은 2030년으로 조정되었다.[10]

3. 역 구조

(내용 없음)

4. 주변 지역

4. 1. 주요 시설

인근에 유명한 건축 랜드마크인 토론토 성명 교회가 위치해 있다.

매년 8월에는 댄포스 거리의 페이프역 서쪽 구간에서 3일 동안 테이스트 오브 더 댄포스 거리 축제가 열린다.

페이프역 바로 북쪽에는 센테니얼 칼리지의 스토리 예술 센터가 있으며, 이곳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디자인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5. 대중교통 연결편

페이프역은 토론토 교통국(TTC)의 여러 버스 노선과 연계되는 중요한 환승 지점이다. 일반 버스는 역 내부에 위치한 버스 승강장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300번과 325번 심야 버스는 역 외부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한다.

자세한 버스 노선 정보 및 운행 시간,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 공사로 인한 25번 버스 노선 변경 사항 등은 아래 버스 노선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온타리오 선 건설 공사로 인해 2024년 5월 12일부터 2024년 4분기까지 버스 터미널이 임시 폐쇄될 예정이므로, 버스 이용 시 유의해야 한다.[4]

5. 1. 버스 노선

페이프역에서 이용 가능한 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300번과 325번 심야 버스를 제외한 모든 일반 버스는 역 내 버스 승강장에서 탈 수 있으며, 심야 버스는 역 외부 버스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한다.

2017년 1월 8일부터 25번 돈밀스 버스는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 공사로 인해 노선이 변경되었다. 기존 스틸즈 애비뉴까지 운행하던 노선이 페이프역-돈밀스역 구간(25B)과 돈밀스역-스틸즈 애비뉴 구간(25C)으로 분리되었다. 페이프역에서 스틸즈 애비뉴까지 직행하는 25A 노선은 평일 저녁과 주말 및 공휴일에만 운행한다.[19] 따라서 평일 주간에 스틸즈 애비뉴 방면으로 가려면 돈밀스역에서 25C번 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버스 대기 구역


아래는 페이프역 버스 노선 목록이다.

노선 번호노선명행선지비고
25A돈밀스 (Don Mills)돈밀스 / 스틸즈평일 저녁, 주말/공휴일 운행
25B돈밀스역평일 주간(러시 아워, 점심 시간대) 운행. 스틸즈 방면은 돈밀스역에서 25C번 환승 필요.
72A페이프 (Pape)카를로 / 이스턴평일 러시 아워 제외 상시 운행
72B유니언역매일 상시 운행
72C커미셔너스 / 체리평일 러시 아워 운행
81손클리프 파크 (Thorncliffe Park)쏜클리프 파크 / 오벌리매일 상시 운행. 오후 3시 30분 이전 시계방향, 이후 반시계방향 순환.
300A블루어-댄포스 (Bloor-Danforth)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블루 나이트 네트워크 심야 운행 (역 외부 정류장)
300B케네디역블루 나이트 네트워크 심야 운행 (역 외부 정류장)
325돈밀스 (Don Mills)돈밀스 / 스틸즈 ↔ 페이프 / 이스턴블루 나이트 네트워크 심야 운행 (역 외부 정류장)
925돈밀스 급행 (Don Mills Express)돈밀스 / 스틸즈급행 노선. 평일 아침~저녁, 주말 낮 운행[20]



온타리오 선 건설 공사로 인해 페이프역 버스 터미널은 2024년 5월 12일부터 2024년 4분기까지 폐쇄될 예정이다.[4] 이 기간 동안 버스 이용에 변동이 있을 수 있다.

5. 2. 참고 사항

페이프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는 아래와 같다. 300번과 325번 심야 버스를 제외한 모든 버스 노선은 역 안에 있는 버스 승강장에서 탈 수 있고, 심야 버스의 경우에는 역 밖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한다.

2017년 1월 8일부터 25번 돈밀스 버스는 에글린턴 크로스타운선 공사로 인해 스틸즈 애비뉴까지 운행하던 노선이 페이프역-돈밀스역 구간(25B)과 돈밀스역-스틸즈 애비뉴 구간(25C)으로 나뉘었다. 페이프역에서 스틸즈 애비뉴까지 직행으로 운행하는 노선(25A)은 평일 저녁과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 한해 운행된다.[19] 따라서 평일 러시아워와 점심 시간대에 스틸즈 애비뉴까지 가려면 돈밀스역에서 25C번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노선종점경유지비고
25A돈밀스Don Mills돈밀스 / 스틸즈페이프역평일 저녁, 토/일/공휴일 상시 운행. 나머지 시간대에는 25B, 25C로 나뉘어 운행. 스틸즈 북쪽 구간은 YRT 90번으로 환승.
25B돈밀스역평일 러시아워와 점심 시간대에 운행. 셰퍼드에서 스틸즈까지는 25C번으로 환승. 스틸즈 북쪽 구간은 돈밀스역에서 YRT 90번으로 환승.
72A페이프Pape페이프역카를로 / 이스턴평일 러시아워를 제외하고 매일 상시 운행
72B유니언역매일 상시 운행
72C커미셔너스 / 체리평일 러시아워에만 운행
81손클리프파크Thorncliffe Park손클리프파크 / 오벌리페이프역매일 상시 운행. 오후 3시 30분 이전에는 손클리프파크 드라이브를 시계방향으로, 그 이후에는 반시계방향으로 운행한다.
300A블루어-댄포스Bloor-Danforth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댄포스 / 워든rowspan=2|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00B블루어 / 이스트몰케네디역
325돈밀스Don Mills돈밀스 / 스틸즈페이프 / 이스턴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925돈밀스 급행Don Mills Express돈밀스 / 스틸즈페이프역평일 아침부터 이른 저녁까지, 주말 낮 시간대에 운행[20]


6. 미래

토론토 교통국 (TTC)은 오랫동안 1호선 영-유니버시티 남쪽 구간과 2호선 블로어-단포스 동쪽 구간을 연결하는 릴리프 라인 건설을 계획해왔다. 이 계획에서 선호되는 경로는 페이프역에서 오스구드까지 이어지는 노선이었다. 향후 릴리프 라인이 오스구드 서쪽과 페이프 북쪽으로 연장될 경우, 페이프역은 토론토 지하철 시스템의 주요 환승 거점 중 하나가 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다.

과거 데이비드 밀러 전 시장은 교통 도시 계획의 일환으로, 돈 밀스 로드를 따라 돈 밀스역에서 페이프역까지 운행하는 돈 밀스 경전철 노선 건설 구상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후임 시장인 롭 포드에 의해 다른 교통 도시 계획들과 함께 폐기되었다.

2019년 9월, 온타리오 주 정부는 릴리프 라인의 후속 계획인 온타리오 라인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 노선은 페이프역을 지나도록 계획되었다. 처음 발표 시 잠정 완공 목표는 2027년이었으나, 2020년 7월 기준으로 페이프역에서의 구체적인 건설 시기와 영향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온타리오 라인은 5호선 에글린턴의 과학 센터역에서 레이크쇼어 웨스트 GO 선의 전시 GO역을 연결하는 급행 대중교통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2호선과의 환승은 페이프역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9] 새로운 온타리오 라인 승강장과 선로는 공사 중 교통 및 기반 시설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2호선 승강장 아래, 페이프 애비뉴 약간 동쪽에 수직으로 건설될 예정이다.[9] 2020년 12월 기준으로 온타리오 라인의 예상 완공 시기는 2030년으로 조정되었다.[10]

참조

[1] 뉴스 OUR STATIONS - TCONNECT.ca https://web.archive.[...] 2016-12-21
[2] 웹사이트 HARBORD Route History https://www.angelfir[...] 2014-01-01
[3] 웹사이트 LEASIDE Route History https://www.angelfir[...] 2014-01-01
[4] 웹사이트 Pape Station construction https://www.ttc.ca/r[...] 2024-05-10
[5] 웹사이트 Pape Station Improvements http://www.ttc.ca/Ab[...] TTC 2014-01-01
[6] 웹사이트 TTC: Pape Station 12-day closure starts Monday https://www.thestar.[...] 2013-08-16
[7] 웹사이트 TTC's Pape Station elevators now in operation http://www.ttc.ca/N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3-11-07
[8] 웹사이트 Additional exit for Pape subway station is now open http://www.insidetor[...] 2014-01-15
[9] 웹사이트 Updated plans for the Ontario Line's North segment: A better fit for the community {{!}} Metrolinx News https://blog.metroli[...] 2021-03-22
[10] 웹사이트 $11-billion Ontario Line may not open until 2030, three years later than Ford's initial promise https://www.thestar.[...] 2021-03-22
[11] 웹인용 폐선된 하보드 노면 전차 (The Harbord Streetcar (Deceased))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2012-12-23
[12] 웹인용 네트워크 2011 (Network 2011 -- To think of what could have been)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2012-12-22
[13] 웹인용 메트로링스, 다운타운 릴리프 선을 여전히 계획에 두고 있어 (Metrolinx confirms downtown relief line is still on the map) http://www.thestar.c[...] 토론토 스타 2012-12-23
[14] 웹인용 TTC CEO:다운타운 릴리프 선 착공은 당장 검토가 이루어져야 (TTC chief: Subway expansion for downtown relief line has to be discussed right now) http://news.national[...] National Post 2012-12-23
[15] 웹인용 도심 지하철 연장안 연구 (Downtown Rapid Transit Expansion Study) http://www.ttc.ca/PD[...] 토론토 교통국 2012-12-23
[16] 웹인용 메트로링스 '빅 무브' 2단계 계획 발표 (Metrolinx Unveils Next Wave of Big Move Projects) https://web.archive.[...] Canada Newswire 2012-12-23
[17] 웹인용 페이프역 리모델링 공사 (Pape Station Modernization Project) https://web.archive.[...] 토론토 교통국 2014-05-15
[18] 웹인용 페이프역 폐쇄 (Pape Station Closure) http://www.ttc.ca/Ab[...] 토론토 교통국 2014-05-15
[19] 문서 http://transit.toronto.on.ca/bus/routes/25-don-mills.shtml http://transit.toron[...]
[20] 웹인용 925 Don Mills Express https://transittoron[...] 2021-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