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가의 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가의 난은 서진 혜제 연간에 일어난 팔왕의 난 이후 화북 지방의 혼란을 틈타 흉노족 유연이 한나라를 건국하고, 그의 아들 유총이 낙양을 함락시키고 서진 회제를 포로로 잡으면서 서진 왕조가 멸망한 사건이다. 이로 인해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중원 문화가 강남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한반도 국가들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 (위진)의 반란 - 팔왕의 난
    팔왕의 난은 서진 시대, 사마염의 분봉 정책과 혜제의 무능, 외척 세력의 다툼으로 인해 291년부터 306년까지 약 15년간 벌어진 여덟 왕족 간의 권력 투쟁으로, 서진 쇠퇴와 멸망, 오호십육국 시대 개막의 원인이 되었다.
  • 서진의 정치 - 팔왕의 난
    팔왕의 난은 서진 시대, 사마염의 분봉 정책과 혜제의 무능, 외척 세력의 다툼으로 인해 291년부터 306년까지 약 15년간 벌어진 여덟 왕족 간의 권력 투쟁으로, 서진 쇠퇴와 멸망, 오호십육국 시대 개막의 원인이 되었다.
영가의 난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영가의 난의 일부
위치허난성 뤄양
시기311년 7월 13일 ~ 311년 7월 14일
결과한의 승리; 낙양 함락 및 진 회제 포획
교전 세력
교전 1한-조
교전 2서진
지휘관 및 지도자
한-조 지휘관유총
서진 지휘관진 회제
사상자 및 피해
한-조 사상자알 수 없음
서진 사상자30,000명 이상

2. 역사적 배경

혜제 연간에 일어난 팔왕의 난(300년) 이후, 중원이라 불리던 화북 지방은 혼란 상태에 빠졌다. 유민(流氓)이라 불리는 피난민들이 각지를 유랑했고, 한나라 시대 이후 중원에 침입하여 한족들과 함께 살던 북방 민족들도 활약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산서성을 중심으로 이주했던 흉노수령 유연팔왕의 난 때 사마영 휘하에 있다가 304년 서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좌국성(左國城, 지금의 산서성 여량시 이석구)을 본거지로 삼아 대(大)선우의 지위에 앉았다. 또한 한나라 때 내려진 유씨 성에 의거해 했다. (이 나라는 후에 조(趙)로 이름을 바꾼다) 그 후 병주 남부로 세력을 확장해, 갈족석륵과 한족 유랑민의 우두머리였던 왕미를 휘하에 흡수해, 기주, 청주, 연주 등도 지배하에 두게 되었다.[3]

팔왕의 난 후, 진 왕조동해왕 사마월에 의해 간신히 정권을 유지하는 상황이었으나, 회제와의 관계에 잡음이 생겨 사마월이 분사(憤死)하자 일거에 구심력을 잃어버렸다.

2. 1. 서진의 혼란

혜제 연간에 일어난 팔왕의 난(300년) 이후, 중원이라 불리던 화북 지방은 혼란 상태에 빠졌다. 유민(流氓)이라 불리는 피난민들이 각지를 유랑했고, 한나라 시대 이후 중원에 침입하여 한족들과 함께 살던 북방 민족들도 활약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서진에서는 태희 원년(290년) 4월, 무제가 붕어하고 황태자 사마충(혜제)이 제2대 황제로 즉위했다.[1] 혜제는 어리석은 인물로 알려져 무제도 한때 폐태자를 진지하게 검토한 적이 있었다.[2] 즉위한 혜제는 정치를 내팽개쳤고, 실권은 무제 때부터 조정을 장악했던 황태후 양지의 아버지 양준이 보정 형태로 독점했다.[3] 이것이 팔왕의 난의 시작이었다.[4] 양준은 두 명의 아우를 요직에 앉히고 일족이 전횡했다.[5] 그러나 혜제의 황후 가남풍(가충의 딸)은 양씨의 전횡을 미워하여, 금군 안에서도 양씨 일족에 대한 불만이 높아졌다. 원강 원년(291년) 3월, 가후는 여남왕 사마량과 초왕 사마위와 결탁하여 양준을 살해했다.

사마량은 총명하고 인망도 있었기에 가후는 점차 그를 소외하기 시작했다. 가후는 사마위를 선동하여 사마량을 살해하게 하고, 그 죄를 사마위에게 뒤집어씌워 그도 살해하여 실권을 장악했다. 이후 가후와 조카 가밀의 10년 정도 전횡이 이어졌지만, 장화나 배위 등이 정치를 보살펴 서진은 간신히 안정을 유지했다. 가후는 미소년을 궁중에 들여 음행을 반복하고, 원강 9년(299년) 12월, 자신의 친자가 아닌 황태자사마휼을 폐하고, 영강 원년(300년) 3월에 살해했다. 서진 전역에서 가후의 전횡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고, 그해 4월 조왕 사마륜은 제왕 사마경과 모의하여 가후와 그 일파를 살해하고 수도 낙양을 제압, 영강 2년(301년) 1월 혜제를 폐하고 스스로 즉위했다. 사마륜의 찬탈은 제왕들의 반발을 불렀고, 사마륜은 황제의 허명에 도취되어 일당들에게 관작을 남발하여 조정은 난맥상을 보였다. 4월, 사마륜은 제왕 사마경, 하간왕 사마옹, 성도왕 사마영에 의해 살해되고 혜제가 복위했지만, 이후 황족들 간의 피비린내 나는 다툼이 이어져 국내는 황폐해졌다.

팔왕의 난은 광희 원년(306년) 11월, 동해왕 사마월에 의해 혜제가 독살되고(병사설도 있지만 독살 가능성도 시사됨), 12월에 그의 이복 동생인 회제 사마치가 제3대 황제로 옹립되면서 끝났다.

2. 2. 이민족의 발호

후한 시대부터 중원에 들어온 흉노, 저, 강 등의 이민족들은 서진의 혼란을 틈타 세력을 확장했다. 특히 흉노족 유연팔왕의 난 당시 성도왕 사마영 휘하에 있다가 304년 독립하여 (전조)나라를 건국했다.[1]

산서성을 중심으로 이주했던 흉노의 수령 유연은 304년 서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좌국성(左國城, 지금의 산서성 여량시 이석구)을 본거지로 삼아 대(大)선우의 지위에 앉았다.[2] 또한 한나라 때 내려진 유씨 성에 의거해 한왕을 칭했다.[3] 그 후 병주 남부로 세력을 확장해, 갈족석륵과 한족 유랑민의 우두머리였던 왕미를 휘하에 흡수해, 기주, 청주, 연주 등도 지배하에 두게 되었다.[3]

2. 3. 사회 경제적 위기

혜제 연간에 일어난 팔왕의 난(300년) 이후, 화북 지방은 혼란에 빠졌다. 이로 인해 '유민(流氓)'이라 불리는 피난민들이 각지를 떠돌아다녔고, 한나라 시대 이후 중원에 들어와 한족과 함께 살던 북방 민족들도 활동할 기회를 엿보았다.

끊임없는 전쟁과 기근으로 화북 지역의 많은 사람들이 난민이나 산적이 되었고, 인육을 먹는 끔찍한 사건도 빈번하게 발생했다.[2] 팔왕의 난으로 중앙이 혼란해짐과 동시에 각지에서는 연이은 기근이 덮쳐 대량의 유민이 나타났다.[3]

3. 전개 과정

304년 흉노유연서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을 자칭하며 조(趙)를 건국하면서 영가의 난이 시작되었다. 유연은 갈족석륵과 한족 유랑민의 우두머리였던 왕미를 휘하에 두며 세력을 확장했다.

팔왕의 난 이후, 진 왕조동해왕 사마월에 의해 간신히 정권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회제와의 관계에 잡음이 발생하고 동해왕이 분사(憤死)하자 구심력을 잃었다. 311년 석륵군에 의해 진나라 군이 대패하고, 유연의 아들 유총은 낙양을 함락시켜 회제를 평양으로 연행했다.

회제 사후 장안에서 민제가 옹립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서진 왕조는 멸망한 것과 다름없었다. 민제 역시 한나라의 포로가 되어 살해되었고, 이후 화북 지방에는 본격적인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영가의 난의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초기 공세: 유연 사후, 그의 아들 유총은 낙양 공격을 본격화했다. 311년 석륵은 진나라 군을 대패시키고 장병 10여만 명을 학살하거나 포로로 잡았다.[2] 석륵 등 한나라 장수들은 화북 지방 평원에서 서진 군대를 격파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 낙양 함락 (311년): 311년 석륵은 사마월이 이끄는 서진 주력군을 녕평에서 크게 무찔렀다.[5] 이로 인해 서진은 저항력과 통치력을 완전히 잃었다. 유총은 호연언, 왕미, 유요 등에게 대군을 주어 낙양을 공격하게 했다. 결국 낙양은 함락되었으며, 대장군 사마안을 비롯하여 황족, 귀족, 시민 등 수만 명이 살육되었다. 회제는 옥새와 함께 평양으로 연행되었고, 313년에 처형되었다.[5]
  • 장안 함락과 서진 멸망 (316년): 회제가 처형되었다는 소식이 장안에 전해지자, 회제의 조카 민제(사마업)는 313년 4월에 즉위하여 (전조)에 저항했다.[1] 그러나 장안은 한의 유요에게 공격받았고, 진군은 연패했다.[1] 결국 316년에 장안이 함락되어 약탈과 살육의 거리로 변했고, 민제는 한에 항복하여 평양으로 끌려갔다.[1][2][3] 이로써 서진은 완전히 멸망했다.[2][3]

3. 1. 초기 공세

유연 사후, 그의 아들 유총은 낙양 공격을 본격화했다. 311년 석륵은 진나라 군을 대패시키고 장병 10여만 명을 학살하거나 포로로 잡았다.[2] 석륵 등 한나라 장수들은 화북 지방 평원에서 서진 군대를 격파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3. 2. 낙양 함락 (311년)

311년 석륵은 사마월이 이끄는 서진 주력군을 녕평에서 크게 무찔렀다. 이로 인해 서진은 저항력과 통치력을 완전히 잃었다.[5] 유총은 호연언, 왕미, 유요 등에게 대군을 주어 낙양을 공격하게 했다.

호연언은 낙양을 공격하기 전 하남성에서 12번의 전투에서 진 군대를 격파하고 30,000명 이상의 병사를 죽였다. 311년 6월 29일, 호연언은 낙양에 도착하여 다음 날 남쪽 성벽의 평창문(平昌門)을 공격했다. 7월 2일에는 성문을 점령하고 동양문(東陽門, 동쪽 성벽)과 여러 관공서에 불을 질렀다. 그러나 다른 장군들이 아직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7월 3일에 약탈품과 포로를 이끌고 퇴각하면서 황제의 탈출을 막기 위해 배를 불태웠다.[5]

왕미는 7월 7일에 선양문(宣陽門, 평창문 옆 남쪽 성벽)에, 유요는 7월 8일에 서명문(西明門, 서쪽 성벽의 가장 남쪽 끝)에 도착했다. 7월 13일, 호연언과 왕미는 선양문을 점령하고 남궁(南宮)으로 들어가 태극전(太極殿) 앞을 통해 올라가 병사들이 그곳을 약탈하고 궁궐의 하인들을 사로잡도록 허용했다. 진나라 회제는 장안으로 도망치기 위해 화림원(華林園)의 문을 통해 탈출하려 했지만, 한나라 군대에 의해 제압되어 단문(端門, 궁궐의 주요 남문)에 갇혔다.[5]

유요는 서명문을 통해 들어가 병기창에 진을 쳤다. 7월 14일, 황태자 사마권을 비롯한 다른 왕자들과 관리들을 포함한 약 30,000명의 민간인을 학살하고 시체 무덤을 쌓았다. 또한 진나라 황제의 무덤을 파내고 궁궐, 종묘, 관공서를 불태웠다. 유요는 진 혜제의 전 황후인 양현용을 자신의 아내로 삼고, 진나라 회제와 여섯 개의 황제의 인장을 평양으로 보냈다.[5]

결국 낙양은 약탈과 폭행이 극에 달하고 도시는 불태워졌으며, 대장군 사마안을 비롯하여 황족, 귀족, 시민 등 수만 명이 살육되었다. 회제는 옥새와 함께 평양으로 연행되었고, 313년에 처형되었다.

3. 3. 장안 함락과 서진 멸망 (316년)

회제가 처형되었다는 소식이 장안에 전해지자, 회제의 조카 민제(사마업)는 313년 4월에 즉위하여 (전조)에 저항했다.[1] 그러나 장안은 한의 유요에게 공격받았고, 진군은 연패했다.[1] 민제의 정권은 화북에 잔존해 있던 서진 잔당에 의해 세워진 매우 취약한 정권으로, 지배력은 장안 주변에만 미치는 관중 지역 정권에 불과했다.[1] 게다가 장안은 팔왕의 난으로 이미 황폐해져 통치력도 없었고, 서진의 여러 왕들도 원군으로 나타나지 않았다.[1] 결국 316년에 장안이 함락되어 약탈과 살육의 거리로 변했고, 민제는 한에 항복하여 평양으로 끌려갔다.[1][2][3] 이로써 서진은 완전히 멸망했다.[2][3] 민제는 317년 12월에 한의 유총에게 살해되었고, 사마소・사마염으로부터 이어진 서진의 황통은 단절되었다.[1][2][3][4]

4. 결과 및 영향

팔왕의 난 이후, 서진은 사마월에 의해 간신히 정권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회제와의 관계 악화와 사마월의 죽음으로 구심력을 잃었다. 311년 석륵 군에 의해 진나라 군이 대패하고, 유총이 낙양을 함락시켜 회제를 평양으로 연행했다. 회제는 유총에 의해 관료로 임명되었다가 반역 혐의로 처형되었다.

회제가 포로로 잡힌 후, 장안에서 옹립된 민제를 포함하여 여러 임시 정부가 세워졌으나 모두 에 의해 멸망했다. 유곤 등이 병주에서 저항을 계속했지만, 결국 진나라의 잔당은 소탕되었다.

낙양은 이후 여러 국가들의 분쟁 지역이 되었지만, 북위 효문제 치세인 495년이 되어서야 수도로서의 지위를 되찾았다.

4. 1. 오호십육국시대의 개막

혜제 연간에 일어난 팔왕의 난(300년) 이후, 중원이라 불리던 화북 지방은 혼란에 빠졌다. 많은 피난민들이 각지를 떠돌았고, 한나라 때부터 중원에 들어와 한족과 함께 살던 북방 민족들도 활동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산서성을 중심으로 이주했던 흉노수령 유연304년 서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한나라 때 내려진 유씨 에 의거해 했다. (이 나라는 후에 전조로 이름을 바꾼다.) 그 후 병주 남부로 세력을 확장해, 갈족석륵과 한족 유랑민의 우두머리였던 왕미를 휘하에 흡수해, 기주, 청주, 연주 등도 지배하에 두게 되었다.

311년 석륵 군에 의해 진나라 군이 대패하고, 유연의 아들 유총이 낙양을 함락시켜 회제를 평양으로 연행했다. 회제의 사후 장안에서 민제가 옹립되었으나, 민제도 한나라의 포로가 되었고, 얼마 안 가 살해되었다. 이로써 사실상 서진 왕조는 멸망했고, 이후 화북 지방에는 본격적인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획기적인 사건이 바로 영가의 난이었다.

이민족의 침입을 피한 한족들은 강남으로 이동하여 동진을 건국했다.[1]

4. 2. 한국사에 미친 영향

영가의 난은 서진의 쇠퇴와 오호십육국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단순히 서진 왕조의 멸망뿐만 아니라, 중국 북방 지역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변화를 초래했다. 특히, 한반도 국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영가의 난으로 인해 화북 지방은 극심한 혼란에 빠졌고, 수많은 피난민들이 발생했다. 이들은 유랑 생활을 하며 생존을 도모했고, 북방 민족들은 이 기회를 틈타 세력을 확장했다. 이러한 혼란은 고구려와 같은 한반도 국가들이 성장할 수 있는 배경을 제공했다. 서진의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고구려는 요동 지역으로 진출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국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1]

4. 3. 중원 문화의 남천(南遷)

혜제 연간에 일어난 팔왕의 난 이후, 중원이라 불리던 화북 지방은 혼란에 빠졌고, 많은 피난민들이 각지를 떠돌았다. 흉노수령 유연304년 서진으로부터 독립하여 을 자칭했다. 311년 유총은 낙양을 함락시키고 회제를 포로로 잡아 평양으로 연행했다. 장안에서 민제가 옹립되었으나, 실질적인 서진 왕조는 멸망한 것과 다름없었다. 민제 또한 포로가 되어 살해되었고, 이후 화북 지방에는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사건이 바로 영가의 난이다.[1]

영가의 난으로 인해 오호라 불리는 북방 민족들이 중원으로 대거 남하하면서, 한족들은 강남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러한 한족들의 대규모 남하는 중원 문화를 강남 지역으로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간행물 ANCIENT LETTERS https://www.iranicao[...] 2023-04-19
[3] 웹사이트 SOGDIAN ANCIENT LETTER II https://web.archive.[...] Telling the Sogdian Story: A Freer/Sackler Digital Exhibition Project 2023-04-19
[4] 웹사이트 The Sogdian Ancient Letters 1, 2, 3, and 5 https://depts.washin[...] 2023-04-19
[5] 서적 Book of Jin 064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