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가시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가시강은 흑연가시목과 연가시목으로 분류되며, 여러 과, 속, 종으로 나뉜다. 연가시는 몸길이가 수 cm에서 1m에 달하고 가늘고 긴 형태를 가지며, 곤충류에 기생하는 생활사를 가진다. 수컷과 암컷은 물속에서 교미하며, 암컷은 수정란을 대량으로 낳는다. 유생은 수생곤충에 기생하며, 성충은 숙주를 조작하여 물에 뛰어들게 한다. 연가시는 생태계에서 숙주를 하천으로 유입시켜 물고기의 먹이가 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곤충이 물에 뛰어드는 현상은 편광에 의한 착시 현상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선형동물 - 스피노코르도데스 텔리니
    죄송합니다. 제공된 페이지의 개요가 비어 있어,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연가시강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르디우스 속, Stenopelmatus 귀뚜라미에서 나오는 모습
분류 정보
학명Gordioidea
명명자Rauther, 1930
상위 분류군 표시5
이명Gordiaceae
기타 명칭
영어 이름horsehair worms, Gordian worms

2. 분류

연가시강은 크게 흑연가시목과 연가시목으로 나뉜다. 각 목은 다시 과, 속, 종으로 분류된다.

흑연가시목 (Chordodea)에는 다음 과가 속한다.[24]


  • 흑연가시과 또는 검은연가시과 (Chordodidae)
  • * ''Chordodes''
  • * ''Dacochordodes''
  • * ''Euchordodes''
  • * ''Neochordodes''
  • * ''Pantachordodes''
  • * ''Pseudochordodes''
  • 진주철선충과 (Parachordodidae)
  • * ''Beatogordius''
  • * ''Gordionus''
  • * ''Parachordodes''
  • * ''Paragordionus''
  • * ''Semigordionus''
  • 파라고르디우스과 (Paragordiidae)
  • * 파라고르디우스속 (''Paragordius'') - 파라고르디우스 트리쿠스피다투스 (''Paragordius tricuspidatus'')
  • 스피노코르도데스과 (Spinochordodidae)
  • * 스피노코르도데스속 (''Spinochordodes'') - 스피노코르도데스 텔리니 (''Spinochordodes tellinii'')


연가시목 (Gordea)에는 다음 과가 속한다.[19][20]

  • 연가시과 (Gordiidae)
  • * ''Acutogordius''
  • * 연가시속 (''Gordius'') - 연가시 (''Gordius aquaticus'')

2. 1. 흑연가시목 (Chordodea)

흑연가시목 (Chordodea)에는 다음 과가 속한다.[24]

  • 검은연가시과(Chordodidae)
  • * ''Chordodes''
  • * ''Dacochordodes''
  • * ''Euchordodes''
  • * ''Neochordodes''
  • * ''Pantachordodes''
  • * ''Pseudochordodes''
  • 진주철선충과 (Parachordodidae)
  • * ''Beatogordius''
  • * ''Gordionus''
  • * ''Parachordodes''
  • * ''Paragordionus''
  • * ''Semigordionus''
  • 파라고르디우스과 (Paragordiidae)
  • * 파라고르디우스속 (''Paragordius'') - 파라고르디우스 트리쿠스피다투스 (''Paragordius tricuspidatus'')
  • 스피노코르도데스과 (Spinochordodidae)
  • * 스피노코르도데스속 (''Spinochordodes'') - 스피노코르도데스 텔리니 (''Spinochordodes tellinii'')

2. 1. 1. 흑연가시과 (Chordodidae)


  • ''Chordodes''
  • ''Dacochordodes''
  • ''Euchordodes''
  • ''Neochordodes''
  • ''Pantachordodes''
  • ''Pseudochordodes''

2. 1. 2. 진주철선충과 (Parachordodidae)


  • ''Beatogordius''
  • ''Gordionus''
  • ''Parachordodes''
  • ''Paragordionus''
  • ''Semigordionus''

2. 1. 3. 파라고르디우스과 (Paragordiidae)

파라고르디우스속(''Paragordius'')[24]

2. 1. 4. 스피노코르도데스과 (Spinochordodidae)

스피노코르도데스속 (''Spinochordodes'') - 스피노코르도데스 텔리니 (''Spinochordodes tellinii'')

2. 2. 연가시목 (Gordea)


  • 연가시과 (Gordiidae)
  • * ''Acutogordius''[19][20]
  • * 연가시속 (''Gordius'') - 연가시 (''Gordius aquaticus'')[19][20]

2. 2. 1. 연가시과 (Gordiidae)


  • ''Acutogordius''[19][20]
  • 연가시속( ''Gordius'') - 연가시 (''Gordius aquaticus'')[19][20]

3. 생물학적 특징

몸은 좌우대칭이며, 종류에 따라 몸길이는 수 cm에서 1m에 달하고, 지름은 1-3mm로 가늘고 길다.[1] 지렁이와 달리 몸에 신축성이 없고, 꿈틀거리는 듯한 특징적인 움직임을 보인다.[1] 표면은 큐티클로 덮여 있으며 체절은 없다.[1] 큐티클로 덮여 있어 건조되면 철사처럼 굳어진다.[1] 선형동물강의 넥토네마강과 달리 측면에 강모가 없고, 단일 복부 표피 끈이 있으며, 어린 벌레에서는 체강중배엽으로 채워져 있지만 나이가 들면서 열린다.[1]

4. 생활사

수생생물이지만, 생활사의 일부를 곤충류에 기생하며 보낸다.

수컷과 암컷이 물속에서 만나면 서로 감아 돌고, 수컷은 두 갈래로 갈라진 끝 부분 안쪽에 있는 구멍에서 정자가 들어있는 낭인 정포를 내고, 암컷도 끝을 열어 정포를 흡입하여 수정시킨다[5]. 암컷은 실밥 같은 수정란 덩어리를 대량으로 낳는다[5]

1, 2개월에 걸쳐 알에서 부화유생은 강바닥에서 꿈틀거리고, 여과 섭식자인 수생곤충 (각시하루살이[6], 하루살이, 강도래, 날도래 유충, 깔따구 유충(붉은 벌레) 등)이 섭취한다. 유생은 몸의 끝에 달린 으로 장관 속으로 들어가, 배 속에서 "낭포" 상태가 된다[5]."낭포"는 스스로 껍질을 만들어 휴면 상태이며, -30냉동 하에서도 죽지 않는다[5]

수생 곤충(하루살이, 깔따구 등)이 우화하여 육지로 날아가[7], 사마귀, 꼽등이 등의 육상 생물에게 포식되면 기생하며, 2~3개월 동안 배 속에서 성장한다[7]。 드물게 낭포 또는 유생 상태로 물가 근처 풀의 이슬에 배출되어, 그것을 풀과 함께 섭취한 메뚜기나 귀뚜라미 등의 초식성 곤충에 우발적으로 기생하는 경우도 있다. 기생된 곤충은 생식 기능을 잃는다. 성충이 된 연가시류는 숙주의 뇌에 일종의 단백질을 주입하여, 숙주를 조작하여 물에 뛰어들게 한다[8]。숙주가 물고기나 개구리 등의 포식자에게 먹힌 경우에는 함께 죽어버리지만[13], 그 전에 숙주의 항문에서 탈출하면, 연못이나 , 물살이 완만한 강 등의 물속에서 자유 생활을 하며, 교미·산란을 한다.

강도래를 비롯한 수생 곤충류에서 유생 및 성체가 발견될 수 있다. 또한 곤충이 아닌 산천어 등의 물고기 내장에 기생하는 경우도 있다.

사람에 대한 기생 사례는 매우 드물며, 모두 우발적인 사건으로 간주된다. 연가시를 손에 올려놓으면, 손톱 사이로 체내에 잠입한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지만, 전혀 속설이며, 성충이 다시 기생 생활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4. 1. 생활사 단계

수생생물이지만, 생활사의 일부를 곤충류에 기생하며 보낸다.

수컷과 암컷이 물속에서 만나면 서로 감아 돌고, 수컷은 두 갈래로 갈라진 끝 부분 안쪽에 있는 구멍에서 정자가 들어있는 낭인 정포를 내고, 암컷도 끝을 열어 정포를 흡입하여 수정시킨다[5]. 암컷은 실밥 같은 수정란 덩어리를 대량으로 낳는다[5]

1, 2개월에 걸쳐 알에서 부화유생은 강바닥에서 꿈틀거리고, 여과 섭식자인 수생곤충 (각시하루살이[6], 하루살이, 강도래, 날도래 유충, 깔따구 유충(붉은 벌레) 등)이 섭취한다. 유생은 몸의 끝에 달린 으로 장관 속으로 들어가, 배 속에서 "낭포" 상태가 된다[5]."낭포"는 스스로 껍질을 만들어 휴면 상태이며, -30냉동 하에서도 죽지 않는다[5]

수생 곤충(하루살이, 깔따구 등)이 우화하여 육지로 날아가[7], 사마귀, 꼽등이 등의 육상 생물에게 포식되면 기생하며, 2~3개월 동안 배 속에서 성장한다[7]。 드물게 낭포 또는 유생 상태로 물가 근처 풀의 이슬에 배출되어, 그것을 풀과 함께 섭취한 메뚜기나 귀뚜라미 등의 초식성 곤충에 우발적으로 기생하는 경우도 있다. 기생된 곤충은 생식 기능을 잃는다. 성충이 된 연가시류는 숙주의 뇌에 일종의 단백질을 주입하여, 숙주를 조작하여 물에 뛰어들게 한다[8]。숙주가 물고기나 개구리 등의 포식자에게 먹힌 경우에는 함께 죽어버리지만[13], 그 전에 숙주의 항문에서 탈출하면, 연못이나 , 물살이 완만한 강 등의 물속에서 자유 생활을 하며, 교미·산란을 한다.

강도래를 비롯한 수생 곤충류에서 유생 및 성체가 발견될 수 있다. 또한 곤충이 아닌 산천어 등의 물고기 내장에 기생하는 경우도 있다.

사람에 대한 기생 사례는 매우 드물며, 모두 우발적인 사건으로 간주된다. 연가시를 손에 올려놓으면, 손톱 사이로 체내에 잠입한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지만, 전혀 속설이며, 성충이 다시 기생 생활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5. 생태계에서의 역할

연가시는 숙주인 꼽등이여치류를 하천으로 뛰어들게 하여 산천어, 열목어, 버들치 등 계류에 사는 하천성 연어과 어류의 귀중한 에너지원이 되게 한다[9]. 고베 대학 대학원 이학 연구과 조교수인 사토 타쿠야 등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계류의 연어과 어류가 연간 얻는 총 에너지량의 약 6할을 가을 3개월 정도에 강으로 뛰어드는 기생된 꼽등이가 차지하고 있다[10][11][12].

꼽등이 등 육상 곤충이 강 안으로 들어옴으로써 강의 수생 곤충은 별로 먹히지 않게 되고, 수생 곤충류의 먹이인 조류의 현존량이 줄어들고, 낙엽의 분해 속도가 촉진된다[9][13]. 꼽등이를 뛰어들게 하지 않으면 물고기는 수생 곤충을 먹게 되고, 그 결과 조류가 늘어나고, 낙엽의 분해가 늦어져서 생태계가 변했다[13][14]. 사토 등은 연가시와 같은 기생충이 산림과 하천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실증했다[11][13].

연가시가 기생하는 곤충이 강에 떨어지는 것은, 주로 딱정벌레에 기생하는 홋카이도에서는 6-7월경이 피크이고, 혼슈에서는 가을이다[16]. 연가시에 조종된 사마귀는 수면의 반사광에 포함된 수평 편광에 유인되어 물에 뛰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도로의 아스팔트도 동일한 반사광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가을에 도로상에서 죽는 사마귀가 많은 것은, 연가시에 기생된 일부 사마귀가 수면으로 착각하고 아스팔트를 목표로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17][18].

물고기에게 잡아먹힌 연가시는 숙주 곤충이 수중으로 들어가자마자 탈출하거나, 입이나 아가미에서 탈출할 수 있기 때문에 숙주와 함께 잡아먹히는 경우는 적어 연가시가 받는 해는 많지 않다[15]. 오히려 숙주 곤충을 물고기가 먹음으로써 수생 곤충이 감소하지 않는 것은 연가시에게는 다음 해에 태어난 유생이 침입하는 중간 숙주가 다수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익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6. 사회문화적 인식

7. 기타

참조

[1] 서적 Biology of the Invertebrates 2010
[2] 웹사이트 Gordioidea
[3] URL https://entomology.c[...]
[4] 뉴스 「研究室に行ってみた。神戸大学 群集生態学 佐藤拓哉」第2回 まるで寄生獣!寄生虫ハリガネムシの恐るべき一生 https://natgeo.nikke[...]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20-10-22
[5] 뉴스 「研究室に行ってみた。神戸大学 群集生態学 佐藤拓哉」第2回 まるで寄生獣!寄生虫ハリガネムシの恐るべき一生 https://natgeo.nikke[...]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20-10-22
[6] 웹사이트 ハリガネムシ 2020-10-22
[7] 뉴스 「研究室に行ってみた。神戸大学 群集生態学 佐藤拓哉」第2回 まるで寄生獣!寄生虫ハリガネムシの恐るべき一生 https://natgeo.nikke[...]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20-10-22
[8] 뉴스 「研究室に行ってみた。神戸大学 群集生態学 佐藤拓哉」第3回 寄生虫ハリガネムシはどうやって宿主の心を操るのか https://natgeo.nikke[...]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15-03-26
[9] 웹사이트 森と川をつなぐ細い糸:寄生者による宿主操作が生態系間相互作用を駆動する https://www.jsps.go.[...] 日本学術振興会 2015-03-26
[10] 뉴스 「研究室に行ってみた。神戸大学 群集生態学 佐藤拓哉」第1回 カマドウマの心を操る寄生虫ハリガネムシの謎に迫る http://nationalgeogr[...]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15-03-26
[11] 간행물 Nematomorph parasites drive energy flow through a riparian ecosystem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12] 뉴스 ハリガネムシ 生態系の黒幕 昆虫操り、イワナのエサに 京大など解明 2011-05-16
[13] 뉴스 「研究室に行ってみた。神戸大学 群集生態学 佐藤拓哉」第4回 世界初! 寄生虫が異なる生態系をつなぐことを証明 http://nationalgeogr[...]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15-03-26
[14] 뉴스 寄生生物、巧みな支配 宿主を改造・死のダイブに導く 2013-03-04
[15] 문서 以降、小澤(2016),p.28-32
[16] 뉴스 「研究室に行ってみた。神戸大学 群集生態学 佐藤拓哉」第5回 なんと生き物の半分近くは寄生虫!? http://nationalgeogr[...]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15-03-26
[17] 간행물 A potential evolutionary trap for the extended phenotype of a nematomorph parasite
[18] 뉴스 アスファルト上で死ぬカマキリ、寄生虫に操られていた 京大など解明 https://mainichi.jp/[...] 2024-11-13
[19] 웹사이트 Gordioidea in ITIS http://www.itis.gov/[...] 2016-07-18
[20] 웹사이트 暫定新寄生虫和名表 http://jsp.tm.nagasa[...] 2016-07-18
[21] 웹사이트 目黒寄生虫館ニュース Chordodes japonensis INOUE,ニホンザラハリガネムシの寄生するカマキリ http://www.kiseichu.[...] 2016-07-18
[22] 서적 이기적 유전자
[23] 웹인용 Gordiids http://www.nematomor[...]
[24] 간행물 Global diversity of hairworms (Nematomorpha: Gordiaceae) in freshwa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