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빈 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빈 존스는 미국의 재즈 드러머로, 형인 행크 존스, 태드 존스와 함께 세계적인 재즈 뮤지션으로 활동했다. 1960년부터 1966년까지 존 콜트레인 콰르텟의 멤버로 활동하며, 이후 자신의 밴드인 엘빈 존스 재즈 머신을 이끌었다. 그는 시적 감각, 다중 리듬, 다이내믹, 음색, 레가토 구절을 통해 드럼 세트를 전면에 부각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2004년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재즈 드럼 연주자 - 티토 푸엔테
푸에르토리코계 미국인 팀발레스 연주자, 작곡가, 밴드 리더인 티토 푸엔테는 라틴 재즈와 살사 음악의 선구자로서, 자신의 밴드를 결성하여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Oye Como Va"와 같은 대표곡들을 남기며 라틴 음악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기여했다. - 미국의 재즈 드럼 연주자 - 케니 클라크
케니 클라크는 1940년대 비밥 스타일의 선구적인 드러머로, 찰리 파커, 디지 길레스피 등과 협연하며 모던 재즈 쿼텟 멤버로 활동했고, 비밥 드럼의 전형을 제시하며 많은 영향을 미쳤다. - 미시간주 출신 - 클로드 섀넌
클로드 섀넌은 정보 이론의 창시자이자 디지털 회로 설계의 선구자로, 정보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하여 정보 이론을 개척하고 디지털 회로 설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암호학, 인공지능, 컴퓨터 체스 연구에도 기여하여 현대 디지털 시대의 기반을 구축했다. - 미시간주 출신 - 그레고리 자비스
그레고리 자비스는 미국의 우주비행사이자 엔지니어였으며, 1986년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폭발 사고로 사망한 후 미국 의회 우주 훈장을 수여받았다. - 미국의 재즈 음악가 - 조지 듀크
조지 듀크는 재즈, 펑크, 소울 음악가이자 키보드 연주자, 작곡가, 프로듀서로서, 프랭크 자파, 캐논볼 애덜리와 협연하고 클라크/듀크 프로젝트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디안 리브스, 제프리 오스본 등의 앨범을 제작하고 넬슨 만델라 70세 생일 기념 콘서트 음악 감독을 맡았으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2회 수상했다. - 미국의 재즈 음악가 - 쳇 앳킨스
미스터 기타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미국의 컨트리 음악 기타리스트이자 프로듀서인 쳇 앳킨스는 독창적인 기타 연주 스타일과 수많은 히트곡 제작, 그래미상 14회 수상,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헌액 등으로 컨트리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엘빈 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엘빈 레이 존스 |
출생일 | 1927년 9월 9일 |
출생지 | 미국 미시간주 폰티악 |
사망일 | 2004년 5월 18일 |
사망지 | 미국 뉴저지주 잉글우드 |
활동 기간 | 1948년–2004년 |
음악 스타일 | |
장르 | 모달 재즈 아방가르드 재즈 하드 밥 포스트 밥 |
악기 | 드럼 퍼커션 |
직업 | 음악가 밴드 리더 |
관련 인물 | |
관련 활동 | 서드 존스 행크 존스 소니 롤린스 존 콜트레인 매코이 타이너 지미 개리슨 프랭크 포스터 조 헨더슨 웨인 쇼터 조 패럴 스티브 그로스먼 데이브 리브먼 얀 해머 윈턴 마살리스 |
2. 생애
엘빈 존스는 미국 미시간주 폰티악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형들인 행크 존스, 태드 존스와 함께 세계적인 재즈 뮤지션으로 성공을 거두었다.[4] 1940년대 후반에 군 복무를 마친 후 음악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1950년대 초반 디트로이트에서 활동하다 1955년 뉴욕으로 이주하여 마일스 데이비스, 소니 롤린스, 찰스 밍거스 등과 함께 연주했다.
1960년부터 존 콜트레인 그룹에서 베이시스트 지미 개리슨, 피아니스트 매코이 타이너와 함께 쿼텟을 형성하여 활동했다. 복잡한 리듬을 자연스럽게 연주하여 드럼 연주 기술로 정평이 있었다. 1966년 음악적 견해 차이로 그룹을 떠날 때까지 '알라바마' 등 콜트레인의 많은 작품과 연주에 참여했다.
1960년대에는 블루 노트 레이블을 중심으로 웨인 쇼터, 그랜트 그린, 래리 영 등의 레코딩에 참여하여 역사적인 명반을 다수 남겼다. 이후 자신의 그룹 "재즈 머신"을 이끌며 활동했다.
1966년 일본 방문 시 문제로 인해 잠시 귀국하지 못하게 되었지만, 이때 일본인 뮤지션들의 지원을 받아 '친일파'가 되었다. 일본인 케이코 존스와 결혼 후 일본 방문 기회가 많았고, 카라시마 후미오, 무카이 시게하루, 나카야마 에이지 등 일본인 연주자들을 재즈 머신의 멤버로 기용했다. 만년에는 매년 연초 신주쿠 핏 인에서 공연하는 것이 정례화되었다.
2004년 5월 18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76세.[18]
2. 1. 어린 시절
그는 두 살 때부터 드럼에 특별한 매력을 느꼈다고 한다. 어릴 적 그는 집 앞을 지나가는 서커스 퍼레이드를 보면서 특히 군악대 드러머들에게 흥미를 느꼈다.[10] 이러한 초기 열정을 따라, 엘빈은 고등학교의 흑인 군악대에 들어가 기본기를 다졌다.2. 2. 군 복무 (1946-1949)
존스는 1946년부터 1949년까지 미국 육군에서 복무했다.[5] 제대 후, 제대 수당과 누나에게 빌린 35USD로 첫 드럼 세트를 구입했다.[6]2. 3. 초기 활동 (1949-1960)
엘빈 존스는 미시간주 폰티악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형들인 행크 존스와 태드 존스와 함께 세계적인 재즈 뮤지션으로 성공을 거두었다.[4] 그는 두 살 때부터 드럼에 큰 관심을 보였고, 어렸을 때부터 서커스 마칭 밴드의 드럼 연주에 매료되었다고 한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블랙 마칭 밴드에 가입하여 루디먼트 등 드럼의 테크닉을 연마했다.1946년부터 1949년까지 미국 육군에서 복무하였으며, 제대 후에는 친누나에게 35달러를 빌려 첫 드럼 세트를 구매했다.[4] 1949년부터 디트로이트의 재즈 클럽 등에서 연주를 시작했으며, 이후 마일스 데이비스 등과 교류하였다. 그해 뉴욕에서 베니 굿맨 밴드의 오디션을 보았지만 통과하지 못했다. 하지만 곧 찰스 밍거스 밴드에 고용되어 뉴욕에서의 첫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1949년 디트로이트의 그랜드 리버 스트리트(Grand River Street)에 있는 한 클럽에서 잠시 연주하며 전문 음악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4] 이후 빌리 미첼과 워델 그레이 등 여러 아티스트들과 함께 연주했다. 1955년, 베니 굿맨 밴드 오디션에 실패한 후, 뉴욕 시에서 마일스 데이비스와 찰스 밍거스와 함께 밍거스가 공동 소유한 데뷔 레이블에서 그들의 앨범 ''블루 무드''에 참여하며 활동했다.[4][7] 1950년대 후반에는 소니 롤린스 트리오의 멤버로 활동하며 앨범 ''A Night at the Village Vanguard''를 녹음했는데, 이 앨범은 롤린스와 1950년대 재즈 모두에게 중요한 작품으로 꼽힌다.[5][8][9]
2. 4. 존 콜트레인 콰르텟 (1960-1966)
1960년 엘빈 존스는 존 콜트레인과 함께 연주하기 시작했다.[10] 1962년까지 그는 베이시스트 지미 개리슨과 피아니스트 맥코이 타이너와 함께 존 콜트레인 쿼텟의 핵심 멤버가 되었다.[10] 존스와 콜트레인은 종종 긴 듀엣 연주를 하곤 했다. 이 밴드는 루이 암스트롱, 찰리 파커 등이 재즈 발전의 초기 단계에서 그랬던 것처럼 "스윙"(재즈의 리듬감)을 재정의한 것으로 널리 여겨진다. 존스는 콜트레인과 함께 연주했던 그 시절에 대해 "우리가 밴드 무대에 오를 때마다 - 500마일을 왔든 1000마일을 왔든 상관없이 - 피로가 싹 가셨어요. 그것은 한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것 중 하나였어요. 인간 관계에서 완벽한 조화와 같은 것이 있다면, 그 밴드가 거기에 가장 가까웠을 겁니다."라고 말했다.[4]1966년 초, 존스는 콜트레인의 새로운 방향, 특히 그의 다선율 스타일이 그룹의 두 번째 드러머인 라시드 알리의 "다방향" 접근 방식과 충돌하면서 완전히 편안함을 느끼지 못하고 콜트레인과 결별했다. 그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들을 수 없었어요... 저는 기여할 수 없다고 느꼈어요."라고 말했다.[4]

2. 5. 엘빈 존스 앤드 재즈 머신 (1966-2004)
1966년 존 콜트레인 콰르텟을 탈퇴한 후, 엘빈 존스는 '엘빈 존스 앤드 재즈 머신'을 결성하여 타계할 때까지 활동하였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이끌었던 여러 밴드들은 영향력 있는 그룹으로 평가받는다.[5] 특히 조 패럴(Joe Farrell), 지미 개리슨(Jimmy Garrison)과 함께 결성한 트리오는 주목할 만하며, 블루 노트 레코드(Blue Note Records)에서 ''Puttin' It Together''와 ''The Ultimate'' 앨범을 녹음했다.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 엘빈 존스는 블루 노트 레코드에서 자신의 이름으로 많은 음반을 녹음했다. 이 밴드에는 스티브 그로스만(Steve Grossman), 데이브 리브먼(Dave Liebman) 등 저명한 뮤지션뿐만 아니라 떠오르는 신예 뮤지션들도 참여했다. 2개의 앨범으로 구성된 ''Live at the Lighthouse''에는 당시 20대 초반이었던 그로스만과 리브먼이 참여했다.
1980년대 초부터 존스는 자신의 그룹인 '''엘빈 존스 재즈 머신'''과 함께 공연하고 녹음했는데, 그룹의 라인업은 여러 해 동안 바뀌었다.[11] 1990년대 초에는 소니 포춘(Sonny Fortune)과 존 콜트레인의 아들인 라비 콜트레인(Ravi Coltrane)이 재즈 머신에서 색소폰을 연주했으며, 1991년 엔자 레코드(Enja Records)에서 발매된 ''In Europe''에 존스와 함께 출연했다.
1999년에 녹음되어 2004년에 발매된 ''The Truth: Heard Live at the Blue Note''는 엘빈 존스가 리더로서 마지막으로 녹음한 앨범이다. 이 앨범에는 앤투안 로니(Antoine Roney, 색소폰), 로빈 유뱅크스(Robin Eubanks, 트롬본), 대런 배럿(Darren Barrett, 트럼펫), 카를로스 맥키니(Carlos McKinney, 피아노), 진 페를라(Gene Perla, 베이스)와 게스트 색소폰 연주자 마이클 브레커(Michael Brecker) 등 확대된 버전의 재즈 머신이 참여했다.[12]
1990년과 1992년, 엘빈 존스 재즈 머신은 윈턴 마살리스(Wynton Marsalis)와 협력하여 뉴욕 더 보텀 라인(The Bottom Line)에서 공연했다.[13] 그의 마지막 녹음 중 하나는 행크 존스(Hank Jones), 리처드 데이비스(Richard Davis)와 함께 The Great Jazz Trio라는 이름으로 녹음한 ''Autumn Leaves'' 앨범이다.[11][14]
이 시기에 존스의 음악에 기여한 다른 주요 음악가로는 페퍼 애덤스(Pepper Adams), 조지 콜먼(George Coleman), 프랭크 포스터(Frank Foster), 리 모건(Lee Morgan), 진 페를라(Gene Perla), 얀 해머(Jan Hammer), 오리건(Oregon) 등이 있다.
엘빈 존스는 일본과도 인연이 깊다. 일본인 뮤지션들의 지원으로 '친일파'가 되었으며, 일본인 아내 케이코 존스와 결혼 후 일본 방문 기회가 많았다. 카라시마 후미오, 무카이 시게하루, 나카야마 에이지 등 일본인 연주자들을 재즈 머신의 멤버로 기용하기도 했으며, 만년에는 매년 연초 신주쿠 핏 인에서 공연하는 것이 정례화되었다.
2. 6. 일본과의 인연
1966년 일본에 방문했을 때, 문제로 인해 잠시 귀국하지 못하게 되었지만, 이때 일본인 뮤지션들의 지원을 받아 '친일파'가 되었다.[4] 아내는 일본인 케이코 존스이며 일본 방문 기회가 많았고, 카라시마 후미오, 무카이 시게하루, 나카야마 에이지 등 일본인 연주자들을 자신의 그룹 "재즈 머신"의 멤버로 맞이했다.[4] 만년에는 매년 연초에 "신주쿠 핏 인"에서 공연하는 것이 정례화되었다.[4]2. 7. 사망
엘빈 존스는 2004년 5월 18일 뉴저지주 잉글우드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18] 향년 76세. 그는 첫 번째 부인 셜리, 자녀 엘빈 네이선 존스, 로즈-마리 존스, 그리고 두 번째 사실혼 관계의 부인 오쿠야 케이코를 남겨두었다.[19]3. 연주 스타일 및 영향
존스는 시기 감각, 다중 리듬, 다이내믹, 음색, 레가토 구절을 통해 드럼 세트를 전면에 부각시키는 데 기여했다. 1970년 ''라이프''지에 실린 한 기사에서 앨버트 골드만은 존스를 "세계 최고의 리듬 드러머"라고 칭했다.[20] 그의 자유로운 스타일은 크리스찬 반더(마그마), 미치 미첼[21](지미 헨드릭스는 그를 "나의 엘빈 존스"[22]라고 불렀다), 진저 베이커,[23] 빌 브루포드,[24] 존 덴스모어 (도어스), 브라이언 비글리오네 (드레스덴 돌스 및 바이올런트 팜스) (엘빈은 그가 11살 때부터 그의 주요 영감이었다)[25] 및 자넷 와이스를 포함한 많은 주요 드러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4. 주요 작품
엘빈 존스는 존 콜트레인 콰르텟, 엘빈 존스 앤드 재즈 머신, 그리고 다른 음악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음반을 발매하며 재즈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1]
존 콜트레인 콰르텟과 엘빈 존스 앤드 재즈 머신 활동 외에도, 엘빈 존스는 데이비드 머레이, 케니 게럿, 소니 샤록, 행크 존스 등 여러 음악가들과 협업하며 음반을 남겼다.[1]
4. 1. 존 콜트레인 콰르텟
1960년부터 1966년까지 존 콜트레인 콰르텟의 멤버로 맥코이 타이너, 지미 게리슨과 함께 활동하였다. 이 콰르텟은 가장 위대한 색소폰 연주자로 칭송받는 존 콜트레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콰르텟은 ''어 러브 스프림(A Love Supreme)'', ''발라드(Ballads)'', ''Live at the Village Vanguard(Live at the Village Vanguard)'', ''메디테이션(Meditation)'' 등 수많은 명반을 남겼다.4. 2. 엘빈 존스 앤드 재즈 머신
엘빈 존스는 존 콜트레인 콰르텟에서 탈퇴한 후 '엘빈 존스 앤드 재즈 머신'을 이끌며 타계할 때까지 활동하였다.[1]다음은 엘빈 존스 앤드 재즈 머신 및 엘빈 존스 명의의 주요 음반 목록이다.
발매 연도 | 음반 이름 | 레이블 | 비고 |
---|---|---|---|
1958 | 'Keepin Up with the Joneses'' | MetroJazz | 행크 존스, 새드 존스, 에디 존스 참여 |
1961 | Together! | Atlantic | 필리 조 존스와 공동 명의 |
1961 | Elvin! | Riverside | 1961년 7월, 12월, 1962년 1월 녹음. 행크 존스, 새드 존스 참여 |
1963 | Illumination! | Impulse! | 1963년 8월 녹음 |
1965 | Dear John C. | Impulse! | 1965년 2월 녹음. 행크 존스 참여 |
1965 | And Then Again | Atlantic | 1965년 2월, 3월 녹음. 행크 존스 참여 |
1966 | Midnight Walk | Atlantic | |
1967 | Heavy Sounds | Impulse! | 1967년 6월 녹음. 와 공동 명의 |
1968 | 'Puttin It Together'' | Blue Note | 1968년 4월 녹음 |
1969 | The Ultimate | Blue Note | |
1970 | Poly-Currents | Blue Note | |
1970 | Coalition | Blue Note | |
1971 | Genesis | Blue Note | |
1971 | Merry-Go-Round | Blue Note | |
1971 | Elvin Jones Live: The Town Hall | PM Records | |
1972 | Mr. Jones | Blue Note | |
1972 | Live at the Lighthouse | Blue Note | |
1973 | At This Point in Time | Blue Note | |
1973 | The Prime Element | Blue Note | |
1973 | Hollow Out | Philips | 키쿠치 마사유키와 공동 명의 |
1974 | Live at the Village Vanguard | Enja | 1968년 3월 녹음 |
1975 | Mr. Thunder | East West | |
1975 | On the Mountain | PM | |
1975 | New Agenda | Vanguard | |
1976 | The Main Force | Vanguard | |
1976 | Summit Meeting | Vanguard | |
1977 | Time Capsule | Vanguard | |
1978 | Remembrance | MPS | |
1978 | Music Machine | Mark Levison (Japan) | |
1978 | Live in Japan 1978: Dear John C. | Trio (Japan) | |
1978 | Elvin Jones Jazz Machine Live in Japan Vol. 2 | Trio (Japan) | |
1979 | Very R.A.R.E. | Trio (Japan) | |
1980 | Soul Train | Denon | |
1980 | Heart to Heart | Denon | |
1982 | Earth Jones | Palo Alto | |
1982 | Love & Peace | Trio (Japan) | 매코이 타이너와 공동 명의 |
1982 | Brother John | Palo Alto | |
1984 | Live at the Village Vanguard Volume One | Landmark | 1984년 7월 녹음 |
1985 | Elvin Jones Jazz Machine Live at Pit Inn | Polydor Japan | 신주쿠 핏 인에서의 라이브 |
1990 | Power Trio | Novus | 존 힉스, 세실 맥비와 공동 명의 |
1990 | When I Was at Aso-Mountain | Enja | |
1992 | Youngblood | Enja | 1992년 4월 녹음 |
1993 | Going Home | Enja | 1992년 10월 녹음 |
1994 | Tribute to John Coltrane "A Love Supreme" | Columbia (Japan) | 1992년 12월 녹음 |
1994 | 'It Dont Mean a Thing...'' | Enja | 1993년 10월 녹음 |
1998 | Momentum Space | Verve | |
1999 | The Truth: Heard Live at the Blue Note | Half Note | |
2015 | In Europe | Enja | 1991년 6월 녹음 |
2015 | Going Home | Enja | 1992년 10월 녹음 |
2017 | 'At Onkel Pös Carnegie Hall'' | Jazzline | 1981년 9월 녹음 |
4. 3. 기타
엘빈 존스는 미시간주 폰티악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형들인 행크 존스, 태드 존스와 함께 세계적인 재즈 뮤지션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1946년부터 1949년까지 군 복무 후 뉴욕으로 이주하여 찰스 밍거스 밴드, 버드 파웰, 마일스 데이비스 등의 사이드 맨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1960년부터 1966년까지 존 콜트레인 콰르텟의 멤버로 맥코이 타이너, 지미 게리슨과 함께 활동하였다. 존 콜트레인 콰르텟에서 탈퇴한 후 '엘빈 존스 앤드 재즈 머신'을 이끌며 타계할 때까지 활동하였다.[1]엘빈 존스가 참여한 주요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1]
발매 연도 | 음반명 | 레이블 |
---|---|---|
1990 | 데이비드 머레이 - Special Quartet | DIW/Sony |
1991 | 케니 게럿 - African Exchange Student | Atlantic |
1991 | 소니 샤록 - Ask the Ages | Axiom |
1991 | 자본 잭슨 - Me And Mr. Jones | Criss Cross |
1993 | 행크 존스 - Upon Reflection - The Music of Thad Jones | Verve |
1993 | 로버트 허스트 - One For Namesake | DIW |
1995 | 그레그 팩햄 - Into The Frying Pan | Packed Records |
1995 | 존 맥러플린 - After the Rain | Verve |
1995 | 셜리 혼 - The Main Ingredient | Verve |
1997 | 제임스 윌리엄스 - Awesome! | DIW |
1998 | 조 로바노 - Trio Fascination: Edition One | Blue Note |
1999 | 스티브 그리그스 - Jones for Elvin Volume 1 and Volume 2 | Hip City Music |
1999 | 마이클 브레커 - Time Is of the Essence | Verve |
2000 | 스테파노 디 바티스타 - Stefano di Battista | Blue Note |
2001 | 빌 프리젤 - With Dave Holland and Elvin Jones | Nonesuch |
2002 | 더 그레이트 재즈 트리오 - 고엽 | Eighty-Eight's |
2003 | 더 그레이트 재즈 트리오 - 언젠가 왕자님이 | Eighty-Eight's |
2004 | 더 그레이트 재즈 트리오 - Collaboration | Eighty-Eight's |
참조
[1]
웹사이트
Elvin Jone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1-10-19
[2]
웹사이트
Modern Drummer's Readers Poll Archive, 1979–2014
http://www.moderndru[...]
2015-08-10
[3]
서적
The history of jazz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
웹사이트
A Walk to the Park, Profile (Elvin Jones)
https://www.bangthed[...]
The New Yorker
1968-05-18
[5]
서적
The Guinness Who's Who of Jazz
Guinness Publishing
1992
[6]
뉴스
Elvin Jones NPR interview
https://www.npr.org/[...]
2007-05-30
[7]
웹사이트
Charles Mingus And Miles Davis: Changing Moods
https://www.allabout[...]
All About Jazz
2017-03-11
[8]
웹사이트
Hard Bop (Essay)
http://allmusic-biog[...]
Allmusic
2012-08-24
[9]
간행물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Penguin
2008
[10]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irgin Books
1997
[11]
웹사이트
Elvin Jones
https://www.pas.org/[...]
Percussive Arts Society
2021-12-30
[12]
웹사이트
Elvin Jones Jazz Machine: The Truth: Heard Live At The Blue Note
https://www.allabout[...]
All About Jazz
2004-10-13
[13]
웹사이트
Elvin Jones Jazz Machine with Wynton Marsalis
https://wyntonmarsal[...]
2021-12-30
[14]
웹사이트
The Great Jazz Trio - Autumn Leaves
https://www.discogs.[...]
2004-05-18
[15]
웹사이트
The Complete Songs of Innocence and Experience - Allen Ginsberg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9-04-28
[16]
뉴스
Zachariah (1970) Screen: 'Zachariah,' an odd Western
https://www.nytimes.[...]
1971-01-25
[17]
웹사이트
Berklee Honors Rollins, Holds Summer Clinics
https://jazztimes.co[...]
2017-07-21
[18]
뉴스
Elvin Jones, Jazz Drummer With Coltrane, Dies at 76
https://www.nytimes.[...]
2017-12-04
[19]
웹사이트
Final Bar: Jazz Obituaries
https://downbeat.com[...]
2024-06-21
[20]
간행물
Elvin Jones' Kinesthetic Trip: World's Best Rhythm Drummer
https://books.google[...]
Life
1970-02-06
[21]
간행물
The Continuing Experience of Mitch Mitchell
https://archive.org/[...]
Modern Drummer
1981-12
[22]
서적
Jimi Hendrix Gear: The Guitars, Amps & Effects That Revolutionized Rock 'n' Roll
Voyageur Press
[23]
간행물
The Homogenized Sound
http://www.mediafire[...]
The Camden Courier-Post
1968-01-13
[24]
서적
The Music's All that Matters: A History of Progressive Rock
Quartet Books Limited
1997
[25]
웹사이트
Meet Brian Viglione of The Dresden Dolls in Beverly Hills - Voyage LA Magazine {{!}} LA City Guide
http://voyagela.com/[...]
2020-02-18
[26]
웹사이트
VIEW DVD Listing
http://www.view.com/[...]
View.com
2011-10-19
[27]
서적
JAZZ“名盤”入門!
宝島社
[28]
웹사이트
Elvin Jones All music
https://www.allmusic[...]
2020-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