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레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레지는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된 장르로, 원래는 애가풍 대구로 쓰여 죽음, 사랑, 전쟁 등을 다루었으며, 묘비명, 슬픈 노래, 기념 시도 포함되었다. 라틴 문학에서는 에로틱 문학이나 로마 신화를 다루기도 했으며, 수사적 효과를 위해 재치 있고 유머러스한 주제에도 사용되었다. 영어 문학에서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나 비극적 사건을 애도하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며, 음악, 영화, 회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슬픔과 애도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2. 역사

묘지에서 쓴 비가, 윌리엄 블레이크의 삽화


고대 그리스 문학 용어 ἐλεγείᾱ(''elegeíā''; ἔλεγος, élegos, ‘애가’)는[3] 원래 애가풍 대구로 쓰여진 모든 운문을 지칭했으며, 죽음, 사랑, 전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이 용어에는 묘비명, 슬프고 애절한 노래,[4] 기념 시도 포함되었다.[5] 라틴 문학의 라틴어 애가는 대개 에로틱 문학 또는 로마 신화를 다루었다. 수사적 효과를 위한 구조적 잠재력 때문에, 애가풍 대구는 그리스와 로마의 시인 모두 재치 있고 유머러스하며 풍자적인 주제를 다루는 데 사용되었다.[6]

묘비명을 제외하고, 애도의 시로서 고대 애가의 예로는 죽은 형제에 대한 카툴루스의 카르멘 101(''Carmen'' 101)과 죽은 연인 신시아와 저명한 코르넬리아 가문의 여족장에 대한 프로페르티우스의 애가가 있다. 오비디우스는 오비디우스의 추방을 애도하는 애가를 썼으며, 이는 그의 죽음과 비유되었다.[7]

2. 1. 고대 그리스와 로마

고대 그리스어의 엘레게이아(ἐλεγείᾱgrc)는 엘레고스(ἔλεγοςgrc)라는 노래와 관련이 있으며,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노래의 기원이 죽은 자에 대한 애도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현존하는 엘레게이아의 주제에는 다양한 것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애도를 내용으로 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16] 애도가로서는 트레노스(θρῆνοςgrc) 등의 다른 장르가 있으며, 핀다로스나 시모니데스의 작품이 알려져 있다.

고전시의 엘레게이아의 시형, 즉 '''엘레게이온'''(elegeion, Elegiac couplet)은 2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연구이다. 첫 번째 행은 닥틸로스·헥사메트로스 (장단단육보격)이며, 그 다음은 닥틸로스·펜타메트로스 행이 이어진다. 닥틸로스·펜타메트로스란, 2개의 닥틸로스(장단단격)-장음절-2개의 닥틸로스-장음절이라는 운율이다. 닥틸로스는 헥사메트로스, 닥틸로스 안에서, 장소에 따라 스폰데이오스 (장장격)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대체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를 장음절, "u"를 단음절, "U"를 장음절 또는 2개의 단음절로 하면 다음과 같다.

  • U | - U | - U | - U | - u u | - -
  • U | - U | - || - u u | - u u | -


서사시에 사용되는 헥사메트로스는 서사시에 사용되는 운율이며, 사용되는 언어는 서사시와 동일하다. 엘레게이아는 서사시보다 낮은 시형으로 간주되었으므로, 엘레게이아 시인은 서사시를 쓸 생각으로 엘레게이아를 쓰고, 그것을 서사시와 관련지었다.

엘레게이아 시의 초기 예는 알킬로코스나 시모니데스로, 서사시만큼 오래되었다 (알킬로코스는 기원전 7세기의 사람). 그러나, 특기할 만한 엘레게이아 시인은 헬레니즘 시대의 칼리마코스로, 로마의 시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칼리마코스는, 서사시보다 짧고 간결한 엘레게이아라면 더욱 아름답고, 더욱 평가할 가치가 있는 것을 쓸 수 있다는 생각을 퍼뜨렸다.

로마 시대의 대표적인 엘레기아 시인은, 카툴루스, 프로페르티우스, 티불루스, 그리고 오비디우스이며, 세대가 위인 카툴루스가 다른 3인을 선도했다. 4명 모두 (특히 프로페르티우스) 칼리마코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서로의 시를 읊었다. 카툴루스와 오비디우스는 엘레게이아 이외의 시형으로 시를 쓰기도 했지만, 프로페르티우스와 티불루스는 그러지 않았다.

로마에서는 서사시가 공적·전쟁적이고 딱딱한 것으로 여겨진 반면, 엘레기아는 사적·평화적이고 부드러운 것으로 여겨졌다. 특히 아우구스투스 시대 초기에 1인칭에 의한 연애의 (종종 관능적인) 시가 엘레게이아 형식으로 쓰였다.[17]

2. 2. 서양 근대

영어 문학에서 엘레지는 16세기 이후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나 비극적 사건을 애도하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8] 17세기 초 존 던의 비가에서는 여전히 넓은 의미의 엘레지 개념이 사용되었다.[8] 고대 영어의 엑서터 코덱스에는 "방랑자", "항해자", "아내의 애가"와 같은 "진지한 명상적" 시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화자는 서정적인 "나"를 사용하여 개인적 슬픔을 묘사하며, 서사시와 달리 집단적 지식보다는 개인의 이야기를 전달한다.[8][9]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는 엘레지를 "진지한 명상적 시"로 정의했다.[5] 그는 엘레지가 "성찰하는 마음에 자연스러운 시의 형태"이며, "시인과 관련하여, 그리고 전적으로 시인과 관련하여" 슬픔과 사랑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고 보았다.[10]

토머스 그레이의 ''교회 묘지에서 쓴 비가(1750)는 엘레지의 유명한 예시이다.[5] 영국에는 원래 엘레지의 시형이 없었지만, 1751년에 토머스 그레이가 쓴 『묘지에서 쓴 비가』는 많은 모방자를 낳았다. 그레이는 엘레지라는 말을 고독과 애도의 시에 사용하고, 찬가에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그리스, 로마의 고전시의 엘레게이아 시형에서 엘레지를 자유롭게 했다.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는 엘레지는 "사색에 잠기는 정신에 가장 자연스러운" 형태이며, 시인 스스로가 사색할 수 있다면 어떤 주제라도 괜찮다고 주장했다. 윌리엄 워즈워스는 『서정 담시집』의 서문에서 시는 "평안 속에서 명상된 감정"에서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낭만주의 이후, 엘레지의 정의는 "죽은 자를 추모하는 시"라는 원래의 의미로 돌아갔다.

독일에서는 괴테가 「로마 비가」나 「크세니엔」을 이 시형으로 썼고, 실러의 『네니에』는 요하네스 브람스에 의해 곡이 붙여졌다(장송곡). 횔덜린은 고전시를 모방하여 「빵과 포도주」와 같은 엘레게이아 시집을 발표했다.

2. 3. 기타 언어권

프랑스에서는 알퐁스 드 라마르틴의 ''호수'' (1820)가 유명한 엘레지 중 하나이다.[11] 독일에서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두이노의 비가''(1922)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슬람 세계, 특히 시아파 이슬람에서는 사차이 바이가 카르발라 전투에 대해 쓴 엘레지가 가장 유명하다. 후세인 이븐 알리와 그의 추종자들에 대한 엘레지는 매우 흔하며 오늘날에도 제작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호르헤 만리케가 1460년과 1470년 사이에 쓴 ''아버지의 죽음에 바치는 시'' (Coplas por la Muerte de su Padre)가 스페인어로 쓰인 주요 작품 중 하나이다.[12]

독일에서는 괴테가 「로마 비가」Roman Elegies영어나 「크세니엔」Xenien영어을 이 시형으로 썼고, 실러의 『네니에』는 요하네스 브람스에 의해 곡이 붙여졌다(장송곡). 횔덜린은 고전시를 모방하여 「빵과 포도주」Brod und Weinde와 같은 엘레게이아 시집을 발표했다. 다음은 쉴러의 「산책」(1795년 초판)의 예시인데, 테르모필레 전투의 영웅을 위해 시모니데스가 썼다고 하는 유명한 시를 같은 운율로 독일어로 바꾼 것이다.

Wanderer, kommst du nach Sparta, verkündige dorten, du habest

Uns hier liegen gesehn, wie das Gesetz es befahl.

2. 4. 한국 문학

3. 문학

영어 문학에서 엘레지(엘레지/elegy영어)는 16세기 이후 떠나간 사람이나 비극적 사건에 대한 애도를 표현하는 장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8] 17세기 초 존 던은 여전히 넓은 의미의 엘레지 개념을 사용했다.[8] 고대 영어로 쓰인 엑서터 코덱스(경)에는 "방랑자", "항해자", "아내의 애가"와 같은 "진지한 명상적" 시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시들은 서정적인 "나"를 통해 개인의 슬픈 경험을 묘사하며, 집단적 지식보다는 개인의 이야기를 전달한다.[8][9]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는 엘레지를 "성찰하는 마음에 자연스러운 시의 형태"로 정의하며, 슬픔과 사랑을 주요 주제로 다루면서도 시인과의 관련성을 강조했다.[5][10]

토머스 그레이의 ''교회 묘지에서 쓴 비가''(1750)는 엘레지의 유명한 예이다.[5] 그 외에도,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의 엘레지(기원전 1세기), 고대 영어 시 『방랑자』(10세기), 『베오울프』(8세기 - 11세기), 『The Seafarer』(:en:The Seafarer (poem)), 얀 코하노프스키(:en:Jan Kochanowski) 『Treny』(1580년 출판, 엄밀히는 Threnody, :en:Laments (Treny)), 에드먼드 스펜서 『아스트로펠과 스텔라』(1580년대, :en:Astrophel and Stella), 치디오크 티치본(:en:Chidiock Tichborne) 『Tichborne's Elegy』(1586년)등이 있다.

존 밀턴의 『리시다스』(1637년, :en:Lycidas)는 시인 에드워드 킹(:en:Edward King (British poet))에게 바치는 목가적 엘레지이다.[8] 샬럿 터너 스미스(:en:Charlotte Turner Smith)의 『Elegiac Poems』(1785년), 윌리엄 컬렌 브라이언트(:en:William Cullen Bryant)의 『Thanatopsis』(1817년 출판, 시, :en:Thanatopsis)도 엘레지의 예시이다. 퍼시 비시 셸리의 『Adonaïs』(1821년, :en:Adonaïs)는 존 키츠에게 바치는 목가적 엘레지이며,[8] 예브게니 바라틴스키(:en:Evgeny Baratynsky)의 『가을』(1837년)역시 엘레지이다.

알프레드 테니슨의 『In Memoriam A.H.H.』(1849년 완성, :en:In Memoriam A.H.H.)는 학우 아서 핼럼(:en:Arthur Hallam)에게 바치는 엘레지이다.[8] 월트 휘트먼의 『뜰에서 마지막 라일락이 필 때(When Lilacs Last in the Dooryard Bloom'd)』(1865년)는 에이브러햄 링컨에게 바치는 엘레지로, 1946년파울 힌데미트가 이 시에 곡을 붙여 합창곡으로 만들었다.[8]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두이노의 비가』(1923년, :en:Duino Elegies)와 버지니아 울프의 『등대로』(1927년, 소설, :en:To the Lighthouse)또한 엘레지의 범주로 볼 수 있다. 카마우 브라스웨이트(:en:Kamau Brathwaite)의 『Kumina』(1982년)는 교통사고로 사망한 아내의 아들에게 바치는 엘레지이다.[8]

3. 1. 영어

영어 문학에서 엘레지(엘레지/elegy영어)는 16세기 이후 떠나간 사람이나 비극적 사건에 대한 애도를 표현하는 장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8] 17세기 초 존 던은 여전히 넓은 의미의 엘레지 개념을 사용했다.[8] 고대 영어로 쓰인 엑서터 코덱스(경)에는 "방랑자", "항해자", "아내의 애가"와 같은 "진지한 명상적" 시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시들은 서정적인 "나"를 통해 개인의 슬픈 경험을 묘사하며, 집단적 지식보다는 개인의 이야기를 전달한다.[8][9]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는 엘레지를 "성찰하는 마음에 자연스러운 시의 형태"로 정의하며, 슬픔과 사랑을 주요 주제로 다루면서도 시인과의 관련성을 강조했다.[5][10]

토머스 그레이의 ''교회 묘지에서 쓴 비가''(1750)는 엘레지의 유명한 예이다.[5] 그 외에도,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의 엘레지(기원전 1세기), 고대 영어 시 『방랑자』(10세기), 『베오울프』(8세기 - 11세기), 『The Seafarer』(:en:The Seafarer (poem)), 얀 코하노프스키(:en:Jan Kochanowski) 『Treny』(1580년 출판, 엄밀히는 Threnody, :en:Laments (Treny)), 에드먼드 스펜서 『아스트로펠과 스텔라』(1580년대, :en:Astrophel and Stella), 치디오크 티치본(:en:Chidiock Tichborne) 『Tichborne's Elegy』(1586년)등이 있다.

존 밀턴의 『리시다스』(1637년, :en:Lycidas)는 시인 에드워드 킹(:en:Edward King (British poet))에게 바치는 목가적 엘레지이다.[8] 샬럿 터너 스미스(:en:Charlotte Turner Smith)의 『Elegiac Poems』(1785년), 윌리엄 컬렌 브라이언트(:en:William Cullen Bryant)의 『Thanatopsis』(1817년 출판, 시, :en:Thanatopsis)도 엘레지의 예시이다. 퍼시 비시 셸리의 『Adonaïs』(1821년, :en:Adonaïs)는 존 키츠에게 바치는 목가적 엘레지이며,[8] 예브게니 바라틴스키(:en:Evgeny Baratynsky)의 『가을』(1837년)역시 엘레지이다.

알프레드 테니슨의 『In Memoriam A.H.H.』(1849년 완성, :en:In Memoriam A.H.H.)는 학우 아서 핼럼(:en:Arthur Hallam)에게 바치는 엘레지이다.[8] 월트 휘트먼의 『뜰에서 마지막 라일락이 필 때(When Lilacs Last in the Dooryard Bloom'd)』(1865년)는 에이브러햄 링컨에게 바치는 엘레지로, 1946년파울 힌데미트가 이 시에 곡을 붙여 합창곡으로 만들었다.[8]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두이노의 비가』(1923년, :en:Duino Elegies)와 버지니아 울프의 『등대로』(1927년, 소설, :en:To the Lighthouse)또한 엘레지의 범주로 볼 수 있다. 카마우 브라스웨이트(:en:Kamau Brathwaite)의 『Kumina』(1982년)는 교통사고로 사망한 아내의 아들에게 바치는 엘레지이다.[8]

3. 2. 일본어

엘레지는 고대 그리스 시가에서 유래했으며, 그 형식과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칼리마코스 등 헬레니즘 시대 시인들은 로마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엘레지가 사랑을 주제로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

일본어에서 엘레지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의 엘레지(기원전 1세기)가 있다.

3. 3. 기타 언어권

프랑스에서는 알퐁스 드 라마르틴의 ''호수'' (1820)가 가장 유명한 엘레지 중 하나로 손꼽힌다.[11] 독일에서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두이노의 비가'' (1922)가 대표적인 예이다. 스페인에서는 호르헤 만리케가 1460년에서 1470년 사이에 쓴 ''아버지의 죽음에 바치는 시'' (Coplas por la Muerte de su Padre)가 스페인어로 쓰인 주요 엘레지 작품 중 하나이다.[12]

이슬람 세계, 특히 시아파 이슬람에서는 사차이 바이가 카르발라 전투에 대해 쓴 엘레지가 가장 유명하다. 후세인 이븐 알리와 그의 추종자들에 대한 엘레지는 매우 흔하며 오늘날에도 제작되고 있다.

3. 4. 한국 문학

한국 문학에서 엘레지는 다양한 시대와 장르에 걸쳐 나타난다.

4. 음악

"엘레지"(''élégie'')는 슬프거나 침울한 성격의 음악 작품을 나타낼 수 있다. 쥘 마스네의 《엘레지》 작품 10은 잘 알려진 예시 중 하나이다. 이 곡은 원래 피아노를 위한 학생 작품이었으나, 이후 가곡으로 편곡되었고, 마지막으로 르콩트 드 릴의 ''에리니에스''에 대한 부수 음악의 한 부분인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Invocation"으로 등장했다.

다른 예로는 가브리엘 포레의 엘레지 다단조 (작품 24), 에드워드 엘가의 엘레지 작품 58, 벤자민 브리튼의 ''현을 위한 엘레지'', 페테리스 바스크스의 현악 사중주 4번의 첫 악장 "엘레지"가 있다. 새뮤얼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는 엘레지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비가적인 성격을 띤다.

4. 1. 클래식 음악

"엘레지"(''élégie'')는 슬프거나 침울한 성격의 음악 작품을 나타낼 수 있다. 쥘 마스네의 《엘레지》 작품 10은 잘 알려진 예시 중 하나이다. 이 곡은 원래 피아노를 위한 학생 작품이었으나, 이후 가곡으로 편곡되었고, 마지막으로 르콩트 드 릴의 ''에리니에스''에 대한 부수 음악의 한 부분인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Invocation"으로 등장했다.

다른 예로는 가브리엘 포레의 엘레지 다단조 (작품 24), 에드워드 엘가의 엘레지 작품 58, 벤자민 브리튼의 ''현을 위한 엘레지'', 페테리스 바스크스의 현악 사중주 4번의 첫 악장 "엘레지"가 있다. 새뮤얼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는 엘레지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비가적인 성격을 띤다.

근현대 음악에서 엘레지는 형식적으로 규제된 작품이 아니라, 환상곡(판타지)의 소품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윌리엄 버드는 토머스 탈리스를 위한 엘레지인 "Ye sacred Muses : Elegy on the death of Thomas Tallis"(1585년)를 작곡했다. 베토벤은 "개 죽음에 부치는 비가" WoO.110 (1787년경)와 사중창곡 "비가" 작품번호 118 (1814년)을 작곡했다. 멘델스존의 "무언가집" 제7집 제4곡 "엘레지" 작품번호 85-4 (1845년), 앙리 뷔에탕의 "엘레지" 작품번호 30 (1854년?), 바그너의 "엘레지 내림 A장조"(1859년 - 1862년)도 엘레지에 해당한다.

리스트는 "엘레지 1번"(1874년)과 "엘레지 2번"(1877년)을 작곡했다. 모데스트 무소르크스키의 가곡집 "Bez sontsa" 제5곡 "엘레지"(1874년), 마스카니의 "엘레지"(1879년), 차이콥스키의 "현을 위한 세레나데" 작품번호 48의 제3악장 (1880년)과 "이반 사마린의 영예를 위한 엘레지 (현을 위한 엘레지)"(1884년, "햄릿" 극 부수 음악 작품번호 67b에 유용)도 엘레지 작품이다.

그리그는 "서정 소품집" 제2집 제6곡 "엘레지" 작품번호 38-6 (1883년)와 제4집 제7곡 "엘레지" 작품번호 47-7 (1885년 - 1887년)을 작곡했다. 에릭 사티의 "3개의 노래" 제2곡 "엘레지" (1886년), 글라주노프의 "엘레지 Une pensee a Liszt" 작품번호 17 (1887년), "엘레지 G장조" 작품번호 44 (1893년), "엘레지 D장조" 작품번호 105 (1928년)도 엘레지이다.

라흐마니노프의 "환상 소품집" 제1곡 "엘레지" 작품번호 3-1 (1892년), 칼리니코프의 "엘레지"(1894년), 홀스트의 "Elegy in memory of William Morris"(1899년 - 1900년, "코츠월드 교향곡"에 포함, 윌리엄 모리스를 위한 엘레지), 아이브스의 "엘레지"(1901년), 요세프 수크의 "엘레지" 작품번호 23 (1902년), 야나체크의 "내 딸 올가의 죽음에 대한 엘레지"(1903년, 작곡가의 딸 올가를 위한 엘레지), 레오폴드 고도프스키의 "르네상스" 제5곡 "엘레지 E단조"(원곡 라모)(1906년 - 1909년), 부소니의 "엘레지"(1907년 - 1908년), 바르토크의 "2개의 엘레지"(1908년 - 1909년), 마르티누의 "엘레지"(1909년), 클로드 드뷔시의 "엘레지"(1915년), 생상스의 "엘레지" 작품번호 143 (1915년), 조지프 아크론의 "엘레지" 작품번호 62 (1927년), 델리우스의 "카프리스와 엘레지"(1930년) 등도 엘레지 작품으로 꼽힌다.

쇼스타코비치는 "두 개의 소품" "엘레지"(1931년), "발레 모음곡 제3번" "엘레지"(1952년), "현악 사중주 제15번" "엘레지"(1974년)를 작곡했다. 미요는 "Elégies romaines de Goethe" 작품번호 114 (1932년), "3개의 엘레지" 작품번호 199 (1939년), "엘레지" 작품번호 251 (1945년), "엘레지" 작품번호 416 (1965년)을 작곡했다. 메트너의 "2개의 엘레지" 작품번호 59 (1938년), 스트라빈스키의 "엘레지"(1944년)와 "J.F.K를 위한 엘레지"(1964년, 존 F. 케네디 추모), 하워드 헨슨의 "세르게이 쿠세비츠키 추모 엘레지"(1955년), 풀랑크의 "호른과 피아노를 위한 엘레지"(1957년)와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엘레지"(1959년), 한스 베르너 헨체의 오페라 "젊은 연인들을 위한 엘레지"(1959년 - 1961년), 욘 레이프스의 "엘레지" 작품번호 53 (1961년), 피터 스칼소프의 비올라와 현을 위한 "엘레지"(2006년)도 있다.

4. 2. 일본 음악

시치리가하마의 애가는 시치리가하마 앞바다에서 발생한 보트 조난 사고를 노래한 유행가이다. 비와호 애가는 비와호에서의 보트 조난 사고를 노래한 유행가이다. 유노마치 엘레지는 오미 토시오의 싱글이다. 안녕 엘레지는 스다 마사키의 싱글이다. 이시카리 엘레지는 키리시마 노보루의 싱글, 시베리아 엘레지는 이토 히사오의 싱글, 젊은 날의 엘레지는 이토 히사오의 싱글이다. 바람의 엘레지는 모리 신이치의 싱글이다. 에노시마 비가(엘레지)는 "엘레지의 여왕"으로 불린 스가와라 츠즈코의 싱글이다. 이시카리가와 비가는 미하시 미치야의 싱글이다. 만가는 유키 사오리의 싱글이다. 이시카리 만가는 키타하라 미레이의 싱글이다. TOKYO ELEGY는 이나가키 준이치의 싱글이다. 애가 (엘레지)는 히라이 켄의 싱글이다.

드래곤 퀘스트 IV 인도받는 자들의 앗템트의 마을 및 전멸 시의 BGM, 아사키가 만든 게임 음악 엘레지, "막달라나 마리아" ~마리아는 두 번 정도 죽는다! 오리엔탈 선샤인 급행 살인 사건~ 극중 노래 엘레지, 텐노지 엘레지는 더 50회전즈의 앨범 "50회전즈의 갸"에 수록, 비가는 가로의 악곡으로 앨범 『음유 시인』에 수록되어 있다.

4. 3. 한국 대중음악

한국 대중음악에서 엘레지는 슬픔과 애도의 감정을 표현하는 다양한 작품들로 나타난다. 시치리가하마의 애가는 시치리가하마 앞바다에서 발생한 보트 조난 사고를 노래한 유행가였다. 비와호 애가는 비와호에서 발생한 보트 조난 사고를 다룬 노래이다. 오미 토시오의 유노마치 엘레지, 스다 마사키의 안녕 엘레지, 키리시마 노보루의 이시카리 엘레지, 이토 히사오의 시베리아 엘레지, 이토 히사오의 젊은 날의 엘레지, 모리 신이치의 바람의 엘레지 등이 있다. "엘레지의 여왕"으로 불린 스가와라 츠즈코는 에노시마 비가(엘레지)를 발표했다. 미하시 미치야의 이시카리가와 비가, 유키 사오리의 만가, 키타하라 미레이의 이시카리 만가, 이나가키 준이치의 TOKYO ELEGY, 히라이 켄의 애가 (엘레지) 등의 작품도 엘레지의 범주에 포함된다. 가로의 앨범 『음유 시인』에 수록된 비가도 주목할 만하다.

5. 영화 및 회화

엘레지는 영화 및 회화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터키에서는 1971년에 엘레지 (1971년 영화)가 제작되었고, 소련에서는 1985년에 다큐멘터리 영화 엘레지 (1985년 영화)가 제작되었다. 미국에서는 2008년에 엘레지 (2008년 영화)가 제작되었다. 회화에서는 윌리엄 아돌프 부그로의 작품인 「엘레지」(1899)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Elegy https://www.oxfordha[...]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 논문 The Old English Elegy as a Genre https://muse.jhu.edu[...] 1984
[3] 문서 According to [[Robert S. P. Beekes|R. S. P. Beekes]]: "The word is probably [[Pre-Greek]]"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p. 404).
[4] 서적 Ancient Greek ele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5]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and Literary Theory https://archive.org/[...] Penguin
[6] 웹사이트 Ancient Greek Elegy https://chs.harvard.[...] 2021-10-01
[7] 웹사이트 Elegy Examples and Definition https://literarydevi[...] 2021-10-01
[8] 서적 The Broadview Anthology of British Literature Broadview Press 2011
[9] 논문 Toward a Theory of Old English Poetic Genres: Epic, Elegy, Wisdom Poetry, and the "Traditional Opening" http://muse.jhu.edu/[...] 2014-10-05
[10] 문서 S. T. Coleridge, ''Specimens of the Table Talk of the late Samuel Taylor Coleridge'' (1835), vol 2, p. 268.
[11] 간행물
[12] 서적 Jorge Manrique's Coplas por la muerte de su padre: A history of the poem and its reception https://books.google[...] Támesis Monografías 2022-02-13
[13] 웹사이트 Intro to Genres: Elegy {{!}} Creative Writing https://creativewrit[...] 2021-10-01
[14] 서적 Hymns for the Fallen: Combat Movie Music and Sound After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7
[15] 서적 ギリシアの詩 岩波文庫
[16] 서적 The Ritual Lament in Greek Tradition https://chs.harvard.[...] Ro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7] 간행물 Latin elegiac poetry https://www.oxfordre[...] Oxford Refer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