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염색체 전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색체 전좌는 염색체의 일부가 다른 염색체로 이동하는 유전적 변이 현상이다. 전좌는 상호 전좌, 비상호 전좌, 로버트소니안 전좌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국제인간염색체명명법(ISCN)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상호 전좌는 불임, 유산, 기형아 출산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다운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 또한, 염색체 전좌는 암, 특히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특정 융합 유전자 및 단백질의 생성으로 이어진다. 진단과 치료는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칼 삭스의 연구를 통해 방사선이 염색체 전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염색체 이상 - 필라델피아 염색체
    필라델피아 염색체는 9번 염색체의 *ABL1* 유전자와 22번 염색체의 *BCR* 유전자의 상호 전좌로 인해 발생하는 염색체 이상으로, *BCR-ABL1* 융합 유전자를 생성하여 만성 골수성 백혈병과 일부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를 이용한 표적 치료가 주된 치료법입니다.
  • 염색체 이상 - 일염색체성
    일염색체성은 정상적인 두 개의 염색체 대신 하나의 염색체만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인간에게는 터너 증후군과 같은 일부 질환이 존재하고, 모계의 감수 분열 오류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 유전 정보 수정 - 형질전환
    형질전환은 세균, 효모, 식물, 동물 등 생명체에 외부 DNA를 도입하여 유전적 형질을 변화시키는 기술이며,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발생하며 유전자 조작에 활용된다.
  • 유전 정보 수정 -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재조합은 유성 생식 생물의 염색체 유전자 교차를 통한 유전자 재배열 현상으로, 유전적 변이를 증가시키고 유전학적 지도 작성에 활용되며,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로 이용된다.
염색체 전좌
정의
개요염색체 일부가 절단되어 다른 염색체에 부착되는 현상
관련 질병
불임
다운 증후군
종류
상호 전좌두 염색체 간의 염색체 부분 교환
로버트슨 전좌두 개의 말단 중심체 염색체가 중심체 근처에서 결합하여 하나의 큰 염색체를 형성하는 것
삽입 전좌한 염색체에서 절단된 부분이 다른 염색체 내에 삽입되는 것
원인
원인방사선
화학 물질
바이러스 감염
유전적 요인
진단
방법세포 유전학 분석
형광 제자리 부합법 (FISH)
미세 배열 비교 유전체 혼성화 (array CGH)
영향
영향유전자 발현 변화
유전자 기능 장애
세포 기능 이상
기타
관련 용어세포 유전학
염색체 이상
유전자 재배열

2. 염색체 전좌의 유형

염색체 전좌는 크게 상호 전좌, 비상호 전좌, 로버트소니안 전좌로 나눌 수 있다. 상호 전좌는 비상동 염색체 간의 유전 물질 교환, 비상호 전좌는 한 염색체에서 다른 비상동 염색체로 단방향 유전자 이동,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두 첨단중심성 염색체의 동원체 부근에서 발생하는 전좌를 의미한다.

생식 세포의 감수 분열 과정 중 오류로 발생하는 염색체 전좌와 체세포의 유사 분열 과정 중 오류로 발생하는 염색체 전좌는 구분해야 한다. 전자는 자손의 모든 세포에 염색체 이상을 초래하는 반면, 후자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필라델피아 염색체처럼 특정 세포에만 영향을 미친다.[3]

2. 1. 상호 전좌

상호 염색체 전좌는 일반적으로 비상동 염색체 간의 ‘교환’이며, 약 491명의 출생아 중 1명에게서 발생한다.[3] 이러한 전좌는 유전 물질의 증가 또는 감소를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대개 무해하지만, 산전 진단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러나 균형 상호 전좌 보인자는 감수 분열 염색체 분리 중에 ‘불균형’ 염색체 전좌를 가진 생식 세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불임, 유산 또는 이상이 있는 아이를 초래할 수 있다. 전좌를 가질 수 있는 가족에게는 종종 유전 상담과 유전자 검사가 제공된다. 대부분의 균형 전좌 보인자는 건강하며 어떤 증상도 없다.

생식 세포에서 감수 분열(즉, 배우자 형성 중)의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염색체 전좌와 체세포에서 유사 분열의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염색체 전좌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자는 전좌 보인자와 같이 자손의 모든 세포에 나타나는 염색체 이상을 초래한다. 반면 체세포 전좌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 전좌와 같이 영향을 받는 세포와 그 전구 세포에만 나타나는 이상을 초래한다.

2. 2. 비상호 전좌

비상호적 전좌는 한 염색체에서 다른 비상동 염색체로 유전자가 단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4][22]

2. 3. 로버트소니안 전좌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두 개의 첨단중심성 염색체의 동원체 부근에서 일어나는 파손에 의해 발생하는 전좌의 한 유형이다. 상호 교환에 의해 하나의 큰 중앙중심성 염색체와 매우 작은 염색체 하나가 생성되는데, 작은 염색체는 유전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생물체에서 소실되어도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인간의 경우, 두 개의 염색체가 융합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핵형은 45개의 염색체만 남게 된다.[5] 첨단중심성 염색체의 짧은 팔에 있는 유전자는 모두 공통적이며, 가변적인 복제수(핵소체 구성 유전자)로 존재하기 때문에 표현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모든 첨단중심성 염색체의 조합에서 관찰되었다. 인간에게서 가장 흔한 전좌는 13번 염색체와 14번 염색체를 포함하며, 약 1,000명의 신생아 중 0.97명에서 발견된다.[6] 로버트소니안 전좌 보인자는 표현형 이상과 관련이 없지만, 불균형 배우자를 생성하여 유산이나 이상아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21번 염색체를 포함하는 로버트소니안 전좌 보인자는 다운 증후군 아기를 가질 위험이 더 높다. 이는 '전좌 다운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배우자 형성 과정에서의 잘못된 분리(분리 이상)로 인해 발생한다. 어머니의 전달 위험(10%)이 아버지(1%)보다 더 높다. 14번 염색체를 포함하는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삼염색체 구제로 인한 일부모 이염색체 14의 약간의 위험도 수반한다.

3. 염색체 전좌와 질병

상호 염색체 전좌는 서로 다른 염색체 간에 유전 물질이 교환되는 현상으로, 491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3] 대개 무해하지만, 균형 전좌 보인자는 감수 분열 과정에서 불균형 전좌를 가진 생식 세포를 만들어 불임, 유산, 기형아 출산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3] 따라서, 전좌 가능성이 있는 가족에게는 유전 상담과 유전자 검사가 권장된다.

생식 세포의 감수 분열 오류로 인한 염색체 전좌와 체세포의 유사 분열 오류로 인한 염색체 전좌는 구분해야 한다. 전자는 자손의 모든 세포에 염색체 이상을 일으키지만, 후자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필라델피아 염색체처럼 특정 세포 계통에만 영향을 미친다.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두 첨단중심성 염색체의 동원체 부근이 파손되어 발생하는 전좌 유형이다. 이로 인해 하나의 큰 중앙중심성 염색체와 유전자가 거의 없는 작은 염색체가 생성되는데, 작은 염색체는 소실되어도 생물체에 큰 영향이 없다. 인간의 경우, 핵형은 45개 염색체만 남는다.[5]

인간에서 가장 흔한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13번과 14번 염색체 사이의 전좌로, 신생아 1,000명 중 0.97명에서 발견된다.[6] 21번 염색체 로버트소니안 전좌 보인자는 다운 증후군 아기를 가질 위험이 더 높은데, 이는 '전좌 다운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

염색체 전좌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 질병은 다음과 같다:


  • : 백혈병(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을 포함한 여러 발생과 관련이 깊으며, 유잉 육종과 같은 고형 악성종양에서도 보고된다.
  • 불임: 부모 중 한 명이 균형 전좌를 가지면, 부모는 증상이 없지만 수정된 태아는 생존 불가능할 수 있다.
  • 다운 증후군: 소수(5% 미만)는 21번 염색체 장완과 14번 염색체 장완 간 로버트소니안 전좌로 발생한다.[7]


성염색체 간 전좌는 XX 남성 증후군과 같은 유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는 Y염색체에서 X염색체로 SRY 유전자가 전좌되어 발생한다.

다양한 암 및 기타 질병에 관여하는 염색체 전좌 개요. 염색체는 표준 핵형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약어: ALL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ML - 급성 골수성 백혈병, CML - 만성 골수성 백혈병, DFSP - 피부섬유육종

3. 1. 암

염색체 전좌는 백혈병(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을 포함한 여러 형태의 발생과 관련이 깊으며, 유잉 육종과 같은 고형 악성종양에서도 보고된다.[7]

3. 1. 1. 백혈병

염색체 전좌로 인해 발생하는 인간 질병 중 하나는 백혈병이다. 여러 형태의 암은 후천적 전좌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는 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만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설명되어 왔다. 전좌는 유잉육종과 같은 고형 악성종양에서도 보고되었다.[7]

전좌관련 질환융합 유전자/단백질 (첫 번째)융합 유전자/단백질 (두 번째)
t(8;21)(q22;q22)[13]성숙을 동반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8번 염색체의 ETO21번 염색체의 AML1
AML 신규 환자의 약 7%에서 발견되며, 양호한 예후와 아라비노시드 시토신 치료에 대한 좋은 반응을 예측[13]
t(9;22)(q34;q11)
필라델피아 염색체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9번 염색체의 Abl1 유전자[12]BCR (22번 염색체의 "절단점 클러스터 영역")[12]
t(15;17)(q22;q21)[13]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15번 염색체의 PML 단백질17번 염색체의 RAR-α
PML-RARA 전사체의 지속적인 실험실 검출은 재발의 강력한 예측 인자[13]
t(12;15)(p13;q25)급성 골수성 백혈병, 선천성 섬유육종, 분비성 유방암, 타액선의 유방 유사 분비성 암종, 중배엽성 신종의 세포 변이체12번 염색체의 TEL15번 염색체의 TrkC 수용체
t(9;12)(p24;p13)CML, ALL9번 염색체의 JAK12번 염색체의 TEL
t(12;21)(p12;q22)ALL12번 염색체의 TEL21번 염색체의 AML1
t(1;12)(q21;p13)급성 골수성 백혈병
t(17;19)(q22;p13)ALL


3. 1. 2. 림프종

전좌관련 질환융합 유전자/단백질
첫 번째두 번째
t(8;14)(q24;q32)버킷 림프종8번 염색체의 c-myc14번 염색체의 IGH@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좌)
t(11;14)(q13;q32)맨틀 세포 림프종[10]11번 염색체의 사이클린 D1[10]IGH@[10]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좌)
t(14;18)(q32;q21)여포성 림프종 (약 90%의 경우)[13]IGH@[10]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좌)18번 염색체의 Bcl-2
t(11;18)(q21;q21)MALT 림프종[14]BIRC3 (API-2)MLT[14]
t(2;5)(p23;q35)역형성 대세포 림프종ALKNPM1


3. 1. 3. 육종

염색체 전좌는 발생과 관련이 깊다. 특히, 백혈병의 일종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만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자주 발견된다. 유잉 육종과 같은 고형 악성종양에서도 전좌가 보고된다.

다음은 전좌와 관련된 질환, 융합 유전자/단백질을 정리한 표이다.

전좌관련 질환융합 유전자/단백질
첫 번째두 번째
t(8;14)(q24;q32)버킷 림프종8번 염색체의 c-myc
림프구 증식 능력을 부여하는 융합 단백질 생성
14번 염색체의 IGH@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좌),
융합 단백질의 대량 전사 유도
t(11;14)(q13;q32)맨틀 세포 림프종[10]11번 염색체의 사이클린 D1[10],
융합 단백질의 세포 증식 능력 부여
IGH@[10]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좌) 14번 염색체,
융합 단백질의 대량 전사 유도
t(14;18)(q32;q21)여포성 림프종 (약 90%의 경우)[13]IGH@[10]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좌) 14번 염색체,
융합 단백질의 대량 전사 유도
18번 염색체의 Bcl-2,
융합 단백질의 항세포자멸사 능력 부여
t(10;(다양한))(q11;(다양한))유두상 갑상선암[11]10번 염색체의 RET 원암유전자[11]PTC (유두상 갑상선암) – 여러 다른 유전자/단백질 중 하나에 대한 자리 표시자[11]
t(2;3)(q13;p25)여포성 갑상선암[11]PAX8 – 쌍상자 유전자 8[11] 2번 염색체PPARγ1[11] (과산화소체 증식 활성화 수용체 γ 1) 3번 염색체
t(8;21)(q22;q22)[13]성숙을 동반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8번 염색체의 ETO21번 염색체의 AML1
AML 신규 환자의 약 7%에서 발견되며, 양호한 예후와 아라비노시드 시토신 치료에 대한 좋은 반응을 예측[13]
t(9;22)(q34;q11)
필라델피아 염색체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9번 염색체의 Abl1 유전자[12]BCR (22번 염색체의 "절단점 클러스터 영역")[12]
t(15;17)(q22;q21)[13]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15번 염색체의 PML 단백질17번 염색체의 RAR-α
PML-RARA 전사체의 지속적인 실험실 검출은 재발의 강력한 예측 인자[13]
t(12;15)(p13;q25)급성 골수성 백혈병, 선천성 섬유육종, 분비성 유방암, 타액선의 유방 유사 분비성 암종, 중배엽성 신종의 세포 변이체12번 염색체의 TEL15번 염색체의 TrkC 수용체
t(9;12)(p24;p13)CML, ALL9번 염색체의 JAK12번 염색체의 TEL
t(12;16)(q13;p11)점액양 지방육종12번 염색체의 DDIT3 (이전 CHOP)16번 염색체의 FUS 유전자
t(12;21)(p12;q22)ALL12번 염색체의 TEL21번 염색체의 AML1
t(11;18)(q21;q21)MALT 림프종[14]BIRC3 (API-2)MLT[14]
t(2;5)(p23;q35)역형성 대세포 림프종ALKNPM1
t(11;22)(q24;q11.2-12)유잉 육종FLI1EWS
t(17;22)DFSP17번 염색체의 콜라겐 I22번 염색체의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B
t(1;12)(q21;p13)급성 골수성 백혈병
t(X;18)(p11.2;q11.2)활막 육종
t(17;19)(q22;p13)ALL
t(7,16) (q32-34;p11)
또는
t(11,16) (p11;p11)
저등급 섬유혼합육종FUSCREB3L2 또는 CREB3L1



3. 2. 유전 질환

상호 염색체 전좌는 비상동 염색체 간의 유전 물질 교환으로, 출생아 491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3] 이 전좌는 유전 물질의 증가나 감소를 초래하지 않아 대개 무해하지만, 산전 진단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균형 상호 전좌 보인자는 감수 분열 중 ‘불균형’ 염색체 전좌를 가진 생식 세포를 생성하여 불임, 유산, 또는 이상이 있는 아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좌 가능성이 있는 가족에게는 유전 상담과 유전자 검사가 제공된다. 대부분의 균형 전좌 보인자는 건강하며 증상이 없다.

생식 세포의 감수 분열 오류로 인한 염색체 전좌와 체세포의 유사 분열 오류로 인한 염색체 전좌는 구분해야 한다. 전자는 자손의 모든 세포에 염색체 이상을 초래하지만, 후자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필라델피아 염색체처럼 특정 세포와 그 전구 세포에만 이상을 초래한다.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두 첨단중심성 염색체의 동원체 부근에서 파손되어 발생하는 전좌 유형이다. 상호 교환으로 하나의 큰 중앙중심성 염색체와 매우 작은 염색체가 생성되는데, 작은 염색체는 유전자가 거의 없어 소실되어도 생물체에 큰 영향이 없다. 인간의 경우, 두 염색체 융합으로 핵형은 45개 염색체만 남는다.[5] 첨단중심성 염색체의 짧은 팔 유전자는 모두 공통적이고 가변적 복제수(핵소체 구성 유전자)로 존재하여 표현형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다.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모든 첨단중심성 염색체 조합에서 관찰된다. 인간에서 가장 흔한 전좌는 13번 염색체와 14번 염색체 간 전좌로, 신생아 1,000명 중 0.97명에서 발견된다.[6] 로버트소니안 전좌 보인자는 표현형 이상이 없지만, 불균형 배우자 생성으로 유산이나 이상아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 21번 염색체 로버트소니안 전좌 보인자는 다운 증후군 아기를 가질 위험이 더 높은데, 이는 '전좌 다운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우자 형성 과정의 잘못된 분리(분리 이상) 때문이다. 어머니의 전달 위험(10%)이 아버지(1%)보다 높다. 14번 염색체 로버트소니안 전좌는 삼염색체 구제로 인한 일부모 이염색체 14의 위험도 수반한다.

전좌로 발생하는 질병은 다음과 같다:

성염색체 간 전좌는 다음 유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전좌관련 질환융합 유전자/단백질
첫 번째두 번째
t(8;14)(q24;q32)버킷 림프종8번 염색체의 c-myc,
림프구 증식 능력을 부여하는 융합 단백질 생성
14번 염색체의 IGH@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좌),
융합 단백질의 대량 전사 유도
t(11;14)(q13;q32)맨틀 세포 림프종[10]11번 염색체의 사이클린 D1[10],
융합 단백질의 세포 증식 능력 부여
IGH@[10]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좌) 14번 염색체,
융합 단백질의 대량 전사 유도
t(14;18)(q32;q21)여포성 림프종 (약 90%의 경우)[13]IGH@[10] (면역글로불린 중쇄 유전자좌) 14번 염색체,
융합 단백질의 대량 전사 유도
18번 염색체의 Bcl-2,
융합 단백질의 항세포자멸사 능력 부여
t(10;(다양한))(q11;(다양한))유두상 갑상선암[11]10번 염색체의 RET 원암유전자[11]PTC (유두상 갑상선암) – 여러 다른 유전자/단백질 중 하나에 대한 자리 표시자[11]
t(2;3)(q13;p25)여포성 갑상선암[11]PAX8[11] 2번 염색체PPARγ1[11] 3번 염색체
t(8;21)(q22;q22)[13]성숙을 동반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8번 염색체의 ETO21번 염색체의 AML1
AML 신규 환자의 약 7%에서 발견되며, 양호한 예후와 아라비노시드 시토신 치료에 대한 좋은 반응을 예측[13]
t(9;22)(q34;q11) 필라델피아 염색체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9번 염색체의 Abl1 유전자[12]BCR (22번 염색체의 "절단점 클러스터 영역")[12]
t(15;17)(q22;q21)[13]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15번 염색체의 PML 단백질17번 염색체의 RAR-α
PML-RARA 전사체의 지속적인 실험실 검출은 재발의 강력한 예측 인자[13]
t(12;15)(p13;q25)급성 골수성 백혈병, 선천성 섬유육종, 분비성 유방암, 타액선의 유방 유사 분비성 암종, 중배엽성 신종의 세포 변이체12번 염색체의 TEL15번 염색체의 TrkC 수용체
t(9;12)(p24;p13)CML, ALL9번 염색체의 JAK12번 염색체의 TEL
t(12;16)(q13;p11)점액양 지방육종12번 염색체의 DDIT3 (이전 CHOP)16번 염색체의 FUS 유전자
t(12;21)(p12;q22)ALL12번 염색체의 TEL21번 염색체의 AML1
t(11;18)(q21;q21)MALT 림프종[14]BIRC3 (API-2)MLT[14]
t(1;11)(q42.1;q14.3)정신분열병[15]
t(2;5)(p23;q35)역형성 대세포 림프종ALKNPM1
t(11;22)(q24;q11.2-12)유잉 육종FLI1EWS
t(17;22)DFSP17번 염색체의 콜라겐 I22번 염색체의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B
t(1;12)(q21;p13)급성 골수성 백혈병
t(X;18)(p11.2;q11.2)활막 육종
t(1;19)(q10;p10)핍지교종 및 핍지교모세포종
t(17;19)(q22;p13)ALL
t(7,16) (q32-34;p11) 또는 t(11,16) (p11;p11)저등급 섬유혼합육종FUSCREB3L2 또는 CREB3L1


3. 3. 불임

예비 부모 중 한 명이 균형 전좌를 가지고 있는 경우, 부모는 증상이 없지만 수정된 태아는 생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7] 균형 상호 전좌 보인자는 감수 분열 염색체 분리 중에 ‘불균형’ 염색체 전좌를 가진 생식 세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불임, 유산 또는 이상이 있는 아이를 초래할 수 있다.[3]

4. 염색체 전좌의 진단 및 치료

염색체 전좌는 비상동 염색체 간의 유전 물질 교환으로, 약 491명의 출생아 중 1명에게서 발생한다.[3] 이러한 전좌는 대개 유전 물질의 증가나 감소를 초래하지 않아 무해하지만, 산전 진단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균형 상호 전좌 보인자는 감수 분열 중 염색체 분리 과정에서 불균형 염색체 전좌를 가진 생식 세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불임, 유산, 또는 유전적 이상이 있는 아이 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좌 가능성이 있는 가족에게는 유전 상담과 유전자 검사가 권장된다. 대부분의 균형 전좌 보인자는 건강하며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생식 세포의 감수 분열(배우자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색체 전좌와 체세포의 유사 분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색체 전좌는 구분해야 한다. 전자는 전좌 보인자처럼 자손의 모든 세포에 염색체 이상을 초래하지만, 후자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필라델피아 염색체처럼 특정 세포와 그 전구 세포에만 이상을 일으킨다.

국제인간염색체명명법(ISCN)은 염색체 전좌 표기에 사용된다.[8] t(A;B)(p1;q2)는 A번 염색체와 B번 염색체 사이의 전좌를 나타낸다. 두 번째 괄호 안의 정보는 A번과 B번 염색체 내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며, p는 짧은 팔, q는 긴 팔을 의미한다. p 또는 q 다음의 숫자는 염색약으로 염색했을 때 관찰되는 영역, 띠, 소띠를 나타낸다.[9] 유전자좌도 참고할 수 있다.

염색체 전좌는 유전자가 하나의 연관 그룹에서 다른 그룹으로 이동하는 기작이 될 수 있다.

4. 1. 진단

상호 염색체 전좌는 비상동 염색체 간의 '교환'으로, 약 491명의 출생아 중 1명에게서 발생한다.[3] 이러한 전좌는 유전 물질의 증가 또는 감소를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대개 무해하지만, 산전 진단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러나 균형 상호 전좌 보인자는 감수 분열 중 염색체 분리 과정에서 ‘불균형’ 염색체 전좌를 가진 생식 세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불임, 유산 또는 이상이 있는 아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좌를 가질 수 있는 가족에게는 유전 상담과 유전자 검사가 종종 제공된다. 대부분의 균형 전좌 보인자는 건강하며 어떤 증상도 없다.

생식 세포에서 감수 분열(즉, 배우자 형성 중)의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염색체 전좌와 체세포에서 유사 분열의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염색체 전좌를 구별하는 것은 중요하다. 전자는 전좌 보인자와 같이 자손의 모든 세포에 나타나는 염색체 이상을 초래한다. 반면 체세포 전좌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 전좌와 같이 영향을 받는 세포와 그 전구 세포에만 나타나는 이상을 초래한다.

국제인간염색체명명법(ISCN)은 염색체 간의 전좌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8] t(A;B)(p1;q2)는 A번 염색체와 B번 염색체 사이의 전좌를 나타낸다. 두 번째 괄호 안의 정보는 주어진 경우, 각각 A번 염색체와 B번 염색체 내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p는 염색체의 짧은 팔을, q는 긴 팔을 나타내며, p 또는 q 다음의 숫자는 염색체를 염색약으로 염색할 때 보이는 영역, 띠 및 소띠를 나타낸다.[9]

4. 2. 치료

상호 염색체 전좌는 유전 물질의 증가나 감소를 초래하지 않아 대개 무해하지만, 감수 분열 과정에서 불균형 염색체 전좌를 가진 생식 세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불임, 유산, 또는 이상이 있는 아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유전 상담과 유전자 검사가 제공되기도 한다.[3] 대부분의 균형 전좌 보인자는 건강하며 증상이 없다.

생식 세포의 감수 분열 오류로 인한 염색체 전좌와 체세포의 유사 분열 오류로 인한 염색체 전좌는 구분해야 한다. 전자는 자손의 모든 세포에 염색체 이상을 일으키지만, 후자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필라델피아 염색체처럼 특정 세포와 그 전구 세포에만 이상을 초래한다.

5. 염색체 전좌 연구의 역사

1938년, 하버드 대학교 생물학 연구소의 칼 삭스(Karl Sax)는 "X선에 의해 유도된 염색체 이상(Chromosome Aberrations Induced by X-rays)"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방사선이 염색체 전좌에 영향을 미쳐 주요 유전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34] 이 논문은 방사선 세포유전학 분야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여겨지며, 그로 인해 그는 "방사선 세포유전학의 아버지"라고 불리게 되었다.[35]

참조

[1] 웹사이트 EuroGentest: Chromosome Translocations https://web.archive.[...] 2019-03-29
[2] 웹사이트 Can changes in the structure of chromosomes affect health and development? https://ghr.nlm.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0-07-15
[3] 서적 Genetic Disorders and the Fetus: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07-15
[4] 웹사이트 Translocation https://web.archive.[...] Carmel Clay Schools 2009-03-02
[5] 서적 Genetics: From Genes to Genomes McGraw-Hill
[6] 논문 Sperm FISH studies in seven male carriers of Robertsonian translocation t(13;14)(q10;q10) 2004-04-29
[7] 웹사이트 Causes http://www.nhs.uk/Co[...] 2023-09-16
[8] 서적 International System for Human Cytogenetic Nomenclature S. Karger AG
[9] 웹사이트 Characteristics of chromosome groups: Karyotyping http://www.rerf.jp/d[...] Radiation Effects Research Foundation 2014-06-30
[10] 논문 Detection of translocation t(11;14)(q13;q32) in mantle cell lymphoma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1999-05
[11]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12] 논문 Philadelphia chromosome-positive leukemias: from basic mechanisms to molecular therapeutics 2003-05
[13] 서적 Tietz Textbook of Clinical Chemistry and Molecular Diagnostics Elsevier Health Sciences 2011-12-16
[14]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15] 논문 Identification of genes from a schizophrenia-linked translocation breakpoint region 2001-04
[16] 논문 DNA double-strand break repair and chromosome translocations 2006
[17] 논문 Chromosomal Instability in Cancer Cells 2015
[18] 논문 Molecular biology. Finding the right partner in a 3D genome 2013
[19] 웹사이트 EuroGentest: Chromosome Translocations http://www.eurogente[...] 2019-03-29
[20] 웹사이트 Can changes in the structure of chromosomes affect health and development? https://ghr.nlm.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0-07-15
[21] 서적 Genetic Disorders and the Fetus: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https://www.google.c[...] John Wiley & Sons 2020-07-15
[22] 웹사이트 Translocation https://web.archive.[...] Carmel Clay Schools 2009-03-02
[23] 서적 Genetics: From Genes to Genomes McGraw-Hill
[24] 논문 Sperm FISH studies in seven male carriers of Robertsonian translocation t(13;14)(q10;q10) http://humrep.oxford[...] 2008-12-25
[25] 웹사이트 Causes https://www.nhs.uk/c[...] 2018-03-16
[26] 서적 International System for Human Cytogenetic Nomenclature S. Karger AG
[27] 웹사이트 Characteristics of chromosome groups: Karyotyping http://www.rerf.jp/d[...] Radiation Effects Research Foundation 2014-06-30
[28] 논문 Detection of translocation t(11;14)(q13;q32) in mantle cell lymphoma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1999-05
[29]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30] 논문 Philadelphia chromosome-positive leukemias: from basic mechanisms to molecular therapeutics 2003-05
[31] 서적 Tietz Textbook of Clinical Chemistry and Molecular Diagnostics Elsevier Health Sciences 2011-12-16
[32]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33] 논문 Identification of genes from a schizophrenia-linked translocation breakpoint region 2001-04
[34] 논문 Chromosome Aberrations Induced by X-Rays https://www.ncbi.nlm[...] 1938-09
[35] 웹사이트 Biographical Memoir of Karl Sax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20-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