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사회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사사회학은 역사학과 사회학의 방법론을 결합하여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학문 분야이다. 역사적 자료를 활용하여 이론을 검증하고, 사건 및 정책을 비교 분석하며, 거시적 관점에서 인과 관계를 탐구한다. 인간 행위 주체성의 역설을 탐구하며, 비교역사사회학, 국제 관계, 정치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주요 학자로는 칼 마르크스, 막스 베버, 시다 스코폴 등이 있으며, 미국 사회학회, 영국 사회학회, 국제 사회학회 등에서 연구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사 - 향토사
향토사는 특정 지역의 역사, 지리, 문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며, 한국에서는 지역 공동체의 변화와 발전을 연구하는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았고, 연구 결과의 신뢰성 문제 등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 사회사 - 여성사
여성사는 여성의 사회적 역할, 권리, 지위에 대한 역사적 연구 분야이며, 지역별, 대륙별 여성의 역사와 권리, 평등, 자본주의, 고용, 교육, 결혼, 성, 종교, 전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역사사회학 | |
---|---|
지도 정보 | |
개요 | |
분야 | 사회학의 학제간 분야 |
정의 | 사회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사회 현상의 역사적 측면을 연구 |
핵심 관심사 | 역사적 맥락에서 사회 구조와 과정 이해 사회 변동의 장기적인 패턴 분석 과거 사건이 현재 사회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역사 | |
초기 연구 | 칼 마르크스, 막스 베버, 에밀 뒤르켐 등의 고전 사회학자들의 연구에서 기원 사회 변동과 자본주의 발달에 대한 역사적 분석 시도 |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 프랑크 그레인저의 "역사사회학: 정치 교과서"(1911) 등 초기 연구 등장 사회학이 역사와 분리되는 시기 사회학이 과학적 방법론 강조하며 역사 분석에서 멀어짐 |
20세기 중반 | 다시 역사적 관점이 중요해짐 다양한 사회학 연구에서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기 시작 |
1970년대 이후 | 역사사회학이 독립적인 하위 분야로 발전 비교 역사 연구 방법론 발전 앤드루 애벗 등의 학자들이 역사와 사회학의 통합 주장 |
연구 방법 | |
주요 방법론 | 질적 연구 방법 (예: 역사적 자료 분석, 사례 연구) 양적 연구 방법 (예: 통계 분석) 비교 역사 연구 (여러 사례를 비교하여 사회적 패턴과 변동 이해) |
시간의 중요성 | 로널드 아민자데 등 학자들은 시간의 중요성 강조 사회 과정의 시간적 흐름과 사건의 순서에 주목 |
주요 접근법 | 사회 구조 분석 사회 변동 과정 분석 문화와 지식의 역할 분석 |
주요 연구 주제 | |
주요 관심사 | 사회 변동과 혁명 국가 형성 자본주의 발달 계급 구조 변화 문화와 종교의 역할 사회 운동의 기원 세계 체제 변화 식민주의와 제국주의 영향 사회적 기억과 역사 인식 |
주요 학자 | |
주요 인물 | 칼 마르크스 막스 베버 에밀 뒤르켐 배링턴 무어 주니어 찰스 틸리 테다 스카치폴 이매뉴얼 월러스틴 마이클 만 랜달 콜린스 리처드 랙먼 제라드 델란티 엥긴 F. 이신 |
특징 | |
특징 | 역사적 맥락 강조 사회학적 방법론과 역사적 분석의 통합 거시적 사회 변동 연구 비교 역사적 분석 활용 시간적 흐름과 과정 분석 |
참고 문헌 | |
도서 | 존 스콧, "사회학 사전" (2014) 데니스 스미스, "역사사회학의 부상" (1991) 프랭크 그레인저, "역사사회학: 정치 교과서" (1911) 리처드 랙먼, "역사사회학이란 무엇인가?" (2013) 제라드 델란티, 엥긴 F. 이신, "역사사회학 핸드북" (2003) |
저널 | 앤드루 애벗, "역사와 사회학: 잃어버린 종합" (1991) 로널드 아민자데, "역사사회학과 시간" (1992) |
2. 기원
역사사회학은 원래 공동체나 사회 현상의 기원과 역사적 발전의 근저에 있는 법칙과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였다(예: 막스 베버의 연구).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역사학과 사회학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학문 분야로 발전해왔다.
2. 1. 이론 검증을 위한 평행 조사
역사적 자료는 주로 세 가지 방식으로 사용되었고,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첫 번째는 평행 조사를 통한 이론 검증이다. 이는 자연과학적 법칙 개념에 상응하며,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수집하고 조사하거나 적용하는 것이다. 반면 사회학자들은 평행 조사 이론을 특정 조사 사례에 적용할 수 있지만,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과정의 다른 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9]2. 2. 사건 및 정책 비교
역사적 자료는 주로 세 가지 방식으로 사용되었고,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첫 번째는 평행 조사를 통한 이론 검증이다. 이는 자연과학적 법칙 개념에 상응하며,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조사하거나 적용하는 것이다. 사회학자들은 평행 조사 이론을 특정 조사 사례에 적용할 수 있지만,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과정의 다른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사회학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두 번째 이론은 특정 사건이나 정책의 적용 및 대조이다. 사회학자들이 비교 자료로 사용하는 특정 사건들은 구성 요소의 특징이나 독특한 측면에 따라 분석되고, 대조 및 비교될 수 있다. 해석 사회학자들에게는 '퍼슈텐(Verstehen)' 전통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이다.[9] 마지막으로, 사회학자들이 일반적으로 관련짓는 세 번째 방식은 거시적 관점에서 인과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것은 밀의 방법이다. "a) 차이 원리: 결과와 원인이 모두 존재하는 사례와 결과와 원인이 모두 없는 사례를 대조하고; b) 일치 원리: 동일한 결과를 가진 사례들을 (이상적으로 동일한) 원인 측면에서 비교한다."[9] 사회학 연구에 대한 밀의 방법의 유용성에 대한 중요한 논쟁이 있는데, 이는 역사 연구가 종종 소수의 사례에만 기반하고 많은 사회학 이론이 결정론적이지 않고 확률론적이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9]2. 3. 거시적 관점의 인과 관계 분석
역사적 자료가 사용되는 세 가지 방식 중 마지막은 거시적 관점에서 인과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밀의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a) 차이의 원리: 결과와 원인이 모두 존재하는 사례와 결과와 원인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 사례를 대조한다.
b) 일치의 원리: 같은 결과를 가진 사례들을 (이상적으로는 동일한) 원인의 측면에서 비교한다.
밀의 방법이 사회학 연구에 얼마나 유용한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역사 연구는 종종 소수의 사례에만 기반하고, 많은 사회학 이론이 결정론적이지 않고 확률론적이라는 점이 그 이유이다.[9] 오늘날 역사 사회학은 세부적인 질문들의 연관성에 의해 측정된다.[10]
3. 범위
역사사회학은 인간 주체성을 이해하는 열쇠는 그 시간적 발전을 추적하는 것이라고 개괄한다. 이를 통해 사회 전체에서 인간 주체성을 형성하는 행위와 구조의 변화와 연속성을 파악할 수 있다.
3. 1. 인간 행위 주체성
사회학과 역사학의 공통된 주제는 인간 주체성의 역설을 설명하는 것이다. “주체성의 문제란, 역사와 사회가 끊임없이, 다소 목적을 가진 개인의 행동에 의해 만들어지고, 개인의 행동이 아무리 목적을 가진 것이라 해도 역사와 사회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동시에, 똑같이 인식하는 인간의 경험을 설명하는 방법을 찾는 문제이다.[11]이 주제는 마르크스에서 스펜서에 이르기까지, 공생 관계에 의해 행동이 구조를 만들어내고, 그 구조가 행동을 규정한다는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11] 여기서 역사사회학은 인간 주체성을 이해하는 열쇠는 그 시간적 발전을 추적하는 것이라고 개괄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회 전체를 통해 인간 주체성을 형성하고 있는 행위와 구조의 변화와 연속성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비교역사사회학
비교역사사회학은 근대화론이나 마르크스주의 사회학 등의 사회변동론을 비판하면서 1970년대 후반 무렵부터 미국에서 번성한 거시사회학의 한 분야이다. 비교역사사회학은 기본적으로 근대화를 보다 역사적·지역적인 특성과 세계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여 분석한다. 현대 역사사회학은 주로 중세 이후 국가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국가, 계급, 경제 및 정치 체제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5. 타 분야에 대한 영향
역사사회학은 국제관계론 및 정치경제학과 같은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주었다. 국제관계론에서는 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의 비역사적 관점에 도전하며, 과거와 현재를 함께 탐구하는 역사사회학의 방법론을 활용한다. 정치경제학에서는 현재를 자연스러운 구조로 보거나 역사를 경로 의존적 결과로만 보는 관점, 그리고 저명한 인물 중심의 연구를 비판한다.
5. 1. 국제 관계
역사사회학은 과거와 현재를 함께 탐구하는 역사사회학의 성찰적 유용성을 활용하여 국제 관계 연구에서 점차 많이 사용되는 접근 방식이 되었다. 이는 세계의 더 넓은 구조적 구성을 정적인 것으로 보는 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에서 비롯된 역사적 관점이 부족한 견해에 도전한다.[12]5. 2. 정치경제학
정치경제학은 정책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정치 및 경제 시스템의 발전을 조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사사회학은 정치경제학이 다음과 같은 점을 비판한다.[13]# 현재를 자연스러운 구조로 본다.
# 역사를 경로 의존적 결과로만 집중한다.
# 저명한 인물들에 대한 통찰력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더 넓은 과정과 "일반적인" 사람들에 대한 참여는 제한적이다.
6. 주요 학자
- 조반니 아리기(Giovanni Arrighi)
- 장 바흘러(Jean Baechler)
- 랜덜 콜린스(Randall Collins)
- 에밀 뒤르켐(Emile Durkheim)
- 노르베르트 엘리아스(Norbert Elias)
-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 존 홀(John A. Hall)
- 마이클 만(Michael Mann)
- 칼 마르크스(Karl Marx)
- 배링턴 무어(Barrington Moore)
- 칼 폴라니(Karl Polanyi)
- 슈타인 로칸(Stein Rokkan)
- 시다 스코폴(Theda Skocpol)
- 찰스 틸리(Charles Tilly)
- 이마누엘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
- 막스 베버(Max Weber)
- 라인하르트 벤딕스(Reinhard Bendix)
- 리처드 라흐만(Richard Lachmann)
- 시니샤 말레세비치(Sinisa Malesevic)
- 마가렛 소머스(Margaret Somers)
- 줄리아 애덤스(Julia Adams)
- 조지 슈타인메츠(George Steinmetz)
- 피터 베어맨(Peter Bearman)
- 안드레아스 비머(Andreas Wimmer)
7. 연구 기관
미국 사회학회(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에는 비교역사사회학 분과가 있다. 영국 사회학회(British Sociological Association)에는 역사 및 비교사회학 연구 그룹이 있다. 국제 사회학회(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에는 역사사회학 연구위원회가 있다.
7. 1. 역사사회학
미국 사회학회(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에는 비교역사사회학 분과가 있다.영국 사회학회(British Sociological Association)에는 역사 및 비교사회학 연구 그룹이 있다.
국제 사회학회(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에는 역사사회학 연구위원회가 있다.
7. 2. 학제간 연구
하버드 대학교에서는 정치사회학과 역사사회학을 연계한 학제간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1]8. 참고 도서
는 역사사회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핵심 자료 모음이다.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sociology
https://www.worldcat[...]
2014
[2]
서적
The rise of historical sociology
https://www.worldcat[...]
Polity
1991
[3]
서적
Historical sociology : a textbook of politics
https://archive.org/[...]
Methuen & Co.
[4]
서적
The rise of historical sociology
https://www.worldcat[...]
Polity
1991
[5]
학술지
History and Sociology: The Lost Synthesis
https://www.jstor.or[...]
1991
[6]
학술지
Historical Sociology and Time
http://journals.sage[...]
1992
[7]
서적
What is historical sociology?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8]
서적
Handbook of historical sociology
https://www.worldcat[...]
SAGE
2003
[9]
웹사이트
Comparative and Historical Sociology: Lecture Notes
https://deflem.blogs[...]
2007
[10]
학술지
Toward a Historicized Sociology: Theorizing Events, Processes, and Emergence
http://www.annualrev[...]
2007
[11]
서적
Historical sociology
https://www.worldcat[...]
Cornell University Press
1982
[12]
학술지
Historical Sociology in International Relations: Open Society, Research Programme and Vocation
http://eprints.lse.a[...]
2007
[13]
학술지
Why Political Economy Needs Historical Sociology
http://link.springer[...]
2007
[1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