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강군 (강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강군은 전한 시대에 형산군과 구강군의 일부를 떼어 신설된 군으로, 현재 안칭시와 루안시 남부 지역에 해당한다. 신나라 시기에는 현의 이름이 일부 변경되었고, 후한 시대에는 육안국이 통폐합되면서 군역이 확장되었다. 삼국 시대에는 위나라와 오나라로 분할되었고, 서진 시대에는 심양군으로 분리되기도 했으나 영가의 난 이후 대부분의 현이 폐지되었다. 이후 유송, 수나라를 거쳐 당나라 시대에 여주로 개편되었다가 여강군으로 잠시 바뀌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후이성의 군 - 패군
패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 사수군에서 유래하여 한나라, 왕망 시대, 후한, 삼국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다가 남북조 시대 북주에 의해 펑청군에 통합되어 소멸되었다. - 안후이성의 군 - 양군 (행정 구역)
양군은 기원전 225년 진나라가 위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한 탕군에서 유래한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는 양효왕의 아들 유매가 봉해지면서 양군 또는 양국으로 불렸으며, 왕조의 변화에 따라 명칭과 범위가 달라졌고 한국사와도 다양한 연관을 맺었다. - 후베이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후베이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동오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동오의 군 - 예장군
예장군은 기원전 201년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으며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재설치되기도 했다.
여강군 (강북) | |
---|---|
개요 | |
전칭명(全稱名) | 여강군(廬江郡) |
별칭 | 강(江), 완(皖) |
위치 | 회수 중하류, 완강 지역 |
기원 | 전국 시대 |
폐지 시기 | 남진 시기 |
연혁 | |
전국 시대 | 원래는 춘추 시대 말기 월나라에 속했으며, 월나라가 멸망한 후 초나라에 속했다. |
진나라 시기 | 진나라는 구강군을 설치했다. |
한나라 초기 | 기원전 201년, 유방은 영포를 회남왕으로 봉하면서 회남국을 세웠고, 구강군은 회남국에 속했다. |
한나라 시기 (기원전 122년) | 원삭 5년, 회남왕 유안이 모반하여 자결하자 회남국은 폐지되었고, 옛 회남국의 구강, 여강, 형산군은 한나라 조정에 귀속되었다. |
한나라 시기 (기원전 106년) | 원봉 5년, 무제는 전국을 13개의 주로 나누면서 여강군은 양주에 속했다. |
한나라 시기 (시기 미상) | 치소는 서현이었다. 관할 구역은 지금의 안후이성 중부, 회하와 장강 사이 지역이었다. |
후한 시기 | 후한 시기에도 여강군이 설치되었으며, 조조가 환성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
삼국 시대 | 삼국 시대에는 조위에 속했다. |
서진 시기 | 서진 시기에는 강주에 속했다. |
동진 시기 | 동진 시기에 여강군은 회남군으로 개명되었다. |
남조 송나라 시기 | 유송 시기에 회남군이 다시 여강군으로 개명되었다. |
남진 시기 | 남진 시기에 여강군은 폐지되었다. |
역대 태수 | |
전한 시기 | 매견 등장 장창 갈의 오 왕횡 |
후한 시기 | 육강 주상 화흠 이술 범방 유기 원환 서간 장훈 장윤 |
2. 전한
기원전 121년, 옛 회남나라와 강도나라의 관할 구역이 재편되면서 형산군과 구강군의 일부를 떼어내 여강군을 신설했다. 이름은 이전에 양쯔 강 이남에 존재한, 여강수를 끼고 있는 여강군에서 따왔다(여강수는 구 여강군 폐지 이후 단양군의 영역에 있었다). 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 기준 12만 4383호, 45만 7333명이 거주했다. 누선관(樓船官)이 있었다. 대략 현대의 안칭시와 루안시 남부 지역에 해당한다.
한고제 4년인 기원전 203년, 영포가 회남왕에 봉해져 구강군·형산군·노강군·예장군을 관할하는 회남국이 설치되었다. 한문제 16년인 기원전 164년, 유사(劉賜)가 노강왕에 봉해져 회남국이 분할되어 장강 남안에 '''노강국'''이 설치되었다. 원수 2년인 기원전 121년, 강북의 형산군 동부와 구강군 남부를 분할하여 다시 노강군이 설치되었다.[1]
2. 1. 속현 (전한)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서현 | 舒縣 | 허페이시 루장현 | 옛 나라이다. |
거소현 | 居巢縣 | 차오후시 동북 | 춘추좌씨전의 소(巢)나라이다. |
용서현 | 龍舒縣 | 루안시 수청현 남쪽 오현진(五顯鎭) | 응소에 따르면 군서(群舒)의 읍이다.[9] |
임호현 | 臨湖縣 | 우후시 우웨이현 | |
우루현 | 雩婁縣 | 신양시 구스현 동남쪽 진림자진(陈琳子镇) | 결수(決水)가 북쪽으로 요(蓼)에 이르러 회수로 들어가고, 관수(灌水)는 북쪽으로 요(蓼)에 이르러 결수로 들어가는데, 두 군을 지나 510리를 지난다. |
양안현 | 襄安縣 | 우후시 우웨이현 양안진 | |
종양현 | 樅陽縣 | 퉁링시 쭝양현 | |
심양현 | 尋陽縣 | 황강시 황메이현 | 남쪽에 우공의 구강(九江)이 있어 모두 동쪽에서 합해 큰 강이 된다. |
첨현 | 灊縣 | 황강시 고추성 | 남쪽에 천주산이 있고, 사당이 있다. 비산(沘山)이 있어 비수(沘水)가 발원하고, 북쪽으로 수춘에 이르러 작피에 들어간다. |
환현 | 睆縣 | 안칭시 첸산현 | 철관이 있었다. |
호릉읍 | 湖陵邑 | 안칭시 타이후현 남쪽 대석향(大石鄕) 남쪽 | 남쪽에 북호(北湖)가 있다. |
송자후국 | 松茲候國 | 안칭시 쑤쑹현 북쪽 지봉향(趾鳳鄕) 동쪽 | 후한 때 폐지되었다가 후에 복구되어 오나라 서릉군에 편입되었다.[10] |
신나라에서는 전한 시대 현의 이름을 일부 고쳤다.
3. 신나라
전한 신 서현 곤향(昆鄕) 양안현 여강정 송자현 송선(誦善)
3. 1. 개칭된 현 (신나라)
전한 | 신 |
---|---|
서현 | 곤향(昆鄕) |
양안현 | 여강정 |
송자현 | 송선(誦善) |
4. 후한
후한 초, 이헌이 서현을 중심으로 회남나라를 세웠으나, 30년 후한 광무제에게 멸망했다. 37년(후한 광무제 건무 13년), 육안국이 통폐합되면서 군역이 확장되었다. 후한 말, 태수 육강이 여강군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원술이 보낸 손책에게 함락되었다.[11]
4. 1. 속현 (후한)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서현 | 舒縣 | 허페이시 루장현 | 주유의 출생지이다.[11] |
우루현 | 雩婁縣 | 신양시 구스현 동남 진림자진(陈琳子镇) | [11] |
심양현 | 尋陽縣 | 황강시 황메이현 | 남쪽에 구강(九江)이 있는데 동쪽에서 합쳐져 대강이 된다.[11] |
첨현 | 潛縣 | 황강시 고추성 | [11] |
임호후국 | 臨湖候國 | 우후시 우웨이현 | 오나라에 편입되었다. 243년(오 대제 적오 6년) 폐지되었다.[11] |
용서후국 | 龍舒候國 | 루안시 수청현 남 오현진(五顯鎭) | [11] |
양안현 | 襄安縣 | 우후시 우웨이현 양안진 | 오나라에 편입되었다. 243년 폐지되었다.[11] |
환현 | 皖縣 | 안칭시 첸산현 | 철이 생산된다. 오나라에 편입되었다.[11] |
거소후국 | 居巢候國 | 차오후시 동북 | [11] |
육안국 | 六安國 | 루안시 | [11] |
요후국 | 蓼候國 | 신양시 구스현 북 | [11] |
안풍현 | 安豐縣 | 신양시 구스현 남동 장로부향(張老埠鄕) 남동 차만(岔灣) | 현내에 대별산이 있다.[11] |
양천후국 | 陽泉候國 | 루안시 훠추현 남서 오로점(吳老店) | [11] |
안봉후국 | 安鳳候國 | [11] |
5. 삼국 시대
214년(후한 헌제 건안 19년), 환현, 임호현, 양안현 3개 현은 손권이 점령하여 서릉군을 신설하면서 오나라에 편입되었고, 나머지는 위나라의 여강군으로 편입되었다. 220년에는 안풍군이 분리되었다.[1]
6. 진
오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한 진나라는 오나라의 서릉군, 기춘군 심양현을 여강군에 통합했다. 본래 10현 4,200호를 거느렸다.[12] 304년 (서진 혜제 영흥 원년), 심양현과 무창군 시상현이 심양군으로 분리되었고, 영가의 난이 발발한 310년 (서진 회제 영가 4년) 대부분의 현이 폐지되었다.[12] 이후 회남지방에 예주가 교치되면서 예주로 소속이 바뀌었으나 회남군처럼 군이 교치되는 것은 면했다. 동진 안제 시기 군의 남부지역, 지금의 안칭시 일대가 진희군으로 분리되었다.[13]
6. 1. 속현 (진)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양천현 | 陽泉縣 | 루안시 훠추현 남서 오로점(吳老店) | 310년 폐지되었다.[12] |
서현 | 舒縣 | 루안시 수청현 | 지금의 수청현에서 복구되었다. 현내에 동향(桐鄉)이 있었다. |
첨현 | 潛縣 | 황강시 고추성 | 현 남쪽에 천주산(天柱山)이 있었다. |
환현 | 皖縣 | 안칭시 첸산현 | 310년 폐지되었다.[12] |
심양현 | 尋陽縣 | 황강시 황메이현 | 304년 심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거소현 | 居巢縣 | 차오후시 동북 | 310년 폐지되었다.[12] |
임호현 | 臨湖縣 | 우후시 우웨이현 | 310년 폐지되었다.[12] |
양안현 | 襄安縣 | 우후시 우웨이현 양안진 | 310년 폐지되었다.[12] |
용서현 | 龍舒縣 | 루안시 수청현 남 오현진(五顯鎭) | |
육현 | 六縣 | 루안시 |
7. 유송
南朝 宋중국어 때 여강군은 남예주에 속했으며, 3현 1,909호 11,997명을 거느렸다.[13] 명제 태시 3년(467년)에 시신현이 신설되었으나 어디에 설치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7. 1. 속현 (유송)
8. 수
개황 초, 군현제가 폐지되고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여강군이 폐지되고 '''여주(廬州)'''가 설치되었다. 수양제 때 여강군으로 바뀌었으며, 7현 41,632호를 거느렸다.[14]
8. 1. 속현 (수)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합비현 | 合肥縣 | 허페이시 | 개황 초기 여음군과 북제 때 설치된 북진군(北陳郡)이 통폐합되면서 합비현이 만들어졌다. |
여강현 | 廬江縣 | 허페이시 루장현 | 양나라 때 여강군에 상주(湘州)가 설치되었으나 북제 때 폐지되었다. 현내에 야포산(冶甫山), 상박산(上薄山), 삼공산(三公山), 성산(聖山), 남가산(藍家山)이 있었다. |
양안현 | 襄安縣 | 허페이시 차오후시 | 개황 초기 기현(蘄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구산(龜山), 자휘산(紫微山), 아부산(亞父山), 반양산(半陽山), 백석산(白石山), 사정산(四鼎山)이 있었다. |
신현 | 慎縣 | 허페이시 페이둥현 양원진(梁園鎭) | 동위 때 설치된 평양군(平梁郡)은 진나라 때 양군(梁郡)으로 개명되었으나 개황 초기 여주에 통폐합되었고 신현이 본주로 내속되었다. 현내에 부도산(浮闍山)이 있었다. |
곽산현 | 霍山縣 | 루안시 훠산현 | 북제 때 곽주(霍州)가 폐지되었고 개황 초기 악안군(岳安郡)이 폐지되었으며 악안현(岳安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비수현 | 渒水縣 | 루안시 진안구 북 | 개황 초기, 양나라에 의해 설치된 북패군(北沛郡)과 신채현(新蔡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추성산(墜星山)이 있었다. |
개화현 | 開化縣 | 루안시 위안구 청산향(靑山鄕) | 양나라 때 설치된 현이다. 현내에 형산(衡山), 구공산(九公山), 답고산(蹋鼓山), 천산(天山), 다지산(多智山)이 있었다. |
9. 당
620년(당 고조 무덕 3년),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여주가 다시 설치되었고, 여주는 합비현, 신현, 여강현 3개 현만을 차지했다.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소주(巢州)가 폐지되면서 소현(巢縣)이 본주로 내속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여주가 여강군으로 바뀌었다.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가 다시 실시되면서 여주로 바뀌었다. 본래 중급주였지만 상급주로 격상되었으며, 5현 43,323호 205,396명을 거느렸다.[15]
9. 1. 속현 (당)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합비현 | 合肥縣중국어 | 허페이시 | |
신현 | 慎縣중국어 | 허페이시 페이둥현 양원진(梁園鎭) | |
소현 | 巢縣중국어 | 허페이시 차오후시 | 620년(당 고조 무덕 3년), 소주(巢州)가 분리되었고 양안현에서 개성현(開城縣)이 신설되었다.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소주가 여주에 통폐합되면서 개성현과 부양현이 통폐합되었고 양안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15] |
여강현 | 廬江縣중국어 | 허페이시 루장현 | |
서성현 | 舒城縣중국어 | 루안시 수청현 | 735년(당 현종 개원 23년), 합비현과 여강현에서 신설되었고 옛 용서현(龍舒縣)의 이름을 따와 현이 설치되었다.[15] |
10. 장관
원본 소스에 여강군(강북)의 장관에 대한 정보가 없어 이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10. 1. 여강연솔
이헌(? ~ 23년)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後漢書
[3]
서적
晋書
[4]
서적
宋書
[5]
서적
南斉書
[6]
서적
魏書
[7]
서적
隋書
[8]
서적
旧唐書
[9]
문서
주나라 시대의 주나라 동쪽 중화 문명 밖의 집단(동이) 중 명칭에 서(舒)를 공유하는 집단(서, 서구, 서요 등)들이다.
[10]
서적
한서
[11]
웹사이트
後漢書 속한지 제 22 군국지 4 양주 여강군
https://zh.wikisourc[...]
[12]
웹사이트
진서 15권 지 제5 지리지 下 양주 여강군
https://zh.wikisourc[...]
[13]
웹사이트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남예주 여강군
https://zh.wikisourc[...]
[14]
웹사이트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지 下 양주 여강군
https://zh.wikisourc[...]
[15]
웹사이트
구당서 40권 지 제20 지리지 3 회남도 여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