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과는 혼합물에서 입자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고체 입자를 분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여과는 거름종이와 깔때기를 이용하거나 멤브레인 필터, 원심력을 활용하는 방법 등으로 나뉘며, 화학 실험, 화학 공업,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여과 기술은 산업 분야에서 정수 및 하수 처리, 식품 및 음료 제조, 제약, 화학 공업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일상생활에서는 정수기, 커피 필터, 공기 청정기, 마스크 등에서 활용된다. 생물학적 여과는 생물체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며, 여과 섭식은 물속에서 먹이를 걸러 먹는 방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과 - 정제수
    정제수는 식수나 지하수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무기 이온, 유기 화합물, 박테리아 등을 없앤 물로, 증류, 탈이온화, 역삼투 등의 방법으로 정제하여 산업, 의약품 제조, 실험 등에 사용되지만, 미네랄 제거로 인한 건강 영향에 대한 논의도 있다.
  • 여과 - 합성막
    합성막은 분리 공정에 사용되는 막으로,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형태에 따라 조밀막, 다공성막, 비대칭막으로 나뉘고, 표면의 화학적 특성이 막의 여러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 화학공학 공정 - 디카페인
    디카페인은 커피나 차에서 카페인을 제거한 제품을 의미하며, 유기 용매, 물, 초임계 이산화탄소 등을 이용한 탈카페인 기술로 제조되거나 카페인 없는 커피나무를 재배하는 방법으로 생산된다.
  • 화학공학 공정 - 건조
    건조는 물질 속 수분을 증발시켜 고체나 반고체 상태로 만드는 과정으로, 식품 보존, 화학 실험, 산업 공정, 방송 공학, 생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DNA 손상을 유발하거나 미생물의 저항성을 진화시키기도 한다.
  • 분석화학 - 도가니
    도가니는 금속이나 기타 물질을 고온에서 가열, 용융, 정련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로, 기원전 6~5천년경에 등장하여 구리 제련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화학 분석, 금속 제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분석화학 - 미량 원소
    미량 원소는 지구과학에서 지각 내 극미량 원소를, 생물학에서 생명 활동에 필수적이나 함량이 적은 원소를 뜻하며, 두 분야의 정의는 다르나 극소량으로 존재하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생물학적으로는 철보다 함량이 적은 원소를 지칭하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 결핍 및 과다 섭취는 건강 문제를 야기하므로 적정량 섭취가 중요하다.
여과
기본 정보
정의고체 입자와 액체 또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고체 입자를 분리하는 공정
다른 이름필터링
관련 항목원심 분리
침전
크로마토그래피
유형
기전표면 여과
심층 여과
작동 압력압력 여과
진공 여과
구동력중력 여과
원심 여과
활용
산업식수 처리
폐수 처리
화학 제조
식품 산업
제약
HEPA 필터 구조
HEPA 필터 구조
추가 정보
설명여과는 고체 입자와 액체 또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고체 입자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분리 공정임.
원리여과 매체를 통해 액체 또는 기체를 통과시켜 고체 입자를 걸러냄.
특징여과는 화학 및 생물학 연구실에서 원치 않는 고체를 제거하는 데 유용하며, 다양한 산업에서 대규모 물질 정제에 사용됨.

2. 여과의 원리 및 방법

여과는 혼합물 내 입자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이다. 액체나 기체가 여과재를 통과할 때, 여과재의 구멍보다 큰 고체 입자는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재에 남아 분리된다.

여과 방법은 크게 거름종이깔때기를 사용하는 방법,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는 방법,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법 등으로 나뉜다. 주로 화학실험이나 화학공업 등에서 이용되지만, 가정에서 종이 필터를 이용하고 커피를 거르는 것도 훌륭한 여과 방법이다.

여과는 현탁액에서 입자와 유체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며, 유체는 액체, 기체 또는 초임계 유체일 수 있다. 응용 분야에 따라 구성 요소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분리할 수 있다.

물리적 조작인 여과는 서로 다른 화학적 조성을 가진 물질을 분리할 수 있게 한다. 한 구성 요소는 용해시키지만 다른 구성 요소는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를 선택한다. 선택된 용매에 혼합물을 용해시키면 한 구성 요소는 용액으로 들어가 여과기를 통과하고 다른 구성 요소는 남게 된다.

여과는 화학 공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바이오필터와 같이 공급 원료를 처리하기 위해 다른 단위 조작과 결합될 수도 있다. 바이오필터는 여과와 생물학적 소화 장치가 결합된 장치이다.

여과는 체질과 다르다. 체질은 단일 천공층(체)에서 분리가 발생한다. 체질에서는 체의 구멍을 통과하기에 너무 큰 입자가 남는다(입도 분포 참조). 여과에서는 다층 격자가 여과기의 복잡한 통로를 따라갈 수 없는 입자를 유지한다. 과도한 크기의 입자는 여과기 위에 여과 케이크 층을 형성하고 여과기 격자를 막아 유체상이 여과기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블라인딩).

여과는 흡착과 다르다. 흡착은 표면 전하에 의존하여 분리한다. 활성탄과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일부 흡착 장치는 여과가 주요 기계적 기능이 아니더라도 상업적으로 여과기라고 불린다.

여과는 자석을 사용하여 유체(일반적으로 윤활유, 냉각제 및 연료유)에서 자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과 다르다. 여과 매체가 없기 때문이다.

생물학적 여과기에서는 과도한 크기의 입자가 포획되어 섭취되고 그 결과 생성된 대사산물이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물(인간 포함)에서 신장 여과는 혈액에서 대사 노폐물을 제거하고, 정수 및 하수 처리에서 바이오필름에 흡착되어 여과 매체 위 또는 내부에서 성장하여 원치 않는 성분이 제거된다(완속 여과와 같이).

여과는 고체 잔류물에서 원치 않는 액체를 제거하거나, 액체에서 원치 않는 고체를 제거하거나, 또는 단순히 고체와 액체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과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모두 물질 분리를 목표로 한다. 분리는 제거할 물질이나 물체와 필터 사이의 어떤 형태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필터를 통과해야 하는 물질은 유체, 즉 액체 또는 기체여야 한다. 여과 방법은 목표 물질의 위치, 즉 유체 상에 용해되어 있는지 또는 고체로 현탁되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열 여과,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담긴 용액은 플라스크 자체에서 고체의 재결정을 방지하기 위해 핫플레이트에서 가열된다


열 용액에서 고체를 분리하기 위한 열 여과


냉 여과, 얼음물 목욕은 여과 과정을 거치기 전에 용액의 온도를 낮추는 데 사용된다


원하는 결과에 따라 여러 가지 실험실 여과 기술이 있는데, 주로 열 여과, 냉 여과 및 진공 여과가 있다. 원하는 결과를 얻는 주요 목적 중 일부는 혼합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혼합물에서 고체를 분리하는 것이다.

여과가 일어나려면 액체가 여과 매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동력이 필요하다. 중력, 원심력, 여과기 위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는 것, 여과기 아래에 진공을 가하는 것 또는 이러한 요소들의 조합이 이러한 힘에 기여할 수 있다. 간단한 실험실 여과와 대규모 사층 여과기 모두에서 중력만을 이용할 수 있다.

실험 과정에서 액체와 고체를 분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행하는 여과는 유리로 만든 깔때기에 종이로 만든 거름종이를 놓고, 그 위에 여과하고자 하는 혼합물을 붓는다.

여과를 할 경우, 거름종이 위에 남는 것(잔류물)이 필요한 경우와 거름종이를 통과한 액체(여과액)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거름종이의 재질과 기공 크기를 선택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거름종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깔때기의 온도를 변경하거나, 거름종이 위에 여과 보조제를 올려 여과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여과 보조제는 여과를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제는 종종 압축되지 않는 규조토로, 주로 이산화규소로 구성되어 있다. 목재 셀룰로오스와 펄라이트와 같이 저렴하고 안전한 기타 불활성 다공성 고체도 사용된다. 활성탄은 색상이나 냄새를 변경하는 것과 같이 여과액의 특성을 변경해야 하는 산업 응용 분야에서 자주 사용된다.

여과 보조제는 슬러리를 여과하기 전에 예비 코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젤라틴형 고형물이 여과 매체를 막는 것을 방지하고 더 맑은 여과액을 얻을 수 있다. 여과 전에 슬러리에 첨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케이크의 다공성이 증가하고 여과 중 케이크의 저항이 감소한다.

여과는 앙금 침전보다 효율적이지만 훨씬 시간이 많이 걸린다. 용액의 양이 매우 적다면 여과 매체에 대부분의 용액이 흡수될 수 있다.

여과의 대안으로 원심 분리가 있다. 고체와 액체 입자의 혼합물을 여과하는 대신,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여 (대개) 더 밀도가 높은 고체를 바닥으로 이동시켜 단단한 케이크를 형성하게 한다. 그 위의 액체는 앙금 침전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젤라틴 성분이나 미세 입자처럼 여과가 잘 되지 않는 고체를 분리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고체는 각각 여과기를 막히게 하거나 여과기를 통과할 수 있다.

여과는 그 방법이나 재질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압력과 온도에서 수행하는 자연 여과 외에도 여과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감압 여과, 수율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가열 여과 등의 방법이 있다.

여과에서 여과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는 압력차, 즉 여과지의 상하에 걸리는 압력 차이이다.

여과하는 것을 '거르다'라고도 하지만, 이것은 조작으로서는 '체에 치다'와 비슷하다. 체에 치는 것은 입자끼리 크기 차이로 선별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명확한 구별은 없고, 대상 입자의 크기 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1. 전통적인 여과 방법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옹기, 삼베, 창호지 등을 사용하여 액체 속 불순물을 걸러내는 방식을 사용해왔다.

2. 2. 현대적인 여과 방법

현대에는 과거 널리 사용되던 셀룰로오스 여과지 외에도 다양한 특성을 가진 여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섬유질 다공성 여재


여러 종류의 조합


활성탄과 중공사막을 사용한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중고

2. 2. 1. 거름종이와 깔때기를 이용한 여과

거름종이는 특수한 셀룰로오스 종이로 만들어져 미세한 틈이 있어 액체는 통과시키지만 고체 입자는 걸러낸다. 주로 화학 실험실에서 고체와 액체를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11] 거름종이를 깔때기에 끼우고 혼합물을 부으면 중력에 의해 액체는 거름종이를 통과하고 고체는 거름종이 위에 남는다. 이때 원뿔꼴 거름종이의 반면은 세 겹, 다른 쪽 반면은 한 겹이 되며, 사용되는 부분은 거름종이 전체의 절반에 해당한다.[11]

거름종이를 여과할 액체에 적셔서 깔때기에 꼭 붙게 하고, 유리 막대를 따라 액체가 조용히 흐르도록 하면서 거름종이 위에 붓는다. 이때 액체의 양은 깔때기에 댄 거름종이의 80% 정도만 붓고 넘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11] 깔때기는 깔때기 받침으로 지지하고, 그 끝은 액체를 받는 비커의 벽에 닿게 하여 떨어지는 액체가 튀지 않고 벽을 타고 내리도록 한다.[11]

여과할 때 거름종이에 남는 고체보다 여과액이 필요한 경우에는 거름종이를 주름을 많이 잡아 꽃 모양으로 접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것은 거름종이의 전면이 여과에 사용되므로, 네 겹으로 접은 경우보다 빨리 여과시킬 수 있다.[11]

화학 실험에서 액체와 고체를 분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유리 깔때기에 종이 거름종이를 놓고 그 위에 혼합물을 붓는 여과 방법을 사용한다. 거름종이는 미세한 그물망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액체나 용해된 분자는 통과하지만, 큰 고체 입자는 통과하지 못하고 거름종이 위에 남는다.

거름종이는 반으로 두 번 접어 처음 크기의 1/4로 만든다. 거름종이 크기는 모세관 현상으로 깔때기 외벽을 더럽히지 않도록, 설치했을 때 넘치지 않는 크기를 사용한다. 접은 거름종이를 한쪽은 한 겹, 다른 쪽은 세 겹이 되도록 원뿔형으로 펼쳐 깔때기에 설치하고, 증류수로 적신다.

깔때기 대롱이 비커 안쪽 측면에 닿도록 깔때기를 설치하고, 분리하고자 하는 용액을 유리 막대를 따라 조심스럽게 붓는다.

2. 2. 2.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한 여과

멤브레인 필터는 불소수지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만들어진 얇은 막으로, 매우 미세한 구멍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정밀한 여과에 사용된다. 다양한 크기의 구멍을 가진 제품들이 있으며, 강도 또한 강하다.

멤브레인 필터는 표면에 잔류물을 보유하는 특성 때문에, 단위 면적당 허용 잔류물량이 다른 여과재에 비해 적다. 따라서 많은 양의 잔류물이 있는 경우에는 전처리를 통해 미리 제거해야 한다. 멤브레인 필터는 플라스틱에 끼워진 형태('''시린지 필터''')나 전용 유리 기구에 끼워 사용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주로 각종 용매 정제, 분석 전처리, 미생물 분석 등에 사용되며, 특히 0.22μm 크기의 구멍을 가진 멤브레인 필터는 완전 멸균 목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2. 2. 3. 원심 여과

원심 여과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입자 크기나 밀도 차이에 따라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여과하고자 하는 물질을 빠르게 회전시켜 밀도가 높은 물질은 바깥쪽으로, 밀도가 낮은 물질은 안쪽으로 이동하게 하여 분리한다.[4] 주로 실험실에서 소량의 시료를 빠르게 분리하거나, 산업 현장에서 대량의 물질을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실험실에서는 카트리지 형태의 여과 팁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질을 넣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감압 여과, 가압 여과보다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더 큰 압력 차이가 필요한 한외여과 등에 사용된다.

2. 2. 4. 흡인 여과 (감압 여과)

흡인 여과(吸引濾過)는 여과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감압 여과(減壓濾過)라고도 한다. 이 방법은 여과 플라스크와 뷰흐너 깔때기를 사용하여 여과 속도를 높인다. 여과 플라스크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대기압과의 압력 차이를 이용, 액체가 빠르게 여과재를 통과하도록 돕는다.[11]

뷰흐너 깔때기의 눈금 접시 위에 여과지를 놓고 액체에 적셔 붙인 후, 깔때기를 고무 마개로 흡인병에 고정한다. 이후 수류펌프 등을 사용하여 흡인병 내부 압력을 낮춘다. 이렇게 하면 거름종이에 담긴 액체는 대기압에 의해 빠르게 여과된다.[11]

이 방법은 다량의 침전물을 여과하거나, 점도가 높은 물질을 여과할 때 특히 유용하다. 또한, 여과지를 접지 않기 때문에 잔류물 회수율도 매우 높다. 다만, 감압 여과에서는 여과지가 젖었을 때의 물리적 강도를 고려해야 한다.[11]

2. 2. 5. 가압 여과

압력여과는 여과재 위쪽에 압력을 가하여 여과 속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압축 공기나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여 여과재를 통과하는 액체에 압력을 가한다. 이론적으로는 여재 또는 용기가 견딜 수 있는 압력까지 가압할 수 있으므로, 대기압까지밖에 차압을 얻을 수 없는 감압 여과에 비해 효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주로 산업 현장에서 대량의 물질을 빠르게 처리하거나, 점도가 매우 높은 물질을 여과할 때 사용된다. 일반 여과지로는 이 압력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특수 설계된 '''여과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3][4]

2. 2. 6. 열시 여과

열시 여과는 뜨거운 용액에서 고체를 분리하거나, 용액의 온도가 높아 결정 석출을 방지해야 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주로 재결정 과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용해도가 높은 물질을 여과할 때 유용하다.

열시 여과를 할 때는 필터 깔때기와 용액이 닿는 다른 기구들을 미리 가열하여 결정 형성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면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깔때기에 고체가 결정화되는 것을 막아 여과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3]

깔때기에 결정이 생기는 것을 막고 효과적인 열시 여과를 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무경 깔때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깔때기에 경이 없으면 용액과 깔때기 경 사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깔때기에 고체가 다시 결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깔때기와 거름종이를 미리 오븐으로 가열해 두고, 여과 직전에 꺼내 사용한다. 또한, 깔때기 주위에 히터를 부착한 전용 기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2. 2. 7. 한외 여과



필터의 기공 크기를 분자 크기에 가깝게 한 여과를 '''한외여과'''라고 하며, 거대 분자를 제거할 수 있다. 한외여과의 예로는 중공사막을 사용한 가정용 정수기 등이 있다. 또한 생물의 신장에서는 사구체에서 혈액이 한외여과되어 소변(원뇨)이 생성되며, 인공투석에서는 상실된 사구체 기능을 인공투석 장치의 중공사막이 대신하고 있다.

3. 여과의 활용

여과는 다양한 산업 분야 및 일상 생활에서 널리 활용된다.

여과 플라스크 (흡입 플라스크, 시료가 포함된 소결 유리 여과기가 있음). 수기 플라스크에 거의 무색의 여과액이 있음에 유의하십시오.

  • 커피 필터는 굵게 갈린 커피를 가두는 역할을 한다.
  • 공기 조화에서 헤파(HEPA) 필터는 공기로부터 입자들을 제거한다.
  • 광업에서 벨트 필터는 귀금속을 추출해 준다.
  • 자동차에서의 기름 거르개
  • 채반으로 음식에서 물기를 빼는 것
  • 가정에서 찻잎 거름망, 기름 거름망, 망주걱, 커피 필터 등을 사용한다.
  • 엔진, 유공압, 산업기계 관련하여 윤활유 등을 여과하는 오일 필터와 흡기를 여과하는 에어 필터가 있다.
  • 관상어 수족관에서 물을 정화하는 여과 장치가 있다.


이 외에도, 정수, 하수 처리, 식품, 음료 제조, 제약, 생명공학, 화학 공업, 반도체, 전자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과가 활용된다.

3. 1. 산업 분야

여과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공정으로 활용된다.

  • '''정수 및 하수 처리:''' 물 속의 부유 물질, 유기물, 세균 등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을 생산하고, 하수를 정화하여 환경 오염을 줄인다. 동물(인간 포함)에서 신장 여과는 혈액에서 대사 노폐물을 제거하고, 정수 및 하수 처리에서 바이오필름에 흡착되어 여과 매체 위 또는 내부에서 성장하여 원치 않는 성분이 제거된다. (예: 완속 여과)
  • '''식품 및 음료 제조:''' 과일 주스, 맥주, 와인 등의 음료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맑게 만든다. 유제품, 식용유 등 다양한 식품 생산 과정에서도 여과가 사용된다.
  • '''제약 및 생명공학:''' 의약품 생산 과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포 배양액, 단백질 용액 등을 정제하는 데 사용된다.
  • '''화학 공업:''' 화학 반응 생성물을 분리하고, 용매를 정제하며, 촉매를 회수하는 등 다양한 공정에 여과가 사용된다.
  • '''반도체 및 전자 산업:''' 초순수 제조, 공기 중 미세 입자 제거 등 청정 환경 조성에 필수적이다.

3. 2. 일상 생활


  • 정수기: 가정용 정수기는 활성탄 필터, 멤브레인 필터 등을 사용하여 수돗물 속 불순물, 잔류 염소, 유해 물질 등을 제거한다.
  • 커피 및 차: 커피 필터나 찻잎 거름망을 사용하여 커피 가루나 찻잎을 걸러내고 맑은 음료를 얻는다.
  • 공기 청정기: 헤파(HEPA) 필터 등을 사용하여 공기 중 먼지,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을 제거한다.
  • 진공 청소기: 먼지 봉투나 필터를 사용하여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을 걸러낸다.
  • 마스크: 미세먼지 마스크는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 중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3. 3. 생물학적 여과

생물학적 여과는 생물체를 이용하여 물이나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여과 섭식은 그물 모양의 구조로 물속에서 먹이를 걸러 먹는 섭식 방법이며, 이렇게 먹이를 섭취하는 동물을 여과 섭식자라고 한다. 예를 들어 수염고래가 전형적인 예이다. 비슷해 보이는 것으로 섬모점액 섭식이 있는데, 이것은 섭식 기관의 표면에 점액을 분비하여 그에 부착된 미립자를 섬모로 모아 먹는 것을 가리킨다.[9] 많은 원생동물은 여과 섭식자이며, 세포질의 단단한 돌기(예: 흡구류의 돌기)를 물 흐름에 놓거나, 입으로 입자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배열의 섬모 운동(예: 복잡한 섬모 고리로 물 흐름에 소용돌이를 만들어 입으로 입자를 끌어들이는 종벌레)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적응을 통해 먹이를 얻는다. 유사한 섭식 기술은 윤충류와 태형동물에서도 사용된다. 많은 수생 절지동물도 여과 섭식자이다. 일부는 배의 부속지를 주기적으로 움직여 입으로 물 흐름을 만들고 다리의 털로 입자를 가두며, 다른 종류는 날도래처럼 물 흐름에 미세한 그물을 치고 입자를 가둔다.[8]
생물막은 종종 박테리아, 파지, 효모, 그리고 원생동물, 윤충류, 환형동물 등 더 복잡한 유기체를 포함한 복잡한 군집으로, 습한 기질에 역동적이고 복잡하며 종종 젤라틴 같은 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생물막은 대부분의 강과 바다의 바위를 덮고 있으며, 식수 생산에 사용되는 느린 모래 여과지 표면의 슈무츠데케와 하수 처리에 사용되는 트리클링 여과지의 여과 매체 표면의 막의 주요 여과 기능을 제공한다.[8] 생물막의 한 예로는 호수, 강, 바위 등에서 발견될 수 있는 생물학적 점액이 있다. 단일종 또는 이종 생물막의 활용은 자연 생물막이 느리게 성장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이다. 생물 여과 공정에서 생물막을 사용하면 바람직한 생물량과 중요한 영양소를 고정된 지지체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을 다양한 공정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생물여과 방법의 발전은 폐수에서 상당한 양의 유출물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9]

포유류, 파충류, 조류에서는 신장이 사구체를 통해 요소와 같은 불필요한 성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신체 항상성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많은 물질을 선택적으로 재흡수하는 신장 여과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체 과정을 배설이라고 하며, 배뇨를 통해 이루어진다. 원생동물에서 수축포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처럼, 모든 동물에서 유사하지만 종종 더 단순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4.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여과 기술 발전 방향

더불어민주당은 환경 보호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기술 개발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여과 기술은 이러한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술 중 하나로 본다.

4. 1. 친환경 소재 개발

현재 셀룰로오스 여과지가 널리 사용되지만, 다른 다양한 특성을 가진 여재도 있다. 불소수지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만들어진 기공 크기가 균일한 다공성 인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는 다양한 기공 크기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며, 강도도 강하다. 멤브레인 필터는 표면에서만 잔류물을 보유하기 때문에 다른 여과재에 비해 단위 면적당 허용 잔류물량이 매우 적다. 따라서 많은 양의 잔류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처리로 제거해야 한다. 주로 각종 용매의 정제나 분석 전처리 등 정밀한 여과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미생물 분석에도 사용된다. 0.22μm영어 정도의 기공 크기를 가진 것이 완전 멸균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Filtration https://www.lenntech[...] Lenntech BV 2009-01-01
[2] 서적 Filters and Filtration Handbook Butterworth-Heinemann 2015-01-01
[3] 웹사이트 ORGANIC LABORATORY TECHNIQUES 3: Filtration Methods http://www.chem.ucal[...] University of Calgary 2013-09-19
[4] 웹사이트 Filtration - Definition, Types, Functions & Quiz https://biologydicti[...] 2017-03-03
[5] 웹사이트 Filtration - Definition, Types, Functions & Quiz https://biologydicti[...] 2017-03-03
[6] 웹사이트 filtration Definition, Examples, & Processe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7] 서적 Coulson and Richardson's Chemical Engineering Butterworth-Heinemann 2019-04-19
[8] 서적 Membrane-Based Hybrid Processes for Wastewater Treatment https://doi.org/10.1[...] 2021-06-18
[9] 서적 Microbial Biofilms - Importance and Applications 2016-07-13
[10] 문서 濾の字の代わりに三水「氵」に「戸」を付した「沪」という漢字を使い、「沪過」のように表記されることがある
[11] 글로벌2 여과
[12] 웹사이트 Water treatment solution: Filtration http://www.lenntech.[...] 2013-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